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011B1 - 매립형 너트 - Google Patents

매립형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011B1
KR101175011B1 KR1020100098024A KR20100098024A KR101175011B1 KR 101175011 B1 KR101175011 B1 KR 101175011B1 KR 1020100098024 A KR1020100098024 A KR 1020100098024A KR 20100098024 A KR20100098024 A KR 20100098024A KR 101175011 B1 KR101175011 B1 KR 101175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ortion
upper jaw
hole
nu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5812A (ko
Inventor
원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래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래치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래치원
Priority to KR1020100098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011B1/ko
Publication of KR20120035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4Nut c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형 너트에 관한 것으로, 구멍(14)이 형성된 상단 턱(13)의 아래로 육각 관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육각 관부(11)의 아래쪽에는 확장관부(12)가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단 턱(13)의 구멍(14) 안으로 삽입되어 상단 턱(13)을 엄폐시키며 절곡되어 상단 턱(13)에 고정되는 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관부(21)의 안으로는 구멍(22)이 형성되며, 가장자리로 최소 1개 이상의 절개 홈(23)이 형성된 상부 캡(20)과;
상기 몸체(10)의 육각 관부(11) 안으로 삽입되는 육각 너트(40)와;
상기 몸체(10)의 확장관부(12) 안으로 삽입되어 돌출 환(31)이 육각 너트(40)를 받혀주며 가장자리의 돌출 단(32)이 확장관부(12)에 억지끼움식으로 고정되는 받침쇠(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100098024
매립형 너트

Description

매립형 너트{Insertion Type Nut}
.
본 발명은 매립형 너트에 관한 것이다.
매립형 너트라 함은, 도8과 같이 볼트 또는 나사 못 등을 관통시키면 아니되는 어떠한 제1 물체(1)에 어떠한 제2 물체(4)를 고정볼트(5) 등으로 고정시키고자 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이는 제1 물체(1)에 형성된 구멍(2) 안으로 삽입된 채 접착제(3)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종래의 매립형 너트를 살피면, 도12, 도13과 같이 가장자리로 절개 홈(103)들이 형성된 상단 턱(102)과, 역시 가장자리로 절개 홈(105)들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일자형의 걸림 홈(106)이 키이 홈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하단 턱(104)과, 상기 상단 턱(102)과 하단 턱(104) 사이이며 표면에 너얼링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 관부(101)와, 상기 상단 턱(102)의 안쪽으로 연장된 걸림 턱(108)으로 된 몸체(100),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107) 안으로 삽입되며 나사구멍(201)을 가지는 관부(201)와, 상기 관부(201)와 일체를 이룬 체 상기 하단 턱(104)의 걸림 홈(106) 안으로 삽입되는 키이 형태의 멈춤 단(203)이 구비된 너트 (200), 그리고 상기 너트(200)가 상기 몸체(100) 안으로 조립되도록 한 후 상기 몸체(100)의 하단 턱(104)의 가장자리를 감싸듯이 압착 고정이 되는 하부 캡(사진에서는 생략하였음)으로 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는 금속 또는 비철금속으로 되며(주로 알루미늄을 사용함) 모두 기계가공을 통해 일일이 가공을 하여서 제작된 것이고, 너트(200) 또한 기계가공을 통해 가공이 된 것이며 주로 금속으로 제작하며, 하부 캡도 금속으로 된 것인데, 하부 캡은 본 발명의 받침 커버(50)와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으나 주로 알루미늄으로 된 것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매립형 너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계가공을 통해 제작되기 때문에 제작단가가 상승되고 제작공정이 복잡하여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특히, 몸체(100)에서 원형 관부(101)가 의미 그대로 원형을 띠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도8과 같은 상태에서 종래의 매립형 너트를 제1 물체(1)의 구멍(2) 안에 접착제(3)를 통해 고정을 시켰다고 하더라도 고정 볼트(5)를 약간 강하게 조이면 몸체(100)가 고정 볼트(5)를 조이는 방향으로 따라 돌아버려서 제대로 고정력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고정 볼트(5)를 풀 때에도 몸체(100)가 고정 볼트(5)를 푸는 방향으로 따라 돌아버려서 고정 볼트(5)를 용이하게 분리시키지 못하는 즉, 매립형 너트의 기능이 상실되는 폐단이 있었다.
물론 상기 원형 관부(101)의 표면에는 너얼링이 형성되어 있기는 하나 너얼링만으로는 상술한 폐단을 해결할 수는 없었기 때문에 결국 제작단가도 저렴하면서 제작공정도 간단하고 생산성도 우수하며 특히, 고정 볼트를 조이거나 풀 때 너트가 따라서 돌지 않는 매립형 너트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어 오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매립형 너트에서 비롯된 단점과 폐단을 해결할 수 있는 진보된 매립형 너트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1 실시예]
구멍(14)이 형성된 상단 턱(13)의 아래로 육각 관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육각 관부(11)의 아래쪽에는 확장관부(12)가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단 턱(13)의 구멍(14) 안으로 삽입되어 상단 턱(13)을 엄폐시키며 절곡되어 상단 턱(13)에 고정되는 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관부(21)의 안으로는 구멍(22)이 형성되며, 가장자리로 최소 1개 이상의 절개 홈(23)이 형성된 상부 캡(20)과;
상기 몸체(10)의 육각 관부(11) 안으로 삽입되는 육각 너트(40)와;
상기 몸체(10)의 확장관부(12) 안으로 삽입되어 돌출 환(31)이 육각 너트(40)를 받혀주며 가장자리의 돌출 단(32)이 확장관부(12)에 억지끼움식으로 고정되는 받침쇠(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실시예]
구멍(14)이 형성된 상단 턱(13)의 아래로 육각 관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육각 관부(11)의 아래쪽에는 확장관부(12)가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단 턱(13)의 구멍(14) 안으로 삽입되어 상단 턱(13)을 엄폐시키며 절곡되어 상단 턱(13)에 고정되는 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관부(21)의 안으로는 구멍(22)이 형성되며, 가장자리로 최소 1개 이상의 절개 홈(23)이 형성된 상부 캡(20)과;
상기 몸체(10)의 육각 관부(11) 안으로 삽입되며 하방으로 최소 3개 이상의 지지다리(41)를 가지는 육각 너트(40a)와;
상기 몸체(10)의 확장관부(12) 안으로 삽입되어 육각 너트(40a)의 지지다리(41)를 받혀주며 가장자리의 돌출 단(51)이 확장관부(12)에 억지끼움식으로 고정되는 받침커버(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실시예]
구멍(14)이 형성된 상단 턱(13)의 아래로 육각 관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육각 관부(11)의 아래쪽에는 확장관부(12)가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단 턱(13)의 구멍(14) 안으로 삽입되어 상단 턱(13)을 엄폐시키며 절곡되어 상단 턱(13)에 고정되는 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관부(21)의 안으로는 구멍(22)이 형성되며, 가장자리로 최소 1개 이상의 절개 홈(23)이 형성된 상부 캡(20)과;
상기 몸체(10)의 육각 관부(11) 안으로 삽입되는 육각 너트(40)와;
상기 몸체(10)의 확장관부(12) 안으로 삽입되어 육각 너트(40)를 받혀주는 돌출 환(61)이 구비된 와샤(60)와;
상기 확장관부(12) 안으로 삽입되어 와샤(60)의 이탈을 방지하며 가장자리의 돌출 단(51)이 확장관부(12)에 억지끼움식으로 고정되는 받침커버(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실시예]
구멍(14)이 형성된 상단 턱(13)의 아래로 육각 관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육각 관부(11)의 아래쪽에는 확장관부(12)가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단 턱(13)의 구멍(14) 안으로 삽입되어 상단 턱(13)을 엄폐시키며 절곡되어 상단 턱(13)에 고정되는 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관부(21)의 안으로는 구멍(22)이 형성되며, 가장자리로 최소 1개 이상의 절개 홈(23)이 형성된 상부 캡(20)과;
상기 몸체(10)의 육각 관부(11) 안으로 삽입되는 육각 너트(40)와;
상기 몸체(10)의 확장관부(12) 안으로 삽입되어 육각 너트(40)를 받혀주는 원형 판(70)과;
상기 확장관부(12) 안으로 삽입되어 원형 판(70)의 이탈을 방지하며 가장자리의 돌출 단(51)이 확장관부(12)에 억지끼움식으로 고정되는 받침커버(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종래의 매립형 너트에 비하여 제작단가가 낮고 제작공정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상승되는 장점에 더하여 접착제가 상부 캡 주위를 더럽게 오염시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특히, 몸체가 고정 볼트의 회전 방향으로 따라서 돌아버림에 따라 매립형 너트의 기능이 상실되는 심각한 폐단을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근거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도면 및 사진과 같이 두께가 얇은(0.1~0.3㎜) 철판을 이용하여 드로잉 공법 및 프레스 공법을 통해 몸체(10)와 상부 캡(20), 받침쇠(30), 받침 커버(50), 와샤(60)를 간단히 제작함으로써, 종래 대비 제작단가가 크게 감소됨은 물론 제작공정도 간편해져서 생산성이 상승되는 특징을 가지는데, 특히 고정 볼트(5)를 조이거나 풀 때 몸체(10)가 고정 볼트(5)와 같은 방향으로 따라서 도는 폐단을 해결한 것이 더욱 큰 특징으로 대두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해당하는 구조는 도4와 같은데, 이는 구멍(14)이 형성된 상단 턱(13)의 아래로 육각 관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육각 관부(11)의 아래쪽에는 확장관부(12)가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단 턱(13)의 구멍(14) 안으로 삽입되어 상단 턱(13)을 엄폐시키며 절곡되어 상단 턱(13)에 고정되는 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관부(21)의 안으로는 구멍(22)이 형성되며, 가장자리로 최소 1개 이상의 절개 홈(23)이 형성된 상부 캡(20)과;
상기 몸체(10)의 육각 관부(11) 안으로 삽입되는 육각 너트(40)와;
상기 몸체(10)의 확장관부(12) 안으로 삽입되어 돌출 환(31)이 육각 너트(40)를 받혀주며 가장자리의 돌출 단(32)이 확장관부(12)에 억지끼움식으로 고정되 는 받침쇠(30)로 구성되는 바,
여기서 상부 캡(20)의 관부(21)는 도4와 같이 몸체(10)의 상단 턱(13)에 형성된 구멍(14) 안으로 삽입된 후 펀칭 작업 또는 프레스 작업에 의하여 절곡됨에 따라 도4와 같이 상단 턱(13)을 엄폐시키면서 서로 고정이 되며, 절개 홈(23)은 도10과 같이 본 발명의 매립형 너트를 제1 물체(1)의 구멍(2) 안에 접착제(3)를 일정량 채운 후 삽입시켰을 때 접착제(3)가 넘쳐서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몸체(10)에는 도1, 도2, 도3과 같이 육각 관부(11)를 형성시켜서 도8과 같이 제1 물체(1)의 구멍(2) 안으로 도1, 도17과 같이 완성 조립이 된 본 발명을 삽입시키고 접착제(3)를 통해 제1 물체(1)와 고정이 되도록 하면, 도8과 같이 고정 볼트(5)를 조여서 제2 물체(4)를 제1 물체(1)에 고정을 시킬 때 육각 관부(11)로 인하여 몸체(10)가 고정 볼트(5)를 돌리는 방향을 따라서 같이 돌아버리는 현상이 완전히 소멸된다.
즉, 제1 물체(1)의 구멍(2) 안에 충진되어 굳은 접착제(3)는 몸체(10)의 육각 관부(11)의 외부쪽이면서 제1 물체(1)의 구멍(2) 안에서 굳은 상태가 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볼트(5)를 강하게 조이거나 또는 풀 때 육각 관부(11)의 다각형 형태의 특징에 의하여 육각 관부(11)가 헛돌지 않도록 강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육각 관부(11) 안으로는 도4와 같이 육각 너트(40)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도8과 같이 고정 볼트(5)는 육각 너트(40)에 조립되는 것은 당연하며, 육각 너트(40)는 육각 관부(11) 안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절대 헛도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것임은 당연한 이치이다.
이어서 살피면, 도4와 같이 육각 너트(40)의 아래쪽에는 받침대(30)가 위치하며 받침쇠(30)에는 돌출 환(31)이 형성되어 있어서 육각 너트(40)를 받혀 주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쇠(30)의 돌출 단(32)은 도4와 같이 확장관부(12) 안에 억지끼움식으로 고정이 되는데, 확장관부(12) 안으로 받침쇠(30)를 삽입시킨 후 확장관부(12)의 하단 언저리를 압착시켜서 고정시키거나 시밍(seaming) 공법을 통해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육각 관부(11)는 사각형 또는 삼각형 또는 팔각형 등으로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한데, 사각형과 삼각형은 접착제의 사용량이 필요 이상으로 증가되기 때문에 육각형의 형태에 비하여 경제성이 불량하고 또한 드로잉 공법으로 제작하기도 까다롭고 불량 발생의 가능성이 높아서 좋지 못하며, 팔각형의 경우에는 사실상 원형과 크게 다를 바가 없어서 종래의 매립형 너트와 같이 몸체가 고정 볼트와 함께 같은 방향으로 따라서 도는 현상을 완전히 방지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육각 관부(11)를 사각형이나 삼각형 또는 팔각형으로 변화시킨다는 것은 본 발명에 비추어 볼 때 진보성이 결여되고 하위 개념의 안(案)에 불과한 것이다.
그리고 몸체(10)의 확장관부(12)는 도8과 같이 제1 물체(1)의 구멍(2) 안에서 접착제(3)에 의해 몸체(10)가 고정이 되었을 때 고정 볼트(5) 또는 제2 물체(4) 가 제1 물체(1)로부터 분리되려고 하는 힘이 작용되어도 접착제(3) 층에 걸려서 몸체(10)가 구멍(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 도5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살피면, 이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 육각 너트(40a)의 저면에 지지다리(41)를 구비시키고,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된 받침쇠(30) 대신에 받침 커버(50)만을 사용하는 구조적인 차이가 있으며, 작용적인 면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다음, 도6과 같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살피면, 제1 실시예와 같이 육각 너트(40)를 육각 관부(11) 안에 삽입시키되, 받침 커버(50) 안으로 와샤(60)를 삽입시켜 와샤(60)의 돌출 환(61)이 육각 너트(40)를 지지하도록 하는 구조적인 차이가 있을 뿐 작용적인 면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다음, 도7과 같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살피면, 제3 실시예에서 와샤(60) 대신에 원형 판(70)을 삽입시킨 차이가 있을 뿐 작용적인 면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을 기준한 평면도.
도3은 도1을 기준한 정면도.
도4와 도2의 A-A선 단면도이며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7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9와 도10은 종래 매립형 너트의 몸체를 나타낸 참고 사진.
도11은 종래 매립형 너트의 너트를 나타낸 참고 사진.
도12와 도13은 본 발명의 몸체를 나타낸 참고 사진.
도14는 본 발명의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 사진.
도15와 도16은 본 발명의 상부 캡을 나타낸 참고 사진.

Claims (4)

  1. 구멍(14)이 형성된 상단 턱(13)의 아래로 육각 관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육각 관부(11)의 아래쪽에는 확장관부(12)가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단 턱(13)의 구멍(14) 안으로 삽입되어 상단 턱(13)을 엄폐시키며 절곡되어 상단 턱(13)에 고정되는 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관부(21)의 안으로는 구멍(22)이 형성되며, 가장자리로 최소 1개 이상의 절개 홈(23)이 형성된 상부 캡(20)과;
    상기 몸체(10)의 육각 관부(11) 안으로 삽입되는 육각 너트(40)와;
    상기 몸체(10)의 확장관부(12) 안으로 삽입되어 돌출 환(31)이 육각 너트(40)를 받혀주며 가장자리의 돌출 단(32)이 확장관부(12)에 억지끼움식으로 고정되는 받침쇠(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너트.
  2. 구멍(14)이 형성된 상단 턱(13)의 아래로 육각 관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육각 관부(11)의 아래쪽에는 확장관부(12)가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단 턱(13)의 구멍(14) 안으로 삽입되어 상단 턱(13)을 엄폐시키며 절곡되어 상단 턱(13)에 고정되는 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관부(21)의 안으로는 구멍(22)이 형성되며, 가장자리로 최소 1개 이상의 절개 홈(23)이 형성된 상부 캡(20)과;
    상기 몸체(10)의 육각 관부(11) 안으로 삽입되며 하방으로 최소 3개 이상의 지지다리(41)를 가지는 육각 너트(40a)와;
    상기 몸체(10)의 확장관부(12) 안으로 삽입되어 육각 너트(40a)의 지지다리(41)를 받혀주며 가장자리의 돌출 단(51)이 확장관부(12)에 억지끼움식으로 고정되는 받침커버(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너트.
  3. 구멍(14)이 형성된 상단 턱(13)의 아래로 육각 관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육각 관부(11)의 아래쪽에는 확장관부(12)가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단 턱(13)의 구멍(14) 안으로 삽입되어 상단 턱(13)을 엄폐시키며 절곡되어 상단 턱(13)에 고정되는 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관부(21)의 안으로는 구멍(22)이 형성되며, 가장자리로 최소 1개 이상의 절개 홈(23)이 형성된 상부 캡(20)과;
    상기 몸체(10)의 육각 관부(11) 안으로 삽입되는 육각 너트(40)와;
    상기 몸체(10)의 확장관부(12) 안으로 삽입되어 육각 너트(40)를 받혀주는 돌출 환(61)이 구비된 와샤(60)와;
    상기 확장관부(12) 안으로 삽입되어 와샤(60)의 이탈을 방지하며 가장자리의 돌출 단(51)이 확장관부(12)에 억지끼움식으로 고정되는 받침커버(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너트.
  4. 구멍(14)이 형성된 상단 턱(13)의 아래로 육각 관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육각 관부(11)의 아래쪽에는 확장관부(12)가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단 턱(13)의 구멍(14) 안으로 삽입되어 상단 턱(13)을 엄폐시키며 절곡되어 상단 턱(13)에 고정되는 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관부(21)의 안으로는 구멍(22)이 형성되며, 가장자리로 최소 1개 이상의 절개 홈(23)이 형성된 상부 캡(20)과;
    상기 몸체(10)의 육각 관부(11) 안으로 삽입되는 육각 너트(40)와;
    상기 몸체(10)의 확장관부(12) 안으로 삽입되어 육각 너트(40)를 받혀주는 원형 판(70)과;
    상기 확장관부(12) 안으로 삽입되어 원형 판(70)의 이탈을 방지하며 가장자리의 돌출 단(51)이 확장관부(12)에 억지끼움식으로 고정되는 받침커버(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너트.
KR1020100098024A 2010-10-06 2010-10-06 매립형 너트 KR101175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024A KR101175011B1 (ko) 2010-10-06 2010-10-06 매립형 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024A KR101175011B1 (ko) 2010-10-06 2010-10-06 매립형 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812A KR20120035812A (ko) 2012-04-16
KR101175011B1 true KR101175011B1 (ko) 2012-08-17

Family

ID=46137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024A KR101175011B1 (ko) 2010-10-06 2010-10-06 매립형 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0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6275U (ko) 1973-07-02 1975-03-26
JPS5099353U (ko) 1974-01-21 1975-08-18
US6733221B2 (en) 2000-04-27 2004-05-11 Jokab Safety Ab Insert nut for a screw nut joint
US7309200B2 (en) 2003-01-13 2007-12-18 Progress-Werk Oberkirch Ag Arrangement for connecting a tubular first component to a second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n arrangement of this typ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6275U (ko) 1973-07-02 1975-03-26
JPS5099353U (ko) 1974-01-21 1975-08-18
US6733221B2 (en) 2000-04-27 2004-05-11 Jokab Safety Ab Insert nut for a screw nut joint
US7309200B2 (en) 2003-01-13 2007-12-18 Progress-Werk Oberkirch Ag Arrangement for connecting a tubular first component to a second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n arrangement of this 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812A (ko) 201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03521B (zh) 一种预制构件预埋件精确定位固定装置及其使用方法
KR200473516Y1 (ko) 도로시설물용 지주의 연결구조
KR101175011B1 (ko) 매립형 너트
US6524044B1 (en) Fastener of high prevailing torque, pulling force, and stripping torque
JP6081828B2 (ja) 竪樋支持具
JP6434671B1 (ja) 閉蓋固定構造
JP2016223523A (ja) 座金及び座金付きナット
JP3113230U (ja) 緩み止め具
CN208804095U (zh) 一种螺母和螺丝连接结构
CN102644378A (zh) 框架结构垂直于立柱表面钢筋的预埋方法及其夹持装具
JP3078986U (ja) ネジの構造
JP2011047105A (ja) 扉用埋込み取手
JP3144051U (ja) 緩み止め特殊ナット
CN210034119U (zh) 一种车用滑槽限位圈螺母
CN110949576B (zh) 土除固定装置
JP3185754U (ja) グレーチング蓋の設置構造およびコンクリート蓋および側溝ブロック
KR101158043B1 (ko) 일방향 고정금구
JP3120730U (ja) ポップナット付金具およびポップナット取付用金具
JP2005171501A (ja) 柱脚金物
KR200413711Y1 (ko) 보울트 조립구조
FR2793534A1 (fr) Vis de fixation
JP2018132130A (ja) ナット
CN205663728U (zh) 一种防止钣金孔位与凸焊螺母偏焊结构
JP6670501B2 (ja) 締結部材、締結部材製造方法、締結部材取り扱い方法、及び締結方法
JPH053921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