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382B1 -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 Google Patents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382B1
KR101174382B1 KR1020127014478A KR20127014478A KR101174382B1 KR 101174382 B1 KR101174382 B1 KR 101174382B1 KR 1020127014478 A KR1020127014478 A KR 1020127014478A KR 20127014478 A KR20127014478 A KR 20127014478A KR 101174382 B1 KR101174382 B1 KR 101174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pipe
water discharge
polluted water
ware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4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79174A (en
Inventor
사다히코 시마오
료 카토
신야 야마사키
코지로 스가
Original Assignee
카와사키 키센 카이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사키 키센 카이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카와사키 키센 카이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79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1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3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Sewage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Chutes (AREA)

Abstract

짐을 내리는 작업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위험한 작업을 없이도 오염수를 오염수 저장부에 배출시킬 수 있다. 본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10)는 화물 창고(110)에 실려진 화물(120)에 포함된 오염수(130)를 화물 창고의 저면(112)에 설치된 배수구(114)를 거쳐 오염수 저장부(140)에 배출시킨다.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는 제1 부분(20), 제2 부분(30) 및 제3 부분(4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1 부분은 화물 창고의 측벽면(116)에 설치된다. 제1 부분은, 측면에 중공 부분과 연통하는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고 있고, 화물 창고의 저면(112) 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제2 부분은 화물 창고의 저면 상에서부터, 화물 창고의 저면의 배수구 안에 이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3 부분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연결한다. It does not affect the unloading operation, and contaminated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contaminated water reservoir without dangerous work. 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10) is a polluted water storage unit via a drainage port 114 installed on the bottom 112 of the freight warehouse in the polluted water 130 contained in the cargo 120 loaded in the cargo warehouse 110 To 140. 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is configured with a first portion 20, a second portion 30 and a third portion 40. The first part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surface 116 of the cargo warehouse. The 1st part is equipped with the some hole which communicates with a hollow part in the side surface, and is in a position higher than the bottom face 112 of a cargo warehouse. The 2nd part is provided so that it may reach from the bottom of a cargo warehouse to the drain hole of the bottom of a cargo warehouse. The third portion also connects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Description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Pollu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본 발명은 오염수의 배출을 촉진시키는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선박의 화물 창고에 쌓여 있는 화물에 포함된 물을 오염수 저장부(bilge well)로 배출하는데 사용되는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for facilitating the discharge of contaminated w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facilitating pipe used for discharging water contained in a cargo stored in a cargo warehouse of a ship to a contaminated water reservoir. .

철광석 등을 수송하는 화물선 등의 선박에서는, 화물 창고(이하, 카고 홀드(hold)라 하기도 한다)에 쌓여 있는 철광석 등의 화물(이하, 카고(cargo)라 하기도 한다)에 포함되어 있는 물(이하, 오염수(bilge)라 하기도 한다)을 선저 부근에 설치된 오염수 저장부(bilge well)를 거쳐 배출한다(그 예로서, 하기의 특허 문헌 1 참조).In ships such as cargo ships carrying iron ore, water contained in cargo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rgo), such as iron ore, stored in a cargo warehou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rgo hold) (Also referred to as bilge) is discharged through a bilge well installed near the bottom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 1 below).

여기서, 브라질 PDM(Ponta Da Madeira) 항구에서 적재된 카라쟈스 파인(Carajas Fine)이라 불리는 철광석은 오염수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Here, iron ore called Carajas Fine loaded in PDM port of Brazil is known to contain a lot of contaminated water.

도 7을 참조하여 카라쟈스 파인을 적재하는데 사용되는 화물 창고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종래의 화물 창고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With reference to FIG. 7, the cargo warehouse used for loading Karajas pine is demonstrated. 7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warehouse.

상기 종래의 화물 창고(110)는 오염수(130)를 효율적으로 오염수 저장부(140)에 배출하기 위하여, 화물 창고(110)의 저면(112)에 형성된 오염수 저장부(140)로 오염수를 배출하는 배출구(114)에, MDSV(Micro Drainage System for Vessel)이라 불리는 철망 형의 여과기(필터)(150)가 설치되어 있다.The conventional cargo warehouse 110 is contaminated with the contaminated water storage unit 14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12 of the cargo warehouse 110 in order to discharge the contaminated water 130 to the contaminated water storage unit 140 efficiently. In the discharge port 114 for discharging water, a wire mesh type filter (filter) 150 called MDSV (Micro Drainage System for Vessel) is provided.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특개평11-348892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348892

하지만,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여과기(150)를 사용하는 경우 여과기(150)가 막히거나 하여 오염수(130)가 오염수 저장부(140)에 배출되지 않고, 화물(120)의 주위에 잔존하게 될 수 있다. 오염수(130)가 잔존하게 된다면, 배에서 짐을 내릴 때 오염수(130)를 배출하는 처리 등을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나빠지게 되고, 그 결과 짐을 내리는 작업에 시간이 더 걸리게 된다.However, when the filter 150 is use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the filter 150 is blocked or contaminated water 130 is not discharged to the contaminated water storage unit 140, but the periphery of the cargo 120 is increased. May remain. If the contaminated water 130 remains, the work efficiency is worsened because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contaminated water 130 when unloading the ship, and as a result, the work to unload takes more time.

이와 같이 짐을 내리는 작업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해서 항행 중에 수작업으로 오염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하지만, 화물 창고의 바닥에서 갑판까지의 높이는 10미터를 넘을 뿐 아니라 배에 영향을 주거나 쌓여있는 짐이 무너질 염려가 있기 때문에, 항행 중에 화물이 적재되어 있는 화물 창고의 바닥에 내려가는 건 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In order not to affect the unloading operation, the contaminated water can be manually discharged during navigation. However, the height from the floor to the deck of the cargo depot is not only 10 meters high, but also affects the ship or can cause the stacked load to collapse.Therefore, it is dangerous to go down to the floor of the cargo depot where cargo is loaded during the flight. Not desirabl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수를 오염수 저장부로 배출시키는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romoting pipe for discharging contaminated water to a contaminated water storage uni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는 화물 창고 내에 설치되고, 화물 창고에 적재된 화물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수를 오염수 저장부에 배출시킨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cargo warehouse, and discharges the contaminated water contained in the cargo loaded in the cargo warehouse to the contaminated water storage unit.

상기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는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1 부분은 화물 창고의 측벽면 상에 설치된다. 제1 부분은 측면에 중공 부분과 연통하는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고 있고, 화물 창고의 저면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제2 부분은 화물 창고의 저면 위에서부터 화물 창고의 저면에 설치된 배수구 안에 이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3 부분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연결한다.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has a first portion, a second portion and a third portion. The first part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cargo warehouse. The first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ortion on the side, and is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bottom of the cargo warehouse. The second part is provided so as to reach from the bottom of the cargo warehouse to the drain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argo warehouse. In addition, the third portion connects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본 발명의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에 의하면, 오염수가 제1 부분에 설치된 구멍을 통해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 안으로 보내지고, 제1 부분, 제3 부분 및 제2 부분을 거쳐 오염수 저장부에 배출된다. 그 결과, 화물을 내릴 때 화물 창고 내의 오염수의 배출 작업이 필요 없게 되거나 경감되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romoting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luted water is sent into 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romoting pipe through a hole provided in the first part, and discharged to the polluted water storage part via the first part, the third part and the second part. . As a result, when the cargo is unloaded, the operation of discharging the contaminated water in the cargo warehouse is no longer required or reduced.

도 1은 화물 창고를 위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2는 화물이 쌓여 있는 화물 창고의 내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의 모식도이다.
도 4는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의 제1 부분의 모식도이다.
도 5는 제3 부분이 2 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의 모식도이다.
도 6은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의 부착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은 종래 화물 창고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cargo warehouse from above.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argo warehouse in which cargo is accumulated.
3 is a schematic view of 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4 is a schematic view of a first portion of 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5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romoting pipe having a third portion composed of two portions.
6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attachment of 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7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warehous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겠지만, 각 구성 요소의 형상, 크기 및 배치 관계에 대하여는 본 발명이 이해될 수 있는 정도로 생략하여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겠지만, 각 구성 요소의 재질 및 수치적 조건은 단순한 바람직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구성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시킬 수 있는 많은 변경 또는 변형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the shape, size, and arrangement | positioning relationship of each component are only abbreviate | omitted and shown to the extent that this invention can be understood. 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able structural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elow, the material and numerical conditions of each component are only preferable example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there can be many modifications or variations that can achiev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으로, 화물선에는 화물 창고(hold)의 하측에 있는 선저 부근에 오염수 저장부(bilge well)가 설치되어 있다. 화물(cargo)에 포함되어 있는 물(오염수(bilge))은 화물 창고의 저면에 설치된 배수구를 거쳐 오염수 저장부에 보내진다. 오염수 저장부에 보내진 오염수는 상황에 따라서 수시로 배 밖으로 배출된다.In general, cargo ships are equipped with a bilge well near the bottom of the cargo hold. Water contained in cargo (bilge) is sent to the contaminated water storage via drain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argo warehouse. Contaminated water sent to the contaminated water reservoir is often discharged from the ship, depending on the situation.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화물 창고를 위에서 본 개략도이다. 또한, 도 2는 화물이 쌓여 있는 상태의 화물 창고 내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의 모식도이다.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romo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 and 3. 1 is a schematic view of a cargo warehouse from above. 2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inside of the cargo warehouse in the state where cargo is piled up. 3 is a schematic view of 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본 실시예의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10)는 화물 창고(110) 안에서 시작하여 배수구(114) 안까지 이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10)가 오염수 저장부(140)까지 이르는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10)는 화물 창고(110) 내의 오염수(130)가 오염수 저장부(140)로 배출되는 것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so as to start in the cargo warehouse 110 and reach into the drain hole 114. In addition, 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romoting pipe 10 may be configured to reach the contaminated water storage unit 140. 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10 is used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the polluted water 130 in the cargo warehouse 110 to the polluted water storage 140.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10)는 제1 부분(20), 제2 부분(30) 및 제3 부분(40)으로 구성된다. 제3 부분(40)은 제1 부분(20)과 제2 부분(30)을 연결하는 부분이다.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10 is composed of a first portion 20, a second portion 30, and a third portion 40. The third portion 40 is a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portion 20 and the second portion 30.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10)는 임의의 바람직한 재료로 이루어진 관상 부재(파이프)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로서, 선박의 보수 등에 사용되기 위하여 선박에 통상 실려 있는 철 재질의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파이프를 연결하거나 필요에 따라서 가공하여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가 형성된다. 여기서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10)의 제1 부분(20), 제2 부분(30) 및 제3 부분(40)은 서로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제1 부분(20), 제2 부분(30) 및 제3 부분(40)을 각각 복수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구성하여도 좋다.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10 is constructed using a tubular member (pipe) made of any desired material. As the pipe, an iron pipe usually loaded on a ship can be used to be used for repairing a ship. A plurality of pipes are connected or processed as necessary to form a pollu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Here, the first portion 20, the second portion 30 and the third portion 40 of 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10 may be freely attached to each other. In addition, you may comprise the 1st part 20, the 2nd part 30, and the 3rd part 40, respectively connecting a some pipe.

제1 부분(20)은 화물 창고(110)의 하부 스툴(Lower Stool)(116a) 또는 호퍼(hopper)(116b) 위에 설치된다. 이하 설명에서는, 하부 스툴(116a) 또는 호퍼(116b)라 통칭하도록 한다. 또한, 제1 부분(20)은 화물(120) 안에 파묻히지 않도록 화물 창고(110)의 저면(112)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좋다.The first portion 20 is installed above the lower stool 116a or the hopper 116b of the cargo warehouse 110.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lower stool 116a or the hopper 116b will be referred to collectively. In addition, the first portion 20 is preferably install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112 of the cargo warehouse 110 so as not to be buried in the cargo 120.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의 제1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의 제1 부분의 모식도이다. 제1 부분(20)은 파이프의 중공 부분(22)과 연통하는 복수의 구멍(24)을 그 측면에 구비하고 있다. 화물(120)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수(130)는 제1 부분(20)의 측면 구멍(24)을 통하여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10) 안으로 들어간다(도 2에서 화살표(I)로 표시됨).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10) 안에 들어간 오염수는 제1 부분(20), 제3 부분(40) 및 제2 부분(30)을 거쳐 오염수 저장부(140)에 보내지게 된다(도 2에서 화살표(Ⅱ)로 표시됨). With reference to FIGS. 2-4, the 1st part of the polluted-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is demonstrated. 4 is a schematic view of a first portion of 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The first portion 20 has a plurality of holes 24 on its side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ortion 22 of the pipe. The contaminated water 130 contained in the cargo 120 enters 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10 through the side hole 24 of the first portion 20 (indicated by arrow I in FIG. 2). The contaminated water entering 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10 is sent to the contaminated water storage 140 through the first part 20, the third part 40, and the second part 30 (FIG. 2). Arrow (II)).

예를 들어, 제1 부분(20)을 직선형의 1 개의 파이프로 형성하고, 측벽면(116) 상에서 연직면 안에 포함되도록 배치하여, 제1 부분(20)의 양단 중 낮은 위치에 있는 단부(제1 단부)(26)가 제3 부분(40)과 연결되는 구성이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portion 20 is formed of one straight pipe, and is disposed to be included in a vertical surface on the sidewall surface 116 so that the end portions (first of both ends of the first portion 20) are lowered. End portion 26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portion 40.

또한, 제1 부분(20)의 제1 단부(26)와는 상이한 단부, 즉 제3 부분(40)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제2 단부(28)는 임의의 바람직한 부재(29)로 닫혀 있는 것이 좋다. 제2 단부(28)를 닫아 둠으로써, 철광석을 싣는 등의 작업 시에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10) 안에 철광석이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In addition, an end por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end portion 26 of the first portion 20, that is, the second end portion 28 which is not connected to the third portion 40, is preferably closed by any desired member 29. . By closing the second end 28, the iron ore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10 during an operation such as loading iron ore.

제2 부분(30)은 예를 들어 L자 형상의 파이프로 구성되고, 그 일단(제1 단부)(36)이 화물 창고(110)의 저면(112) 상에 배치된다. 이 저면(112) 상에 배치된 제1 단부(36)가 제3 부분(40)과 연결된다. The second portion 30 consists of an L-shaped pipe, for example, and one end (first end) 36 is disposed on the bottom face 112 of the cargo hold 110. The first end 36 disposed on the bottom 112 is connected to the third portion 40.

제2 부분(30)의 타단(제2 단부)(38)은 화물 창고(110)의 저면(112)에 설치된 배수구(114) 안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화물 창고(110), 배수구(114) 및 오염수 저장부(140)의 형상 및 배치에 따라, 제2 부분(30)의 제2 단부(38)가 배수구(114)를 거쳐 오염수 저장부(140)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도 좋다.The other end (second end) 38 of the second portion 30 is arranged in a drain 114 provided on the bottom 112 of the cargo hold 110. Further, according to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cargo warehouse 110, the drain 114, and the contaminated water storage 140, the second end 38 of the second portion 30 stores the contaminated water via the drain 114. You may install so that it may be located in the part 140.

여기서, 배수구(114)에 MDSV 등의 여과기(15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2 부분(30)의 제2 단부(38)는 여과기(150)의 상측에 설치되고, 제2 부분(30)에서 여과기(150)를 거쳐 오염수 저장부(140)에 오염수(130)를 보내는 구성도 좋고, 여과기(150)의 하측에, 즉 제2 부분(30)이 여과기(15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여과기(150)를 거치지 않고 오염수 저장부(140)에 오염수(130)를 보내는 구성도 좋다. 이 중 어느 경우라도 오염수(130)가 오염수 저장부(140)로 배출되는데 영향을 주지 않는다. Here, when the filter 150 such as MDSV is provided in the drain 114, the second end 38 of the second portion 30 is provided above the filter 150, and the second portion 30 is provided. In the condensed water storage unit 140 via the filter 150 to the contaminated water 130 may be configured,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150, that is, the second portion 30 is installed so as to penetrate the filter 150 The contaminated water 130 may be sent to the contaminated water storage unit 14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lter 150. In any of these cases, the polluted water 130 may not be discharged to the polluted water storage 140.

제3 부분(40)은 화물 창고(110)의 저면(112) 및 측벽면(116)의 형상에 따라서 제공되고, 화물 창고(110)의 저면(112) 위에서 측벽면(116) 위에 까지 설치되어 있다. 제3 부분(40)은 L자 형상 또는 " < "자 형상으로서, 뻗어 있는 방향의 일부분이 굴곡진 형상으로 구성된다. 제3 부분(40)의 저면(112) 상의 단부(제1 단부)(47)는 제2 부분(30)과 연결된다. 또한, 제3 부분(40)의 측벽면(116) 상의 단부(제2 단부)(48)는 제1 부분(20)과 연결된다. 제3 부분(40) 중 측벽면(116) 상의 부분에 해당하는 길이와 제3 부분(40) 자체가 저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높이에 의하여, 제1 부분(20)이 화물 창고(110)의 저면(112)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높이(h)가 결정된다. 또한, 제3 부분(40) 자체가 저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높이는 후술하게 될 금속 배관 고정구의 형상과 같이 제3 부분(40)의 저면(112)에 대한 고정 방법에 의하여 결정된다.The third portion 40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ottom 112 and the side wall surface 116 of the cargo warehouse 110, and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surface 116 from the bottom 112 of the cargo warehouse 110 to the top. have. The third portion 40 is L-shaped or "<" shaped, and a part of the extending direction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n end (first end) 47 on the bottom face 112 of the third part 40 is connected with the second part 30. Also, an end (second end) 48 on the sidewall surface 116 of the third portion 40 is connected with the first portion 20.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third portion 40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on the side wall surface 116 and the height at which the third portion 40 itself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the first portion 20 has a bottom surface ( A height h away from 112 is determined. In addition, the height at which the third portion 40 itself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is determined by the fixing method to the bottom surface 112 of the third portion 40, such as the shape of the metal pipe fixture to be described later.

화물(120)의 예로서 철광석은 적재량이 제한되는 등의 이유로 화물 창고(110) 안에 가득 적재되지 않는다. 이 경우 화물(120)은 측벽면(116) 부근에 비하여 화물 창고(110)의 중앙 부근에 많이 적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화물(120)은 중앙부가 높게 쌓여 올려져 있는 형상으로 적재되어 있기 때문에, 측벽면(116) 부근에 있는 화물(120)의 높이는 낮아지게 된다.Iron ore as an example of the cargo 120 is not fully loaded in the cargo warehouse 110, such as the load is limited. In this case, the cargo 120 is generally loaded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cargo warehouse 110 compared to the vicinity of the side wall surface 116. That is, since the load 120 is stacked in a shap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is stacked high, the height of the load 120 near the side wall surface 116 is lowered.

예를 들어, 제1 부분(20)을 직경 100mm 및 길이 4000mm의 파이프를 사용하고 제1 단부(26)가 화물 창고(110)의 저면(112)에서 떨어져 있는 높이(h)를 380mm 정도로 하면, 오염수(130)가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10) 안을 통과하여 오염수 저장부(140)에 배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단부(26)의 높이(h)는 제3 부분(40)과의 연결에 사용하는 플런지 중 가장 높은 위치를 기준으로 결정한다. 즉, 상기 높이(h)는 제3 부분(40)이 화물 창고(110)의 저면(112)에서 가장 떨어져 있는 높이에 대응한다.For example, if the first portion 20 uses a pipe having a diameter of 100 mm and a length of 4000 mm, and the height h at which the first end 26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112 of the cargo warehouse 110 is about 380 mm, It can be seen that the contaminated water 130 passes through 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10 and is discharged to the contaminated water storage 140. Here, the height h of the first end 26 is determined based on the highest position of the plunge used for the connection with the third portion 40. In other words, the height h corresponds to the height at which the third part 40 is furthest from the bottom 112 of the cargo hold 110.

또한, 제1 부분(20)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구멍(24)은 임의의 바람직한 수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구멍(24)의 직경이 작으면 막힘 현상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한편, 구멍(24)의 직경이 크면 짐을 싣거나 짐을 내릴 때에 철광석이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10) 안에 다량으로 들어가버리거나 해서 바람직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할 위험이 있다.In addition, the some hole 24 provided in the 1st part 20 can be formed by arbitrary preferable means. Here, when the diameter of the hole 24 is small, there exists a possibility of causing a clogging phenomen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ameter of the hole 24 is large, there is a risk that iron ore may enter 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10 in large quantities when loading or unloading, and thus failing to achieve proper performance.

그래서, 직경이 5mm와 10mm의 구멍(24)을 제1 부분(20)의 높이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번갈아 가며 설치하여 시험한 결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으키지 않고 바람직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제1 부분(20)의 복수의 구멍(24)의 직경을 5mm이상 10mm 이하의 범위 내로 설정해 두면 좋다. 하지만 구멍(24)의 직경은 이러한 범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번 시험에서는 5mm와 10mm의 구멍을 사용하였지만, 바람직한 성능을 발휘한다면 구멍(24)의 직경을 5mm보다 작거나 또는 10mm보다 크게 하여도 좋다.Therefore, when the holes 24 having diameters of 5 mm and 10 mm were alternately installed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portion 20, the test result wa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s were exhibited without causing the above problems. Therefor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et the diameter of the some hole 24 of the 1st part 20 in the range of 5 mm or more and 10 mm or less. However, the diameter of the hole 24 is not limited to this range. Although 5 mm and 10 mm holes were used in this test, the diameter of the hole 24 may be smaller than 5 mm or larger than 10 mm if the desired performance is achieved.

또한, 제3 부분(40)은 2 이상의 서로 자유롭게 착탈 가능한 부분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도 5는 제3 부분이 2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의 모식도이다. 제3 부분(42)이 2 개의 부분(44 및 46)으로 구성되는 경우, 그 중 한 부분이 L자 형상 또는 " < "자 형상의 부분(이하, 굴곡 부분이라 칭한다)(44)으로서 구성되고, 다른 부분이 직선형의 부분(이하, 직선 부분이라 칭한다)(46)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Moreover, it is good for the 3rd part 40 to be provided with two or more parts which can be attached or detached freely. 5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romoting pipe having a third portion composed of two portions. When the third portion 42 is composed of two portions 44 and 46, one of them is configured as an L-shaped or "<" shaped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ent portion) 44 It is good that the other part is comprised by the linear part (henceforth a linear part) 46.

상기 직선 부분(46)의 길이를 임의로 선택함으로써 상기 직선 부분(46)을 길이가 상이한 파이프로 바꾸면 되기 때문에, 다른 구성을 바꿀 필요 없이, 화물 창고(110)의 측벽면(116)과 배출구(114) 사이의 간격이 상이한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직선 부분(46)을 2 이상의 직선 형상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길이 조절을 하는 구성도 좋고, 직선 부분(46)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도 좋다. 배수구(114)의 위치가 상이한 화물 창고(110)에 대하여, 직선 부분(46)의 길이를 700mm에서 2500mm까지의 범위의 파이프를 사용하여 시험하였지만, 어떤 경우에서도 오염수(130)가 오염수 저장부(140)로 배출되는데 영향을 주지 않는다.Since the linear portion 46 can be changed to a pipe having a different length by arbitrarily selecting the length of the linear portion 46, the side wall surface 116 and the discharge port 114 of the cargo warehouse 110 can be changed without any other configuration. The spacing between can be used at different positions. Of course, the structure which adjusts length by connecting two or more linear pipes to the linear part 46 may be sufficient, and the structure which does not have the linear part 46 may be sufficient. For cargo warehouses 110 with different locations of drains 114, the length of straight portion 46 was tested using pipes ranging from 700 mm to 2500 mm, but in any case contaminated water 130 stored contaminated water. Does not affect the discharge to the portion 140.

도 6을 참조하여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의 부착에 대하여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 6, attachment of 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is demonstrated.

브라질의 PDM항구에서 실려진 카라쟈스 파인에는 오염수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화물에 따라서 여과기의 막힘 현상 등을 일으키지 않고 오염수가 오염수 저장부에 배출되거나 내부에 포함된 오염수가 적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가 필요 없게 된다. 필요 없는 파이프가 화물 내에 존재하여, 짐을 내리는 작업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는 착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Carajas Pine, which is loaded at PDM port in Brazil, is known to contain a lot of polluted water.However, depending on the cargo, the pollut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polluted water reservoir or contains less polluted water without causing the filter to become clogged. There is. In this case, 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is not necessary. Unnecessary pipes are present in the cargo, which can interfere with unloading. Therefore, 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may be installed to be detachable.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화물(110)의 저면(112) 및 측벽면(116)에 임의의 바람직한 종래에 주지된 금속 배관 고정구(50)를 용접 등에 의하여 부착시키고,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10)를 상기 금속 배관 고정구(50)에 볼트(52) 등을 사용하여 부착시키는 것이 좋다. 도 6에는 금속 배관 고정구(50)를 측벽면(116)에 부착시키는 예가 나타나 있지만, 저면(112)에도 동일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To this end, for example, any desired conventionally known metal plumbing fixture 50 is attached to the bottom 112 and the side wall 116 of the cargo 110 by welding or the like, and 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10 It may be attached to the metal pipe fixture 50 using a bolt 52 or the like. Although the example which attaches the metal piping fixture 50 to the side wall surface 116 is shown in FIG. 6, it can also b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112 similarly.

또한,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10)는 화물 창고(110)의 내면(저면 또는 측벽면)과 상이한 색상, 예를 들어 황색으로 채색되어 있는 것이 좋다. 화물을 내리는 작업은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크레인 작업은 갑판 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물 창고(110)의 저면(112) 부근에 설치되는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10)에서 10m이상 높은 위치에서 상기 크레인 작업의 조작이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10)를 철 재질의 파이프로 구성하는 경우, 갑판 위에서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10)를 눈으로 보고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다. 만약,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10)의 존재를 인식하지 못하고 짐을 내리는 작업을 한다면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10)이나 크레인의 파손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10)는 멀리서도 눈으로 확인이 용이한 색상, 예를 들어 황색으로 채색되어 있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10 may be colored in a different color from the inner surface (bottom surface or sidewall surface) of the freight warehouse 110, for example, yellow. The work of unloading is performed by using a crane or the like. Since the crane work is performed on the deck, the crane work is operated at a position 10 m or more high in 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10 installed near the bottom 112 of the cargo warehouse 110. For this reason, for example, when 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romoting pipe 10 is made of an iron pipe, it is difficult to visually check 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romoting pipe 10 on the deck. If the operation of unloading without being aware of the presence of 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romoting pipe 10 may lead to damage of 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romoting pipe 10 or the crane. Therefore, 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10 may be colored in a color that is easily visible from afar, for example, yellow.

10: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 20:제1 부분
22:중공 부분 24:구멍
30:제2 부분 40, 42:제3 부분
44:굴곡 부분 46:직선 부분
50:금속 배관 고정구 52:볼트
110:화물 창고 112:저면
114:배수구 116:측벽면
116a:하부 스툴 116b:호퍼
120:화물 130:오염수
140:오염수 저장부 150:여과기
10: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20: first part
22: hollow part 24: hole
30: second part 40, 42: third part
44: bend portion 46: straight portion
50: metal piping fixture 52: bolt
110: cargo storage 112: bottom
114: drain 116: side wall surface
116a: Lower stool 116b: Hopper
120: cargo 130: contaminated water
140: contaminated water storage unit 150: filter

Claims (8)

화물인 철광석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수를 화물 창고의 저면에 설치된 배수구를 거쳐 오염수 저장부에 배출시키는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로서,
직선 형상의 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화물 창고의 측벽면 상에 설치되고, 측면에 중공 부분과 연통하는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화물 창고의 저면 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제1 부분;
L자 형상의 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화물 창고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배수구 안에 이르도록 설치된 제2 부분; 및
뻗어 있는 방향의 일부분이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파이프로 구성되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저면 상의 제1 단부가 상기 제2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측벽면 상의 제2 단부가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는 제3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
It is a pollu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that discharges the polluted water contained in the iron ore, which is a cargo, to the polluted water storage through the drain hol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argo warehouse.
A first portion composed of a straight pipe, installed on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cargo warehous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in the side surface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ortion, and having a position higher than a bottom of the cargo warehouse;
A second portion composed of an L-shaped pipe and installed to reach into the drain from the bottom of the cargo warehouse; And
A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wherein the portion of the extending direction is formed of a pipe having a curved shape, wherein a first end on the bottom surface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rtion and is formed on the sidewall surface. And a third portion having two ends connected to the firs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창고에 대하여 자유롭게 착탈 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
The method of claim 1,
Polluted water discharge promoting pipe is installed so as to be detachably freely with respect to the cargo warehou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이 서로 자유롭게 착탈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rtions can be freely attached to and removed from each ot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이, 두 개 이상의 서로 자유롭게 착탈 할 수 있는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
The method of claim 3,
And said third portion includes two or more portions that can be free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이 구비한 구멍은, 상기 저면으로부터의 상기 제2 부분의 위치 중 가장 높은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e provided in the said 1st part is installed in the position higher than the highest position among the positions of the said 2nd part from the said bottom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단부로서, 상기 제3 부분과 연결되는 제1 단부와는 상이한 제2 단부가 닫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econd en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nd connected to the third part, as the end of the first part, is cl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이 구비하는 복수의 구멍의 직경은 5mm 이상 1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
The method of claim 1,
The diameter of the plurality of holes provided in the first portion is 5mm or more and 10mm or l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창고의 내벽과는 상이한 색상으로 채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배출 촉진 파이프.
The method of claim 1,
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romotion pip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lored in a different color from the inner wall of the cargo warehouse.
KR1020127014478A 2010-02-10 2010-06-25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KR10117438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27294A JP4740376B1 (en) 2010-02-10 2010-02-10 Bilge emission promotion pipe
JPJP-P-2010-027294 2010-02-10
PCT/JP2010/060830 WO2011099177A1 (en) 2010-02-10 2010-06-25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174A KR20120079174A (en) 2012-07-11
KR101174382B1 true KR101174382B1 (en) 2012-08-16

Family

ID=44367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478A KR101174382B1 (en) 2010-02-10 2010-06-25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740376B1 (en)
KR (1) KR101174382B1 (en)
CN (1) CN102666267A (en)
BR (1) BR112012020117B1 (en)
WO (1) WO2011099177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262Y1 (en) 2014-11-07 2016-05-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Device for measuring storing fluid level in shi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78293B2 (en) * 2016-11-29 2018-08-22 川崎汽船株式会社 Bilge emission promotion pip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7689A (en) 1979-11-06 1981-06-06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Slurry transport ship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24146Y1 (en) * 1970-11-11 1974-06-28
JPS527581A (en) * 1975-07-07 1977-01-20 Nippon Kokan Kk <Nkk> Hydroextraction apparatus for slurry boat
DE3624681A1 (en) * 1986-07-22 1988-01-28 Exploration Und Bergbau Gmbh Apparatus for the drainage of a ship's loading space
JPH0634231Y2 (en) * 1987-12-28 1994-09-07 日本鋼管株式会社 Ballast injection / drainage structure with ballast hold
JP2009241861A (en) * 2008-03-31 2009-10-2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Marine vess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7689A (en) 1979-11-06 1981-06-06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Slurry transport shi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262Y1 (en) 2014-11-07 2016-05-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Device for measuring storing fluid level in sh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62072A (en) 2011-08-25
WO2011099177A1 (en) 2011-08-18
BR112012020117B1 (en) 2022-07-26
BR112012020117A2 (en) 2020-08-18
JP4740376B1 (en) 2011-08-03
KR20120079174A (en) 2012-07-11
CN102666267A (en)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382B1 (en)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CA2734861A1 (en) High tonnage winch systems and methods
KR20090100479A (en) The structure of the break water on the head of container ship
EP1648804B1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cargo at sea-side of ship
KR101350909B1 (en) Winding drum for winding a long object
KR102049365B1 (en) Bilge exhaust promotion pipe
US9586752B2 (en) Floating roof tank having support structures for protecting the peripheral seal
JP7088452B2 (en) Offshore floating structure
JP5389206B2 (en) Ship air pip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4013584A1 (en) Ship
WO2011078032A1 (en) Oil tanker, ship category of which is easily changed
NL2013843B1 (en) Hold offloading system.
CN102947174B (en) Discharging method for flat top barge
KR200388466Y1 (en) Corner casting reinforced strength of container
KR102125104B1 (en) Hatch structure and drillship including the same
KR101742222B1 (en) Caisson for treating mixed water
KR101690752B1 (en) Crane boom rests
KR102117378B1 (en) Pipe rack module of offshore structure
KR102235034B1 (en) Cargo tank
KR200467748Y1 (en) pipe assembly
KR101773919B1 (en) Drill ship
KR20130007424U (en) Jig for preventing floor plate from being inverted
KR102658220B1 (en) Optimized layout of Fuel tank in Ultra Large Container Ship
JP4541116B2 (en) Structure of water courses on ships
KR20160000671U (en) Chain loc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