KR101175916B1 - 채널 스위칭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채널 스위칭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916B1
KR101175916B1 KR1020107018139A KR20107018139A KR101175916B1 KR 101175916 B1 KR101175916 B1 KR 101175916B1 KR 1020107018139 A KR1020107018139 A KR 1020107018139A KR 20107018139 A KR20107018139 A KR 20107018139A KR 101175916 B1 KR101175916 B1 KR 101175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delete delete
content
ecms
log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8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3692A (ko
Inventor
안 메이 첸
이장원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03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04L63/06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for key distribution, e.g. centrally by truste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2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inserting or substituting an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0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for generating or managing entitlement messages, e.g. Entitlement Control Message [ECM] or 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EMM]
    • H04N21/26609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for generating or managing entitlement messages, e.g. Entitlement Control Message [ECM] or 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EMM] using retrofitting techniques, e.g. by re-encrypting the control words used for pre-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1Caching operations, e.g. of an advertisement for later insertion during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04N21/4384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involving operations to reduce the access time, e.g. fast-tuning for reducing channel switching lat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1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substituting a video cl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3Processing of entitlement messages, e.g. ECM [Entitlement Control Message] or EMM [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7Systems rendering the television signal unintelligible and subsequently intelligible
    • H04N7/1675Providing digital key or authorisation information for generation or regeneration of the scrambling sequ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1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채널 스위칭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채널 스위칭을 위한 방법은, 각각 제1 콘텐츠 채널 및 하나 이상의 부가적 콘텐츠 채널들과 연관되는 복호화(descryption) 키들을 포함하는 번들링된(bundled) 자격 제어 메시지(ECM:entitlement control message)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ECM들을 번들링하는 단계, 및 제1 콘텐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번들링된 ECM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채널 스위칭을 위한 장치(108, 116)는 각각 제1 콘텐츠 채널 및 하나 이상의 부가적 콘텐츠 채널들과 연관되는 복호화 키들을 포함하는 번들링된 ECM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키 포착 로직(118), 하나 이상의 부가적 콘텐츠 채널들의 일부인 제2 콘텐츠 채널을 렌더링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싱 로직, 및 제2 콘텐츠 채널을 복호화하기 위하여 번들링된 ECM들로부터 획득된 선택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복호화 로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채널 스위칭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 TO REDUCE CHANNEL SWITCHING TIME}
본 특허 출원은 2008년 1월 16일자로 출원되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hannel Switching Time"라는 제목의 미국 가출원 번호 제61/021,583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청구하며, 이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본 특허 출원은 2008년 4월 10일자로 출원되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hannel Switching Time"라는 제목의 미국 가출원 번호 제61/124,815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청구하며, 이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실시간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통상적으로 렌더링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분배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된다. 예를 들어, 실시간 콘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콘텐츠 채널들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콘텐츠 채널은 비디오, 오디오, 클로즈드 캡셔닝(closed captioning), 오버레이(overlay) 정보, 및 디바이스상에서 렌더링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플로우"를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들 및 디바이스에서의 연관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와 같은 렌더링 로직은 수신된 채널들을 프로세싱하고, 임의의 필요한 디코딩, 디스크램블링, 필터링, 변환들, 및 디바이스에서 콘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해 필요한 임의의 다른 프로세스들을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통상적으로, 디바이스들은 디바이스 사용자의 요청시 수신된 콘텐츠 채널들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사용자는 프로그래밍 가이드를 내비게이팅하고, 원하는 프로그래밍을 선택함으로써 엔터테인먼트 채널들과 뉴스들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다. 채널 변화들이 요청될 때, 변화가 매우 빠르게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 않으면, 디바이스 사용자는 긴 지연, 블랭크 스크린, 왜곡된 이미지들, 또는 다른 원치 않는 효과들을 경험할 수 있다. 대부분의 실시간 서비스들은 단지 적법한 사용자들만이 콘텐츠에 액세스하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조건적 액세스 시스템들을 이용하는데, 예를 들어, 제어 워드(CW)(숏 텀 키(short term key))로 콘텐츠를 암호화한다. 콘텐츠를 복호화하기 위하여, 콘텐츠를 복호화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제어 워드를 포함하는 자격 제어 메시지(ECM)가 송신된다. 통상적으로, ECM은 콘텐츠와 함께 대역 내에서(in band) 전달된다. 제어 워드 자신은 디바이스가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하여 구매하거나 가입할 때, 자격 관리 메시지(EMM: 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에서 디바이스들에 제공되는 롱 텀 키(long term key)로 암호화될 수 있다. 디바이스 사용자가 콘텐츠 채널들을 변화시킬 때, 새로운 콘텐츠를 즉시 렌더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렌더링 프로세스는 적절한 키들의 포착 및 복호화로 인해 수 분이 걸릴 수 있다. 그 결과, 디바이스 사용자는 선택된 콘텐츠 채널을 보는데 있어 지연을 경험할 것이고, 이는 불만족스러운 사용자 경험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연들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고,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가능한 콘텐츠 채널들 사이에서 빠른 채널 스위칭을 제공하기 위하여 디바이스상에서 사용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요구된다.
하기의 개시는 디바이스에서 빠르고 효율적인 채널 스위칭을 제공하도록 작동하는 채널 스위칭 시스템의 양상들을 설명한다. 시스템은 특히 무선 네트워크 환경들에서 디바이스들과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임의의 타입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디바이스들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임의의 타입의 네트워크 환경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통신 네트워크들, 인터넷과 같은 공중 네트워크들, 가상 사설 네트워크(VPN)들과 같은 사설 네트워크들, 로컬 영역 네트워크들, 광역 네트워크들, 장거리(long haul) 네트워크,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데이터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다양한 양상들에서, 채널 스위칭 시스템은 선택된 콘텐츠 채널들과 연관되는 ECM들을 번들링함으로써 콘텐츠를 복호화하기 위하여 키들을 포착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키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다수의 콘텐츠 채널들과 연관되는 제어 워드들은 동시에 포착된다. 그 결과, 연관되는 제어 워드가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선택된 콘텐츠 채널들 중 임의의 채널로의 채널 스위치는 매우 빠르게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은 매우 빠르고 효율적인 채널 스위치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경험을 향상시킨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양상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취해질 때, 하기의 설명을 참고로 하여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채널 스위칭 시스템의 양상들을 예증하는 분배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2는 채널 스위칭 시스템의 양상들에서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키 집합(aggregation) 로직을 보여준다.
도 3은 채널 스위칭 시스템의 양상들을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보여준다.
도 4는 채널 스위칭 시스템의 양상들에서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채널 스위치 로직을 보여준다.
도 5는 채널 스위칭 시스템의 양상들을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보여준다.
도 6은 채널 스위칭 시스템의 양상들을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보여준다.
도 7은 채널 스위칭 시스템의 양상들을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키 집합 로직을 보여준다.
도 8은 채널 스위칭 시스템의 양상들을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채널 스위치 로직을 보여준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수신기들, 예를 들어, DVB-H 수신기들에 의한 네트워크 정보 포착의 최적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DVB-H는 지상파 텔레비전에 대한 디지털 TV 표준, DVB-T에 기반한 모바일 TV 사양이다. DVB-T는 MPEG2 전송 스트림(ITU-T H.222.0에서 정의되는) 내에 직접 실시간 오디오/비디오 스트림들을 포함시킨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스템들, 다중-캐리어 CDMA(MC-CDMA), 광역 CDMA(W-CDMA),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시스템들,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채널 스위칭 시스템의 양상들을 예증하는 분배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시스템(100)은 콘텐츠 제공자(106), 102에서 일반적으로 보여지는 다수의 디바이스들, 및 네트워크(104)를 포함한다. 네트워크(104)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들 중 임의의 타입 및/또는 이들의 조합물일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106)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임의의 적절한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 채널은 콘텐츠 제공자(106)가 네트워크(104)를 통한 분배를 위해 콘텐츠 채널들을 제공하도록 허용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 중 임의의 타입일 수 있다. 디바이스들(102)은 정보가 네트워크(104)와 디바이스들(102) 사이에서 무선으로 전송되도록 허용하는 무선 통신 링크들을 통해 네트워크(104)와 통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링크들은 순방향 통신 채널들, 역방향 통신 채널들, 제어 채널들, 및/또는 네트워크(104)와 디바이스들(102) 사이에 정보를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통신 채널을 포함한다.
콘텐츠 제공자(106)는 디바이스들(102)에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작동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는 애플리케이션들, 프로그램들, 멀티미디어 콘텐츠, 광고 및/또는 디바이스들(102)상에서 렌더링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콘텐츠 및/또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플로우들을 전달하는 콘텐츠 채널들을 포함한다. 콘텐츠 제공자(106)에 의하여 제공되는 콘텐츠는 디바이스들(102)에서 제공될 미디어의 개별적인 서비스들 및/또는 프로그램 패키지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패키지들의 이용확률은 지리적 위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요인들 중 임의의 것에 기초할 수 있다. 프로그램 패키지들 형태의 미디어 프로그래밍의 이러한 세트는 이용가능한 패키지들 및 비용들의 세트로서 디바이스(102)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프로그램 패키지들 및 서비스들이 가입하고 가입해제할 수 있고, 가입된 미디어를 시청할 수 있으며, 이용가능한 패키지들 및 서비스들에 대한 업데이트들이 제공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106)는 디바이스(102)로의 전송 이전에 하나 이상의 암호화 키들로 콘텐츠 채널들을 암호화하도록 작동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는 자주 변화되는 숏 텀 키(제어 워드)로 암호화된다. 제어 워드는 또한 디바이스가 프로그램 패키지에 가입할 때,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롱 텀 키로 키 계층구조의 일부로서 암호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롱 텀 키는 EMM의 디바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채널 스위칭 시스템의 다양한 양상들에서, 각각의 콘텐츠 채널을 복호화하기 위한 적절한 키들에 대한 포착 시간은 감소되어, 빠른 채널 스위칭을 허용한다.
이러한 설명을 목적으로, 채널 스위칭 시스템은 디바이스(110)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디바이스(110)의 기능들 및 특징들은 네트워크(104)와 통신하는 디바이스들(102) 중 임의의 것에서 구현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디바이스(110)는 랩탑 컴퓨터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와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개인용 디지털 단말, 셀 폰, 호출기, 또는 다른 디바이스와 같은 자립형(self-contained) 디바이스일 수 있다. 디바이스(110)는 또한 가입자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이동국, 모바일, 원격국, 원격 단말, 사용자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비로 불릴 수도 있다.
디바이스(110)는 수신기(112),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114), 채널 스위치 로직(116), 사용자 인터페이스(120), 및 렌더링 로직(122)을 포함한다. 수신기(112)는 콘텐츠 제공자(106)에 의하여 제공되는 콘텐츠 채널들을 수신하도록 작동하거나 콘텐츠 채널들에 액세스한다. 예를 들어, 수신기(112)는 네트워크(104)에 의하여 전송된 분배 파형에서 콘텐츠 채널들을 수신하고, 프로토콜 스택(114)에 수신된 콘텐츠를 제공한다. 프로토콜 스택(114)은 수신된 콘텐츠를 채널 스위치 로직(116)에 의한 추가적 프로세싱을 위해 이용가능하게 한다.
채널 스위치 로직(116)은 렌더링을 위한 특정 콘텐츠 채널을 선택하도록 작동한다. 일 양상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는 디바이스(110)에서 렌더링될 특정 콘텐츠 채널을 명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작동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는 채널 스위치 로직(116)에 채널 선택을 시그널링한다. 채널 스위치 로직(116)은 그 후 연관되는 복호화 키들을 사용함으로써 선택된 채널과 연관되는 콘텐츠를 복호화하도록 작동한다.
원하는 콘텐츠를 복호화하기 위하여, 채널 스위치 로직(116)은 키 포착 로직(118)을 포함한다. 키 포착 로직(118)은 콘텐츠로 인코딩되는 숏 텀 키(CW)를 추출하기 위하여 EMM에 제공되는 롱 텀 키를 이용하도록 작동한다. 숏 텀 키는 그 후 콘텐츠를 복호화하는데 사용된다. 일단 콘텐츠가 복호화되면, 콘텐츠는 디바이스(110)에서 렌더링하기 위하여 렌더링 로직(122)으로 패스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채널 스위치를 요청할 때, 채널 스위치 속도는 적절한 키들이 콘텐츠를 복호화하기 위하여 포착될 수 있는 속도에 좌우된다.
빠른 채널 스위칭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콘텐츠 제공자(106)는 키 집합 로직(108)을 포함한다. 키 집합 로직(108)은 키 포착 시간들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채널 스위칭 속도들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키들(즉, ECM들)을 집합시키도록 작동한다. 예를 들어, 다음은 채널 스위칭 시스템의 다양한 양상들에서 키 집합 로직(108)에 의하여 제공되는 키 집합 동작들의 리스트이다.
1. 모든 채널상의 분배를 위한 모든 콘텐츠 채널들과 연관되는 모든 숏 텀 키들을 번들링.
2. 특정 채널상에 분배를 위해 특정 채널 및 그것의 인접 채널들과 연관되는 숏 텀 키들을 번들링.
3. 사용 피드백, 프로그램 가이드들, 유사한 콘텐츠 타입, 또는 다른 기준에 기초하여 특정 채널 및 높은 확률 채널들과 연관되는 숏 텀 키들을 번들링.
하기의 설명에 대하여 키 집합 로직(108)이 인접한 콘텐츠 채널들로부터의 키들을 집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동작 2에 따라 작동하는 것으로 가정할 것이다. 이러한 동작은 디바이스 사용자가 다음의 이용가능한 콘텐츠 채널로 업 또는 다운하도록 "채널 서핑(channel surf)"할 때 키 포착을 용이하게 한다. 동작 동안에, 디바이스 사용자는 인접한 채널로부터 콘텐츠를 렌더링하도록 채널 변화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는 채널 스위치 로직(116)으로 채널 선택 요청을 패스한다. 키 집합 로직(108)은 인접한 채널들과 연관되는 키들을 집합시켰기 때문에, 키 포착 로직(118)은 이미 원하는 인접한 채널을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키들에 액세스하였다. 따라서, 적절한 키가 이미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채널 스위치는 디바이스가 시간 소모 키 포착 동작들을 수행하는 것이 필수적이지 않기 때문에 훨씬 더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명확한 사용자 정보 또는 암시적 사용자 발견적 방법에 기반하여 선택된 키들을 획득하기 위해 디바이스(110)에서 키 포착 로직(118)의 동작에 의하여 빠른 채널 스위칭이 달성된다. 예를 들어, 키 포착 로직(118)은 디바이스 사용자에 의하여 자주 선택되는 채널들의 리스트를 유지하고, 선택된 시간 간격으로 이러한 채널들에 대한 키들을 사전-포착하도록 작동한다. 예를 들어, 키 포착 로직(118)은 키 포착이 앞서 수행될 수 있도록 리스트의 모든 채널들에 대한 키들을 주기적으로 포착하도록 작동하여, 리스트의 임의의 채널로의 빠른 채널 스위칭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채널 스위치 시스템은 키 집합, 및 키 포착 레이턴시들을 감소시켜 채널 스위치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른 기술들을 제공하도록 작동한다.
도 2는 채널 스위칭 시스템의 양상들에서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키 집합 로직(200)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키 집합 로직(200)은 도 1에 도시되는 키 집합 로직(108)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키 집합 로직(200)은 프로세싱 로직(202), 암호화 로직(204), 트랜시버 로직(206)을 포함하며, 이들 모두는 데이터 버스(206)에 연결된다.
암호화 로직(204)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을 위해 콘텐츠를 암호화하도록 작동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실행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암호화 로직(204)은 적절한 암호화 키로 콘텐츠 채널들을 암호화하도록 작동한다.
다양한 양상들에서, 프로세싱 로직(202)은 CPU, 프로세서, 게이트 어레이, 하드웨어 로직, 메모리 엘리먼트들, 가상 머신 및/또는 하드웨어 실행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프로세싱 로직(202)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버스(208)를 통해 키 집합 로직(200)의 하나 이상의 기능적 엘리먼트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기계-판독가능 명령들을 실행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로직(202)은 연관되는 콘텐츠 채널들을 이용한 전송을 위해 ECM들을 번들링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시되는 바와 같이, ECM들은 원하는 콘텐츠를 디코딩하기에 적합한 키들을 획득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채널 스위칭 속도를 향상시키는 다양한 방법들로 번들링될 수 있다. 설명을 목적으로, ECM 번들링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싱 로직(202)의 동작이 하기에 개시된다. 프로세싱 로직(202)은 또한 이용가능한 콘텐츠 채널들과 연관되는 ECM들을 식별하는 번들링된 ECM 맵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트랜시버 로직(206)은 키 집합 로직(200)이 통신 네트워크상에서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허용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실행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 로직(206)은 통신 네트워크상에서 디바이스들로 콘텐츠 및 연관되는 번들링된 ECM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콘텐츠 및 번들링된 ECM들은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전송들로 전송될 수 있다. 트랜시버 로직(206)은 또한 사용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사용 정보는 디바이스 사용자들의 채널 시청 패턴들을 식별한다. 일 양상에서, 이러한 사용 정보는 키 집합 로직(200)이 ECM들을 번들링하는 방법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다른 양상에서, 트랜시버 로직(206)은 이용가능한 콘텐츠 채널들과 연관되는 ECM들을 식별하는 번들링된 ECM 맵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 로직(206)은 통신 네트워크상에서 디바이스들로 제어 채널 또는 오버헤드 채널을 통해 번들링된 ECM 맵을 전송할 수 있다.
인접한 채널 ECM 번들링( Adjacent Channel ECM Bundling )
A를 예를 들어, A = {a, b, c, d, e, f ...}이용가능한 콘텐츠 채널들의 리스트로서 정의되게 한다. 그 후, 임의의 특정 채널에 대하여, 2개의 인접한 채널들이 리스트의 특정 채널에 인접한 채널들로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스트는 모든 이용가능한 콘텐츠 채널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이드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임의의 특정 채널에 대하여, 2개의 인접한 채널들(즉, 리스트의 마지막 채널로부터 리스트의 첫번째 채널로 랩-어라운드(wrap-around)하는 하나의 업 채널 및 하나의 다운 채널)이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서, 프로세싱 로직(202)은 임의의 특정 채널 복호화 키들에 대하여 인접한 채널들에 대한 특정 채널 및 복호화 키들이 함께 번들링될 수 있도록, 인접한 채널들에 대한 ECM들을 번들링하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사용자 디바이스는 특정 채널과 연관되는 번들 ECM들을 획득한 이후에, 인접한 채널들로의 빠른 채널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다.
ECM 번들링을 위하여 선택되는 채널들( Selected Channels for ECM Bundling)
C를 특정 채널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 후, A(c)는 디바이스 사용자가 채널 C로/채널 C로부터의 높은 스위칭 확률을 갖는 채널들의 리스트로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c) = {x, y, z...}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 후, 채널 x는 채널 c로/로부터 스위칭될 가장 높은 확률을 갖는다. 채널 y는 다음으로 높은 확률을 갖고, z가 그 다음으로 높은 확률을 갖는 등으로 이루어진다.
프로세싱 로직(202)은 ECM 번들링에 대하여 선택된 채널들을 결정하기 위한 다수의 방식들을 제공하도록 작동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채널들은 분배 시스템 구성 정보, 프로그램 가이드, 사용 정보, 콘텐츠 타입, 또는 다른 기준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채널들은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디바이스들에 의하여 제공되는 사용 정보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의 채널 시청 히스토리를 프로세싱함으로써, 프로세싱 로직(202)은 임의의 특정 채널과 연관되는 높은 확률 채널들의 리스트를 결정하도록 작동한다.
프로세싱 로직(202)은 복호화 키들이 포착된 임의의 특정 채널에 대하여, 연관되는 높은 확률 채널들에 대한 복호화 키들이 또한 포착될 수 있도록, 이러한 높은 확률 리스트들에 기초하여 각각의 채널과 연관되는 ECM들을 번들링하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높은 확률 채널들로의 빠른 채널 스위칭이 달성될 수 있다.
동작 동안에, 프로세싱 로직(202)은 인접/선택 채널들과 연관되는 제어 워드들이 특정 채널을 디코딩하도록 시도하는 디바이스에 의하여 획득될 수 있도록, 특정 채널들과 연관되는 ECM들을 번들링하도록 작동한다. 인접/선택 채널들은 상기 개시되는 방법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콘텐츠 채널들 및 그들의 연관되는 번들링된 ECM들은 그 후 트랜시버 로직(206)을 사용하여 디바이스들로 전송된다. 따라서, 디바이스에서 빠른 채널 스위칭은 번들링된 ECM들이 현재 채널 뿐 아니라 이러한 채널들에 대하여 적절한 키들을 제공하기 때문에 인접/선택 채널들 사이에서 스위칭할 때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프로세싱 로직(202)은 각각의 콘텐츠 채널과 연관되는 ECM들을 식별하는 번들링된 ECM 맵을 생성하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번들링된 ECM 맵은 그 후 임의의 적절한 전송 채널을 사용하여 트랜시버 로직(206)에 의하여 디바이스들로 전송된다. 디바이스들은 번들링된 ECM 맵들을 수신하고 디코딩해야 하지 않고 번들링 정보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이 인접 채널 ECM 번들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면, 번들링된 ECM 맵이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다양한 양상들에서, 채널 스위칭 시스템은 기계-판독가능 매체상에 포함되거나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들("명령들") 또는 "코드들"의 세트들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예를 들어, 프로세싱 로직(202)에서의 프로세서에 코드들이 실행될 때, 그들의 실행은 프로세서가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채널 스위칭 시스템의 기능들을 제공하게 한다. 예를 들어,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플로피 디스크, CDROM, 메모리 카드, FLASH 메모리 디바이스, RAM, ROM,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키 집합 로직(200)으로 인터페이싱하는 기계-판독가능 매체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코드들의 세트들은 통신 네트워크 리소스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키 집합 로직(200)으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코드들의 세트들의 실행은 키 집합 로직(200)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채널 스위칭 시스템의 양상들을 제공하도록 야기할 것이다.
도 3은 채널 스위칭 시스템의 양상들을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300)을 보여준다. 명료성을 위하여, 방법(200)은 도 2에 도시되는 키 집합 로직(200)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서, 프로세싱 로직(202)은 하기에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한다.
블록(302)에서, 콘텐츠는 분배 네트워크를 통한 분배를 위해 획득된다. 예를 들어, 암호화 로직(204)은 분배 네트워크를 통한 분배를 위해 다양한 네트워크 엔티티들로부터 콘텐츠를 획득한다.
블록(304)에서, 콘텐츠가 적절한 키들로 암호화된다. 예를 들어, 암호화 로직(204)은 적절한 숏 텀 키들 또는 제어 워드들로 콘텐츠를 암호화하도록 작동한다.
블록(306)에서, 수행될 ECM 번들링 동작의 타입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번들링 동작은 인접 채널 번들링, 랜덤 채널 번들링, 프로그램 가이드 기반 번들링, 사용 기반 번들링, 콘텐츠 타입 번들링, 또는 상기 개시되는 번들링 동작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 채널 번들링에서, 특정 채널 및 그것의 인접 채널들과 연관되는 ECM들이 함께 번들링된다. 일 양상에서, 프로세싱 로직(202)은 이러한 결정을 내린다.
블록(308)에서, 디바이스 사용 정보는 선택된 ECM 번들링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하다면 획득된다. 예를 들어, 블록(306)에서 결정되는 ECM 번들링의 타입이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되는 사용 정보에 기초한다면; 트랜시버 로직(206)은 분배 네트워크상에서 디바이스들로부터 사용 정보를 획득하고, 이러한 정보를 프로세싱 로직(202)으로 패스한다. 사용 정보는 디바이스 사용자들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채널 선택들을 식별하고, 함께 번들링될 ECM들과 연관되는 채널들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호 사용 채널들은 사용 정보로부터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ECM들을 번들링하는 방법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블록(310)에서, ECM들은 결정된 번들링 동작에 따라 번들링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로직(202)은 선택된 ECM 번들링 동작을 수행하며, 이는 인접 채널들, 선택된 채널들, 프로그램 가이드, 또는 사용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번들링된 ECM들은 콘텐츠 전송에 대하여 일부 부가적 크기(즉, 100 바이트)를 부가할 수 있으나, 이것은 무시할만 하며, 스위칭 시간의 결과적 감소는 사용자 경섬에 훨씬 더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블록(312)에서, 콘텐츠 채널들 및 연관되는 번들링된 ECM들은 분배 네트워크를 통해 분배된다. 일 양상에서, 트랜시버 로직(206)은 이러한 동작을 수행한다.
블록(314)에서, 각각의 콘텐츠 채널과 연관되는 ECM들이 함께 번들링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번들링된 ECM 맵이 생성된다. 예를 들어, 일 양상에서, 프로세싱 로직(202)은 번들링된 ECM 맵을 생성한다. 번들링된 ECM 맵은 그 후 대역 내, 대역 외(out of band), 오버헤드 채널을 사용하여, 또는 임의의 다른 이용가능한 전송 채널을 사용하여 트랜시버 로직(206)에 의하여 디바이스들로 전송된다. 번들링된 ECM 맵을 수신하는 디바이스들은 각각의 채널과 연관되는 ECM들이 함께 번들링되는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방법(300)은 연관된 콘텐츠 채널들로 전송된 이러한 번들링된 ECM들 및 선택된 ECM들을 번들링한 결과, 빠른 채널 스위칭을 획득하기 위한 채널 스위칭 시스템의 양상들을 제공한다. 방법(300)은 단지 일 양상만을 개시하고, 상기 개시되는 동작들의 변화들, 부가들, 또는 재정렬들은 다양한 양상들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도 4는 채널 스위칭 시스템의 양상들에서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채널 스위치 로직(400)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채널 스위치 로직(400)은 도 1에 도시되는 채널 스위치 로직(116)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채널 스위치 로직(400)은 프로세싱 로직(402), 사용자 인터페이스(404), 렌더링 로직 인터페이스(406), 복호화 로직(408), 프로토콜 스택 인터페이스(410), 및 키 포착 로직(412)을 포함하며, 이들 모두는 데이터 버스(414)에 연결된다.
다양한 양상들에서, 프로세싱 로직(402)은 CPU, 프로세서, 게이트 어레이, 하드웨어 로직, 메모리 엘리먼트들, 가상 머신 및/또는 하드웨어 실행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프로세싱 로직(202)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버스(414)를 통해 채널 스위치 로직(400)의 하나 이상의 기능적 엘리먼트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기계-판독가능 명령들을 실행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4)는 채널 스위치 로직(400)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자와 통신하도록 허용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실행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은 선택된 채널로부터의 콘텐츠의 렌더링을 요청하는 채널 선택 요청들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4)는 프로세싱 로직(402)로 채널 섹션 정보를 패스한다.
프로토콜 스택 인터페이스(410)는 채널 스위치 로직(400)이 콘텐츠 데이터, 번들링된 ECM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수신되는 콘텐츠 채널들과 연관된 다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작동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실행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 양상에서,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프로토콜 스택은 다양한 소스들로부터 채널 콘텐츠를 수신하고, 이러한 채널 콘텐츠가 프로토콜 스택 인터페이스(410)에 이용가능하게 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프로토콜 스택 인터페이스(410)는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 및 번들링된 ECM들을 채널 스위치 로직(400)의 다른 엘리먼트들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렌더링 로직 인터페이스(406)는 채널 스위치 로직(400)이 디바이스에서 복호화된 콘텐츠를 렌더링 로직으로 패스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작동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실행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콘텐츠 채널로부터 복호화되는 콘텐츠는 디바이스에서의 렌더링을 위해 렌더링 로직 인터페이스(406)에 의하여 디바이스 렌더링 로직으로 패스된다.
복호화 로직(408)은 키 포착 로직(412)에 의하여 획득된 키들을 사용하여 선택된 콘텐츠 채널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가 복호화되도록 허용하도록 작동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실행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복호화된 콘텐츠는 렌더링을 위해 렌더링 로직 인터페이스(406)로 패스된다.
키 포착 로직(412)은 콘텐츠 채널들을 복호화하기 위하여 키들을 획득하도록 작동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실행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일단 키들이 획득되면, 이들은 복호화 로직(408)으로 패스된다. 일 양상에서, 키 포착 로직(412)은 번들링된 ECM들로부터 및/또는 ECM 캐싱으로부터 키들을 획득한다. 이 둘 모두에 대한 설명이 아래에 제공된다.
번들링된 ECM 들( Bundled ECMs )
일 양상에서, 키 포착 로직(412)은 각각의 콘텐츠 채널과 연관되고 함께 수신되는 번들링된 ECM들로부터 키들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 채널이 렌더링을 위하여 포착될 때, 상기 콘텐츠 채널과 연관되고 함께 수신되는 번들링된 ECM들은 콘텐츠를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키들을 획득하기 위하여 키 포착 로직(412)에 의하여 프로세싱된다. 이러한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다른 콘텐츠 채널들에 대한 키들은 또한 번들링된 ECM들이 프로세싱될 때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 채널들에 대한 키들이 인접 채널들 중 임의의 것으로의 빠른 채널 스위치를 위해 이용가능하도록 함께 번들링되는 인접 채널들에 대한 ECM들이 또한 획득된다.
캐싱된 ECM 들( Cached ECMs )
다른 양상에서, 키 포착 로직(412)은 명확한 사용자 입력들, 사용자 발견적 방법들, 또는 다른 기준들에 기초하여 키들을 획득 및 캐싱(또는 저장)하도록 작동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키 포착 로직(412)이 ECM들을 획득하고 저장할 콘탠츠 채널들을 명확히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키 포착 로직(412)은 획득하고 저장될 ECM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시청 패턴들(발견적 방법들)로부터의 통계치들을 적응성 있고 점증적으로 학습한다. 예를 들어, 키 포착 로직(412)은 사용자의 채널 선호도들을 일지에 기록하고(log), 이러한 선호도들에 기초하여 ECM들을 주기적으로 획득하고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양상들에서, 선택된 채널들은 프로그램 가이드로부터 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채널들과 연관되는 ECM들이 획득되고 저장된다. 일단 선택된 채널들이 명확하게 또는 암시적으로 결정되면, 키 포착 로직(412)은 주기적으로, 또는 다른 시간 간격으로 연관된 ECM들을 획득하고 캐싱하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이러한 채널들에 대한 키들은 이러한 채널들로 스위칭하도록 디바이스 사용자가 시도할 때마다 이용가능할 것이다.
다른 양상에서, 키 포착 로직(412)은 어느 ECM들이 획득될지 결정하기 위하여 번들링된 ECM 맵을 획득하고 프로세싱하도록 작동한다. 예를 들어, 키 포착 로직(412)은 번들링된 ECM 맵이 이러한 특정 ECM들에 특정 콘텐츠 채널들이 제공될 것을 표시한다면, 특정 ECM들을 획득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키 포착 로직(412)은 사전-포착되고 저장될 필요가 있는 ECM들의 개수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번들링된 ECM 맵을 이용할 수 있다.
ECM 캐싱의 추가적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특정 채널, 예를 들어, 채널 c를 볼 때, 키 포착 로직(412)은 다른 채널들의 N (구성가능한 파라미터) 번호에 대한 ECM들 및 콘텐츠를 부지런히 저장(grap)한다. 이러한 다른 채널들은 명확히 또는 암시적으로 명시될 수 있다. 여기서의 트레이드오프(tradeoff)는 이러한 선택된 채널들로의 채널 스위칭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키면서 선택된 채널들에 대한 캐싱 ECM들상에 부가적 전력을 소모하는 것이다.
채널 스위칭 로직(400)의 동작 동안에,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4)로 채널 선택들을 입력하고, 이는 프로세싱 로직(402)으로 정보를 패스한다. 프로세싱 로직(402)은 콘텐츠 채널이 현재 렌더링되고 있는지 결정한다. 콘텐츠 채널이 렌더링중이지 않다면, 프로세싱 로직(402)은 선택된 채널과 연관되는 번들링된 ECM들 및 선택된 채널에 대한 콘텐츠를 획득하기 위하여 프로토콜 스택 인터페이스(410)를 제어한다. 키 포착 로직(412)은 콘텐츠를 복호화하기 위하여 키들을 획득하기 위하여 번들링된 ECM들을 프로세싱하도록 작동하고, 이러한 키들은 복호화 로직(408)으로 패스된다. 키 포착 로직(412)은 또한 하나 이상의 다른 채널들에 대한 부가적 키들을 획득하기 위하여 ECM 캐싱을 수행하도록 작동하며, 이는 현재 채널에 대한 ECM 번들의 ECM들을 갖거나 갖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키들은 이러한 다른 채널들 중 하나로의 채널 스위치가 요구된다면 추후의 사용을 위해 저장된다. 프로세싱 로직(402)은 또한 디바이스에서 렌더링 로직으로 복호화된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하여 렌더링 로직 인터페이스(406)를 제어한다.
새로운 채널로 스위칭하라는 채널 스위치 요청이 사용자 인터페이스(404)에 의하여 수신된다면, 키 포착 로직(412)은 키들이 이미 새로운 채널상에 콘텐츠를 복호화하는데 이용가능한지 결정한다. 예를 들어, 키들은 ECM 캐시에 저장되거나 이전 채널과 연관되는 번들링된 ECM들에 포함되어야 할 수 있다. 키들이 이용가능하다면, 키 포착 로직(412)이 적절한 키들을 획득하는데 시간을 소모하는 것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새로운 채널로의 빠른 채널이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에서, 채널 스위칭 시스템은 기계-판독가능 매체상에 포함되거나 저장되는 "코드들"의 세트들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들("명령들")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예를 들어, 프로세싱 로직(402)에서의 프로세서에 코드들이 실행될 때, 그들의 실행은 프로세서가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채널 스위칭 시스템의 기능들을 제공하게 한다. 예를 들어,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플로피 디스크, CDROM, 메모리 카드, FLASH 메모리 디바이스, RAM, ROM,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채널 스위치 로직(400)으로 인터페이싱하는 기계-판독가능 매체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코드들의 세트들은 통신 네트워크 리소스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채널 스위치 로직(400)으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코드들의 세트들은 실행될 때, 채널 스위치 로직(400)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채널 스위칭 시스템의 양상들을 제공하도록 야기한다.
도 5는 채널 스위칭 시스템의 양상들을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500)을 도시한다. 명료성을 위해, 방법(500)은 도 4에 도시된 채널 스위치 로직(400)을 참고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서, 프로세싱 로직(402)은 하기에 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한다. 방법(500)은 번들링된 ECM들을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빠른 채널 스위칭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을 예증한다.
블록(502)에서, 콘텐츠 채널을 렌더링하라는 요청이 수신된다. 예를 들어, 요청은 사용자 인터페이스(404)에 의하여 디바이스 사용자로부터 수신된다.
블록(504)에서, 원하는 콘텐츠 채널에 대한 키들이 획득된다. 일 양상에서, 원하는 콘텐츠 채널과 연관되는 번들링된 ECM들은 프로토콜 스택 I/F(410)에 의하여 수신되고 키 포착 로직(412)으로 패스된다. 키 포착 로직(412)은 원하는 콘텐츠 채널을 복호화하기에 적합한 키들을 획득하기 위하여 번들링된 ECM들을 프로세싱하도록 작동한다. 또한, 키 포착 로직(412)은 하나 이상의 콘텐츠 채널들을 복호화하기 위하여 부가적 키들을 획득한다. 이러한 부가적 키들은 번들링된 ECM들로부터 획득된다.
블록(506)에서, 원하는 콘텐츠 채널이 복호화된다. 일 양상에서, 복호화 로직(408)은 적절한 키들을 사용하여 원하는 콘텐츠 채널을 복호화하도록 작동한다.
블록(508)에서, 콘텐츠는 디바이스상에서 렌더링된다. 일 양상에서, 렌더링 로직 인터페이스(406)는 디바이스상에 렌더링을 위해 렌더링 로직으로 복호화된 콘텐츠를 출력한다.
블록(510)에서, 채널 스위치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일 양상에서, 디바이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4)를 사용하여 채널 스위치 요청을 입력한다. 프로세싱 로직(402)은 채널 스위치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결정하도록 작동된다. 채널 스위치 요청이 수신되지 않았다면, 방법은 블록(508)로 진행된다. 채널 스위치 요청이 수신되었다면, 방법은 블록(512)으로 진행된다.
블록(512)에서, 적절한 키들이 원하는 새로운 채널을 복호화하는데 이용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일 양상에서, 키 포착 로직(412)은 번들링된 ECM들에서 적절한 키들이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결정하도록 작동한다. 키들이 이용가능하지 않다면, 방법은 블록(504)으로 진행된다. 키들이 이용가능하다면, 방법은 블록(506)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방법(500)은 콘텐츠 채널들과 연관되는 번들링 ECM들의 수신 및 프로세싱의 결과로서 빠른 채널 스위칭을 제공하기 위한 채널 스위칭 시스템의 양상들을 제공한다. 방법(500)은 일 양상만을 예증하며, 상기 개시되는 동작들의 변화들, 부가들, 또는 재정렬들이 다양한 양상들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도 6은 채널 스위칭 시스템의 양상들을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600)을 보여준다. 명료성을 위하여, 방법(600)은 도 4에 도시되는 채널 스위치 로직(400)을 참고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서, 프로세싱 로직(402)은 하기에 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한다. 방법(600)은 디바이스에서 유지되는 사용자 리스트에 따라 번들링된 ECM들 및 캐싱 ECM들의 수신에 기반한 빠른 채널 스위칭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을 예증한다.
블록(602)에서, 채널들의 사용자 리스트는 사용자 입력, 사용자 발견적 방법, 또는 임의의 다른 기준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키 포착 로직(412)은 사용자 리스트를 결정하도록 작동된다.
블록(604)에서, 번들링된 ECM 맵이 수신된다. 예를 들어, 번들링된 ECM 맵은 프로세싱 로직(402)에 의하여 제어 채널에서 수신된다. 번들링된 ECM 맵은 콘텐츠 채널들 및 번들링된 ECM들의 맵핑을 포함한다. 일 구현에서, 번들링된 ECM 맵은 비거나(empty), 또는 ECM 번들링이 이용되지 않거나 공지된 번들링 동작(인접 채널 번들링)이 수행되었고 따라서 디바이스들은 번들링된 ECM 맵을 수신하고 프로세셍할 필요가 없다는 표시가 수신되지 않는다.
블록(606)에서, 콘텐츠 채널들과 연관되는 ECM들은 번들링된 ECM 맵으로부터 결정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로직(402)은 각각의 콘텐츠 채널과 번들링된 ECM들이 어느 것인지 결정하기 위하여 수신되는 번들링된 ECM 맵을 프로세싱하도록 작동한다.
블록(608)에서, 사용자 리스트의 채널들과 연관되는 ECM들이 획득되고 저장(예를 들어, 캐싱)된다. 예를 들어, 키 포착 로직(412)은 번들링된 ECM 맵에 기반하여 이러한 ECM들을 캐싱하도록 작동한다. 예를 들어, 사전-포착되고 캐싱되는 ECM들의 개수는 콘텐츠 채널들 기반 번들링된 ECM 맵을 이용하여 ECM들이 번들링되는 방법을 결정하고, ECM 번들링에 기초하여 이용가능하지 않을 수 있는 사용자 리스트로부터 ECM들을 사전-포착함으로써, 최소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리스트는 채널들(2, 3, 4, 5, 6)에 대한 ECM들이 포착되고 캐싱될 필요가 있음을 명시할 수 있다. 번들링된 ECM 맵이 채널들(2, 3, 4)에 대한 ECM들이 함께 번들링됨을 표시한다면, 키 포착 로직(412)은 채널들(5, 6)과 연관되는 ECM들을 단지 사전-포착 및 캐싱할 필요가 있다.
블록(610)에서, 콘텐츠 채널 요청이 수신된다. 예를 들어, 콘텐츠 채널 요청이 사용자 인터페이스(404)에 의하여 수신되고, 키 포착 로직(412)으로 패스된다.
블록(612)에서, 원하는 콘텐츠 채널을 복호화하기에 적합한 키들이 캐싱된 ECM들로부터 획득된다. 일 양상에서, 키 포착 로직(412)은 적합한 키들을 획득하도록 작동한다.
블록(614)에서, 원하는 콘텐츠 채널이 디바이스상에서 렌더링된다. 예를 들어, 렌더링 로직 인터페이스(406)는 이용가능한 렌더링 로직으로 복호화된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작동한다.
블록(616)에서, 채널 스위치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일 양상에서, 프로세싱 로직(402)은 이러한 결정을 내린다. 채널 스위치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었다면, 방법은 블록(618)으로 진행된다. 채널 스위치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지 않았다면, 방법은 블록(614)으로 진행된다.
블록(618)에서, 원하는 콘텐츠 채널을 복호화하기 위하여 적합한 키들이 이용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적합한 키들이 사용자 리스트로부터 결정되는 캐싱된 ECM들 또는 새로운 콘텐츠 채널과 연관되는 번들링된 ECM들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키 포착 로직(412)은 이러한 동작을 수행한다. 적합한 키들이 이용가능하지 않다면, 방법은 블록(620)으로 진행된다. 적합한 키들이 이용가능하다면, 방법은 블록(612)으로 진행된다.
블록(620)에서, 원하는 콘텐츠 채널을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적합한 키들이 콘텐츠 채널과 연관되는 ECM으로부터 획득된다. 일 양상에서, 키 포착 로직(412)은 이러한 동작을 수행한다. 방법은 그 후 블록(614)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방법(60)은 명확하게 또는 암시적으로 생성된 사용자 리스트에 따라 번들링 ECM들 및 캐싱 ECM들의 수신 및 프로세싱의 결과, 빠른 채널 스위칭을 제공하기 위한 채널 스위칭 시스템의 양상들을 제공한다. 방법(600)은 단지 일 양상만을 예증하며, 상기 개시되는 동작들의 변화들, 부가들, 또는 재정렬들이 다양한 양상들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도 7은 채널 스위칭 시스템의 양상들을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키 집합 로직(700)을 보여준다. 일 양상에서, 키 집합 로직(70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채널 스위치 시스템의 양상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집적 회로에 의하여 구현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모듈은 하드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실행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키 집합 로직(700)은 제1 콘텐츠 채널과 연관되는 번들링된 ECM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ECM들을 번들링하기 위한 모듈(702)을 포함하는 제1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번들링된 ECM들은 각각 제1 콘텐츠 채널 및 하나 이상의 부가적 콘텐츠 채널들과 연관되는 복호화 키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 양상에서, 수단(702)은 프로세싱 로직(202)을 포함한다.
키 집합 로직(700)은 제1 콘텐츠 채널을 이용하여 번들링된 ECM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704)을 포함하는 제2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 양상에서, 수단(704)은 트랜시버 로직(206)을 포함한다.
도 8은 채널 스위칭 시스템의 양상들을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채널 스위치 로직(800)을 보여준다. 일 양상에서, 채널 스위치 로직(80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채널 스위치 시스템의 양상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집적 회로에 의하여 구현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모듈은 하드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실행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채널 스위치 로직(800)은 각각 제1 콘텐츠 채널 및 하나 이상의 부가적 콘텐츠 채널들과 연관되는 복호화 키들을 포함하는 번들링된 ECM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802)을 포함하는 제1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 양상에서, 수단(802)은 키 포착 로직(412)을 포함한다.
채널 스위치 로직(800)은 하나 이상의 부가적 콘텐츠 채널들의 일부인 제2 콘텐츠 채널을 렌더링하라는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804)을 포함하는 제2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 양상에서, 수단(804)은 프로세싱 로직(402)을 포함한다.
채널 스위치 로직(800)은 제2 콘텐츠 채널을 복호화하기 위하여 번들링된 ECM들로부터 획득된 선택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기 위한 수단(806)을 포함하는 제3 모듈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 양상에서, 수단(806)은 복호화 로직(408)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상들과 함께 설명되는 다양한 예증적 로직들,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계산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그러한 임의의 다른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추가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에 직접,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또는 이 둘의 조합에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은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 개별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상기 설명은 당업자들이 본 발명을 제작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당업자들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본원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발명의 진의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양상들, 예를 들어,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또는 임의의 일반적 무선 데이터 통신 애플리케이션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에 나타낸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원에 개시된 원리 및 신규한 특징들에 부합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따르는 것이다. 여기서 "예시적인"이란 단어는 "예시, 실례 또는 예증이 되는 것"의 의미로 사용된다. 여기서 "예시적인" 것으로서 설명하는 어떤 실시예도 다른 실시예들보다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채널 스위칭 시스템의 양상들이 본 명세서에 예증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정신 및 본질적 특징들을 벗어나지 않고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화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개시 및 설명은 하기의 청구항들에서 진술되는 발명의 범위를 예증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이는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Claims (4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채널 스위칭을 위한 방법으로서,
    채널 변화들이 발생할 수 있는 다수의 콘텐츠 채널들을 식별하는 사용자 리스트를 결정하는 단계;
    캐싱된(cached) 자격 제어 메시지(ECM)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콘텐츠 채널들과 연관되는 ECM들을 포착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콘텐츠 채널들의 일부인 선택된 콘텐츠 채널로부터의 콘텐츠를 렌더링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콘텐츠 채널을 복호화하기 위하여 상기 캐싱된 ECM들로부터 획득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채널 스위칭을 위한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 및 사용자 발견적 방법(heuristics)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리스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스위칭을 위한 방법.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콘텐츠 채널들과 연관되는 번들링된 ECM들을 식별하는 번들링된 ECM 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널 스위칭을 위한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포착하는 단계는 상기 포착된 ECM들의 개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번들링된 ECM 맵에 기초하여 포착되도록 선택되는 ECM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스위칭을 위한 방법.
  42. 채널 스위칭을 위한 장치로서,
    채널 변화들이 발생할 수 있는 다수의 콘텐츠 채널들을 식별하는 사용자 리스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싱 로직;
    캐싱된 자격 제어 메시지(ECM)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콘텐츠 채널들과 연관되는 ECM들을 포착하도록 구성되는 키 포착 로직;
    상기 다수의 콘텐츠 채널들의 일부인 선택된 콘텐츠 채널로부터의 콘텐츠를 렌더링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인터페이스 로직; 및
    상기 선택된 콘텐츠 채널을 복호화하기 위하여 상기 캐싱된 ECM들로부터 획득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복호화 로직
    을 포함하는, 채널 스위칭을 위한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로직은 사용자 입력 및 사용자 발견적 방법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리스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채널 스위칭을 위한 장치.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키 포착 로직은 상기 다수의 콘텐츠 채널들과 연관되는 번들링된 ECM들을 식별하는 번들링된 ECM 맵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채널 스위칭을 위한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키 포착 로직은 상기 포착된 ECM들의 개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번들링된 ECM 맵에 기초하여 포착되도록 선택되는 ECM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채널 스위칭을 위한 장치.
KR1020107018139A 2008-01-16 2009-01-16 채널 스위칭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1759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158308P 2008-01-16 2008-01-16
US61/021,583 2008-01-16
US12481508P 2008-04-10 2008-04-10
US61/124,815 2008-04-10
US12/353,885 2009-01-14
US12/353,885 US8625792B2 (en) 2008-01-16 2009-01-14 Methods and apparatus to reduce channel switching ti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692A KR20100103692A (ko) 2010-09-27
KR101175916B1 true KR101175916B1 (ko) 2012-08-22

Family

ID=40851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139A KR101175916B1 (ko) 2008-01-16 2009-01-16 채널 스위칭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25792B2 (ko)
EP (1) EP2253118A1 (ko)
JP (1) JP2011514699A (ko)
KR (1) KR101175916B1 (ko)
CN (1) CN101946489A (ko)
WO (1) WO20090920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54875B1 (fr) * 2009-12-28 2012-01-27 Viaccess Sa Procedes de dechiffrement, de transmission et de reception de mots de controle, support d'enregistrement et serveur pour ces procedes
EP2373018B1 (en) * 2010-03-05 2012-05-09 Nagravision S.A. A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 plurality of channels by a receiver/decoder
US8605225B2 (en) * 2011-03-31 2013-12-10 Saankhya Labs Pvt. Ltd. System and method to reduce channel acquisition and channel switch timings in communication receivers
IL213611A0 (en) 2011-06-16 2011-07-31 Erez Waisbard Secure fast channel changing
US9264508B2 (en) 2011-08-19 2016-02-16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reduced switching delays in a content distribution network
GB201119156D0 (en) * 2011-11-07 2011-12-21 Pace Plc System,apparatus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 change between television and/or radio channels
US20130298155A1 (en) * 2012-05-03 2013-11-07 Rawllin International Inc. Video personal identification code for video on demand services
US9161090B2 (en) 2012-12-27 2015-10-13 EchoStar Technologies, L.L.C. Fast channel change from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CN103297852A (zh) * 2013-06-07 2013-09-11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提高换台速度的方法、装置及系统
EP2958331A1 (en) * 2014-06-17 2015-12-23 Nagravision S.A. A dynamic adaptive streaming digital media content receiver
US9854306B2 (en) 2014-07-28 2017-12-26 Echostar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content navigation among programs presenting advertising content
US9756378B2 (en) 2015-01-07 2017-09-05 Echostar Technologies L.L.C. Single file PVR per service ID
US9635413B2 (en) * 2015-09-23 2017-04-25 Echostar Technologies L.L.C. Advance decryption key acquisition for streaming media content
JP6872129B2 (ja) * 2015-11-27 2021-05-19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1789A1 (en) * 2000-01-28 2002-12-19 Andre Kudelski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of decrypting information
US20070016920A1 (en) 2005-07-12 2007-01-18 Jae-Jin Shin Channel-switching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94860B1 (fr) * 1992-08-13 1994-09-30 France Telecom Procédés de diffusion et de réception de programmes de télévision à accès conditionnel à temps de commutation de programmes réduit.
WO2000045552A1 (en) * 1999-01-28 2000-08-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nchronisation of decryption keys in a data packet transmission system
JP2004363724A (ja) * 2003-06-02 2004-12-24 Toshiba Corp 受信管理装置、放送受信装置、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BRPI0413480A (pt) 2003-08-13 2006-10-17 Thomson Licensing pré-processamento de dados de desembaralhamento para reduzir o tempo de alteração de canais
US8599764B2 (en) * 2003-09-02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overhead information for reception of multiple data streams
EP1792436A1 (en) 2004-09-10 2007-06-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providing conditional access
US8826093B2 (en) 2005-01-19 2014-09-02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ing method for coded transmission
WO2007132165A1 (en) * 2006-05-04 2007-11-22 Nds Limited Scrambled digital data item
US10320500B2 (en) * 2007-09-18 2019-06-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enable fast channel switching with limited DVB receiver memo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1789A1 (en) * 2000-01-28 2002-12-19 Andre Kudelski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of decrypting information
US20070016920A1 (en) 2005-07-12 2007-01-18 Jae-Jin Shin Channel-switching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692A (ko) 2010-09-27
CN101946489A (zh) 2011-01-12
EP2253118A1 (en) 2010-11-24
WO2009092016A1 (en) 2009-07-23
US20090183196A1 (en) 2009-07-16
JP2011514699A (ja) 2011-05-06
US8625792B2 (en) 201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916B1 (ko) 채널 스위칭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20116368A1 (en) Fine grain rights management of streaming content
US825986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bandwidth adjustment
US9002006B2 (en) Efficient broadcast 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delivery mechanism using a scheduled delivery window
US20060277582A1 (en) System and associated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rectional channel browsing of broadcast content
CN104902311B (zh) 一种音视频资源共享的方法、共享网关及系统
JP5795709B2 (ja) 受信機への制御ワードの供給
EP1300035A1 (en) A receiver
US84329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caching of burst stream transmission
US8843954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system and data card
KR100740739B1 (ko) 해역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
CN103281572B (zh) 集成基本数据、正常数据解扰的dvb条件接收装置
KR101323230B1 (ko) 분배 시스템에서의 비-실시간 콘텐츠의 조건적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1489095A (zh) 条件访问系统
JP2007104074A (ja) ストリームコンテンツ受信システム
CN102761778B (zh) 一种基于双向终端的数据加解密系统及方法
Jung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High-Speed Descrambling Engine for Multi-stream CableCARD
WO2010009927A2 (en) Method of broadcasting and receiving time-sliced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