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336B1 - 폐수량 조절 밸브 - Google Patents

폐수량 조절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336B1
KR101173336B1 KR1020090016460A KR20090016460A KR101173336B1 KR 101173336 B1 KR101173336 B1 KR 101173336B1 KR 1020090016460 A KR1020090016460 A KR 1020090016460A KR 20090016460 A KR20090016460 A KR 20090016460A KR 101173336 B1 KR101173336 B1 KR 101173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fluid
flow rate
flow path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7491A (ko
Inventor
이인탁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6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336B1/ko
Priority to CN201080009750.5A priority patent/CN102333980B/zh
Priority to PCT/KR2010/001230 priority patent/WO2010098621A2/en
Priority to US13/145,907 priority patent/US20110277856A1/en
Publication of KR20100097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52Means for additional adjustment of the rate of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fety Valves (AREA)
  • Flow Control (AREA)

Abstract

넓은 압력 범위 내에서 다양한 압력을 가진 원수가 공급되더라도 일정 회수율을 가지도록 유량을 조절할 수 있고, 이물질에 의한 유로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폐수량 조절 밸브가 개시된다.
상기한 폐수량 조절 밸브는 내부로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유로를 구비하는 몸통, 상기 몸통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유체를 안내하며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테이퍼홈을 구비하는 안내부재, 및 상기 몸통에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테이퍼 홈으로부터 입출되도록 상기 몸통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폐수량 조절 밸브에 의하면, 유량조절부재를 통해 유체가 흐르는 유로의 단면적을 변화시켜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유입되는 유체가 가진 압력이 변화하더라도 배출되는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유량조절부재를 통해 유체가 흐르는 유로에 이물질이 끼이더라도 용이하게 이물질을 제거하여 밸브로서의 기능상실을 방지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016460
폐수량 조절 밸브, 멤브레인 필터, 유량조절부재, 회수율

Description

폐수량 조절 밸브{VALVE FOR REGULATING WASTE WATER QUANTITY}
본 발명은 폐수량 조절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역삼투압정수기에 구비되어 생활용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폐수량 조절 밸브에 관한 것이다.
수질오염이 심각해지면서 오염된 물을 깨끗하게 여과할 수 있는 정수기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정수기의 정수방식에는 역삼투압 방식, 종공사막방식, 자연여과방식 등이 있다.
한편, 이온과 분자 등의 농도가 높은 물과 낮은 물 사이에 삼투막(반투과막)을 설치하면 농도가 낮은 쪽의 물분자가 높은 쪽으로 삼투하여 양쪽 물의 농도가 평형상태에 도달할 때 삼투하는 물의 압력을 삼투압이라고 한다.
이러한 삼투압이 작용하는 반대방향으로 삼투압보다 큰 압력을 가하면 물이 삼투막을 통과하여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물 이외의 다른 성분을 원하는 수준까지 제거하여 물을 정수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방식을 역삼투압 방식이라 한다.
상기한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멤브레인 필터에는 역삼투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농축수를 배출하도록 배출라인이 연결된다.
또한, 배출라인 상에는 배출밸브가 구비되어, 이 배출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농축수의 흐름을 지연시키며, 배출밸브의 회수율은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의 오염도를 고려하여 통상 20~30% 정도로 설정된다.
여기서, 회수율 = 정수량 / (정수량 + 농축수량) × 100 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한 역삼투 방식의 정수기에서는 멤브레인 필터에 삼투압보다 큰 압력을 가하기 위하여 가압펌프 등과 같은 가압장치를 구비한다.
그런데, 최근에는 원가절감을 위한 설계로 인하여 가압펌프 등과 같은 가압장치를 구비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종래에 사용되는 배출밸브로는 넓은 압력 범위의 원수가 공급되는 경우 배출밸브는 회수율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배출밸브로는 20~30%의 회수율을 가지도록 유량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넓은 압력 범위 내에서 다양한 압력을 가진 원수가 공급되더라도 일정 회수율을 가지도록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폐수량 조절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에 의한 유로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폐수량 조절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수량 조절 밸브는 내부로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유로를 구비하는 몸통, 상기 몸통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유체를 안내하며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테이퍼홈을 구비하는 안내부재, 및 상기 몸통에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테이퍼 홈으로부터 입출되도록 상기 몸통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테이퍼홈은 상기 유량조절유닛의 일단이 삽입되어 배치되는 경우 유체가 흐르는 유로를 제공하는 유로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유닛은 상기 몸통에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유량조절부재와, 상기 유량조절부재를 가압토록 상기 유량조절부재에 장착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는 유체가 상기 테이퍼홈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테이퍼홈과 연통되는 유로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통은 상기 안내부재와 상기 유량조절유닛이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설치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량조절부재를 통해 유체가 흐르는 유로의 단면적을 변화시켜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유입되는 유체가 가진 압력이 변화하더라도 배출되는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유량조절부재를 통해 유체가 흐르는 유로에 이물질이 끼이더라도 용이하게 이물질을 제거하여 유입되는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밸브로서의 기능상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수량 조절 밸브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수량 조절 밸브의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수량 조절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폐수량 조절 밸브(100)는 일예로서, 멤브레인 필터(10)의 배출관(12)에 연결되어 멤브레인 필터(10)로부터 배출되는 생활용수의 배출량(이하 '유량'이라 함)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폐수량 조절 밸브(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예로서, 몸통(120), 안내부재(140), 유량조절유닛(160), 및 연결부재(180)를 포함한다.
몸통(120)은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유로(12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몸통(120)은 유로(122)와 연결되어 유체가 흐르는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안내부재(140)와 유량조절유닛(160)이 설치되는 설치홈(124)을 구비할 수 있다.
설치홈(124)에는 유량조절유닛(160)의 슬라이딩 이동시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26)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몸통(120)은 양 단부에 유체가 흐르는 배관(미도시)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180)가 장착되는 제1,2 장착부(128a,128b)를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제1 장착부(128a)에는 유체가 몸통(120)으로 유입되도록 유입관(미도시)에 연결되는 연결부재(180)가 장착될 수 있고, 제2 장착부(128b)에는 유체가 몸통(12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관(미도시)에 연결되는 연결부재(180)가 장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는 몸통(120)이 일자형상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안내부재(140)는 몸통(120)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유체를 안내하며,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테이퍼홈(142)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유량조절유닛(160)의 일단이 테이퍼홈(142)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정도에 따라 안내부재(140)를 통과하는 유체의 양이 조절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홈(142)은 유량조절유닛(160)의 일단이 삽입되어 배치되는 경우 유체가 흐르는 유로를 제공하는 유로홈(144)을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량조절유닛(160)의 일단이 테이퍼홈(142)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면, 유체는 유로홈(144)을 통해서만 흐를 수 있다.
또한, 안내부재(140)는 유체가 테이퍼홈(142)으로 유입되도록 테이퍼홈(142)과 연통되는 유로홀(146)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통(120)의 일측(도 2의 좌측)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유로홀(146)을 통해 테이퍼홈(142)으로 유입될 수 있고, 이후 유체는 몸통(120)의 설치홈(124)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량조절유닛(160)은 몸통(120)에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테이퍼홈(142)으로부터 입출되도록 몸통(120)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량조절유닛(160)은 유량조절부재(162)와 탄성부재(164)를 구비할 수 있다.
유량조절부재(162)는 몸통(120)에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몸통(120)의 설치홈(124)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유량조절부재(162)의 일단은 테이퍼홈(14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테이퍼홈(142)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량조절부재(162)는 탄성부재(164)의 일단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162a)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유량조절부재(162)의 타단은 설치홈(124)에 구비되는 가이드부(126)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유량조절부재(162)는 가이드부(126)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즉, 유량조절부재(162)는 몸통(120)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이 낮은 경우 일단이 테이퍼홈(142)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몸통(120)으로 유입되 는 유체는 안내부재(140)의 유로홈(144)을 통해 흘러 설치홈(124)로 유입된다.
또한, 몸통(120)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이 높은 경우 유량조절부재(162)의 일단이 테이퍼홈(14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유량조절부재(162)는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때 유량조절부재(162)는 가이드부(126)에 의해 안내되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의 면적이 증대되며, 이에 따라 통과되는 유량이 증대된다. 결국, 유출되는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유량조절부재(162)의 일단이 테이퍼홈(142)에 삽입되도록 배치되어 유로홈(144)을 통해서만 유체가 흐르는 경우, 이물질이 유로홈(144)에 끼이면 유체에 의해 유량조절부재(162)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승된다. 이에 따라 유량조절부재(162)는 슬라이딩 이동되어 유량조절부재(162)의 일단이 테이퍼홈(142)으로부터 분리되어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의 면적이 증대된다.
이러한 경우, 유로홈(144)에 끼인 이물질은 유체에 의해 이동되어 유로홈(144)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물질이 유로홈(144)으로부터 이탈되면 유량조절부재(162)는 테이퍼홈(142)으로 삽입되어 배치되도록 슬라이딩 이동된다.
탄성부재(164)는 유량조절부재(162)를 가압하도록 유량조절부재(162)에 장착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164)는 일단이 유량조절부재(162)의 결합홈(162a)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타단이 몸통(120)의 설치홈(124)의 일측면에 지지되도록 설치홈(124)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유량조절부재(162)는 탄성부재(164)에 의해 가압되어 몸통(120) 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연결부재(180)는 몸통(120)에 결합되어 유체가 흐르는 배관(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부재(180)는 제1 연결부재(182)와 제2 연결부재(18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82)는 제1 장착부(128a)에 장착되어, 일예로서, 유체가 몸통(12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체가 공급되는 유입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재(184)는 제2 장착부(128b)에 장착되어, 몸통(120)으로부터 배출된 유체가 흐르는 배출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180)는 호스와 같이 내부로 유체가 흐르는 배관이 삽입결합되는 구성으로서,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구성에 해당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몸통(120)에는 유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O-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량조절부재(162)를 통해 유체가 흐르는 유로의 단면적을 변화시켜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유입되는 유체가 가진 압력이 변화하더라도 배출되는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유량조절부재(162)를 통해 유체가 흐르는 유로, 즉 유로홈(144)에 이물질이 끼이더라도 용이하게 이물질을 제거하여 유입되는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밸브로서의 기능상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수량 조절 밸브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수량 조절 밸브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다시 말해, 도 4는 몸통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이 낮은 경우의 폐수량 조절 밸브를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5는 몸통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이 높은 경우의 폐수량 조절 밸브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6은 몸통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이 저압과 고압 사이인 중간 압력인 경우의 폐수량 조절 밸브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몸통(120)의 내부로 압력이 낮은, 예를 들어 2~4kg/cm2 의 압력을 가진 유체가 유입된다. 이때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유량조절부재(162)에 가해지는 힘은 탄성부재(164)에 의해 유량조절부재(162)에 가해지는 힘보다 작다.
따라서, 유량조절부재(162)의 일단은 안내부재(140)의 테이퍼홈(142)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고, 이에 따라 몸통(120)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유로홈(144)을 통해서만 설치홈(124)으로 유입된다.
즉, 수압이 낮은 유체가 몸통(120)으로 유입되면, 유량조절부재(162)에 의해 유체가 흐르는 유로의 단면적을 감소시켜 유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감소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정 압력 이상의 높은 압력, 예를 들어 8~10kg/cm2 의 압력을 가진 유체가 유입되면,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유량조절부재(162)에 가해지는 힘은 탄성부재(164)에 의해 유량조절부재(162)에 가해지는 힘보다 크게 된 다.
이에 따라, 유량조절부재(162)의 일단이 테이퍼홈(14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유량조절부재(162)는 슬라이딩 이동된다. 결국, 유체가 흐르는 유로의 단면적이 증대되어 설치홈(124)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후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이 낮아지면, 유체에 의해 유량조절부재(162)에 가해지는 힘이 탄성부재(164)에 의해 가해지는 힘보다 작아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유량조절부재(162)는 탄성부재(164)에 의해 가해지는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어 유량조절부재(162)의 일단이 테이퍼홈(142)에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몸통(120)으로 중간 압력을 가진 유체, 예를 들어 5~7kg/cm2 의 압력을 가진 유체가 유입되면,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유량조절부재(162)는 슬라이딩 이동된다.
다만, 이러한 경우 유량조절부재(162)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정도는 높은 압력의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보다 작게 이동된다. 즉, 유량조절부재(162)의 일단은 테이퍼홈(142)에 접촉되지 않고, 테이퍼홈(14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유체가 흐르는 유로의 단면적은 낮은 압력을 가진 유체가 유입될 때보다는 크고, 높은 압력을 가진 유체가 유입될 때보다는 작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설치홈(124)으로 유입되어 몸통(120)의 외부로 유출되는 유량은 낮은 압력을 가진 유체가 유입될 때와 높은 압력을 가진 유체가 유입될 때의 유량 사이의 유량일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 즉 낮은 압력의 유체가 유입되어 설치홈(124)으로 유입되는 유체가 유로홈(144)만을 통해 유입될 때, 이물질이 유로홈(144)에 끼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물질에 의해 유체가 유로홈(144)을 통과하여 설치홈(124)으로 유입될 수 없어 유체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유량조절부재(162)는 슬라이딩 이동되고, 유체가 흐르는 유로의 단면적이 증가한다.
결국, 단면적이 넓어진 유로를 통해 유체가 흐르게 되고, 유로홈(144)에 끼여 있는 이물질은 흐르는 유체에 의해 유로홈(144)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물질에 의해 유입되는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국 밸브로서의 기능상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수량 조절 밸브의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수량 조절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수량 조절 밸브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수량 조절 밸브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수량 조절 밸브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폐수량 조절 밸브
120 : 몸통
140 : 안내부재
160 : 유량조절유닛
180 : 연결부재

Claims (5)

  1. 내부로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유로를 구비하는 몸통; 상기 몸통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유체를 안내하며,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테이퍼홈을 구비하는 안내부재; 및 상기 몸통에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테이퍼 홈으로부터 입출되도록 상기 몸통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테이퍼홈은, 상기 유량조절유닛의 일단이 삽입되어 배치되는 경우 유체가 흐르는 유로를 제공하는 유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량 조절 밸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유닛은
    상기 몸통에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유량조절부재; 및
    상기 유량조절부재를 가압토록 상기 유량조절부재에 장착되는 탄성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량 조절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유체가 상기 테이퍼홈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테이퍼홈과 연통되는 유로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량 조절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은
    상기 안내부재와 상기 유량조절유닛이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설치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량 조절 밸브.
KR1020090016460A 2009-02-26 2009-02-26 폐수량 조절 밸브 KR101173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460A KR101173336B1 (ko) 2009-02-26 2009-02-26 폐수량 조절 밸브
CN201080009750.5A CN102333980B (zh) 2009-02-26 2010-02-26 用于调节水量的阀
PCT/KR2010/001230 WO2010098621A2 (en) 2009-02-26 2010-02-26 Valve for regulating water quantity
US13/145,907 US20110277856A1 (en) 2009-02-26 2010-02-26 Valve for regulating water quant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460A KR101173336B1 (ko) 2009-02-26 2009-02-26 폐수량 조절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491A KR20100097491A (ko) 2010-09-03
KR101173336B1 true KR101173336B1 (ko) 2012-08-10

Family

ID=43004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460A KR101173336B1 (ko) 2009-02-26 2009-02-26 폐수량 조절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3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665B1 (ko) 2012-09-11 2013-12-04 정휘동 정수기의 유량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7268A (zh) * 2018-04-17 2018-07-24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阀门及净水机
CN109210214A (zh) * 2018-09-14 2019-01-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阀及具有阀的装置
KR102326247B1 (ko) * 2020-02-21 2021-11-1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배기압 조절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1063A (ja) * 1998-12-29 2000-07-11 Precision Valve Japan Ltd エアゾ―ル弁及び流量調整器アセンブリ
KR200224531Y1 (ko) * 2000-12-12 2001-05-15 주식회사디엠티 체크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1063A (ja) * 1998-12-29 2000-07-11 Precision Valve Japan Ltd エアゾ―ル弁及び流量調整器アセンブリ
KR200224531Y1 (ko) * 2000-12-12 2001-05-15 주식회사디엠티 체크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665B1 (ko) 2012-09-11 2013-12-04 정휘동 정수기의 유량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491A (ko) 201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77856A1 (en) Valve for regulating water quantity
JP5451574B2 (ja) 浄水システムおよび方法、および前記システムのためのモジュール
KR101173336B1 (ko) 폐수량 조절 밸브
KR200428894Y1 (ko) 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변경이 가능한 정수시스템
GB2442883A (en) Storm drain filter
WO2007083296A3 (en) Filtration systems and filtration tanks for use therein
KR20150101374A (ko) 수처리장치
CN110799258A (zh) 反渗透装置的排出阀
KR100797051B1 (ko) 유로 변경이 가능한 정수기용 어댑터
CN110845030A (zh) 净水系统及净水设备
CN108975543B (zh) 净水系统及净水机
KR101339658B1 (ko) 유량 조절 밸브
RU2671323C1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CN110627240A (zh) 净水装置和净水方法
CN110652882A (zh) 一种多段反渗透膜系统的冲洗装置及方法
KR102614247B1 (ko) 정수기
CN211632830U (zh) 混水系统及包含其的净水机
CN204625366U (zh) 净水设备
CN219209261U (zh) 一种滤芯安装结构及其净水系统
KR100610236B1 (ko) 역삼투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 저감장치
CN216549852U (zh) 一种净水系统
KR102016704B1 (ko) 물 여과 시스템
KR20010097687A (ko) 정수기용 유량제어 시스템
CN217838401U (zh) 一种净水机管路冲洗系统
CN220034142U (zh) 一种滤芯组件和净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