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258B1 -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 - Google Patents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258B1
KR101174258B1 KR1020110036586A KR20110036586A KR101174258B1 KR 101174258 B1 KR101174258 B1 KR 101174258B1 KR 1020110036586 A KR1020110036586 A KR 1020110036586A KR 20110036586 A KR20110036586 A KR 20110036586A KR 101174258 B1 KR101174258 B1 KR 101174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l
sea ice
thickness
sea
ultras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주
정성엽
최걸기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36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2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B1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measuring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8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 G01C9/2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the indication being based on the inclination of the surface of a liquid relative to its container
    • G01C9/22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the indication being based on the inclination of the surface of a liquid relative to its container with interconnected containers in fixed relation to each oth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빙이 존재하는 실해역에서 부유하는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에 장착된 초음파 센서 및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으로서, 상기 초음파 센서가 초음파를 이용하여 해빙의 두께를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울기 센서가 상기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가 기울어진 각도를 계측하고 그 기울어진 각도를 보정하여 정확한 해빙의 두께를 산출해 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해역의 해빙의 두께 변화를 실시간으로 계측하고 그 계측된 결과를 일정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북극 해빙이 녹아 항로가 열리는 시점을 미리 예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적 추이에 따른 해빙 양의 변화를 정확히 분석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realtime sea ice thickness measuring method using ultrasound}
본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실해역의 해빙 두께를 실시간으로 계측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북극 항로의 개척은 고유가와 자원고갈 시대에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사항이다. 북극의 해빙은 지구 온난화에 의하여 그 넓이와 양이 계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며, 이처럼 북극을 덮고 있는 해빙의 두께 정도에 따라 북극 항로의 개척은 그 향방이 나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북극 항로가 열리는 시점과 기간을 알기 위해서는 시간에 따른 해빙의 두께 변화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어야 한다.
실제 해빙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소나(sonar) 센서를 이용하여 해빙의 두께를 자유수면으로부터 계산하는 방법이 있다. 다른 하나의 방법으로는 위성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에 따르면 얼음의 표면적인 두께를 개략적으로만 알 수 있으며 계측 당시 기상상태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헬리콥터 전자석(helicopter electromagnet)을 이용한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에 따르면 헬리콥터에 전자석을 장착한 상태에서 국부적인 지역의 두께만을 계측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 밖에도 드릴링(drilling)을 하여 해빙 핵심부(core)의 깊이를 직접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 방법 또한 북극 해빙의 두께를 평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북극 항로를 개척하기 위해서는 북극 해빙이 녹아 항로가 열리는 시점을 미리 예측할 필요가 있으나 위의 방법들에 따르면 해빙의 실시간 두께 변화를 알아내기 힘들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seasonl ice mass balance buoy)에 초음파 센서를 장착하여 실해역의 해빙의 두께 변화를 실시간으로 계측하고 그 계측된 결과를 일정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북극 해빙이 녹아 항로가 열리는 시점을 미리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빙이 존재하는 실해역에서 부유하는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에 장착된 초음파 센서 및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으로서,
상기 초음파 센서가 초음파를 이용하여 해빙의 두께를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울기 센서가 상기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가 기울어진 각도를 계측하고 그 기울어진 각도를 보정하여 정확한 해빙의 두께를 산출해 내는 단계;
를 포함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빙이 존재하는 실해역에서 부유하는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에 장착된 초음파 센서, 기울기 센서, 데이터 로거 및 데이터 위성 전송 모듈과 상기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와는 별개로 존재하는 사용자 컴퓨터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으로서,
상기 초음파 센서가 초음파를 이용하여 해빙의 두께를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단계;
상기 기울기 센서가 상기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가 기울어진 각도를 계측하고 그 기울어진 각도를 보정하여 정확한 해빙의 두께를 산출해 내는 단계;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초음파 센서 및 상기 기울기 센서의 계측 데이터를 수집 및 처리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위성 전송 모듈이 상기 데이터 로거에 의하여 수집 및 처리된 계측 데이터를 위성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컴퓨터가 상기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계측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해역의 해빙의 두께 변화를 실시간으로 계측하고 그 계측된 결과를 일정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북극 해빙이 녹아 항로가 열리는 시점을 미리 예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적 추이에 따른 해빙 양의 변화를 정확히 분석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형태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 구성 및 실해역 투입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서 해빙이 녹거나(melting) 어는(freezing) 상태의 변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seasonal ice mass balance buoy)의 기울어짐을 모사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센서의 작동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센서로부터 도 2의 기울어짐 각을 보정하는 수학적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형태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작동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형태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작동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 제 1 형태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의 제 1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실해역의 해빙의 두께 변화를 실시간으로 계측하고 그 계측된 결과를 일정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북극 해빙이 녹아 항로가 열리는 시점을 미리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초음파 센서(2)가 초음파를 이용하여 해빙의 두께를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단계 및; 기울기 센서(3)가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1)가 기울어진 각도를 계측하고 그 기울어진 각도를 보정하여 정확한 해빙의 두께를 산출해 내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형태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이하, ‘제 1 형태에 따른 장치’라고 함)의 개략적 구성 및 실해역 투입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제 1 형태에 따른 장치의 구성요소별 기능 및 작용을 중심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seasonal ice mass balance buoy)(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길게 뻗은 부유체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통상 상하가 뒤집히지 않도록 몸체 하부가 상부에 비하여 더욱 비대한 형상을 하고 있다.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1)는 해빙이 존재하는 북극 해역 등 실해역에서 부유하면서 해빙의 두께를 계측하고 그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는바, 이러한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1)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초음파 센서(2), 기울기 센서(3) 및 데이터 로거(4) 등의 구성요소가 장착되어 각자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2) 초음파 센서
초음파 센서(2)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해빙의 두께를 실시간으로 계측한다. 본 발명에서 초음파 센서(2)는 발신용 트랜스듀서(21) 및 수신용 트랜스듀서(22)의 결합 형태로 작용한다.
이 경우 발신용 트랜스듀서(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1)의 수면 상부에 장착되며, 초음파 신호가 해빙을 관통하도록 아래 방향으로 초음파 신호를 발신한다. 그리고 수신용 트랜스듀서(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1)의 수면 하부에 장착되며, 발신용 트랜스듀서(21)가 발신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한다.
초음파 센서(2)는 이러한 발신용 트랜스듀서(21) 및 수신용 트랜스듀서(22)의 상호 작용으로 초음파 신호가 해빙을 관통하는 데 소요된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해빙의 두께를 계측해 낸다.
한편, 극 환경에서 배터리의 수명은 급격히 떨어지게 마련이며, 특히 본 발명에서 초음파 센서(2)는 많은 전력을 소모하므로 자칫하면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 전체의 수명이 크게 단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초음파 센서(2)에 의한 전력의 소모를 줄이고 보다 안정적으로 해빙의 두께를 계측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도 6의 8)가 초음파 센서(2)의 전력을 제어하여 초음파 센서(2)가 소정의 시간 주기를 가지고 일정 주기에만 해빙의 두께를 계측하도록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마이크로프로세서(8)는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1)에 장착된다.
이를 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8)는 전원 공급 장치(도 6의 9)로부터 초음파 센서(2)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여기서의 제어란 초음파 센서(2)에 대한 전력 공급 및 중단을 소정의 시간 주기로 반복하는 것을 의미한다)하여 초음파 센서(2)를 소정의 시간 주기로 꺼두는 작용(일종의 sleep mode 기능)을 한다.
이와 더불어 마이크로프로세서(8)는 초음파 센서(2)의 오작동 또는 내부오류 발생시 초음파 센서(2)를 다시 부팅 시킴(일종의 watch dog 기능)으로써 초음파 센서(2)의 오작동 또는 내부오류 현상이 지속되지 않도록 한다.
(3) 기울기 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빙이 녹았을 때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1)는 자체 부력으로 부유(floating)하게 되며, 날씨의 변화에 따라 해빙이 다시 얼게 되었을 때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1)는 해빙에 의하여 고정되어 더 이상 부유하거나 움직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1)는 그 위치에서의 해빙의 두께를 계측하게 된다.
그런데, 이 경우의 문제는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1)가 수면에 대하여 연직 상하 방향으로 곧바로 선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경우 소정의 기울어진 각도를 가지고 고정된다는 데 있다. 이처럼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1)가 소정의 기울어진 각도를 가지고 고정되는 경우에는 이 상태에서 초음파 센서(2)가 계측한 해빙의 두께(도 4의 x)가 실제 연직 방형으로 형성된 해빙의 두께(도 4의 y)보다 더욱 크게 되어 그 만큼의 오차가 발생하므로 문제가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오차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울기 센서(도 6의 3)가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1)가 기울어진 각도를 계측하고 그 기울어진 각도를 보정하여 정확한 해빙의 두께를 산출해 내도록 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러한 기울기 센서(3)는 액체충전방식 기울기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기울기 센서(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충전된 액체가 언제나 지구 중력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여 수평을 이루는 성질을 이용하여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1)가 기울어진 각도(θ)를 계측해 내게 된다.
그리고 기울기 센서(3)는 이렇게 계측된 각도(θ)를 이용하여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1)의 기울어짐 각을 보정하게 된다(도 4). 즉, 기울기 센서(3)는,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1)가 기울어진 각도가 θ이고,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1)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초음파 센서(2)가 계측한 해빙의 두께가 x라고 할 때, 해빙의 실제 두께(y)를 y = xcosθ 의 수식에 따라 보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1)가 어떠한 각도로 기울어져 고정되는지에 관계없이 항상 정확한 해빙의 두께를 계측해 내게 된다.
(4) 데이터 로거
데이터 로거(도 6의 4)는 초음파 센서(2) 및 기울기 센서(3)의 계측 데이터를 수집 및 처리하는 일종의 컴퓨터 장치이다.
2. 제 2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의 제 2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따르면, sleep mode 기능 및 watch dog 기능을 갖는 마이크로프로세서(8)가 초음파 센서(2)의 전력을 제어하여 소정의 시간 주기에 따라 해빙의 두께를 계측하고, 계측된 데이터는 기울기 센서(3)에 의하여 기울어짐에 따른 보정을 거친 후 데이터 로거(4)에 수집되었다(도 6).
이제 본 발명은 제 1 형태에서 계측된 해빙의 두께 데이터를 일정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이를 북극 해빙이 녹아 항로가 열리는 시점을 미리 예측하는 데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 형태의 확장 개념으로서의 제 2 형태의 발명을 제공하고자 하는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초음파 센서(2)가 초음파를 이용하여 해빙의 두께를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단계; 기울기 센서(3)가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1)가 기울어진 각도를 계측하고 그 기울어진 각도를 보정하여 정확한 해빙의 두께를 산출해 내는 단계; 데이터 로거(4)가 초음파 센서(2) 및 기울기 센서(3)의 계측 데이터를 수집 및 처리하는 단계; 데이터 위성 전송 모듈(5)이 데이터 로거(4)에 의하여 수집 및 처리된 계측 데이터를 위성(7)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사용자 컴퓨터(6)가 위성(7)으로부터 수신한 계측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형태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이하, ‘제 2 형태에 따른 시스템’이라고 함)의 작동 구성도이며, 도 6은 제 2 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작동 순서도이다. 이하 제 2 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요소별 기능 및 작용을 중심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경우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1), 초음파 센서(2), 기울기 센서(3) 및 데이터 로거(4)는 상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데이터 위성 전송 모듈(5) 및 사용자 컴퓨터(6)에 대해서만 추가로 설명하고자 한다.
(5) 데이터 위성 전송 모듈
데이터 위성 전송 모듈(satellite modem)(5)은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1)에 장착된다. 이러한 데이터 위성 전송 모듈(5)은 데이터 로거(4)에 의하여 수집 및 처리된 계측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위성(satellite)(7)에 전송한다. 그러면 위성(7)은 이 데이터를 후술하는 사용자 컴퓨터(6)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도 5, 도 6).
(6) 사용자 컴퓨터
사용자 컴퓨터(6)는 위성(7)으로부터 수신한 계측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도 5).
본 발명에서 사용자 컴퓨터(6)는 개인용 컴퓨터(PC), 개인용 휴대 정보 단말기(PDA), 노트북(notebook), 팜탑(palm top), e북(e-book), 워크 스테이션(work station), 미니 컴퓨터(mini computer), 수퍼컴퓨터(super computer), 핸드폰(cellular phone, mobile phone), 디지털 TV 등 중앙처리장치(CPU) 또는 중앙처리장치가 내장된 주기기에 별도로 부착하여 물리적인 통신 단말 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보조 장치로서 수치처리장치(NPU)를 내장하고 있는 장치 등, 유선, 무선을 불문하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 수신 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임의의 장치를 말한다.
사용자 컴퓨터(6)는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현재까지 계측된 해빙의 시간별 두께 변화 추이를 표시하고 그 연장선상에서 예측 가능한 장래 해빙의 시간별 두께 변화 추이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이를 통하여 시간적 추이에 따른 해빙 양의 변화를 정확히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북극 해빙이 녹아 항로가 열리는 시점을 미리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 2 : 초음파 센서
21 : 발신용 트랜스듀서 22 : 수신용 트랜스듀서
3 : 기울기 센서 4 : 데이터 로거
5 : 데이터 위성 전송 모듈 6 : 사용자 컴퓨터
7 : 위성 8 : 마이크로프로세서
9 : 전원 공급 장치

Claims (17)

  1. 해빙이 존재하는 실해역에서 부유하는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에 장착된 초음파 센서 및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으로서,
    상기 초음파 센서가 초음파를 이용하여 해빙의 두께를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울기 센서가 상기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가 기울어진 각도를 계측하고 그 기울어진 각도를 보정하여 정확한 해빙의 두께를 산출해 내는 단계;
    를 포함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센서는,
    상기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의 수면 상부에 장착된 발신용 트랜스듀서가 초음파 신호가 해빙을 관통하도록 아래 방향으로 초음파 신호를 발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의 수면 하부에 장착된 수신용 트랜스듀서가 상기 발신용 트랜스듀서가 발신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에 따라 해빙의 두께를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센서는,
    상기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가 기울어진 각도가 θ이고,
    상기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초음파 센서가 계측한 해빙의 두께가 x일 때,
    해빙의 실제 두께(y)를 y = xcosθ의 수식에 따라 보정하여 산출해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센서는 액체충전방식 기울기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초음파 센서의 전력을 제어하여 상기 초음파 센서가 소정의 시간 주기를 가지고 해빙의 두께를 계측하도록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초음파 센서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여 상기 초음파 센서를 소정의 시간 주기로 꺼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초음파 센서의 오작동 또는 내부오류 발생시 상기 초음파 센서를 다시 부팅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
  8. 해빙이 존재하는 실해역에서 부유하는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에 장착된 초음파 센서, 기울기 센서, 데이터 로거 및 데이터 위성 전송 모듈과 상기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와는 별개로 존재하는 사용자 컴퓨터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으로서,
    상기 초음파 센서가 초음파를 이용하여 해빙의 두께를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단계;
    상기 기울기 센서가 상기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가 기울어진 각도를 계측하고 그 기울어진 각도를 보정하여 정확한 해빙의 두께를 산출해 내는 단계;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초음파 센서 및 상기 기울기 센서의 계측 데이터를 수집 및 처리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위성 전송 모듈이 상기 데이터 로거에 의하여 수집 및 처리된 계측 데이터를 위성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컴퓨터가 상기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계측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센서는,
    상기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의 수면 상부에 장착된 발신용 트랜스듀서가 초음파 신호가 해빙을 관통하도록 아래 방향으로 초음파 신호를 발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의 수면 하부에 장착된 수신용 트랜스듀서가 상기 발신용 트랜스듀서가 발신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에 따라 해빙의 두께를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센서는,
    상기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가 기울어진 각도가 θ이고,
    상기 실해역 해빙 특성 계측 부이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초음파 센서가 계측한 해빙의 두께가 x일 때,
    해빙의 실제 두께(y)를 y = xcosθ의 수식에 따라 보정하여 산출해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센서는 액체충전방식 기울기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초음파 센서의 전력을 제어하여 상기 초음파 센서가 소정의 시간 주기를 가지고 해빙의 두께를 계측하도록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초음파 센서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여 상기 초음파 센서를 소정의 시간 주기로 꺼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초음파 센서의 오작동 또는 내부오류 발생시 상기 초음파 센서를 다시 부팅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는 개인용 컴퓨터(PC), 개인용 휴대 정보 단말기(PDA), 노트북(notebook), 팜탑(palm top), e북(e-book), 워크 스테이션(work station), 미니 컴퓨터(mini computer), 수퍼컴퓨터(super computer), 핸드폰(cellular phone, mobile phone), 디지털 TV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는 현재까지 계측된 해빙의 시간별 두께 변화 추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는 장래 해빙의 시간별 두께 변화 추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
KR1020110036586A 2011-04-20 2011-04-20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 KR101174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586A KR101174258B1 (ko) 2011-04-20 2011-04-20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586A KR101174258B1 (ko) 2011-04-20 2011-04-20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4258B1 true KR101174258B1 (ko) 2012-08-14

Family

ID=46880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586A KR101174258B1 (ko) 2011-04-20 2011-04-20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2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1203A (zh) * 2020-04-23 2020-08-18 中国极地研究中心 一种海-冰-气三界面无人冰站观测系统
CN112504141A (zh) * 2020-11-24 2021-03-16 水利部南京水利水文自动化研究所 全场景冰厚智能监测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23704A (ja) 1982-06-23 1983-12-26 Nippon Kokan Kk <Nkk> 海氷の厚さ推定方法
JPS62124480A (ja) 1985-11-26 1987-06-05 Nippon Kokan Kk <Nkk> 海氷の氷厚測定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23704A (ja) 1982-06-23 1983-12-26 Nippon Kokan Kk <Nkk> 海氷の厚さ推定方法
JPS62124480A (ja) 1985-11-26 1987-06-05 Nippon Kokan Kk <Nkk> 海氷の氷厚測定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1203A (zh) * 2020-04-23 2020-08-18 中国极地研究中心 一种海-冰-气三界面无人冰站观测系统
CN112504141A (zh) * 2020-11-24 2021-03-16 水利部南京水利水文自动化研究所 全场景冰厚智能监测方法及系统
CN112504141B (zh) * 2020-11-24 2022-03-29 水利部南京水利水文自动化研究所 全场景冰厚智能监测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236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장치 및 시스템
CN111998912B (zh) 一体化全量程窨井水位监测设备及监测方法
KR101025931B1 (ko) 해양 관측용 표류부이
CN105584599A (zh) 一种基于无人艇编队运动的海洋环境监测系统
CN102901975A (zh) 一种移动终端和获取移动终端位置信息的方法
KR101145761B1 (ko) 수질 모니터링 로봇
KR101174258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방법
JP4947283B2 (ja) 無線式土壌湿度計測装置および植物用自動給水装置
CN103134472A (zh) 一种能实时监测河海波浪浪高及频率的测量装置
KR20140078020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해상환경 실시간 감시 시스템
CN102853828A (zh) 一种便携式电子设备
CN109164475A (zh) 基于北斗gps定位系统的集装箱监控方法
JP2008286654A (ja) 管内計測装置
CN106066178A (zh) 一种冰川运动监测方法及系统
Hart et al. A wireless multi-sensor subglacial probe: design and preliminary results
CN105698771B (zh) 取决于气象数据的物位传感器提取
CN114810514A (zh) 风电机组叶尖净空距离测量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201514210U (zh) 集成式海冰厚度测量仪
CN202149802U (zh) 一种用于摊铺机的料位仪及料位测量系统
CN2751309Y (zh) 一种有站位、深度测量和无线通信功能的海流计
CN203298925U (zh) 一种支持gps无线管网压力测量装置
CN102889946A (zh) 一种表层水体温盐度原位传感测量装置
CN208953080U (zh) 一种深基坑地下水位远程监测系统
CN204439172U (zh) 一种基于gprs网络的航道水深远程监测系统
CN103698823A (zh) 沉管隧道管节海上浮运沉放施工气象窗口预报系统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