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413B1 - 액자용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 - Google Patents

액자용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413B1
KR101173413B1 KR1020110111791A KR20110111791A KR101173413B1 KR 101173413 B1 KR101173413 B1 KR 101173413B1 KR 1020110111791 A KR1020110111791 A KR 1020110111791A KR 20110111791 A KR20110111791 A KR 20110111791A KR 101173413 B1 KR101173413 B1 KR 101173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rner connector
pressing member
support
fixing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진호
Original Assignee
윤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진호 filed Critical 윤진호
Priority to KR1020110111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10Corner clips or corner-connecting appliances for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05Picture frames made from extruded or moulded profiles, e.g. of plastic or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자용 프레임이 보다 완벽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모서리 연결구에 압착부재, 결착돌기, 압착 고정턱 등의 결합 구조를 구비하여 완벽하게 액자 프레임이 고정됨은 물론 상기 액자 프레임의 재활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모서리 연결구의 구조에 관련된 것이다.
모서리 연결구(100)는 멈춤턱(10)이 구비된 중심 지지지대(50)와 상단에 제3 압착부재(20-3)가 형성되어있는 제3 지지대(50-3)의 사이에 제3 압착 고정턱(40-3)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지지대(50-3)와 상단에 제2 압착부재(20-2)가 형성되어있는 제2 지지대(50-2)의 사이에 제2 압착 고정턱(40-2)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대(50-2)와 하단에 제1 압착부재(20-1)가 형성되어있는 제1 지지대(50-1)의 사이에 제1 압착 고정턱(40-1)이 형성되어 액자프레임(60)과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자용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Angle Connector Of Frame Members For Advertisement Frame}
본 발명은 모서리 연결구를 이용하여 조립되는 액자 프레임이 더욱 정밀하게 결합됨은 물론, 언제든지 재활용이 가능토록 제공되는 모서리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서리 연결구에 결합 된 액자용 프레임이 별도의 압착공정이 없이 정밀하게 고정될 수 있고, 언제든지 재사용이 가능하여 조립과 해체가 용이한 액자용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의 구조에 관련된 것이다.
액자는 그림, 글씨, 사진 따위를 끼워 보존과 전시, 쉬운 이동 등을 위하여 쓰여지는 틀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액자로 만들어지는 재료는 삼나무, 자단, 흑단 따위의 목재 틀이 있었으나 현대에 이르러 그림이나 사진을 전시하는 목적에만 국한되지 않고 건축의 벽면과 실내 인테리어와의 장식적인 조화에 더불어 플라스틱이나 경금속, 유리, 등으로 많이 제작되기도 하는데, 이처럼 용도에 따라서 크기나 모양은 각각 다르더라도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을 정도로 액자는 그 실용성이 상당하다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목재나 플라스틱, 유리 등으로 만들어진 액자 틀은 한번 제작되면 분해가 힘들고, 이에 따라서 액자는 크기가 클수록 이동이 힘들어진다는 단점이 있었기에 다양한 종류의 조립식 액자가 시중에 선보이고 있지만 이 또한 조립과 분해는 용이하나 결합구조가 단순하여 서로 연결된 액자 프레임이 그 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쉽게 무너지거나 혹은 결합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종래의 액자를 이루는 액자용 프레임들은 각각의 모서리가 ‘ㄱ’자 형태의 연결구에 각각 직각으로 결합 되어 액자로 완성되었는데, 통상적으로 이러한 형태의 액자는 알루미늄 압출물인 프레임의 단부를 45°의 경사각으로 절단하여 얻은 경사단부면을 직각으로 결합하게 되는 구조이다. 이렇게 연결구와 결합 된 프레임은 이탈이나 강제해체를 막기 위하여 프레임 겉면을 타공하여 서로 간의 볼트로 체결하거나 액자 프레임이 결합 된 상태에서 펀칭 내지는 압착공정을 가하여 프레임을 굴곡시켜 연결구와 고정되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압착공정을 가하게 됨으로써 인건비가 증가하게 됨은 물론, 휘어진 프레임의 외형은 미간상 좋지못할 뿐만 아니라 재활용이 힘들다는 치명적인 단점을 보유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보다 정교하게 압착 고정될 수 있는 모서리 연결구를 완성하여 별도의 공정이 필요없이 쉽게 결합 내지는 해체가 가능하고 영구적으로 재활용이 가능토록 하는 액자용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가 필요로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액자용 프레임이 보다 완벽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모서리 연결구에 압착부재, 결착돌기, 압착 고정구 등의 결합 구조를 구비하여 완벽하게 액자 프레임이 고정됨은 물론 상기 액자 프레임의 재활용이 가능할 수 있는 구조로 완성하는 것이 해결 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액자용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에 있어서,
모서리 연결구(100)는 멈춤턱(10)이 구비된 중심 지지지대(50)와 상단에 제3 압착부재(20-3)가 형성되어있는 제3 지지대(50-3)의 사이에 제3 압착 고정턱(40-3)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지지대(50-3)와 상단에 제2 압착부재(20-2)가 형성되어있는 제2 지지대(50-2)의 사이에 제2 압착 고정턱(40-2)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대(50-2)와 하단에 제1 압착부재(20-1)가 형성되어있는 제1 지지대(50-1)의 사이에 제1 압착 고정턱(40-1)이 형성되어 액자프레임(60)과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압착부재(20-1), 제2 압착부재(20-2), 제3 압착부재(20-3)의 상단에는 결착돌기(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압착 고정턱(40-1), 제2 압착 고정턱(40-2), 제3 압착 고정턱(40-3)의 상?하단은 만곡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액자용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에 의하면, 액자용 프레임을 더욱 정확하고 세밀하게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종래에서 액자용 프레임에 가하는 압착공정을 생략하여 인건비를 절약함과 동시에 영구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액자 구조를 가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생성되는 모서리 연결구의 전체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생성되는 모서리 연결구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생성되는 모서리 연결구를 우측에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생성되는 모서리 연결구를 저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생성되는 모서리 연결구가 액자프레임과 결합되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생성되는 모서리 연결구가 액자프레임과 결합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생성되는 모서리 연결구에 액자프레임이 결합될때의 형상을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생성되는 모서리 연결구에 액자프레임이 결합 될 때의 형상을 저면에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액자용 프레임이 보다 완벽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모서리 연결구에 압착부재, 결착돌기, 압착 고정턱 등의 결합 구조를 구비하여 완벽하게 액자 프레임이 고정됨은 물론 상기 액자 프레임의 재활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모서리 연결구의 구조에 관련된 것임을 주지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생성되는 모서리 연결구의 전체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생성되는 모서리 연결구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생성되는 모서리 연결구를 우측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생성되는 모서리 연결구를 저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생성되는 모서리 연결구가 액자프레임과 결합 되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생성되는 모서리 연결구가 액자프레임과 결합 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생성되는 모서리 연결구에 액자프레임이 결합 될 때의 형상을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생성되는 모서리 연결구에 액자프레임이 결합 될 때의 형상을 저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서리 연결구(100)는 외측에 제1 압착부재(20-1), 제2 압착부재(20-2), 제3 압착부재(20-3)가 형성되어있고, 모서리 연결구(100)의 본체 내부에 제1 압착 고정턱(40-1), 제2 압착 고정턱(40-2), 제3 압착 고정턱(40-3)을 구비하여 이들의 상호 작용으로 액자프레임(60)과 정밀한 결합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상기 모서리 연결구(100)에 기초하여 각 구성요소를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모서리 연결구(100)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서 상세하게 나타나있는 바와 같이 “ㄱ”자형의 입체적인 형상으로 다수의 지지대를 뼈대로 하여 생성되며 각각의 지지대로 인하여 생성된 구역들은 막히지아니하고 관통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 도 2를 참고로 하여 우선 중심 지지대(50)를 기준으로 상단에는 액자프레임(60)의 진입을 막아주는 멈춤턱(10)이 구비되어 있다. 액자프레임(60)은 직사각형 모양의 긴 막대 형태로 각각의 양단 끝은 45°의 경사각으로 절단된 단부면이 형성되어 있어 그 단부면 사이로 모서리 연결구(100)를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멈춤턱(10)을 생성함으로써 직교로 서로 결합 된 액자프레임(60)의 날카로운 단부면에 의하여 사람이 상해를 당하는 것이 방지되고, 아울러 멈춤턱(10)이 생성된 부분까지만 액자프레임(60)이 진입할 수 있어 빠르고 정교하게 두 개의 액자프레임(60)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하여 상부에 멈춤턱(10)이 구비되어있는 중심 지지대(50)를 기준으로 좌, 우 양측은 대칭의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상기 중심 지지대(50)의 중단부에서부터 하단 방향으로 제3 압착 고정턱(40-3)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4에서 자세히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3 압착 고정턱(40-3)의 상?하단은 액자프레임(60)의 진입 방향으로 굽은 활 모양의 만곡부로 형성되는데, 평평한 면의 모서리 연결구(100)에 돌출된 제3 압착 고정턱(40-3)을 구비함으로써 액자프레임(60)의 결합 후 내벽면에 작용하는 결착력을 증대시켜 강하게 고정되게 하기 위함이며, 더욱이 제3 압착 고정턱(40-3)의 상?하단을 만곡부로 형성하게 됨으로써 액자프레임(60)의 진입 방향에 따라 용이하게 결착이 되도록 한다. 중심 지지대(50)에서 이어진 제3 압착 고정턱(40-3)의 반대편 일측은 제3 지지대(50-3)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3 지지대(50-3)의 상단에는 제3 압착부재(20-3)가 형성되어 있는데, 실질적으로 제3 지지대(50-3)는 제3 압착부재(20-3)를 지지하고 1차 텐션력을 부여하기 위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제3 압착부재(20-3)는 굽어진 면을 지니고 있어 상당한 제2의 텐션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조금더 자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면 상기 제3 압착부재(20-3)는 직사각형의 평평한 면에 1차적으로 상단으로 굽어 올라가지고, 다시 수평 방향으로 2차적으로 평평하게 굽어지는 형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생성된 제3 압착부재(20-3)은 두 개의 굽어지는 점을 가지고 있어 일정한 휘어짐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형상의 제3 압착부재(20-3)는 모서리 연결구(100)의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게 되는데, 모서리 연결구(100)에 액자프레임(60)이 삽입되면서 상기 제3 압착부재(20-3)는 액자프레임(60)의 내부공간 홈에 맞게 휘어지고, 액자프레임(60)이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제3 압착부재(20-3) 내에서 작용하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려는 장력으로 인하여 액자프레임(60)은 완전히 결속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 압착부재(20-3)의 상단에는 곡면을 가진 돌출된 형상의 결착돌기(30)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액자프레임(60)을 완전히 구속하기 위하여 부가적인 힘을 부여하는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결착돌기(30) 역시 곡면부를 가짐으로써 액자프레임(60)의 진입은 쉽게 할 수 있으나 이탈시에는 결착돌기(30)의 직각인 면으로 인하여 잘 빠지지 않는다. 계속하여 제3 지지대(50-3)의 중단부에서부터 하단 방향으로 이어진 제2 압착 고정턱(40-2)이 형성되어 있고, 제3 지지대(50-3)와 연결된 제2 압착 고정턱(40-2)의 반대편 일측은 제2 지지대(50-2)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 압착 고정턱(40-2)도 역시 제3 압착 고정턱(40-3)과 동일하게 상?하단은 액자프레임(60)의 진입 방향으로 굽은 활 모양의 만곡부로 형성하여 액자프레임(60)의 결합 후 내벽면에 작용하는 결착력을 증대시켜 강하게 고정되게 하며, 액자프레임(60)의 진입 방향에 따라 용이하게 결착이 되도록 한다. 제2 지지대(50-2)의 상단에는 제3 압착부재(20-3)와 같은 형상으로 직사각형의 평평한 면에 1차적으로 상단으로 굽어 올라가지고, 다시 수평 방향으로 2차적으로 평평하게 굽어지는 형상이라고 할 수 있으며, 두 개의 굽어지는 점을 가지고 있어 일정한 휘어짐이 가능하게 되는 제2 압착부재(20-2)가 형성되어 있다. 계속하여 제2 지지대(50-2)의 중단부에서부터 하단의 방향으로 제1 압착 고정턱(40-1)이 형성되고, 제2 지지대(50-2)와 연결된 제1 압착 고정턱(40-1)의 반대편 일측은 제1 지지대(50-1)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압착 고정턱(40-1)은 액자프레임(60)이 모서리 연결구(100)에 결합 될 때 최초로 압착을 가해주는 부분으로 그 모양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압착 고정턱(40-2), 제3 압착 고정턱(40-3)과 같은 형상으로 상?하단은 액자프레임(60)의 진입 방향으로 굽은 활 모양의 만곡부로 형성하여 액자프레임(60)의 결합 후 내벽면에 작용하는 결착력을 증대시켜 강하게 고정되게 하며, 액자프레임(60)의 진입 방향에 따라 용이하게 결착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대(50-1)와 이어져 형성되어 있는 제1 압착부재(20-1)는 모서리 연결구(10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액자프레임(60)이 결합 되기 위하여 삽입될 때 최초로 압착을 가하여주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1 압착부재(20-1)의 형상 역시 제2 압착부재(20-2), 제3 압착부재(20-3)과 마찬가지로 직사각형의 평평한 면에 1차적으로 상단으로 굽어 올라가지고, 다시 수평 방향으로 2차적으로 평평하게 굽어지는 형상이라고 할 수 있으며, 두 개의 굽어지는 점을 가지고 있어 일정한 휘어짐이 가능하게 된다.
이제 첨부된 도면 도 5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모서리 연결구(100)에 액자프레임(60)이 결합 될 때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도 5와 도 6에서 자세히 나타나있는 바와 같이 조립식으로 완성되는 액자는 액자 틀을 이루는 액자프레임(60)이 직교방향으로 4면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게 되는데, 통상적인 사각틀 형태의 이러한 조립식 액자(200)는 모서리 연결구(100)를 이용하여 두 개의 액자프레임(60)을 장착하게 된다. 이때 액자프레임(60)이 모서리 연결구(100)에 장착될 시 일어나는 모양의 변화를 도 7과 도 8을 바탕으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모서리 연결구(100)에 액자프레임(60)이 삽입될 시 최초로 제1 압착 고정턱(40-1)과 제1 압착부재(20-1)에 의하여 압착되기 시작한다. 상?하단이 만곡부로 형성된 제1 압착 고정턱(40-1)은 액자프레임(60)이 진입하는 방향으로 생성되어 쉽게 액자프레임(60)이 진입할 수 있으나 돌출된 형상으로써 한번 결합되기 시작하면 해체가 쉽지않은 구조이다. 그리고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착부재(20-1)는 내부에서 작용되는 고유의 텐션력으로 인하여 액자프레임(60)이 진입함과 동시에 액자프레임(60)의 결합 홈의 크기에 맞게 휘어져 들어가 쉽게 결합이 되지만 항상 원위치로 복구되려는 제1 압착부재(20-1)의 D거리 만큼의 장력으로 인하여 액자프레임(60)의 내벽을 강하게 결착하게 된다. 아울러 제1 압착부재(20-1)의 상단에는 결착돌기(30)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액자프레임(60)의 진입시는 결착돌기(30)의 굴곡진 면을 통하여 진입은 쉬우나 반대로 해체시에는 결착돌기(30)의 직각부에 액자프레임(60)의 내벽이 맞닿아 강한 마찰력을 자아내어 이탈이 쉽지가 않도록 한다. 이렇게 계속 진입되는 액자프레임(60)은 순서대로 제2 압착부재(20-2)와 제2 압착 고정턱(40-2)으로 또 한번 압착이 되고, 마지막으로 제3 압착부재(20-3)와 제3 압착 고정턱(40-3)과 맞닿아 3단으로 압착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모서리 연결구(100)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액자프레임(60)의 내부는 간략화될 수 있고, 타공이나 별도의 압착 공정이 없이도 액자프레임(60)이 모서리 연결구(100)와 완벽히 결합이 되며, 언제든지 재사용을 할 수 있는 영구적인 조립식 액자(200)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멈춤턱 20-1 : 제1 압착부재
20-2 : 제2 압착부재 20-3 : 제3 압착부재
30 : 결착돌기 40-1 : 제1 압착 고정턱
40-2 : 제2 압착 고정턱 40-3 : 제3 압착 고정턱
50: 중심 지지대 50-1 : 제1 지지대
50-2 : 제2 지지대 50-3 : 제3 지지대
60 : 액자프레임 100 : 모서리 연결구
200 : 조립식 액자

Claims (3)

  1. 삭제
  2. 모서리 연결구(100)는 멈춤턱(10)이 구비된 중심 지지대(50)와 상단에 제3 압착부재(20-3)가 형성되어있는 제3 지지대(50-3)의 사이에 상?하단이 만곡부로 이루어지는 제3 압착 고정턱(40-3)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지지대(50-3)와 상단에 제2 압착부재(20-2)가 형성되어있는 제2 지지대(50-2)의 사이에 상?하단이 만곡부로 이루어지는 제2 압착 고정턱(40-2)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대(50-2)와 하단에 제1 압착부재(20-1)가 형성되어있는 제1 지지대(50-1)의 사이에 상?하단이 만곡부로 이루어지는 제1 압착 고정턱(40-1)이 형성되어 액자프레임(60)과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용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부재(20-1), 제2 압착부재(20-2), 제3 압착부재(20-3)의 상단에 결착돌기(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용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
  3. 삭제
KR1020110111791A 2011-10-31 2011-10-31 액자용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 KR101173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791A KR101173413B1 (ko) 2011-10-31 2011-10-31 액자용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791A KR101173413B1 (ko) 2011-10-31 2011-10-31 액자용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3413B1 true KR101173413B1 (ko) 2012-08-10

Family

ID=46880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791A KR101173413B1 (ko) 2011-10-31 2011-10-31 액자용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4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2371A (ja) 1999-03-15 2000-09-26 Epoch Sha:Kk 額縁コーナー用連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2371A (ja) 1999-03-15 2000-09-26 Epoch Sha:Kk 額縁コーナー用連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5619B2 (en) Modular partition system
US10276074B2 (en) Modular and freely combinable tension fabric popup display
US10039392B2 (en) Modular poster print stretch frame
KR101755098B1 (ko) 광고판 및 천정판 조립 구조물
US20200002940A1 (en) Prefabricated booth
US20160251897A1 (en) Expandable Fence Gate Frame Assembly
KR101173413B1 (ko) 액자용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
KR101533294B1 (ko) 조립식 파고라 기둥 구조체
US9874025B2 (en) Sheet fixing frame
KR101747872B1 (ko) 구조물 조립체
JP6118863B2 (ja) 展示会システム
KR101849272B1 (ko) 전시부스용 프레임구조 및 그 프레임구조를 이용한 전시부스 시공 방법
KR20100040828A (ko) 재래시장 아케이트의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CN210805143U (zh) 组装式多面展架
CN210251225U (zh) 支持锁定的包围体组件
KR20150040992A (ko) 입체 팝
KR101898873B1 (ko) 안내판 지주 지지구조체
KR200496935Y1 (ko) 스케치북을 끼움 결합된 프레임으로 전시하는 전시용 액자
KR101447691B1 (ko) 광고 간판 프레임용 모서리캡 및 상기 모서리캡을 이용한 광고 간판 프레임 장치
CN104481113A (zh) 一种大块组合式的拼接地板
US20220258040A1 (en) Puzzle case
KR200490337Y1 (ko) 액자 프레임
KR102238883B1 (ko) 전시 모듈을 이용한 전시 모듈 구조체
KR101376547B1 (ko) 목재 슬릿 결합형 투명 방음판
KR100784711B1 (ko) 파티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