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047B1 -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 Google Patents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047B1
KR101175047B1 KR1020110086029A KR20110086029A KR101175047B1 KR 101175047 B1 KR101175047 B1 KR 101175047B1 KR 1020110086029 A KR1020110086029 A KR 1020110086029A KR 20110086029 A KR20110086029 A KR 20110086029A KR 101175047 B1 KR101175047 B1 KR 101175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flow path
exhaust
delete delete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5366A (ko
Inventor
심상구
박영돈
김성진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6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047B1/ko
Publication of KR20110105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10Mills in which a friction block is towed along the surface of a cylindrical or annular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리기의 분쇄로는 투입물이 내부에서 분쇄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측에 체결되고, 흡기구 및 배기구가 위치하는 배기 유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 유로부는 중공의 유로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내부의 가스가 연속적으로 순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몸체 내측의 가스는 상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배기 유로부에 유입되고, 상기 배기 유로부에 유입된 가스는 순환하여 상기 배기구를 통해 유출된다.

Description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Pulverizing Screw and A Pulverizer of Food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형의 몸체 내에 나선 모양의 분쇄 스크류가 구비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분쇄, 교반될 수 있도록 하고,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상기 몸체 상에 배치된 배기 유로부에 의해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는 매일 일정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며,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단순한 거름망을 통해 물기 만이 걸러진 후 폐기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은 음식물 쓰레기의 수량을 증대시키고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가 자주 버려지지 않을 경우 악취를 발생시켜 주변의 공기를 오염시키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억제 및 재활용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싱크대에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는 탈수, 절단 및 건조 등의 일련의 과정을 거쳐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함과 아울러 부피를 줄여 그 배출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그 이용 상태에 따라서도 다양한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분쇄건조로는 크게 회전축의 방향과 분쇄건조로의 형상에 따라 크게 수직원통형과 수평원통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수직원통형의 경우에 음식물 처리시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 스크류를 구동하는 모터의 부하가 작고 이에 수반하여 저소음 설계가 가능하나, 분쇄 스크류가 하단에 집중되어 있어 음식물의 상하 교반 및 분쇄가 원할히 일어나지 않아 분쇄물의 입도가 크고 분쇄 스크류 중앙부에서 미분쇄된 음식물이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며, 건조를 위한 히터가 하단부에 구비되어 분쇄성능과 건조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반면에, 분쇄 스크류의 체적비가 작아 크기 대비 투입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수평원통형의 경우에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 스크류가 분쇄건조로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 음식 처리물의 교반이 원할히 일어나며 건조를 위한 히터가 원통면을 따라 구비되어 있어 열의 전도에 효율적이어서 건조 효율이 좋은 장점을 가지나, 분쇄시의 경우에 분쇄 스크류의 양쪽 선단부(분쇄건조로의 양쪽 끝단)에 집중적으로 일어나며 분쇄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다량의 음식물이 압축 분쇄되어 음식물의 압축에 의해 분쇄 스크류 구동에 과부하가 걸려 구속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리고 분쇄 스크류의 체적비가 커서 투입량이 작은 단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수직?수평형 모두 분쇄건조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효율적인 배출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음식물 처리시에 발생하는 악취의 누설로 인해 사용자의 불쾌감이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히 분쇄건조로를 구형의 몸체로 제작하고 상기 몸체 내에 나선형의 분쇄 스크류를 구비하여 분쇄건조로 내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분쇄, 교반될 수 있도록 하고, 분쇄건조로 내의 잔류물을 최소화함으로써 소요동력을 줄이고 소음 발생을 저감시키는 분쇄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투입물이 내부에서 분쇄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측에 체결되고, 흡기구 및 배기구가 위치하는 배기 유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 유로부는 중공의 유로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내부의 가스가 연속적으로 순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몸체 내측의 가스는 상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배기 유로부에 유입되고, 상기 배기 유로부에 유입된 가스는 순환하여 상기 배기구를 통해 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기 유로부는 상기 몸체의 상부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배기 유로부는 상기 몸체의 상부면 테두리를 따라 상기 몸체에 체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부면은 원형이며, 상기 배기 유로부는 상기 원형의 몸체 상부면의 원주를 따라 링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링 형태의 배기 유로부의 방사상 내측 부분을 통해 상기 몸체에 투입물을 투입할 수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 형태의 배기 유로부에서 방사상 내측을 향한 안쪽 외주면에 흡기구가 위치하고, 방사상 외측을 향한 바깥쪽 외주면에 배기구가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기구와 배기구는 상기 배기 유로부의 하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몸체에 투입물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가 위치하며, 상기 배기 유로부는 상기 연속적으로 연결된 중공의 유로가 상기 투입구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투입구는 원형이며, 상기 배기 유로부는 상기 원형의 투입구를 감싸는 링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형의 투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커버가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상기 커버는 하단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절개된 깔때기 형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빈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와 통하는 흡기구와 상기 몸체의 외부와 통하는 배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중에 발생하는 가스가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흡기구와 상기 배기구를 연결하는 유로를 구비하는 배기 유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 유로부는 중공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스가 상기 배기 유로부의 내부에서 상기 유로를 따라 상기 흡기구에서 상기 배기구까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부 테두리가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을 위한 투입구를 정의하고, 상기 배기 유로부는 상기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기구는 상기 배기 유로부의 하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상기 테두리에 인접하게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 형태의 배기 유로부의 링 중앙부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몸체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상기 투입구와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기 유로부의 내부에는 상기 가스를 상기 유로를 따라 일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배기 유로부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 베인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는 구형의 분쇄통 내에 나선 모양의 구동 블레이드를 배치하여 분쇄로에 투입되는 음식물을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켜 잘게 분쇄함으로써 분쇄로의 작동 효율을 높이고 요구되는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링 형상의 배기 유로부 및 깔때기 형상의 커버를 분쇄통 상부에 배치하여 음식물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음식물 찌꺼기가 배출구가 아닌 분쇄통 상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직형과 수평형 건조로가 가지는 장점을 종합하여 기능적 혼합설계를 통하여 기존 건조로들이 지니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한다. 즉, 상기 수직형과 수평형 건조로에서 공통적으로 문제가 되었던 내부 벽면에의 음식물 잔류물 부착과 처리물 배출시 발생하는 비배출 잔류물을 최소화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를 상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쇄로를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분쇄로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분쇄로의 정면도,
도 6은 도 2의 분쇄로의 우측면도,
도 7은 도 2의 분쇄로의 저면도,
도 8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2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의 내부를 보이기 위해 몸체의 일부를 절개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분쇄로를 C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및 배기 유로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로의 내부 구조를 자세히 보이기 위한 하부 분쇄통의 일측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쇄 스크류 및 하부 분쇄통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를 상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쇄로를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분쇄로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분쇄로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분쇄로의 우측면도이며, 도 7은 도 2의 분쇄로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는 중공의 분쇄통(200), 분쇄통(200)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분쇄 스크류(100), 분쇄통(200)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배기 유로부(300), 분쇄통(200)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커버(400), 및 분쇄통(200) 하부에 배치되는 도어 개폐장치(50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는 분쇄 스크류(100)를 이용하여 분쇄통(200) 내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분쇄하게 되는데, 추가로 분쇄통(200)의 외주면이나 상부 등에 건조히터를 장착하여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분쇄통(200)은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일정량 채워질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구비한 중공의 수용 부재이며, 바람직하게 구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분쇄통(200)은 분쇄 스크류(10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부 분쇄통(210)과 하부 분쇄통(220)으로 나뉘어진다. 즉, 상하부 분쇄통(210,220)은 생산 과정의 진행을 위해서도 각각 반구 형태가 될 수 있는데, 주조 과정으로 제작되어 견고하게 제작되어질 수 있다.
상부 분쇄통(210)은 반구 형상의 상부 몸체(211)와 상부 몸체(211)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일정거리 연장되어 형성되는 중공 원통형의 입구부(216)로 구성된다. 상기 입구부(216)와 상부 몸체(211)가 만나서 이루어지는 원주 형상의 절곡부(214)가 생성되는데, 상기 절곡부(214)는 구동블레이드(120)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교차함에 의해서 절삭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분쇄통(220)은 반구 형상의 하부 몸체(221)로 이루어지고, 상부 분쇄통(210)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접합면 상에 원형의 삽입홈(22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223)에는 누설방지부재(230)가 삽입되어지는데, 상기 누설방지부재(230)는 상하부 분쇄통(210,220)의 결합시에 내부의 음식물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실링하는 기능을 한다.
상하부 분쇄통(210,220)의 결합부위를 기준으로 보면, 상부 분쇄통(210)에는 제1체결구(217)가 원주상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고, 하부 분쇄통(220)에는 제2체결구(227)가 제1체결구(217)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하부 분쇄통(210,220)이 결합되는 경우에 체결구들(217,227)을 관통하여 결합볼트(미도시)가 체결된다.
상부 분쇄통(210) 외부의 상부 면에 형성된 투입구(210a)가 구비되고, 필요에 따라 하부 분쇄통(220) 외부의 측면 밑부분에 배출구(224)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224)는 도어 개폐장치(50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될 수 있는데, 도어 개폐장치(500)는 전동식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투입구(210a)는 탈수,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도록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분쇄통(200)의 상부 면에 일정 크기로 개구 형성된다. 분쇄통(200)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분쇄리브(222)가 형성될 수 있는데, 분쇄스크류(10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음식물을 분쇄하는 작용을 한다. 분쇄리브(222)는 상하부 분쇄통(210,220)의 내면에 고르게 형성되고, 끝단에 날이 형성되는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그 형상은 상황에 따라서 다양하게 제작이 가능하다.
투입구(210a)는 분쇄통(200)의 몸체의 상부 테두리가 정의하는 형태로서, 링 형태인 배기 유로부(300)의 링 중앙부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투입구(210a)와 통하게 된다.
분쇄통(200)은 열전달율이 높은 금속을 소재로 하여 주조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주로 스테인리스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음식물 찌꺼기가 표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몰리브덴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몰리브덴은 전자관의 양극?그리드 및 지지물, 전기회로의 접점, 내열재료 고온 부분품, 특수합금, 전열선, 코팅 등으로 사용되는데, 극저온에서 상온?고온에 이르기까지 기계적으로 매우 강하며, 스테인리스강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여기에서, 음식물 찌꺼기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소재의 물질이 코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의 몰리브덴 코팅은 분쇄 스크류(100)에도 행해짐으로써 음식물이 달라붙지 않도록 처리되므로 분쇄로에서의 처리 과정이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분쇄통(200)의 하단부에는 분쇄로 작동시의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하도록 방진 구조체(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방진 구조체는 상하, 좌우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코일이나 댐퍼 등의 충격?진동 완화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및 배기 유로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 및 도 12를 참조하여 배기 유로부(300)에 대해 설명한다.
배기 유로부(300)는 중공의 터널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중공의 도넛(donut) 또는 링(ring) 형태의 본체(310)를 구비하고, 본체(310)의 외부 표면에는 흡기구(320)와 배기구(340)가 형성되어 분쇄통(200)의 상부,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면 테두리인 상단부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는 배기 유로부(300)는 상부 분쇄통(210) 상에 형성되는 입구부(216) 상단에 체결될 수 있다.
즉, 다수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유로부(300)는 중공의 유로가 분쇄통(200)의 몸체 상부 또는 몸체 상단부에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형태이며, 달리 표현하면 분쇄통(200)에 구비된 투입구(210a)를 감싸도록 연결되는 형태이다.
이와 같이 연결됨으로써, 분쇄통(200)에서의 분쇄 과정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배기 유로부(300)를 연속적으로 순환하게 되며, 이러한 순환 과정이 구비됨으로써 가스의 악취 성분 등이 일정 부분 제거되고 온도가 낮아지는 우수한 효과를 갖게 된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상부가 원형인 경우, 배기 유로부(300)는 중공의 터널형 유로가 연속적으로 열결됨으로써 링 형태를 갖게 된다.
흡기구(320)는 배기 유로부(300)의 내측 하부 외주면 상에 일정 간격의 다각형, 타원, 또는 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공간 활용상의 측면에서 하부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구(340)는 배기 유로부(300)의 외측 하부 외주면 상에 일정 간격의 다각형, 타원, 또는 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배기구(340)는 하부로 일정 거리 돌출된 중공 원통의 형상일 수 있다. 배기 유로부(300)에서는 흡기구(320)를 통해 들어온 가스가 배기 유로부(300)의 내부를 회전하며 순환한 후 배기구(34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배기 유로부(300)의 형상을 고려하여, 다수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유로부(300)의 방사상 내측을 향한 안쪽 외주면에 흡기구(320)가 위치하고, 방사상 외측을 향한 바깥쪽 외주면에 배기구(340)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중에 발생하는 가스가 배기 유로부(300)의 내부에서 유로를 따라 흡기구(320)에서 배기구(340)까지 회전하게 된다.
도 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배기 유로부(300) 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선 형상의 가이드 베인(330,guide vane)이 구비된다. 가이드 베인(330)은 흡기구(320)로부터 배기 유로부(300)의 내부에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거리 연장된다. 가이드 베인(330)은 소정 두께의 일정한 곡률을 가진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베인(330)은 흡기구(320)를 중심으로 배기 유로부(300)의 내측 원주 방향와 반경 방향 사이의 공간부를 지향하도록 방향이 설정되어 연장형성된다. 즉, 상기 배기 유로부(300) 내에서 물레방아 내지 바람개비 모양에 흡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다시 도 1 내지 도 7 및 도 12를 참조하여 커버(4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커버(400)는 분쇄통(200)의 상부에 체결되는데, 구체적으로는 배기 유로부(300) 상에 형성되는 체결홀(350)에 커버(400)의 하면에 돌출된 체결구(450)가 삽입 고정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체결홀(350) 및 체결구(450)는 동일한 개수로 구성되며 일 예로서 4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400)는 링 모양으로 이루어져 그 하면에 체결구(450)가 형성되어 배기 유로부(300)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체(410) 및 고정체(410)의 내부 외주면으로부터 점점 둘레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되어 확장과 수축이 가능한 탄성지지체(420)로 구성된다.
탄성지지체(420)는 커버(400)에서 하단부에 해당하는데,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된 깔때기 형상이며 탄성력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신축 가능하게 된다. 즉, 탄성지지체(420)는 복수의 부채꼴 형상이 인접하게 배치되는데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430) 이격되어 원 형상을 이루고 있는 형태가 된다. 다시 설명하면, 탄성지지체(420)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더 벌어지는 확개된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체결구(450)는 고정체(410)의 하단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된다.
커버(400)의 하단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져 탄성지지체(420)가 서로 모아지는 곳에 일정한 형태의 개방구(440)가 만들어진다. 개방구(440)로 인해서 탄성지지체(420)가 자유롭게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주게 된다. 커버(400)는 상기와 같이 탄성력이 필수적으로 있어야 하므로 연질의 실리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8 및 도 12를 참조하여, 커버(400) 및 배기 유로부(300)의 작동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분쇄통(200) 내에서 음식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분쇄 스크류(100)의 회전에 따라 상부로 밀려 올라가게 된다. 여기에서 구동블레이드(120)가 나선 모양으로 구성되므로 가스는 분쇄통(200) 내에서 도면부호 240과 같이 경사진 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가스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커버(400)의 탄성지지체(420)는 상기 가스가 바로 커버(40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탄성지지체(420)가 분쇄통(200)의 외주면에서 내측 하방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가스는 탄성지지체(420)의 하단을 따라서 분쇄통(200)의 중심부로 이동하는 경로를 취하게 되어 결국은 탄성지지체(420)의 하단부에서 와류(250)를 발생시켜 개방구(440) 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커버(400)는 분쇄통(200)에 처리물이 가득차게 되면 탄성지지체(420)가 더이상 신축이 불가능하므로, 결과적으로 하단의 개방구(440) 부위가 투입 한계선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배출가스 뿐만 아니라 분쇄통(200) 내에서 처리된 음식물 찌꺼기는 경사진 탄성지지체(420)에 의해 분쇄통(200) 상부면으로 누설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2에서와 같이, 배기 유로부(300)는 흡기구(320)에 의해 그 내부로 유입된 배기 가스가 가이드 베인(330)에 의하여 안내되어 배기 유로부(300) 내에서 회전 순환되는 과정에서 자연냉각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면서 배기효율 증대를 위해 선회류(vortex flow) 생성을 유도하게 된다. 배기 유로부(300) 내의 가스는 배기구(340)로 토출되어 탈취장치 등으로 유입되어 후처리 공정이 수행된다.
도 8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2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의 내부를 보이기 위해 몸체의 일부를 절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분쇄로를 C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구성요소인 분쇄 스크류(100)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분쇄 스크류(100)는 회전축(110), 회전축(110)으로부터 나선모양으로 연장형성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블레이드(120)를 포함한다. 구동블레이드(120)는 분쇄통(200)의 내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구형의 분쇄통(200) 내부에서 회전하고, 회전축(110)의 일측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축(110)을 감싸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회전축(110)의 타측 외주면에 연결된다. 일 예로 360°정도의 회전 각도로 회전축(110) 주위로 회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동블레이드(120)의 형성 과정에서 회전축(110)과 구동블레이드(120) 사이에는 공간(121)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10)의 외주면 상에는 원통형의 회전체들(112,114,116)이 형성된다. 중간 회전체(112)는 회전축(110)의 중앙에 배치되고, 일측 회전체(114) 및 타측 회전체(116)는 각각 회전축(110)의 일측부(111)와 타측부(119)에 배치된다. 상기 회전체들(112,114,116)은 회전축(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진다.
구동블레이드(120)는 일측 회전체(114)의 외면으로부터 시작하여 타측 회전체(116)의 외면에 이를 수 있도록 형상이 이루어진다. 즉, 구동블레이드(120)는 회전축(110)의 일측 외주면으로부터 타측 외주면에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구조일 수 있다. 중간 회전체(112)로부터 회전축(110)의 반경 방향으로 이어지는 지지대(130)가 구비되는데, 지지대(130)는 회전축(110) 상에서 구동블레이드(120)가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지지대(130)는 회전축(110)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분쇄 스크류(100)를 지지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회전축(110) 및 회전체들(112,114,116)은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일체형일 경우는 주조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결합형일 경우는 각 단품의 파손시에 교체가 용이하고 제작 단가에 유리한 측면이 있게 된다. 구동블레이드(120), 지지대(130) 및 회전체들(112,114,116)의 경우도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일체형일 경우는 주조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동블레이드(120)의 외곽 절삭날 상에는 일정 두께의 절삭편(122)이 회전축(110)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다. 절삭편(122)은 분쇄통(200) 내면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내부 음식물을 잘게 분쇄하도록 한다. 절삭편(122)은 절곡부(214)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교차함에 의해서 분쇄통(200) 내로 투입되는 비교적 큰 음식물에 대해 절삭이 이루어지게 한다.
하부 분쇄통(220) 내면에는 다수의 분쇄 리브들(222)이 형성되는데, 분쇄 리브들(222)은 바람직하게 일정한 이격거리를 유지한 채 하부 분쇄통(220)에 돌출 형성된다.
절삭편(122)은 분쇄 리브들(222)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일정한 유격이 유지될 수 있어야 하고, 구동블레이드(120)가 회전하는 동안에 구동블레이드(120)의 외측 절삭날 및 절삭편(122)이 분쇄통(200)의 내면과 교차하면서 분쇄가 이루어진다.
도 9를 보면, 구동블레이드(120)의 중앙부가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회전축(110)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질 수 있다. 즉, 구동블레이드(120)가 회전축(110)으로부터 나선모양으로 연장형성되어지는 과정에서 보게 되면, 점점 회전축(110)과의 이격거리가 커지다가 구동블레이드(120)의 중앙부에서 다시 이격거리가 작아지게 된다. 도면 부호 140은 회전축(110) 중심으로부터 구동블레이드(120)의 중앙부 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의 구조를 통해서 보면, 분쇄 스크류(100)의 회전시에 구동블레이드(120)의 중앙부가 하부 몸체(221) 내부의 최하점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담아 올리게 된다. 따라서, 처리과정에서 분쇄통(200) 하부로 모이는 처리물들이 계속적으로 상부로 이동하여 교반되므로 분쇄통(200) 내의 분쇄 또는 교반 작용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다. 또한, 구동블레이드(120)에는 회전축(110)과의 사이에 공간(121)이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담아 올리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적정 분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간(121)을 통해서 하부 몸체(221)의 하부로 낙하할 수 있게 된다. 그럼으로써, 구동블레이드(120)를 구동시키는 동력 공급 수단(미도시)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분쇄통(220)에는 분쇄 스크류(1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부 분쇄통(210)과의 결합면의 일측에 제1거치부(228)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2거치부(229)가 형성된다. 회전축(110)의 일측부(111)와 타측부(119)는 각각 제1거치부(228) 및 제2거치부(229)에 형성된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고정된다. 상기 관통홀에는 회전이 원할히 되도록 베어링이 장착될 수 있다. 회전축(110)의 타측부(119)는 모터와 같은 동력 공급 수단(미도시)에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받는다.
회전축(110)은 상기 동력 공급 수단(미도시)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아 구동블레이드(120)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분쇄 스크류(100)가 분쇄통(200) 내에서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로의 내부 구조를 자세히 보이기 위한 하부 분쇄통의 일측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10과 도 13을 참조하여 구동블레이드(120)와 분쇄통(200) 내면과의 상호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하부 분쇄통(220) 내면에는 다수의 분쇄 리브들(222)이 형성되는데, 분쇄 리브들(222)은 바람직하게 일정한 이격거리를 유지한 채 하부 분쇄통(220)에 돌출 형성된다.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한 쌍의 분쇄 리브들(222a,222b)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분쇄리브(222a)에는 소정거리만큼의 움푹한 제1함몰부(225a)가 형성되고, 제2분쇄리브(222b)에는 소정거리만큼의 움푹한 제2함몰부(225b)가 형성된다. 함몰부들(225a,225b)은 각 분쇄 리브(222) 상에서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몰부들(225a,225b)의 중간을 연결하는 궤적은 하부 몸체(221)의 내주면 상에서 도면 부호 226과 같이 일정한 원호를 그리게 된다. 즉, 도면 부호 226의 궤적은 제2함몰부(225b) 및 제2함몰부(225b)와는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제1함몰부(225a)를 지나게 된다.
분쇄 스크류(100)가 분쇄통(200) 내에서 회전하는 경우에 구동블레이드(120)에 형성된 절삭편(122)은 상기 도면 부호 226의 궤적을 따라서 원궤도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을 따르게 되면, 분쇄로 가동중에 분쇄 리브들(222) 사이에 부착되어 있는 찌꺼기들을 상기 절삭편(122)의 원궤도 운동에 의해 긁어 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분쇄 과정중에 건조도 동시에 진행이 가능하므로 찌꺼기가 건조된 후에 절삭편(122)에 의해 스크래치(scratch)를 발생시키면 더 원활하게 내면에 부착된 음식물이 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9를 참조하여 도어 개폐장치(500)에 대해 설명한다.
도어 개폐장치(500)는 양 끝단에 기둥 형상의 지지축(524)이 구비되고 중앙부에는 단면이 반원이 되도록 홈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밸브부(522)가 구비된 밸브 배출부(520), 배출구(224)의 하부 면에 부착 구비되고 반경 방향의 양 끝단에 지지축(524)을 수용하기 위한 홈(531)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배출구(224)에 대응하는 구멍이 구비된 용기 형상의 배출구 지지부(530), 배출구 지지부(530)와 밸브 배출부(520) 사이에 구비되며 그 사이를 실링하는 패킹부재(510)를 포함한다.
도어 개폐장치(500)의 작동 과정을 도 9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어 개폐장치(500)의 작동은 음식물 처리기 분쇄로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 처리된 경우 제어부(미도시)의 신호에 의한다. 평상시에는 도어 개폐장치(500)의 밸브 배출부(520)가 배출구(224)를 패쇄하고 있지만,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처리되면 제어부는 밸브 배출부(520)를 작동시켜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즉, 밸브 배출부(520)의 밸브부(522)는 반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배출구(224) 주변부와 평행하게 위치하면 배출구(224)를 폐쇄하지만,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면 배출구(224)를 개방하게 된다.
배출구(224)가 개방되었을 때, 분쇄 스크류(100)의 회전 작동에 의하여 이동된 음식물 쓰레기는 배출구(22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분쇄통(200)이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자연스럽게 내부의 음식물 찌꺼기가 하부 분쇄통(220)의 중앙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224)로 토출될 수 있다. 이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적체를 막아 부패를 방지하여 건조로 주변의 오염을 막을 수 있고, 건조로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쇄 스크류 및 하부 분쇄통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분쇄 스크류의 다른 실시예(100') 및 하부 분쇄통의의 다른 실시예(220')에 대해서 설명한다.
분쇄 스크류(100')를 구성하는 구동블레이드(120)의 외곽 절삭날 상에는 소정 두께의 깊이로 분쇄홈(125)이 형성된다. 분쇄홈(125)은 회전축(110)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반경을 이루는 원주를 따라서 그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즉, 회전축(110)의 중심을 동심으로 하여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진 복수의 원주를 따라서 상기 분쇄홈(125)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수로 형성이 가능하다.
하부 분쇄통(220')의 내주면에는 구동블레이드(120)에 형성된 분쇄홈(125)에 대응되도록 분쇄돌기(222')가 형성된다. 분쇄돌기(22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심원 상에 규칙 또는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형성된다.
분쇄 스크류(100')가 분쇄통(200) 내에서 회전함에 따라 분쇄돌기(222')는 분쇄홈(125)의 내부를 관통하여 지나가게 된다. 회전함에 따라 분쇄홈(125)에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홈(125)의 이동라인을 따라 분쇄돌기(222')가 지나가는 구조로 됨으로써 분쇄가 이루어진다. 분쇄홈(125)의 내면에는 절삭을 위한 날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분쇄 스크류
110: 회전축
120: 구동블레이드
130: 지지대
200: 분쇄통
210: 상부 분쇄통
210a: 투입구
220: 하부 분쇄통
230: 누설방지부재
300: 배기 유로부
310: 본체
320: 흡기구
330: 가이드 베인
340: 배기구
350: 체결홀
400: 커버
410: 고정체
420: 탄성지지체
440: 개방구
450: 체결구
500: 도어 개폐장치
510: 패킹부재
520: 밸브 배출부
530: 배출구 지지부

Claims (17)

  1.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빈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와 통하는 흡기구와 상기 몸체의 외부와 통하는 배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중에 발생하는 가스가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흡기구와 상기 배기구를 연결하는 유로를 가지는 배기 유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 유로부는 상기 가스가 상기 배기 유로부의 내부에서 상기 유로를 따라 상기 흡기구에서 상기 배기구까지 회전하도록 중공의 링 형태를 가지며, 상기 배기 유로부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상기 가스의 일 방향 회전은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선회류의 생성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그 상부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정의하는 테두리를 마련하고, 상기 배기 유로부는 상기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상기 배기 유로부의 하부에서 상기 테두리를 따라 상기 테두리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기 유로부의 내부에는 상기 가스를 상기 유로를 따라 일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배기 유로부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 베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그 하단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절개된 깔때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10086029A 2011-08-26 2011-08-26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KR101175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029A KR101175047B1 (ko) 2011-08-26 2011-08-26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029A KR101175047B1 (ko) 2011-08-26 2011-08-26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536A Division KR101410140B1 (ko) 2011-03-08 2011-03-08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366A KR20110105366A (ko) 2011-09-26
KR101175047B1 true KR101175047B1 (ko) 2012-08-17

Family

ID=44955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029A KR101175047B1 (ko) 2011-08-26 2011-08-26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0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1322A (ja) * 2001-12-17 2003-07-02 Sekisui Chem Co Ltd ディスポーザ及びシンクの排水口の覆い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1322A (ja) * 2001-12-17 2003-07-02 Sekisui Chem Co Ltd ディスポーザ及びシンクの排水口の覆い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366A (ko) 201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350B1 (ko)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KR101108738B1 (ko) 분쇄 스크류, 분쇄통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US8267339B2 (en) Transfer unit having transfer rotor and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10029860A (ko) 멀티 고정 분쇄 칼날이 구비된 디스포저
KR20100036824A (ko) 회전스크류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101175047B1 (ko)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KR20110041447A (ko)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KR101176304B1 (ko) 분쇄 스크류, 분쇄통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KR101601809B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KR20120091733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12814091B (zh) 一种垃圾处理器
CN213161172U (zh) 粉碎处理装置及厨房垃圾处理系统
KR20120077623A (ko)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CN206046236U (zh) 具有防卡结构的超微粉碎机
CN219630786U (zh) 一种分离过滤装置
CN206866547U (zh) 新型食品干燥装置
CN214574377U (zh) 一种便于清洗的垃圾处理器
KR200482572Y1 (ko) 음식물쓰레기 분쇄장치
KR101673401B1 (ko) 음식물 처리기용 송풍장치
KR2024005221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43886A (ko) 고주파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
KR20100036821A (ko)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JP2001269642A (ja) 生ゴミ処理装置
KR2013007589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