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713B1 -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 및 이를 가지는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 및 이를 가지는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713B1
KR101175713B1 KR1020120054698A KR20120054698A KR101175713B1 KR 101175713 B1 KR101175713 B1 KR 101175713B1 KR 1020120054698 A KR1020120054698 A KR 1020120054698A KR 20120054698 A KR20120054698 A KR 20120054698A KR 101175713 B1 KR101175713 B1 KR 101175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fluid
high pressure
rotor
vane motor
ro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섭
Original Assignee
정의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의섭 filed Critical 정의섭
Priority to KR1020120054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16Stators
    • F03B3/18Stator blades; Guide conduits or vanes, e.g.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ydraulic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공기 또는 고압증기를 이용한 베인 모터 및 이를 가지는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는 저장탱크, 배관부, 로터 하우징, 로터 그리고 실링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저장탱크에는 고압의 유체가 저장된다. 배관부는 저장탱크로부터 고압의 유체를 공급한다. 로터 하우징에는 중앙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배관부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유체를 수용공간으로 토출하는 공급구와, 수용공간의 고압의 유체가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로터는 로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공급구에서 토출되는 고압의 유체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실링케이스는 로터 하우징에 구비되고 회전축의 양단부를 지지한다. 여기서, 로터에는 공급구에서 배출되는 고압의 유체의 배출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함몰되고 양단부는 로터의 외측으로 개방되는 터빈실이 로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 및 이를 가지는 발전장치{VANE MOTOR USING HIGH-PRESSURE FLUI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IT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 및 이를 가지는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공기 또는 고압증기를 이용한 베인 모터 및 이를 가지는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석연료를 사용하거나 기타 자연에너지 등을 사용하여 각종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인 엔진이나 발전기 또는 여타의 동력발생장치는 화석연료를 연소시켜 이 연소열에 의하여 동력을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동력의 발생을 위해서는 이러한 화석연료를 끊임없이 소모하여야 하므로, 동력발생을 위해 그만큼의 비용이 소요됨은 물론이다.
또한, 이러한 동력발생시 발생될 수 있는 화석연료의 불완전연소로 인하여 각종 대기오염물질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구성도 간단한 동력발생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압축공기 또는 고압증기를 이용한 베인 모터 및 이를 가지는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압의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고압의 유체를 공급하는 배관부; 중앙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배관부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유체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토출하는 공급구와, 상기 수용공간의 고압의 유체가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로터 하우징; 상기 로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공급구에서 토출되는 고압의 유체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로터; 그리고 상기 로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실링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로터에는 상기 공급구에서 배출되는 고압의 유체의 배출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함몰되고 양단부는 상기 로터의 외측으로 개방되는 터빈실이 상기 로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구는, 상기 배관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관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유체를 토출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보다 큰 지름을 가지고, 상기 노즐부에서 토출되는 고압의 유체를 전방에 위치된 상기 터빈실에 배출하는 공급실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터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터빈실의 사이에 일정한 각도 간격을 이루면서 상기 로터의 반경 방향으로 다수의 홈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홈에는 반경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일단부가 상기 홈의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베인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에는 소음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에는 공기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또는 고압의 증기를 만드는 보일러가 연결되고, 상기 고압의 유체는 압축공기 또는 고압증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의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고압의 유체를 공급하는 배관부, 중앙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배관부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유체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토출하는 공급구와, 상기 수용공간의 고압의 유체가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로터 하우징, 상기 로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공급구에서 토출되는 고압의 유체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로터, 그리고 상기 로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실링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로터에는 상기 공급구에서 배출되는 고압의 유체의 배출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함몰되고 양단부는 상기 로터의 외측으로 개방되는 터빈실이 상기 로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와, 상기 베인 모터의 로터의 회전축과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전기를 발생하는 발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를 가지는 발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구에서 배출되는 고압의 유체의 배출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함몰되고 양단부는 로터의 외측으로 개방되는 터빈실이 로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로터가 보다 효과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베인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탱크에 공기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또는 고압의 증기를 만드는 보일러가 연결되고, 고압의 유체로 압축공기 또는 고압증기를 사용함으로써 고압의 유체를 이용하여 베인 모터의 작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의 일부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의 로터 및 로터 하우징의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를 가지는 발전장치의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의 일부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의 로터 및 로터 하우징의 단면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를 가지는 발전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는 저장탱크(10), 배관부(20), 로터 하우징(30), 로터(50) 그리고 실링케이스(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저장탱크(10)에는 고압의 유체가 저장되고, 저장된 고압의 유체는 배관부(20)를 통해 로터 하우징(30)으로 분배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로터 하우징(30)에는 로터(50)가 구비되며, 로터(50)의 회전축(51)은 실링케이스(60)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로터(50)에는 터빈실(55)이 형성되어 공급되는 고압의 유체에 의해 로터(50)가 더욱 효과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저장탱크(10)에는 고압의 유체가 저장된다.
이때, 고압의 유체는 압축공기 또는 고압증기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저장탱크(10)에는 압축기(compressor)(11) 또는 보일러(12)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압축기(11)가 사용되는 경우에 저장탱크(10)에는 고압의 유체로 압축공기가 저장되게 되며, 보일러(12)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저장탱크(10)에 고압의 유체로 고압증기가 저장되게 된다.
그리고, 보일러(12)의 열원으로는 목질계 연료, 석유, 천연가스 등의 화석연료가 사용될 수도 있으나, 환경오염의 방지를 위해 공해물질의 발생이 적은 태양력, 풍력, 지열 등의 신재생에너지가 사용될 수 있다.
고압의 유체로 압축공기 또는 고압증기가 사용되는 것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저장탱크(10)에는 배관부(20)가 연결될 수 있으며, 배관부(20)는 저장탱크(10)의 고압의 유체가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관부(20)에는 저장탱크(10)의 고압의 유체가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개방밸브(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배관부(20)에는, 배관부(20)의 내부 압력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압력 스위치(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압력 스위치(미도시)는 배관부(20)의 최저압력과 최고압력을 설정시킬 수 있으며, 배관부(20)의 내부 압력이 설정된 최고압력에 도달하면 압축기(11) 또는 보일러(12)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되고, 배관부(20)의 내부 압력이 설정된 최저압력에 도달하면 압축기(11) 또는 보일러(12)가 다시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압축기(11) 또는 보일러(12)가 작동되거나 정지되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저장탱크(10)에도 저장탱크(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배관부(20)는 로터 하우징(30)에 연결되며, 이를 통해, 저장탱크(10)의 고압의 유체는 로터 하우징(30)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로터 하우징(30)의 중앙에는 수용공간(31)이 형성되며, 수용공간(31)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로터 하우징(30)에는 공급구(40)가 관통형성될 수 있으며, 공급구(40)는 연결부(41), 노즐부(42) 그리고 공급실(43)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41)는 로터 하우징(3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배관부(2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로터 하우징(30)의 상부 내측에는 연결부(41)와 연결되어 노즐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노즐부(42)는 배관부(20)를 통해 유입되는 고압의 유체를 토출하게 된다.
또한, 공급실(43)은 노즐부(42)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급실(43)의 일단부는 수용공간(31)으로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실(43)은 노즐부(42)의 내측 지름(D1)보다 큰 내측 지름(D2)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관부(20)를 통해 유입되는 고압의 유체는 노즐부(42)에서 토출되어 공급실(43)을 거쳐 수용공간(31)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로터 하우징(30)의 수용공간(31)에는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로터(5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로터(50)에는 다수의 홈(52)과 터빈실(55)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홈(52)은 로터(5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홈(52)은 로터(50)의 반경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은 개방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홈(52)은 로터(5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양단부가 로터(50)의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홈(52)에는 베인(vane)(56)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인(56)은 홈(5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홈(52)에 구비되어 로터(50)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로터(50)가 회전함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베인(56)은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게 되며, 돌출된 베인(56)의 일단부가 로터 하우징(30)의 내면(32)에 밀착되게 되면서 수용공간(31)과 로터(50)의 사이에는 베인(56)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공간(3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35)에 위치된 고압의 유체에 의해 각각의 베인(56)에 힘이 전달되어 로터(5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로터(50)에는 터빈실(5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터빈실(55)은 각각의 홈(5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로터(5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빈실(55)은, 터빈실(55)이 공급실(43)의 전방, 즉, 공급실(43)에서 고압의 유체가 배출되는 부분에 위치되었을 때, 공급실(43)에서 배출되는 고압의 유체의 배출방향과 나란한 방향, 즉, 공급실(43)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터빈실(55)은 회전축(51)을 중심으로 바람개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터빈실(55)은 로터(5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양단부는 로터(50)의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실(43)에서 배출되는 고압의 유체가 공급실(43)의 바로 전방에 위치된 터빈실(55)로 유입되어 터빈실(55)을 밀게 되어 로터(5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로터(50)는 고압의 유체가 베인(56)과 터빈실(55)을 미는 힘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로터 하우징(30)의 양측에는 실링케이스(6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볼트등과 같은 체결부재(6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로터 하우징(30)의 수용공간(31)의 기밀을 위해, 실링케이스(60)와 로터 하우징(30)의 사이에는 실링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로터(50)의 회전축(51)은 양단부가 실링케이스(60)에 지지될 수 있으며, 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어링(미도시)과 같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로터 하우징(3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공급구(40)의 옆으로 로터 하우징(30)의 상부 타측에는 배출구(70)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구(70)의 일단부는 수용공간(31)으로 개방되고, 타단부는 로터 하우징(30)의 외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때, 배출구(70)에는 배출관(7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구(70)의 타단부에는 소음기(75)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배출구(70)에서 유체가 배출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는 발전부(80)와 연결되어 발전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터(50)의 회전축(51)의 타단부는 발전부(8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발전부(80)는 회전축(51)과 결합되어 회전축(51)의 회전에 의해 전기를 발생할 수 있다.
발전부(80)는 정류자와 브러쉬를 가지는 일반적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발전부(80)와 로터 하우징(30)의 하측에는 베이스 프레임(9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90)의 상부에는 로터 하우징(30)을 받치기 위한 받침대(91)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저장탱크 11: 압축기
12: 보일러 20: 배관부
30: 로터 하우징 40: 공급구
43: 공급실 50: 로터
51: 회전축 52: 홈
55: 터빈실 56: 베인
60: 실링케이스 70: 배출구
75: 소음기 80: 발전부

Claims (6)

  1. 고압의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고압의 유체를 공급하는 배관부;
    중앙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배관부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유체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토출하는 공급구와, 상기 수용공간의 고압의 유체가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로터 하우징;
    상기 로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공급구에서 토출되는 고압의 유체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로터; 그리고
    상기 로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실링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로터에는 상기 공급구에서 배출되는 고압의 유체의 배출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함몰되고 양단부는 상기 로터의 외측으로 개방되는 터빈실이 상기 로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구는,
    상기 배관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관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유체를 토출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보다 큰 지름을 가지고, 상기 노즐부에서 토출되는 고압의 유체를 전방에 위치된 상기 터빈실에 배출하는 공급실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터빈실의 사이에 일정한 각도 간격을 이루면서 상기 로터의 반경 방향으로 다수의 홈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홈에는 반경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일단부가 상기 홈의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베인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는 소음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에는 공기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또는 고압의 증기를 만드는 보일러가 연결되고, 상기 고압의 유체는 압축공기 또는 고압증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 그리고
    상기 베인 모터의 로터의 회전축과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전기를 발생하는 발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를 가지는 발전장치.
KR1020120054698A 2012-05-23 2012-05-23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 및 이를 가지는 발전장치 KR101175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698A KR101175713B1 (ko) 2012-05-23 2012-05-23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 및 이를 가지는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698A KR101175713B1 (ko) 2012-05-23 2012-05-23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 및 이를 가지는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5713B1 true KR101175713B1 (ko) 2012-08-21

Family

ID=46887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698A KR101175713B1 (ko) 2012-05-23 2012-05-23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 및 이를 가지는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71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994B1 (ko) 2013-12-06 2014-05-07 정의섭 작동유체의 회수를 이용한 베인터빈엔진 및 이를 가지는 발전장치
WO2020122624A1 (ko) * 2018-12-13 2020-06-18 박정훈 베인 및 로터의 조립체를 구비한 터빈
WO2021125462A1 (ko) * 2019-12-19 2021-06-24 이엑스디엘 주식회사 베인 모터
WO2022145746A1 (ko) * 2020-12-28 2022-07-07 정의섭 순환형 엔진
KR102521615B1 (ko) 2021-11-23 2023-04-14 한국도키멕 주식회사 베인펌프의 베인조립장치
WO2024049093A1 (ko) * 2022-08-29 2024-03-07 주식회사 아모텍 마찰 발전기용 슬림형 디스크 구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3466A (ja) 2002-05-22 2003-12-03 Denso Corp 可変容量型流体圧送機
JP2009191796A (ja) 2008-02-15 2009-08-27 Michio Kanamori ベーン式コンプレッサ
JP2010275963A (ja) 2009-05-29 2010-12-09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ベーンポンプ
JP2011047322A (ja) 2009-08-26 2011-03-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ベーンポン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3466A (ja) 2002-05-22 2003-12-03 Denso Corp 可変容量型流体圧送機
JP2009191796A (ja) 2008-02-15 2009-08-27 Michio Kanamori ベーン式コンプレッサ
JP2010275963A (ja) 2009-05-29 2010-12-09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ベーンポンプ
JP2011047322A (ja) 2009-08-26 2011-03-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ベーンポンプ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994B1 (ko) 2013-12-06 2014-05-07 정의섭 작동유체의 회수를 이용한 베인터빈엔진 및 이를 가지는 발전장치
WO2015083933A1 (ko) * 2013-12-06 2015-06-11 정의섭 작동유체의 회수를 이용한 베인터빈엔진 및 이를 가지는 발전장치
WO2020122624A1 (ko) * 2018-12-13 2020-06-18 박정훈 베인 및 로터의 조립체를 구비한 터빈
WO2021125462A1 (ko) * 2019-12-19 2021-06-24 이엑스디엘 주식회사 베인 모터
WO2022145746A1 (ko) * 2020-12-28 2022-07-07 정의섭 순환형 엔진
KR102521615B1 (ko) 2021-11-23 2023-04-14 한국도키멕 주식회사 베인펌프의 베인조립장치
WO2024049093A1 (ko) * 2022-08-29 2024-03-07 주식회사 아모텍 마찰 발전기용 슬림형 디스크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713B1 (ko) 고압 유체를 이용한 베인 모터 및 이를 가지는 발전장치
JP5769332B2 (ja) スクロール膨張機
EA201290477A1 (ru) Модификация газовой турбины с простым циклом для применения, связанного с аккумулированием энергии сжатого воздуха, имеющей расширитель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дополнительной мощности
CA2499529A1 (en) Lng system and process with electrically powered refrigerant compressors and combined power generation cycle
KR101914877B1 (ko) 회전축의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터빈 및 가스터빈
WO2009084444A1 (ja) 噴流式蒸気エンジン
KR100844403B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KR101391994B1 (ko) 작동유체의 회수를 이용한 베인터빈엔진 및 이를 가지는 발전장치
KR20130042250A (ko) 반작용식 터빈장치
US20190055851A1 (en) Sealing structure for turbines, and turbine and gas turbine having the same
KR102511792B1 (ko) 사인 로터리 기관
KR101316491B1 (ko) 친환경 열에너지 발생장치
KR101195987B1 (ko) 고압 유체를 이용한 발전장치
RU2482302C2 (ru) Газотурбин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попутного нефтяного газа в электроэнергию
RU2491425C2 (ru) Паровой роторно-лопастный двигатель
KR20190006333A (ko) 동력 또는 발전용 압력기관 장치
RU2745153C1 (ru) Паророторная электрогенерирующая установка
WO2013065807A1 (ja) 蒸気タービン発電装置
KR20190044153A (ko) 터빈 블레이드 링 세그멘트 및 이를 포함하는 터빈 및 가스터빈
JP2007535643A (ja) タービンを利用した動力発生方法及び装置
CN208865543U (zh) 一种火电厂用废水处理装置
RU2011151759A (ru) Газотурбинная установка с впрыском жидкости в контур гту
GB201109429D0 (en) An internal jet rotary engine
RU125624U1 (ru) Турбина романова
RU2562318C1 (ru) Паротурбинный агрегат с электрогенератор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