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557B1 - 휴대 단말의 교통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의 교통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557B1
KR101173557B1 KR1020080131760A KR20080131760A KR101173557B1 KR 101173557 B1 KR101173557 B1 KR 101173557B1 KR 1020080131760 A KR1020080131760 A KR 1020080131760A KR 20080131760 A KR20080131760 A KR 20080131760A KR 101173557 B1 KR101173557 B1 KR 101173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tination
information
traffic information
communication interface
starting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1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3166A (ko
Inventor
김도형
이재호
류철
김선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31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557B1/ko
Publication of KR20100073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17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using user history, behaviour, conditions or preferences, e.g. predicted or inferred from previous use or current mov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23Multimodal routing, i.e. combining two or more modes of transportation, where the modes can be any of, e.g. driving, walking, cycling, public transpo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랜(WLAN), 와이브로(WiBro), 이동통신(CDMA 혹은 HSDPA) 등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와 GPS를 탑재한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혹은 특정 출발지에서 원하는 목적지로의 대중교통정보(버스, 지하철, 기차 등)를 알려주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 사용자의 목적지 입력 기능, 목적지 검색 기능, 위치 판단 기능,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 선택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출발지와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가 위치한 지역 내의 자세한 대중교통 정보를 모르더라도,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대중교통을 이용한 이동 방법을 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로드 네비게이터, 목적지 검색 기능

Description

휴대 단말의 교통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IN MOBILE CLIENT}
본 발명은 교통정보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통신 기능, 예컨대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 WLAN), 와이브로(Wide Broadband ; WiBro), 이동통신(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HSPD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과 같은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와 GPS를 탑재한 단말에서 사용자에게 현재 위치 혹은 특정 출발지에서 같은 지역 혹은 타 지역에 존재하는 목적지까지의 대중교통 정보를 안내하는데 적합한 휴대 단말의 교통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2008-S-022-01, 서비스 지향 맞춤형 모바일 미들웨어 기술 개발].
사용자가 특정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인터넷을 통해 목적지의 홈 페이지(Home Page)나, 해당 지역의 교통정보에 직접 접속하여 목적지까지의 버스, 지하 철, 기차 노선 등을 일일이 조사하여, 원하는 이동 방법을 선택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 WLAN),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이동통신(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HSPD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과 같은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탑재한 단말에서 사용자가 현재 위치 혹은 특정 출발지에서 같은 지역, 혹은 타 지역 내의 존재하는 특정 목적지로 이동하고자 할 때, 비용 및 시간, 사용자 선호도 등을 고려하여 버스, 기차, 지하철 등으로 구성된 최적의 대중교통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의 목적지 입력 기능을 통해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주소, 명칭)를 입력하면, 목적지 검색 기능이 단말에 탑재된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출발지와 목적지가 위치한 지역의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버스, 지하철, 기차 등으로 구성된 대중교통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로드 네비게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관점에 따르면, 휴대 단말을 통해 교통 정보의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는 정보 입력 과정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상기 출발지 정보에서 목적지 정보로의 교통정보를 검색하는 검색 과정과, 상기 검색 과정의 결과에 따른 교통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교통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관점에 따르면, 휴대 단말의 교통정보 제공 장치로서, 상기 교통정보에 대한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지 입력부와, 외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는 GPS와, 상기 GPS로부터의 위치 결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와, 상기 출발지 정보에서 목적지 정보까지의 교통정보를 검색하는 목적지 검색부와, 상기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외부 통신 환경과 인터페이스 하도록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교통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으로 인해,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 WLAN),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이동통신(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혹은 HSPD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과 같은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을 가진 단말에서 사용자가 같은 지역 혹은 타 지역에 존재하는 목적지까지 이동하기 위한 교통정보(버스, 기차, 지하철 등)를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서 특정 목적지를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지원 한다.
본 발명은, 단말 사용자가 출발지와 목적지에 대한 정보(명칭이나 주소 등)를 목적지 입력 기능을 통해 입력하게 되면, 입력된 정보가 목적지 검색 기능으로 전달된다. 만약 사용자가 출발지 정보를 입력하지 않으면, 목적지 검색 기능은 단말에 탑재된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알아내고, 이를 출발지로 지정한다.
목적지 검색 기능은, 먼저 출발지와 목적지가 같은 지역에 존재하는 지 체크한다. 만약, 같은 지역 내에 존재하면, 목적지 검색 기능은 목적지 지역 내의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까지의 버스 및 지하철 노선 정보를 검색하여,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교통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만약, 출발지와 목적지가 다른 지역에 존재하게 되면, 목적지 검색 기능은 단말의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발지에서 지역 내 기차역 혹은 버스터미널까지의 버스 및 지하철 노선 정보를 검색하고, 출발 지역에서 목적지가 위치한 지역으로의 기차 및 버스 노선 정보를 검색하게 된다. 그런 다음, 목적지가 위치한 지역의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해당 지역 기차역 및 버스터미널에서 목적지까지의 버스 및 지하철 노선 정보를 검색하여, 단말 사용자에게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교통 정보를 제시하게 된다. 목적지 검색 기능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동 가능한 교통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옵션(예를 들어, 비용, 시간 등)에 적합한 최적의 교통 정보만 선택하여 사용자게 표시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휴대 단말이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 WLAN),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이동통신(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혹은 HSPD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가지고 있고, 각 지역 내의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단말에는 무선랜, 와이브로, 이동통신 세 개의 통신 인터페이스가 모두 탑재될 수 있고, 무선랜과 이동통신, 와이브로와 이동통신, 혹은 이동통신만 탑재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교통정보 제공 장치에 대한 구성 블록도로서, 목적지 입력부(100), GPS(102), 위치 판단부(104), 목적지 검색부(106), 통신 인터페이스(108), 통신 인터페이스 선택부(110) 등을 포함한다.
목적지 입력부(100)는 사용자가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명칭, 주소 등)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지 입력 기능을 수행한다.
GPS(102)는 GPS 모듈(도시 생략됨)이 포함되며, 다수의 외부 GPS 위성(도시 생략됨)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GPS 위성과 GPS 모듈간의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위치 판단부(104)는 GPS(102)로부터의 GPS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찾는 위치 판단 기능을 수행한다.
목적지 검색부(106)는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교통정보, 예컨대 버스, 지하철, 기차 등의 교통정보를 찾는 목적지 검색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08)는 휴대 단말이 통신하기 위한 외부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예컨대 무선랜, 와이브로, 이동통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선택부(110)는 휴대 단말과 연결이 가능한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 예컨대 무선랜, 와이브로, 이동통신 등의 통신 인터페이스들 중 임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선택 기능을 수행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교통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교통정보 제공 방법은, 목적지 정보 입력 과정, GPS를 통한 목적지 검색 과정, 목적지 검색 결과에 따른 정보 표시 과정, 그리고 부가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 선택 과정을 포함한다.
먼저, 도 2는 목적지 입력 및 표시 과정 수행 절차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목적지 입력 및 표시 과정에서는, 먼저 사용자가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목적지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창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한다(S200).
목적지 입력부(100)를 통해 사용자가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 예컨대 명칭, 주소 등을 입력하게 되면(S202), 해당 정보를 목적지 검색부(106)로 전달한 후에 목적지 입력부(100)는 목적지 검색부(106)의 처리 결과를 수신 대기한다(S204).
이후, 목적지 검색부(106)로부터 검색된 교통정보가 목적지 입력부(100)로 수신되면(S206), 수신되는 교통정보를 외부 표시창, 예컨대 LCD, OLED 등의 표시창을 통해 표시하게 된다(S208).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검색 과정의 수행 절차를 예시한 것이다.
먼저,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목적지 입력부(100)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가 목적지 검색부(106)로 수신되면(S300), 목적지 검색부(106)는 통신 인터페이스 선택부(110)로 휴대 단말 내 가용한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요청한다(S302). 이러한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와 관련된 처리 과정은 하기 도 5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다루기로 한다.
이후, 통신 인터페이스 선택부(110)로부터 임의의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 예컨대 무선랜 정보가 수신되면(S304), 목적지 검색부(106)는 단계(S306)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출발지 정보가 존재하는지, 즉 사용자가 목적지 입력부(100)를 통해 출발지 정보를 입력했는지를 판단한다.
출발지 정보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목적지 검색부(106)는 GPS(102)의 GPS 정보로부터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획득한 후, 이를 출발지로 설정한다(S308).
출발지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목적지 검색부(106)는 목적지 정보가 출발지 정보와 동일한 지역인지, 동일하지 않은 지역인지를 판단한다(S310). 예를 들어, 출발지와 목적지가 모두 대전에 있는지, 혹은 출발지는 대전이고 목적지는 서울인지를 조사한다.
만일, 동일한 지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목적지 검색부(106)는 통신 인터페이스 선택부(110)로부터 전달된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반한 통신 인터페이스(108)를 이용하여 출발지역의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한다(S312).
출발지역의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목적지 검색부(106)가 접속하게 되면, 현재 출발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버스, 지하철 노선 정보를 목적지 검색부(106)가 획득할 수 있게 된다(S314).
한편, 출발 위치와 목적지 위치가 서로 다른 지역, 예를 들어 출발지역은 대전이고 목적지역은 서울인 경우라면, 목적지 검색부(106)는 출발 위치가 속한 지역(예를 들어, 대전)의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게 된다(S316).
이후, 목적지 검색부(106)는 출발지 지역에서 목적지가 위치한 지역(예를 들어, 서울)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기차와 버스 정보를 조회한 다음, 출발지에서 지역(예를 들어, 대전)내에 있는 기차역(예를 들어, 대전역) 및 버스 터미널(예를 들어, 대전 고속버스 터미널)로의 버스 및 지하철 정보를 검색한다(S318)(S320).
그런 다음, 목적지 검색부(106)는 목적지가 위치한 지역(예를 들어, 서울)의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목적지가 위치한 지역의 기차역(예를 들어, 서울역) 및 터미널(예를 들어, 서울 고속터미널)에서 목적지까지의 버스 및 지하철 노선 정보를 획득한다(S322)(S324).
다른 한편, 목적지 검색부(106)는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목적지가 홈페 이지를 가지고 있는지, 즉 목적지에 홈페이지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한다(S326). 이와 같은 홈페이지 존재 여부 판단은, 예컨대 인터넷 상에서의 검색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단계(S326)의 검색 결과, 해당 목적지가 홈페이지를 가지고 있다면, 목적지 검색부(106)는 목적지 홈 페이지에서 "찾아오시는 길" 정보를 획득한다(S328).
그런 다음, 목적지 검색부(106)는 이전에 검색된 목적지 근처의 지하철역 및 버스 노선 정보와 홈 페이지에서 획득한 "찾아오시는 길"정보에서 해당 지하철 및 버스 노선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통합한다(S330). 예를 들어, 이전에 획득한 교통정보에서 목적지 근처의 지하철역이 교대역이고, 홈페이지에서 얻은 "찾아오시는 길" 정보에 교대역 1번 출구에서 도보로 5분이 포함되어 있다면, 이 두 교통정보를 통합하여 사용자에게는 “강남고속버스터미널에서 교대역 이동하고, 교대역 1번 출구에서 도보로 5분”이라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목적지 검색부(106)는 사용자가 목적지 입력부(100)를 통해 검색 옵션을 지정했는지를 판단한다(S332).
만일, 사용자가 검색 옵션을 지정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목적지 검색부(106)는 획득한 다수의 대중교통 정보(예를 들어, 기차로 이동하는 노선 정보, 버스로 이동하는 노선 정보 등) 중에서 해당 옵션에 맞는 교통정보를 찾는다(S334).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시간 옵션을 선택했다면, 현재 출발지 지역에서 목적지가 있는 지역으로 가능 방법 중에서 시간이 가장 적게 소요되는 교통 정보를 찾게 된다.
최종적으로, 목적지 검색부(106)는 검색된 교통 정보를 목적지 입력부(100)로 전달한다(S336).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교통정보 제공 방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 선택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 선택부(110)는 목적지 검색부(106)로부터 통신 인터페이스 선택 요청을 접수하게 되면(S500), 먼저 휴대 단말이 무선랜 통신이 사용 가능한지를 판단한다(S502).
만일, 휴대 단말이 무선랜 통신이 사용 가능하다면, 통신 인터페이스 선택부(110)는 현재 휴대 단말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무선랜 환경으로 설정한다(S504).
만일, 무선랜 통신 사용이 불가능하다면, 통신 인터페이스 선택부(110)는 현재 휴대 단말이 와이브로 통신이 사용 가능한지를 판단한다(S506).
만일, 와이브로 통신이 사용 가능하다면, 통신 인터페이스 선택부(110)는 현재 휴대 단말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와이브로 환경으로 설정한다(S508).
만일, 와이브로 통신이 불가능하다면, 통신 인터페이스 선택부(110)는 현재 휴대 단말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동통신(CDMA 혹은 HSDPA) 환경으로 설정한다(S510).
이와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가 최종적으로 설정되면, 통신 인터페이스 선택부(110)는 최종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목적지 검색부(106)로 전달한다(S512).
이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 선택부(110)는 통신 인터페이스의 대역폭 및 통 신비용 등을 기준으로 무선랜, 와이브로, 이동통신 순서로 검색한다. 사용자가 무선랜 통신이 가능한 핫스팟(Host Spot) 지역에서는 가능한 무선랜을 사용할 수 있고, 와이브로 통신이 가능한 핫 존(Hot Zone)에서는 와이브로 통신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전역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을 사용하여 외부 네트워크로 접속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목적지 입력부(100)에서 목적지 검색부(106)로 전달되는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 메시지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정보 메시지는, 예컨대 출발지의 주소 및 명칭, 목적지의 주소 및 명칭, 그리고 비용, 시간, 사용자 선호도 등으로 구성된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선호도에는 선호하는 대중교통 정보, 예를 들어 KTX 등을 지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무선랜, 와이브로, 이동통신(CDMA 혹은 HSPDA)과 같은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와 GPS를 탑재한 단말에서 사용자가 현재 위치 혹은 특정 출발지에서 같은 지역, 혹은 타 지역 내의 존재하는 특정 목적지로 이동하고자 할 때, 비용 및 시간, 사용자 선호도 등을 고려하여 버스, 기차, 지하철 등으로 구성된 최적의 대중교통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구현한 것이다.
앞서 언급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증하는 것이며, 이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많은 다른 실시예를 설계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청구항에서는, 괄호 안에 있는 어떤 참조 기호도 본 발명을 한정하도록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포 함하는", "포함한다" 등의 표현은, 전체적으로 모든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열거된 것을 제외한 구성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구성 요소의 단수의 참조부는 그러한 구성 요소의 복수의 참조부를 배제하지 않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몇몇 별개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수단 및 적절히 프로그램된 컴퓨터 수단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몇몇 수단을 열거하는 청구항에서, 이들 수단의 몇몇은 하드웨어의 같은 항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종속항에 확실한 수단이 기술되었다고 하는 단순한 사실은, 이러한 수단의 조합이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교통정보 제공 장치에 대한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교통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목적지 입력 과정의 예시 흐름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교통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목적지 검색 과정의 예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교통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통신 인터페이스 선택 과정의 예시 흐름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정보 메시지의 구성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목적지 입력부 102 : GPS
104 : 위치 판단부 106 : 목적지 검색부
108 : 통신 인터페이스 110 : 통신 인터페이스 선택부

Claims (10)

  1. 삭제
  2. 휴대 단말을 통해 교통정보의 출발지 및 목적지가 입력되는 정보 입력 과정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를 검색하여 상기 출발지에서 상기 목적지로의 교통정보를 검색하는 검색 과정과,
    상기 검색 과정의 결과에 따른 교통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검색 과정은,
    상기 출발지 및 상기 목적지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 단말의 가용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의 가용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가 파악되면 상기 출발지와 상기 목적지가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출발지와 상기 목적지가 동일하면 상기 가용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출발지의 지역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출발지에서 상기 목적지로의 교통정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출발지와 상기 목적지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출발지의 지역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상기 목적지가 위치한 지역으로 이동하는 대중교통 수단의 노선 정보를 조회하는 과정과,
    상기 출발지에서 지역 내 대중교통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목적지의 지역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상기 목적지의 대중교통 수단의 노선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교통정보 제공 방법.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목적지의 대중교통 수단의 노선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의 수행 후 상기 목적지에 홈페이지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홈 페이지 정보와 대중교통 정보를 통합하는 과정과,
    상기 통합된 교통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교통정보 제공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80131760A 2008-12-22 2008-12-22 휴대 단말의 교통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173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760A KR101173557B1 (ko) 2008-12-22 2008-12-22 휴대 단말의 교통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760A KR101173557B1 (ko) 2008-12-22 2008-12-22 휴대 단말의 교통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166A KR20100073166A (ko) 2010-07-01
KR101173557B1 true KR101173557B1 (ko) 2012-08-13

Family

ID=42636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1760A KR101173557B1 (ko) 2008-12-22 2008-12-22 휴대 단말의 교통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5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843B1 (ko) * 2005-08-12 2007-05-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중교통정보를 이용한 개인항법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843B1 (ko) * 2005-08-12 2007-05-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중교통정보를 이용한 개인항법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166A (ko)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1237B2 (en) Navigation device,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6336073B1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route guidance
US8090533B2 (en) Map display system, method of inputting conditions for searching for POI, method of displaying guidance to POI, and terminal device
CN102105809B (zh) 提供大型建筑物内部的定位和导航的方法
CN100462684C (zh) 终端装置、内容发布系统以及内容获取方法
JP4437168B1 (ja)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経路探索仲介サーバ及び経路案内方法
US200800979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gional Information Based on Location
US2005022886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geographically based Web services
WO2005038400A1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513887A (ja) 位置に関連した情報を提示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10263268A1 (en) Navigation apparatus, location determination system and method of location determination
US20100106411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search result augmentation
JP2003044503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EP3376164B1 (en) Method of displaying a traveling rout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US20030027546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information sending/receiving system and information terminal
KR101173557B1 (ko) 휴대 단말의 교통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0900832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sightseers
JP2006031398A (ja) ナビゲーションサーバ、携帯電話機、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KR100418827B1 (ko) 여행경로 제공장치 및 방법
KR20140118569A (ko) 여행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JP7112281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プログラム
KR20140021164A (ko) Poi 정보 제공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와 단말기
JP2005017218A (ja) 施設情報検索システム
JP2005212499A (ja) 列車経路案内方法および列車経路案内システム
KR20150015836A (ko) 클라우드 기반 여행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