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438B1 -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국소배기장치 - Google Patents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국소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438B1
KR101173438B1 KR1020100117381A KR20100117381A KR101173438B1 KR 101173438 B1 KR101173438 B1 KR 101173438B1 KR 1020100117381 A KR1020100117381 A KR 1020100117381A KR 20100117381 A KR20100117381 A KR 20100117381A KR 101173438 B1 KR101173438 B1 KR 101173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local exhaust
branch pipe
mold
pollu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5925A (ko
Inventor
박현설
임경수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17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438B1/ko
Publication of KR20120055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6/00Controlling, supervising, not restricted to casting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e.g. for safety reas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evention Of Fou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국소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조업체의 주입공정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주형에 쇳물이 주입될 때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금속흄 등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주입이 종료된 후 급격히 오염물질 발생량이 감소되는 주입 공정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오염물질 배출량에 따라 국소배기유량이 조정되도록 단위 배기후드에 다수개의 분지관을 설치하고 오염물질 배출단계에 따라 각 분지관의 개폐를 제어하고, 각 배기후드별로 순차적으로 분지관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동일한 발생원이 다수 개 존재하고 각 발생원에서의 오염물질 발생량이 순차적으로 큰 폭으로 변동하는 대기오염물질 발생공정에 대해, 상기 각 발생원에 대응되는 다수 개의 국소배기장치와 각 국소배기장치에 연통된 다수개의 분지관을 이용하여 최소의 배기유량으로 최대의 국소배기 및 오염물질 처리효율을 얻을 수 있는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국소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국소배기장치{Multi-hood local exhaust ventilation method for air pollution sources having emission fluctuation and ventilation Apparatus using the said method}
본 발명은 주조산업, 화학제품 제조업 및 인쇄업 등의 산업공정에서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이 작업조건에 따라 크게 변동하는 공정에 적용되는 국소배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당 산업공정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주조산업의 주입공정은 일반적으로 주물사를 이용하여 제작된 주형에 전기로 등에 의해 용해된 쇳물을 붓는 공정을 일컫는다. 일반적인 주물제작공정을 살펴보면, 주물사에 점결제 등을 첨가하여 주물의 틀이 되는 주형을 제작하고, 고철을 전기로에서 용해시킨 쇳물을 주입하고, 쇳물 주입 후 일정한 시간동안 주물을 식힌다. 주물이 식은 후에는 주형을 해체하여 주물과 주물사를 분리하며 이때 주물은 표면에 붙은 주물사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후처리 공정으로 이송되고, 주물사는 재사용을 위해 주물사 처리시설로 이송된다.
용해된 쇳물을 주형에 쏟아 붓는 주입공정에서는 주입 직후에 오염물질이 다량 발생하며 수 분 내에 오염물질 발생량은 급격히 감소한다. 그러나 주입이 끝나고 주물을 냉각하는 과정에서도 적은 양이지만 지속적으로 오염물질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입과정뿐만 아니라 주물을 식히는 냉각과정에서도 오염물질 처리를 위한 국소배기시스템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국소배기시스템은 오염물질 발생원으로부터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하기 위한 국소배기후드와, 포집된 오염물질을 최종적으로 제거하는 대기오염물질처리장치, 그리고 국소배기후드와 대기오염물질처리장치를 연결해주는 배기관으로 구성된다. 국소배기시스템을 설계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항목 중 하나는 최소의 배기유량으로 최대의 국소배기효율을 얻도록 배기후드를 설계하고, 국소배기방법을 설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조산업분야의 쇳물 등과 같은 주형물 주입공정에 최적화된 국소배기방법 및 국소배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오염물질 발생량 변동폭이 큰 오염발생원별로 다수개의 후드를 설치하고, 각 후드에는 다수개의 분지관(배기관)을 설치하여, 오염물질 발생량에 따라 분지관을 개폐하고, 각 후드 사이에 연동 제어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최소 유량으로 최대의 국소배기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국소배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작업조건에 따라 대기오염물질 발생량이 큰 폭으로 변동하는 다수의 오염발생원(100)으로부터 발생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방법에 있어서,다수 오염발생원(100)의 오염물질 발생 1차 단계(S100); 각 오염발생원(100)의 국소배기후드(90)에 설치된 제 1분지관(111)을 제 1주배관(110)으로 연결하여, 상기 S100단계의 오염물질을 흡입하여 배기하는 단계(S200); 다수 오염발생원(100)의 오염물질 발생 2차 단계(S300); 각 오염발생원(100)의 국소배기후드(90)에 설치된 제 2분지관(121)을 제 2주배관(120)으로 연결하여, 상기 S300단계의 오염물질을 흡입하여 배기하는 단계(S400); 제 2주배관(120)에서 분지되어 각 오염발생원(100)의 국소배기후드(90)에 연결된 제 2분지관(121)을 통해, 다수 오염발생원(100) 중 오염물질 발생 2차 단계에 해당되는 오염발생원(100)의 추가적인 오염물질을 흡입하여 배기하는 단계(S400); 유량 분배기(140)를 통해 S20O 및 S400단계의 오염물질 배기유량을, 각각 제 1주배관(110)과 제 2주배관(120)에 해당하는 유량만큼 분배시키는 단계(S500); 상기 유량 분배기(140)를 거친 오염물질을 오염물질처리장치(150)를 통해 처리 또는 저감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6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200단계에서는 각 국소배기후드(90)에 설치된 제 1분지관(111)이 항시 개방되어, 상기 S100 단계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항시 흡입하여 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300단계에서는 오염물질이 다수 오염발생원(100)별로 순차적으로 발생되며 각 오염발생원(100)에서의 오염발생이 일정 시간동안만 지속되고 상기 S400단계에서는 오염물질 발생 순서에 따라 다수 오염발생원(100)의 제 2분지관(121)이 순차적으로 개폐되며 각 오염발생원(100)의 제 2분지관(121)은 오염발생 시간동안만 개방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여 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300단계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다수의 제 2분지관을 OFF시키고, 상기 제 2주배관(120)을 다수의 제 2오염발생원(100)으로 이루어지는 제 2오염물질 배출공정(Ⅱ)에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상기 다수 오염발생원(100)으로 이루어진 제 1오염물질 배출공정(Ⅰ)을 제 2오염물질 배출공정(Ⅱ)과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2오염물질 배출공정(Ⅰ, Ⅱ)은 상호간 상이한 시간대에 가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작업조건에 따라 대기오염물질 발생량이 큰 폭으로 변동하는 다수의 오염발생원(100)으로부터 발생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장치에 있어서, 다수개로 이루어져 단일의 오염발생 배출공정을 형성하는 오염발생원(100); 상기 각 오염발생원(100)에 설치되되, 오염발생원(100)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흡입배기하기 위해 단일 또는 복수개의 분지관(111,121)이 형성되는 국소배기후드(90); 상기 분지관으로부터 모아진 배기유량이 이송되는 주배관(110,120); 상기 주배관(110,120)에 해당된 유량만큼 분배하는 유량 분배기(140); 상기 배기유량 내 오염물질을 처리 또는 저감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오염물질 처리장치(1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국소배기후드(90)는 전면 및 저면이 개구되는 국소배기하우징(10);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의 저면에 이격배치되며, 컨베이어(21)에 의해 이송되는 주형(20);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 내부 상단에 설치되는 상단 후드(30);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 내 상단 후드(30) 하단에 설치되는 하단 후드(40) ; 상기 하단 후드(40)에 연통되며, 항시 가동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냉각공정용 제 1분지관(111); 상기 상단 후드(30)에 연통되며, 주형(20)에 용해된 쇳물이 주입되는 경우만 개방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주입공정용 제 2분지관(121); 상기 상단 후드(30) 전면 상단에 회전가능토록 힌지결합되어, 국소배기하우징(10) 국소배기하우징(10)의 전면에서 상단 후드(30)로 유입되지 못하는 오염물질을 국소배기하우징(10) 내측으로 유도하며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주형(20)을 국소배기하우징(10) 내외부로 이동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유량 차단판(3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국소배기후드(90)는 전면 및 저면이 개구되는 국소배기하우징(10);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의 저면에 이격배치되며, 컨베이어(21)에 의해 이송되는 주형(20);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 내부 상단에 설치되는 상단 후드(30); 상기 상단 후드(30)에 연통되며, 항시 가동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냉각공정용 제 1분지관(111); 상기 상단 후드(30)에 연통되며, 주형(20)에 용해된 쇳물이 투입되는 경우만 개방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주입공정용 제 2분지관(12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국소배기후드(90)는 전면이 개구된 국소배기하우징(10);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 내부 저면에 배치되는 주형(20);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의 상부 후단에 설치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되, 외주연에 다수의 흡입구(112)가 천공형성되는 제 1분지관(111) 또는 제 2분지관(121); 상기 흡입구(112)가 형성된 제 1분지관(111) 또는 제 2분지관(121)의 외주연에 일단이 고정결합되어 국소배기하우징(10)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단 후드(30); 상기 제 1분지관(111) 또는 제 2분지관(121)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상단 후드(30)를 상부 또는 하부로 회전시키는 분지관 회전체(113); 상기 주형(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국소배기하우징(10)의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주형(20)에 쇳물을 주입되거나 또는 주형(20)의 탈형작업시에는 국소배기하우징(10)의 양측을 밀폐하고, 주물제작이 완료된 후에는 국소배기하우징(10)의 후면판(12) 측으로 접혀지는 측면판(1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국소배기후드(90)는 전면이 개구되는 국소배기하우징(10);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 내부 저면에 배치되는 주형(20); 상기 주형(20)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되,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 내부에서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주형(20) 상부측으로 회전이 가능한 회전형 후드(50); 상기 회전형 후드(50)에 연통되며, 항시 개방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냉각공정용 제 1분지관(111); 상기 회전형 후드(50)에 연통되며, 주형(20)에 용해된 쇳물이 투입되는 경우만 개방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주입공정용 제 2분지관(121); 상기 회전형 후드(50) 전면 상단에 회전가능토록 힌지결합되어, 국소배기하우징(10)의 전면에서 회전형 후드(50)로 유입되지 못하는 오염물질을 국소배기하우징(10) 내측으로 유도하며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주형(20)을 국소배기하우징(10) 내외부로 이동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유량 차단판(3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국소배기후드(90)는 전면이 개구되는 국소배기하우징(10);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 내부 저면에 배치되는 주형(20);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 내부 상단에 설치되는 상단 후드(30); 상기 상단 후드(30)에 연통되며, 항시 가동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냉각공정용 제 1분지관(111); 상기 상단 후드(30)에 연통되며, 주형(20)에 용해된 쇳물이 투입되는 경우만 개방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주입공정용 제 2분지관(121); 상기 상단 후드(30) 전면에 힌지결합되어 국소배기하우징(10)의 전면 상부를 개방 또는 밀폐함으로써, 개방시에는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주형(20)을 국소배기하우징(10) 내외부로 이동할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하고, 밀폐시에는 오염물질의 흡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형 후드덮개(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 하단 후드(30, 40) 또는 상단 후드(30) 또는 회전형 후드(50)는 국소배기하우징(1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하향경사지며, 타공판 등의 형태로 유량 분배판(32)이 전면에 형성되어, 흡입되는 오염물질이 후드 전체에 고루 분포되며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 후드(30)는 저면에 타공판 등의 형태로 유량 분배판(32)을 형성하여, 흡입되는 오염물질이 후드 전체에 고루 분포되며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개별 후드로 이루어지는 고효율 국소배기장치와 개별 후드에서의 유량제어, 그리고 다수개 후드 사이의 연동 제어를 통해, 시설비용 절감 및 최소의 배기유량을 통한 최대의 국소배기 및 오염물질 처리효율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형에 용해된 쇳물이 주입될 경우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금속흄등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주입이 종료된 후 급격히 오염물질 발생량이 감소되는 주입공정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오염물질 배출량에 따라 국소배기유량이 조정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염물질의 효과적인 처리를 통한 대기오염방지를 실현하여, 주조산업분야의 강화된 환경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단계로 구분되는 오염발생원에 대한 국소배기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단일개의 오염물질처리장치를 또 다른 오염물질 배출공정과 연계하여 사용하는 국소배기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후드를 나타낸 첫번째 실시예의 내부 일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후드를 나타낸 두번째 실시예의 내부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후드를 나타낸 세번째 실시예의 내부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후드를 나타낸 네번째 실시예의 내부 일측면도 및 내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후드를 나타낸 다섯번째 실시예의 내부 사시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 및 "제 3(third)", “제 4(fourth)”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국소배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단계로 구분되는 오염발생원에 대한 국소배기장치의 개념도로서,
다수개의 오염발생원(100)으로 이루어지는 제 1오염물질 배출공정(Ⅰ)에 있어서, 7개로 이루어지는 오염발생원(100)이 존재하고, 각 오염발생원(100)은 오염물질 발생단계가 2단계로 구분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오염물질 발생량이 2단계로 구분되는 7개의 동일한 각 오염발생원(100)에는 동일한 국소배기후드(90)가 각각 설치되고, 각 국소배기후드(90)에는 상기 오염물질 발생 2단계에 각각 대등되어 가동되는 다수의 분지관(제 1분지관(111), 제 2분지관(121))이 연통설치된다.
여기에서 동일한 오염발생원(100)에서 오염물질(P) 발생량이 각각 달라 2단계로 구분된다는 것은, 실제 동일한 오염발생원(100)(배출공정)에 대해 각각 다른 작업과정에 따라 오염물질의 발생량이 2단계로 구분됨을 의미한다.
오염물질 발생 1단계는 7개의 국소배기후드(90)를 통해 흡입되는 총 오염물질 배기유량을 Q1이라 했을때, 각 국소배기후드(90)를 통해서는 Q1/7에 해당되는 오염물질유량이 상시 흡입배기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즉, 각 국소배기후드(90)에 연통된 제 1분지관(111)은 상시 개방되어 있고, 각 국소배기후드(90)의 제 1분지관(111)을 통해 배기되는 오염물질유량은 제 1주배관(110)에서 합류하여, 최종적으로 제 1주배관(110)을 통해 배기되는 오염물질배기유량은 Q1이 되는 것이다.(S100, S200단계)
오염물질 발생 2단계는 S100단계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 외에 추가로 오염물질이 발생되는 단계를 의미한다.(S300단계)
예를 들어, 추가 오염물질발생이 7개의 오염발생원(100) 설치순서대로 순차적으로 발생한다고 설정하면, 이는 즉 7개의 오염발생원(100) 중 오염물질 발생 2단계에 해당되는 오염발생원(100)은 항시 1개(동시에 2개 이상의 오염발생원(100)이 2단계에 해당되지 않는다)임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각 국소배기후드(90)에 연통되어 설치된 제 2분지관(121)에 개폐제어수단(130)(개폐가 가능한 밸브나 댐퍼)을 설치함으로써 이를 해결하도록 하는데, 7개의 오염발생원(100) 중 추가 오염물질이(오염발생 2단계) 발생된 해당 국소배기후드(90)의 제 2분지관(121)만 ON 상태로 개방되고, 나머지 6개의 국소배기후드(90)에 연통된 제 2분지관(121)은 OFF상태인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즉, 오염발생 2단계에 해당되는 전체 추가 오염물질 배기유량 Q2는 7개의 국소배기후드(90)에서 배분되는 것이 아니라, 오염물질이 발생되는 단일의 해당 국소배기후드(90)(또는 오염발생원(100))에서만 흡입배기되는 유량인 것이다.
물론, S100과 S200단계 이후, 다수의 오염발생원(100)에서 순차적으로 추가 오염물질이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오염발생원(100) 중 순서없이 일부의 오염발생원(100)에서 추가적인 오염물질이 발생하게 되면, 7개의 국소배기후드(90)에서 각 제 1분지관(111)은 항시 개방된 상태이기에, 7개의 국소배기후드(90)의 각 제 2분지관(121)들 중 추가적인 오염물질이 발생된 해당 오염발생원(100)의 제 2분지관(121)만을 개방시켜, 해당 오염발생원(100)의 추가적인 오염물질을 흡입배기하는 것이다.(S400단계)
상기 실시예는 오염물질 발생 후, 추가적인 오염물질이 발생된 단계로써, 각 단계는 각각 독립적인 작업과정(오염물질 발생원인)에 의해 구분된 단계이기 때문에, 오염물질 발생 1차 단계와 오염물질 발생 2차 단계가 동시에 동일한 국소배기후드(90)에 해당될 수도 있다. 다시말해, 7개의 오염발생원(100) 중 첫번째 오염발생원(100)에서 추가적인 오염물질이 연속해서 발생되어, 첫번째 오염발생원(100)의 제 1분지관(111)과 제 2분지관(121)이 모두 개방될 수 있음이다. 그리고 오염물질 발생 1차 단계(S100단계)에서는 각 국소배기후드(90)를 통해 Q1/7 만큼의 유량이 상시 배기되며, 오염물질 발생 2차 단계에 해당되는 배기유량 Q2(S300단계)는 각각 7개의 국소배기후드(90) 중 어느 한 개의 국소배기후드(90)에서는 항상 흡입되도록 구성된다.(S400단계)
더불어, 도 1에 도시된 유량 분배기(140)는 각 오염물질 발생단계별 최종 배기유량인(항시 흡입배기되는 오염물질유량(Q1), 추가 오염물질이 발생되어 제 2분지관(121)을 통해 흡입배기되는 오염물질유량(Q2)) Q1, Q2가 각각의 주 배기관, 즉, 제 1분지관(111)들이 연결되는 제 1주배관(110), 제 2분지관(121)들이 연결되는 제 2주배관(120)에 해당되는 유량만큼 정확히 분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S500단계)
또한, 도 1에 도시된 오염물질처리장치(150)는 본 발명의 국소배기방법 및 장치를 통한 전체 유량인 Q0(=Q1+Q2)에 해당되는 용량을 갖고 각 국소배기후드(90)로부터 흡입되어 유입되는 처리가스 중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최종적으로 제거 또는 저감하는 단계(S600)의 장치이며, 흡입 송풍기(미도시)도 구성요소로 포함된다.
상기 도 2는 단일개의 오염물질처리장치(150)를 또 다른 오염물질 배출공정(Ⅱ)과 연계하여 사용하는 국소배기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개념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물질 발생단계가 2단계로 구분되어, 제 1분지관(111)과 제 2분지관(121)으로 이루어지는 국소배기방법의 제 1오염물질 배출공정(Ⅰ)에, 또 다른 제 2오염물질 배출공정(Ⅱ)을 적용한 것으로서,
7개의 동일한 오염발생원(100)(오염물질 배출공정(Ⅰ))에 대한 국소배기방법에 있어서, 도 1의 오염물질 발생 2차 단계가 7개의 국소배기후드(90) 중 어느 한 개에 항상 해당되지 않을 때,(제 2분지관(121) 또는 제 2주배관(120)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즉, 추가 오염물질의 발생이 전체 작업시간 중 일정시간 동안 발생하지 않은 경우, 그리고 제 2분지관(121)을 사용하는 추가 오염물질 발생 2차 단계가 가동되지 않는 시간에 별도의 제 2오염물질 배출공정(II)의 작업이 이루어질 때, 오염물질 발생 2차 단계에 해당되는 배기유량 Q2를 이용하여 제 2오염물질 배출공정(II)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처리가능하도록, Q2에 해당되는 제 2주배관(120)(7개 국소배기후드(90)와 제 2분지관(121)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2주배관(120)) 전체를 닫고, 제 2오염물질 배출공정(II)의 주 배기관을 열어, 단일개의 오염물질 처리장치(150)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오염물질 배출공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방법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제 1오염물질 배출공정(I)의 각 오염물질 발생 단계와 제 2오염물질 배출공정(II)의 가동이 다른 시간대에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국소배기후드의 5가지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장치의 국소배기후드를 나타낸 첫번째 실시예의 내부 일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장치의 국소배기후드를 나타낸 두번째 실시예의 내부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장치의 국소배기후드를 나타낸 세번째 실시예의 내부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장치의 국소배기후드를 나타낸 네번째 실시예의 내부 일측면도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장치의 국소배기후드를 나타낸 다섯번째 실시예의 내부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3, 4, 5의 국소배기후드는 소형 주물 제작에 사용되는 것이고, 도 6 내지 8 및 도 9의 국소배기후드는 중대형 주물 제작에 사용되는 것이다.)
주조공정에서 주형 제작은 소형 주물의 경우 자동 주형제작장치를 이용하고 이때 제작된 주형(20)은 컨베이어(21)에 의해 이동하며, 이때 주입공정은 컨베이어(21) 위에서 수행된다. 즉, 컨베이어(21)에 의해 이송되는 주형(20)에 직접 쇳물이 주입된다. 이러한 자동 조형라인에서의 국소배기후드(90)의 형태는 본 발명의 도 3 및 도 4와 같이 국소배기하우징(10)의 하단이 주형(20)의 상단에 소정간격 이격위치되어야 주형(20)의 컨베이어(21) 이송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장치(200)는 전술된 국소배기방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개로 이루어져 단일의 오염발생 배출공정을 형성하는 오염발생원(100)과, 상기 각 오염발생원(100)에 설치되되, 오염발생원(100)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흡입배기하기 위해 다수의 분지관(111)(121)이 형성되는 국소배기후드(90)와, 상기 분지관으로부터 모아진 배기유량이 이송되는 주배관(110,120)과, 상기 주배관(110, 120)에 해당되는 유량만큼 분배하는 유량 분배기(140)와, 상기 배기유량 내 오염물질을 처리 또는 저감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오염물질 처리장치(15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도 3은 이러한 상기의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장치(200)에 있어서, 국소배기후드(90)의 첫번째 실시예인, 이중후드구조를 가지는 국소배기후드(90)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전면과 저면이 개구되어 있는 국소배기하우징(10)과,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의 개구된 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컨베이어(21)로 일방향 이송되는 주형(20)과,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 내부 상단에 설치되는 상단 후드(30)와,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단 후드(30)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단 후드(40)와, 상기 하단 후드(40)에 연통되며, 항시 가동됨으로써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냉각공정용 제 1분지관(111)과, 상기 상단 후드(30)에 연통되며 주입공정시 가동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주입공정용 제 2 분지관(121)과, 상기 상단 후드(30) 전면 상단에 회전가능토록 힌지결합되어, 국소배기하우징(10) 전면에서 오염물질을 국소배기하우징(10) 내측으로 유도하는 유량 차단판(33)으로 이루어진다.
쇳물받이(80)를 호이스트(81)에 매달아 이송하여 주형(20)에 쇳물을 주입할 때 오염물질은 주형(20)뿐만 아니라 쇳물받이(80)에서도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국소배기하우징(10)의 흡입면(31)의 위치가 쇳물받이(80)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여야 하며 오염물질 발생량이 많기 때문에 흡입 유량도 높아야 한다. 이를 위해 주입공정시에만 가동되는 상단 후드(30)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쇳물의 주입이 끝난 후에는 주형(20)으로부터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양이 급속히 줄어들기 때문에 적은 흡입유량에서도 오염물질의 제어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별도의 하단 후드(40)를 상기 상단 후드(30) 하단에서, 주형(20)과 보다 밀착된 위치에 설치하였다. 즉, 주입공정이 끝난 후 시작되는 냉각공정시 발생하는 낮은 농도의 오염물질의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후드가 상기 하단 후드(40)이며, 상기 하단 후드(40)는 주형(20)과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흡입유량으로도 오염물질 제어가 가능하며, 주입공정과 냉각공정에 관계없이 항상 가동된다.
(이와 같이, 분지관이 2개로 이루어지는 국소배기후드(90)는, 국소배기후드(90)에 2개의 분지관이 형성된(제 1분지관(111)과 제 2분지관(121)) 본 발명의 도 1 또는 도 2에 적용할 수 있는데, 상기 냉각공정용 제 1분지관(111)의 경우, 주입공정 및 냉각공정에 관계없이 항시 개방(또는 가동)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것으로서, 전술된 본 발명의 국소배기방법에서, 오염물질 발생 1차 단계(S100단계) 및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단계(S200단계)에 해당되는 제 1분지관(111)은 항시 개방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한다 기재되어 있기에, 상기 냉각공정용 제 1분지관(111)은 오염물질 배기유량 Q1을 모으기 위한 제 1분지관(111)과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주입공정용 제 2분지관(121)의 경우, 주형(20)에 용해된 쇳물이 주입될 시 가동되는 것으로서, 이는 오염물질 발생 2차 단계(S300단계) 및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단계(S400단계)에서 추가 오염물질 발생시 개방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제 2분지관(121)에 해당되는 것이므로, 주입공정용 분지관(60)은 추가 오염물질 배기유량 Q2를 모으기 위한 제 2분지관(121)에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단 후드(30)와 하단 후드(40) 각각의 흡입면(31)에는, 국소배기하우징(10)의 내부 전면에서 후면을 향해 하향경사지며 타공판 등의 형태를 가지는 유량 분배판(32)이 형성되도록 하여, 흡입되는 오염물질유량이 국소배기하우징(10) 흡입면(31) 전체에서 고루 분포되도록 한다. 또한 상단 후드(30)의 전면 상단에는 유량 차단판(33)이 힌지(스프링 힌지)결합되어, 호이스트(81)를 이용한 쇳물 주입시 오염물질이 보다 효율적으로 국소배기하우징(10)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는 것이다.(이는 도 4의 상단 후드(30) 또는 도 6 내지 8의 회전형 후드(5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도 4는 국소배기후드(90)의 두번째 실시예로서, 주입이 용이한 구조의 쇳물받이(80)를 이용한 쇳물 주입시 국소배기후드(90)의 크기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주입공정용 제 2분지관(121)과 냉각공정용 제 1분지관(111)이 단일의 상단 후드(30)에 연통되는 특징을 갖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때에도 냉각공정용 제 1분지관(111)은 상시 가동되며 주입공정용 제 2분지관(121)은 주입 과정 중에만 가동된다.
상기 도 5는 국소배기후드(90)의 세번째 실시예로서, 소형 주물의 주입공정에 적용가능하게 설계된 국소배기후드(90)의 세번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도 5의 국소배기후드(90)는 내부 저면에 소형의 주형을 다수 배치시킬 수 있도록 후면판(12) 및 후면판(12)의 양측에서 주형이 배치된 방향인 전면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측면판(11)으로 이루지는 국소배기하우징(10)과,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의 상부 후단에 설치되는 관체로서, 국소배기하우징(10) 내 설치된 주형(20)측을 향해 상호간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흡입구(112)를 천공형성하는 제 1분지관(111) 또는 제 2분지관(121)과, 상기 제 1분지관(111) 또는 제 2분지관(121)에 형성되어 있는 흡입구(112)가 내부와 연통되도록 제 1분지관(111) 또는 제 2분지관(121)의 외주연에 일단이 고정설치되어 국소배기하우징(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단 후드(30)와, 상기 제 1분지관(111) 또는 제 2분지관(121)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분지관(111) 또는 제 2분지관(121)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 1분지관(111) 또는 제 2분지관(121)의 외주연에 연결되어 있는 상단 후드(30) 또한 상부 또는 하부로 회전가능토록 하는 분지관 회전체(113)와, 상기 후면판(12)의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좌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측면판(11)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도 5의 국소배기후드(90)는 다수의 주형(20)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흡입 배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주형 제작, 주형 내에 주형물(쇳물)의 주입, 탈형 작업시 등에는 도 5의 (A)와 같이 상단 후드(30)가 국소배기하우징(10)의 상면에 수평을 이루며 배치되도록 분지관 회전체(113)를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상단 후드(30)의 저면에는 타공판 등의 유량 분배판(32)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 후드(30) 내부는 분지관 회전체(113)의 흡입구(112)와 연통되어 있는 상태이기에, 다수의 주형(20)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유량 분배판(32)을 통해 상단 후드(30) 내부로 유입시키고, 이를 제 1분지관(111) 또는 제 2분지관(121)의 흡입구(112)를 통해 제 1분지관(111) 또는 제 2분지관(121) 내부로 유동시켜 흡입 배기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 1분지관(111) 또는 제 2분지관(121)은 주형(20)에 주형물의 주입공정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흡입 배기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주형(20)에 주형물을 주입한 후, 냉각공정을 시행할 시에는 상기 분지관 회전체(113)를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상단 후드(30)가 다수의 주형(20)측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상단 후드(30)를 하단으로 회전시켜 기울인다(도 5의 (B)). 이 경우, 상기 제 1분지관(111) 또는 제 2분지관(121)은 주형(20)의 냉각공정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흡입배기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탈형 후 주물사 처리를 위한 지게차 등 중장비 작업 공정시에는 상기 분지관 회전체(113)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상단 후드(30)가 상단으로 들리도록 회전시키는 것이며,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의 양측에 설치된 측면판(11)을 국소배기하우징(10) 내측으로 회전시켜 후면판(12)에 접촉되며 접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탈형 후 주물사 처리를 위한 지게차 등 중장비 작업공정이 용이해지도록 한다(도 5의 (C)). 물론, 상기와 같이 측면판(11)이 후면판(12) 측으로 접혀지기 위해서는 상기 측면판(11)이 회전될 시 국소배기하우징(10)의 내부 저면에 배치된 주형(20)과 부딪치지 않고 상기 주형(2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좌, 우 회전가능토록 측면판(11)을 후면판(12)에 힌지 결합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도 6 내지 도 8은 중대형 주물의 주입공정에 적용 가능하도록 설계된 본 발명의 네번째 국소배기후드(90)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서, 도 6과 도 7은 쇳물이 주형(20)에 주입되기 전, 후의 회전형 후드(50)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6 및 도 7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주형(20)의 자동 제작이 어려운 중대형 주물의 경우, 주형(20) 제작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며 제작된 주형(20)을 작업장 바닥에 놓고 쇳물을 주입하게 된다. 이러한 중대형 주물의 경우, 주입과정에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다량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하고 상대적으로 긴 냉각과정에도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소량의 오염물질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형태의 국소배기후드(90)가 필요하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국소배기후드(90)를 살펴보면, 전면만이 개구된 국소배기하우징(10)과,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의 내부 저면에 배치되는 주형(20)과, 상기 주형(20)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회전축(51)의 양단이 국소배기하우징(10)의 내부 양면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어, 주형(20) 상부측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상기 주형(20)을 향해 흡입면(31)이 근접되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회전형 후드(50)와, 상기 회전형 후드(50)의 후면에 연통결합되며, 항시 가동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냉각공정용 제 1분지관(111)과, 상기 회전형 후드(50)의 후면에 연통결합되되, 주형(20)에 주형(20)에 용해된 쇳물이 투입되는 경우만 가동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주입공정용 제 2분지관(121)과, 상기 회전형 후드(50) 전면 상단에 회전가능토록 힌지(스프링 힌지)결합되어, 국소배기하우징(10)의 전단에서 회전형 후드(50)로 유입되지 못하는 오염물질을 국소배기하우징(10) 내측으로 유도하는 유량 차단판(33)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설명하면, 측면판(11)과 후면판(12) 내부에 회전이 가능한 회전형 후드(50)가 형성되는 것으로, 회전형 후드(50)의 흡입면(31)에는 유량 분배판(32)이 설치되어 흡입면(31)에서의 유량분포가 균일하게 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회전형 후드(50)에는 주입시에만 개방되는 주입공정용 제 2분지관(121)이 연통되어 있고 또한 상시 개방되는 냉각공정용 제 1분지관(111)도 연통되어 있다.
상기 도 6은 주입과정에서의 회전형 후드(50)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주입시 주형(20)과 쇳물받이(80)로부터 발생하는 대량의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회전형 후드(50)의 흡입면(31)은 경사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호이스트(81)를 이용하여 쇳물받이(80)가 주형(20) 상부까지 위치할 수 있도록 회전형 후드(50)의 전면 상단에 유량 차단판(33)이 스프링힌지로 힌지결합되어 있다.
상기 도 7은 주입이 끝난 후 냉각과정에서의 회전형 후드(50)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회전형 후드(50)의 흡입면(31)이 주형(20) 상단에 보다 밀착하여 위치하도록 후드를 회전시킨 것으로, 이때 주입공정용 제 2분지관(121)은 닫힌 상태이며 냉각공정용 제 1분지관(111)만 개방된 상태로 냉각과정에서는 오염물질의 발생량이 적고, 또한 후드가 오염원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적은 유량으로도 오염물질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도 8은 도 6, 7의 상기 회전형을 가지는 국소배기후드(90)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9는 국소배기후드의 다섯번째 실시예로서, 도 6 내지 도 8의 네번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중대형 주물의 주입공정에 적용 가능하도록 설계된 국소배기후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9의 국소배기후드(90) 구성을 살펴보면, 내부 저면에 주형(20)이 배치되며 전면이 개구되도록 후면판(12) 및 측면판(11)으로 이루어지는 국소배기하우징(10)과,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의 내부 상단에 고정설치되며, 저면에 타공판 형태의 유량 분배판(32)을 형성하여 내부로 오염물질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상단 후드(30)와, 상기 후면판(12)에서 상단 후드(30)와 연통되되, 항시 가동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냉각공정용 제 1분지관(111)과, 상기 후면판(12)에서 상단 후드(30)와 연통되어, 상기 주형(20)에 주형물이 주입되는 경우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주입공정용 제 2분지관(121)과, 상기 상단 후드(30)의 전단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의 전면 상부가 개방 또는 밀폐되도록 회전됨으로써, 개방시에는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주형(20)을 구소배기하우징(10) 내외부로 이동할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하고, 밀폐시에는 오염물질의 흡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형 후드덮개(3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도 9의 국소배기후드(90)의 경우, 제 1분지관(111)은 주형(20)에 쇳물을 주입하는 경우와 주형(20)에 쇳물을 주입 후 냉각하는 경우에 모두 항시 가동되는 것으로,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 내 오염물질을 흡입배기하는 것이며, 상기 제 2분지관(121)은 주형(20)에 쇳물을 주입하는 경우에만 가동되어 쇳물 주입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형 후드덮개(34)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형(20) 내에 호이스트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주형(20)을 후드 내외부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단 후드(30)와 힌지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국소배기하우징(10)의 상부측 후단으로 회전시켜 국소배기하우징(10)의 전면부가 완전 개방되도록 하고,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 내 주형(20)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흡입할 시에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형 후드덮개(34)를 국소배기하우징(10) 전면측으로 회전시켜 국소배기하우징(10)의 전면이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전형 후드덮개(34)의 개방된 저면 및 상단 후드(30)의 유량 분배판(32) 측으로 오염물질이 유입되어 제 1분지관(111) 또는 제 2분지관(121)을 통해 흡입배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국소배기하우징 11: 측면판
12: 후면판 20: 주형
21: 컨베이어 30: 상단 후드
31: 흡입면 32: 유량 분배판
33: 유량 차단판 34: 회전형 후드덮개
40: 하단 후드 50: 회전형 후드
51: 회전축 80: 쇳물받이
81: 호이스트 90: 국소배기후드
100: 오염발생원 110: 제 1주배관
111: 제 1분지관 112: 흡입구
113: 분지관 회전체 120: 제 2주배관
121: 제 2분지관 130: 개폐제어수단
140: 유량 분배기 150: 오염물질 처리장치

Claims (13)

  1. 작업조건에 따라 대기오염물질 발생량이 큰 폭으로 변동하는 다수의 오염발생원(100)으로부터 발생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방법에 있어서,
    다수 오염발생원(100)의 오염물질 발생 1차 단계(S100);
    각 오염발생원(100)의 국소배기후드(90)에 설치된 제 1분지관(111)을 제 1주배관(110)으로 연결하여, 상기 S100단계의 오염물질을 흡입하여 배기하는 단계(S200);
    다수 오염발생원(100)의 오염물질 발생 2차 단계(S300);
    각 오염발생원(100)의 국소배기후드(90)에 설치된 제 2분지관(121)을 제 2주배관(120)으로 연결하여, 상기 S300단계의 오염물질을 흡입하여 배기하는 단계(S400);
    제 2주배관(120)에서 분지되어 각 오염발생원(100)의 국소배기후드(90)에 연결된 제 2분지관(121)을 통해, 다수 오염발생원(100) 중 오염물질 발생 2차 단계에 해당되는 오염발생원(100)의 추가적인 오염물질을 흡입하여 배기하는 단계(S400);
    유량 분배기(140)를 통해 S20O 및 S400단계의 오염물질 배기유량을, 각각 제 1주배관(110)과 제 2주배관(120)에 해당하는 유량만큼 분배시키는 단계(S500);
    상기 유량 분배기(140)를 거친 오염물질을 오염물질처리장치(150)를 통해 처리 또는 저감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6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200단계에서는
    각 국소배기후드(90)에 설치된 제 1분지관(111)이 항시 개방되어, 상기 S100 단계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항시 흡입하여 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300단계에서는
    오염물질이 다수 오염발생원(100)별로 순차적으로 발생되며
    각 오염발생원(100)에서의 오염발생이 일정 시간동안만 지속되고
    상기 S400단계에서는
    오염물질 발생 순서에 따라 다수 오염발생원(100)의 제 2분지관(121)이 순차적으로 개폐되며 각 오염발생원(100)의 제 2분지관(121)은 오염발생 시간동안만 개방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여 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300단계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다수의 제 2분지관을 OFF시키고, 상기 제 2주배관(120)을 다수의 제 2오염발생원(100)으로 이루어지는 제 2오염물질 배출공정(Ⅱ)에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상기 다수 오염발생원(100)으로 이루어진 제 1오염물질 배출공정(Ⅰ)을 제 2오염물질 배출공정(Ⅱ)과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오염물질 배출공정(Ⅰ, Ⅱ)은
    상호간 상이한 시간대에 가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방법.
  6. 작업조건에 따라 대기오염물질 발생량이 큰 폭으로 변동하는 다수의 오염발생원(100)으로부터 발생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장치에 있어서,
    다수개로 이루어져 단일의 오염발생 배출공정을 형성하는 오염발생원(100);
    상기 각 오염발생원(100)에 설치되되, 오염발생원(100)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흡입배기하기 위해 단일 또는 복수개의 분지관(111,121)이 형성되는 국소배기후드(90);
    상기 분지관으로부터 모아진 배기유량이 이송되는 주배관(110,120);
    상기 주배관(110,120)에 해당된 유량만큼 분배하는 유량 분배기(140);
    상기 배기유량 내 오염물질을 처리 또는 저감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오염물질 처리장치(15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배기후드(90)는
    전면 및 저면이 개구되는 국소배기하우징(10);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의 저면에 이격배치되며, 컨베이어(21)에 의해 이송되는 주형(20);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 내부 상단에 설치되는 상단 후드(30);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 내 상단 후드(30) 하단에 설치되는 하단 후드(40) ;
    상기 하단 후드(40)에 연통되며, 항시 가동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냉각공정용 제 1분지관(111);
    상기 상단 후드(30)에 연통되며, 주형(20)에 용해된 쇳물이 주입되는 경우만 개방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주입공정용 제 2분지관(121);
    상기 상단 후드(30) 전면 상단에 회전가능토록 힌지결합되어, 국소배기하우징(10) 국소배기하우징(10)의 전면에서 상단 후드(30)로 유입되지 못하는 오염물질을 국소배기하우징(10) 내측으로 유도하며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주형(20)을 국소배기하우징(10) 내외부로 이동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유량 차단판(33);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배기후드(90)는
    전면 및 저면이 개구되는 국소배기하우징(10);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의 저면에 이격배치되며, 컨베이어(21)에 의해 이송되는 주형(20);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 내부 상단에 설치되는 상단 후드(30);
    상기 상단 후드(30)에 연통되며, 항시 가동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냉각공정용 제 1분지관(111);
    상기 상단 후드(30)에 연통되며, 주형(20)에 용해된 쇳물이 투입되는 경우만 개방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주입공정용 제 2분지관(121);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배기후드(90)는
    전면이 개구된 국소배기하우징(10);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 내부 저면에 배치되는 주형(20);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의 상부 후단에 설치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되, 외주연에 다수의 흡입구(112)가 천공형성되는 제 1분지관(111) 또는 제 2분지관(121);
    상기 흡입구(112)가 형성된 제 1분지관(111) 또는 제 2분지관(121)의 외주연에 일단이 고정결합되어 국소배기하우징(10)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단 후드(30);
    상기 제 1분지관(111) 또는 제 2분지관(121)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상단 후드(30)를 상부 또는 하부로 회전시키는 분지관 회전체(113);
    상기 주형(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국소배기하우징(10)의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주형(20)에 쇳물을 주입되거나 또는 주형(20)의 탈형작업시에는 국소배기하우징(10)의 양측을 밀폐하고, 주물제작이 완료된 후에는 국소배기하우징(10)의 후면판(12) 측으로 접혀지는 측면판(11);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배기후드(90)는
    전면이 개구되는 국소배기하우징(10);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 내부 저면에 배치되는 주형(20);
    상기 주형(20)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되,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 내부에서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주형(20) 상부측으로 회전이 가능한 회전형 후드(50);
    상기 회전형 후드(50)에 연통되며, 항시 개방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냉각공정용 제 1분지관(111);
    상기 회전형 후드(50)에 연통되며, 주형(20)에 용해된 쇳물이 투입되는 경우만 개방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주입공정용 제 2분지관(121);
    상기 회전형 후드(50) 전면 상단에 회전가능토록 힌지결합되어, 국소배기하우징(10)의 전면에서 회전형 후드(50)로 유입되지 못하는 오염물질을 국소배기하우징(10) 내측으로 유도하며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주형(20)을 국소배기하우징(10) 내외부로 이동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유량 차단판(33);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배기후드(90)는
    전면이 개구되는 국소배기하우징(10);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 내부 저면에 배치되는 주형(20);
    상기 국소배기하우징(10) 내부 상단에 설치되는 상단 후드(30);
    상기 상단 후드(30)에 연통되며, 항시 가동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냉각공정용 제 1분지관(111);
    상기 상단 후드(30)에 연통되며, 주형(20)에 용해된 쇳물이 투입되는 경우만 개방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주입공정용 제 2분지관(121);
    상기 상단 후드(30) 전면에 힌지결합되어 국소배기하우징(10)의 전면 상부를 개방 또는 밀폐함으로써, 개방시에는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주형(20)을 국소배기하우징(10) 내외부로 이동할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하고, 밀폐시에는 오염물질의 흡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형 후드덮개(34);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장치.
  12. 상기 제 7, 8,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단 후드(30, 40) 또는 상단 후드(30) 또는 회전형 후드(50)는
    국소배기하우징(1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하향경사지며, 타공판 등의 형태로 유량 분배판(32)이 전면에 형성되어, 흡입되는 오염물질이 후드 전체에 고루 분포되며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장치.
  13. 상기 제 9,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후드(30)는
    저면에 타공판 등의 형태로 유량 분배판(32)을 형성하여, 흡입되는 오염물질이 후드 전체에 고루 분포되며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장치.
KR1020100117381A 2010-11-24 2010-11-24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국소배기장치 KR101173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381A KR101173438B1 (ko) 2010-11-24 2010-11-24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국소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381A KR101173438B1 (ko) 2010-11-24 2010-11-24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국소배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925A KR20120055925A (ko) 2012-06-01
KR101173438B1 true KR101173438B1 (ko) 2012-08-16

Family

ID=4660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381A KR101173438B1 (ko) 2010-11-24 2010-11-24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국소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4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29111A (ja) 2013-09-06 2016-09-23 ディサ インダストリーズ アクツイエセルスカプ 金属鋳物工場を操作する方法、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を含む金属鋳物工場
KR101662452B1 (ko) * 2015-06-09 2016-10-05 류창현 쇳물주입라인의 이동식 후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925A (ko) 201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42011C2 (ru) Обрабатывающая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заготовок
US20200166275A1 (en) Treatment installation and method for treating workpieces
JP6816115B2 (ja) 自動フィルターシステムを持つ塗装ブース
US20180236476A1 (en) Painting booths with change filter systems
KR101173438B1 (ko) 배출량 변동 대기오염 발생원 적용 다중후드 국소배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국소배기장치
CN203170138U (zh) 移动式焊接打磨一体机
KR102590106B1 (ko) 가열 프레스의 영역에서 공기 흡입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2295155A (zh) 散装物料传送带用防尘装置
CN217041969U (zh) 艾奇逊石墨化炉尾气吸收装置
CN101144115A (zh) 连续热处理炉的密封装置
KR101003556B1 (ko) 흄 배기장치
CN212864875U (zh) 一种网带式连续气体渗碳淬火炉
KR101246923B1 (ko) 배출가스 처리유닛
JP7496332B2 (ja) 工作機械の切削液タンク
JPH04118168U (ja) 焼付乾燥炉
KR20100134308A (ko) 연속주조용 배기장치
KR102308523B1 (ko) 도로 먼지 제거장치
JP2016030268A (ja) 鋳造工場
CN210251763U (zh) 一种用于有机废气处理的双层活性炭废气净化设备
CN109626033A (zh) 具有除尘功能的输送设备
KR101219382B1 (ko) 호이스트 이동로가 구비된 천정흡입 방식 국소배기후드를 이용한 환기장치
JP2002031326A (ja) 燃焼炉の排煙処理装置
JP2021071212A (ja) 雰囲気置換装置及び熱処理システム
CN213824076U (zh) 一种推舟炉防倒流废气处理装置
CN211463639U (zh) 一种人防门用喷漆房尾气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