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258B1 - 기지국 및 상향 링크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 및 상향 링크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258B1
KR101173258B1 KR1020090106897A KR20090106897A KR101173258B1 KR 101173258 B1 KR101173258 B1 KR 101173258B1 KR 1020090106897 A KR1020090106897 A KR 1020090106897A KR 20090106897 A KR20090106897 A KR 20090106897A KR 101173258 B1 KR101173258 B1 KR 101173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de
base station
fixed code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1031A (ko
Inventor
김주희
김은경
이숙진
김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613,942 priority Critical patent/US9131505B2/en
Publication of KR20100051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0Negotiating bandwid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6Transport layer protocols, e.g. TCP [Transport Control Protocol] over 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이 단말로 상향링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단말로 TCP 패킷 및 고정 코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고정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코드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코드 번호에 대한 요구 대역폭을 검색하고,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TCP 패킷에 대한 ACK 패킷을 상기 할당된 자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향 링크, 고정 코드, 할당

Description

기지국 및 상향 링크 서비스 방법{Mobile station, Base Station and Method for Uplink Service}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향 링크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하향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트래픽이 발생하는 경우, TCP 패킷을 수신한 단말은 수신한 패킷에 대한 ACK(acknowledge)를 기지국으로 송신함으로써 하나의 TCP 데이터의 전송이 완결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TCP 패킷을 수신한 단말은, 수신한 TCP 패킷에 대한 ACK를 생성하고, 생성된 ACK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해 무선 구간 랜덤 접속(Random Access)를 시도한다. 이후,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성공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지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ACK 전송을 위한 자원을 할당 받고,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ACK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때, ACK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해 단말이 시도하는 랜덤 접속은, 여러 사용자가 경쟁해서 접속하기 때문에 사용자 수와 트래픽의 양에 따라 코드 충돌 확 률이 높아진다. 또한, 초기 무선 접속에 실패하는 경우, 단말은 반복적으로 접속을 시도함으로써 망 속도 저하의 문제가 심각해진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 및 상향 링크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이 단말로 상향링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단말로 TCP 패킷 및 고정 코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고정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코드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코드 번호에 대한 요구 대역폭을 검색하고,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TCP 패킷에 대한 ACK 패킷을 상기 할당된 자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상향링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TCP 패킷 및 고정 코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고정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코드 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상기 TCP 패킷에 대한 ACK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단말로 전송할 TCP 패킷이 발생한 경 우, 상기 단말에 대한 고정 코드가 할당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단말에 대한 고정 코드가 할당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단말에 대한 고정 코드를 할당하는 고정 코드 할당부; 상기 단말로 상기 TCP 패킷 및 상기 고정 코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고정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코드 번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코드 번호에 대한 요구 대역폭을 기초로,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할당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기지국 및 상향 링크 서비스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국(access point, AP),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AT, MT, MS, SS, PSS, UE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및 상향 링크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100) 및 단말(200)을 포함한다.
기지국(100)은 송수신부(110), 판단부(120), 고정 코드 할당부(130), 정보저장부(140), 검색부(150), 자원할당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판단부(120)는 단말(200)로 전송할 하향 TCP 패킷이 발생한 경우, 단말(200)에 대해 고정 코드가 할당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고정 코드 할당부(130)는 단말(200)에 대해 고정 코드를 할당하고, 할당된 고정 코드의 코드 사용 기간(Code Use Duration), 및 코드 사용 간격(Code Use Interval)를 결정한다.
코드 사용 기간은 단말(200)이 할당된 고정 코드를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을 의미하고, 코드 사용 간격은 단말(200)이 할당된 고정 코드를 사용할 수 있는 프레임 간격을 의미한다.
이때, 코드 사용 기간 및 코드 사용 간격은 단말(200)의 부하 상태, 자원 상태, 및 해당 서비스의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송수신부(110)는 코드 할당 정보 및 하향 TCP 패킷을 단말(200)로 전송하고, 단말(200)로부터 코드 번호 또는 ACK 패킷을 수신한다.
코드 할당 정보는 단말(200)로 할당된 고정 코드의 코드 번호(Allocated Code Number), 코드 사용 기간(Code Use Duration), 및 코드 사용 간격(Code Use Interval)을 포함한다.
이때, 코드 할당 정보는 MAC(Media Access Control) 제어 메시지 형태로 송신되거나, TCP 패킷을 전송하는 PDU(Protocol Data Unit)내에 서브 헤더 형태로 송신되거나, 하향 트래픽 전송 정보를 포함하는 MAP 내의 특정 필드에 입력되어 단말(200)로 전송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랜덤 접속을 위한 CDMA 코드의 수가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단말(200)로 할당되는 고정 코드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일 경우는, 코드 사용 기간 및 코드 사용 간격을 이용하여 코드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200)이 고정 코드를 이용하여 기지국(100)에 접속할 수 있는 기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단말(200)로 할당되는 고정 코드의 코드 번호가 k 이고, 코드 사용 기간은 7 프레임이고, 코드 사용 간격은 1 프레임인 경우이다.
도 2에서 단말(200)은 전체 코드 사용 기간(7 프레임) 중에서 코드 사용 간격인 1 프레임 간격으로 코드 번호 k인 고정 코드를 이용하여 기지국(100)에 접속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정보저장부(140)는 고정 코드 할당부(130)에서 단말(200)에 대해 할당된 코드 번호, 코드 사용 기간 및 코드 사용 간격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정보저장부(140)는 단말(200)이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요구 대역폭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검색부(150)는 단말(200)로부터 송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프레임과 코드 번호를 기초로, 해당 코드 번호에 대응하는 단말(200) 및 서비스를 정보저장부(140)를 이용하여 검색한다
자원할당부(160)는 자원판단부(161)을 포함하고, 검색부(150)에서 송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코드 번호에 대응하는 단말(200) 및 서비스가 검색된 경우, 현재 프레임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을 단말(200)로 할당한다
자원판단부(161)는 정보저장부(140)에 해당 서비스에 대해 저장되어 있는 요구 대역폭을 검색하여, 현재 프레임에서 단말(200)로 할당 가능한 자원의 크기가 요구 대역폭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자원판단부(161)에서 현재 프레임에서 단말(200)로 할당 가능한 자원의 크기가 해당 서비스에 대한 요구 대역폭 작다고 판단된 경우, 자원할당부(160)는 현재 프레임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의 크기의 자원을 단말(200)로 할당한다.
반면, 자원판단부(161)에서 현재 프레임에서 단말(200)로 할당 가능한 자원의 크기가 해당 서비스에 대한 요구 대역폭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 자원할당부(160)는 해당 서비스에 대한 요구 대역폭의 자원을 단말(200)로 할당한다.
제어부(170)는 송수신부(110), 판단부(120), 고정 코드 할당부(130), 검색부(150) 및 자원할당부(160)의 동작을 제어한다.
단말(200)은 송수신부(210), 정보저장부(220) 및 처리부(230)를 포함한다.
송수신부(210)는 기지국(100)으로부터 코드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코드 할당 정보를 정보저장부(220)에 저장한다. 또한, 송수신부(210)는 기지국(100)으로부터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하향 TCP 패킷에 대한 응답인 ACK 패킷을 기지국(100)으로 전송한다.
정보저장부(220)에는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한 코드 할당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처리부(230)는 할당여부 판단부(231) 및 프레임 판단부(232)를 포함하며, 기지국(100)으로 전송할 프레임에서 대역 요구를 위한 헤더에 할당 정보의 코드 번호(예를 들어, 도 2의 경우는 'k')를 삽입하여 송수신부(210)를 통해 기지국(100)으로 전송한다.
할당여부 판단부(231)는 상위 계층으로부터 기지국(100)으로 송신할 상향 데 이터, 예를 들어, 하향 TCP 패킷에 대한 ACK를 전달 받으면, 정보저장부(220)에 저장된 할당 정보의 코드 사용 기간을 기초로, 고정 코드가 할당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프레임 판단부(232)는 할당여부 판단부(231)에서 기지국(100)으로 접속 가능한 고정 코드가 할당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정보저장부(220)에 저장된 할당 정보의 코드 사용 간격을 기초로, 현재 프레임이 접속 가능한 프레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상향 링크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상향 링크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기지국(100)은 단말(200)로 전송할 하향 TCP 패킷이 발생한 경우, 단말(200)에 대해 고정 코드가 할당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1).
단말(200)에 대해 고정 코드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 기지국(100)은 하향 TCP 패킷을 단말(200)로 전송한다(S302).
반면, 단말(200)에 대해 고정 코드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경우, 기지국(100)은 단말(200)에 대해 고정 코드를 할당하고(S303), 할당된 고정 코드의 코드 사용 기간, 및 코드 사용 간격을 결정한다(S304). 이후, 기지국(100)은 코드 할당 정보 및 하향 TCP 패킷을 단말(200)로 전송한다(S305).
기지국(100)으로부터 코드 할당 정보를 수신한 단말(200)은 다음 프레임부터 수신한 할당 정보를 적용한다(S306).
이후, 단말(200)의 상위 계층으로부터 기지국(100)으로 송신할 상향 데이터, 예를 들어, 하향 TCP 패킷에 대한 ACK를 전달 받으면(S307), 단말(200)은 수신한 할당 정보의 코드 사용 기간을 기초로, 고정 코드가 할당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8).
기지국(100)으로 접속 가능한 고정 코드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말(200)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접속 방식, 예를 들어, 폴링 방식 또는 유니캐스트 할당을 기다리는 방식, 또는 랜덤 접속을 시도하는 방식으로 기지국과의 접속을 시도한다(S309).
반면, 기지국으로 접속 가능한 고정 코드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 단말(200)은 수신한 할당 정보의 코드 사용 간격을 기초로, 현재 프레임이 접속 가능한 프레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10).
현재 프레임에서 고정 코드를 이용한 기지국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할당 정보의 코드 사용 간격을 기초로 기지국(100)으로 접속 가능한 프레임까지 기다린다.
반면, 현재 프레임이 기지국으로 접속 가능한 프레임인 경우, 단말(200)은 현재 프레임에서 대역 요구를 위한 헤더에 할당 정보의 코드 번호(예를 들어, 도 3의 경우는 'k')를 삽입하여 기지국(100)으로 송신한다(S311).
단말(200)로부터 코드 번호를 수신한 기지국(100)은 수신한 프레임과 코드 번호를 기초로, 해당 코드 번호에 대응하는 단말(200) 및 서비스를 검색한다(S312). 이때, 수신한 코드 번호에 대응하는 단말(200) 및 서비스가 정보저장부(140)에 없는 경우, 기지국(100)은 수신한 코드 번호에 대한 동작을 중지한다.
반면, 수신한 코드 번호에 대응하는 단말(200) 및 서비스가 검색된 경우, 기지국(100)은 해당 서비스에 대해 저장되어 있는 요구 대역폭을 검색하고(S313), 현재 프레임에서 단말로 할당 가능한 자원의 크기가 요구 대역폭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314).
현재 프레임에서 단말(200)로 할당 가능한 자원의 크기가 요구 대역폭 작은 경우, 기지국(100)은 현재 프레임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을 단말(200)로 할당한다(S315). 만약, 현재 할당 가능한 자원이 대역 할당의 기본 단위인 BR??REQ 헤더를 전송하기 위한 대역보다 작은 경우, 기지국(100)은 다음 프레임에 단말(200)로 자원을 할당한다.
반면, 현재 프레임에서 단말(200)로 할당 가능한 자원의 크기가 요구 대역폭보다 큰 경우, 기지국(100)은 요구 대역폭의 자원을 단말(200)로 할당한다(S316).
기지국(100)으로부터 자원을 할당 받은 단말(200)은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하향 TCP 패킷에 대한 응답인 ACK 패킷을 기지국(100)으로 전송한다(S317).
이때, 기지국(100)으로부터 할당된 자원의 크기보다 요구 대역폭 보다 작은 경우, 단말(200)은 프레임의 BR??REQ 헤더 또는 piggybacked BR??REQ 서브 헤더 등을 이용하여 추가 대역을 기지국으로 요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지국(100)이 하향 트래픽과 함께 단말(200)이 응답 트래픽의 전송에 이용할 고정 코드에 대한 정보를 단말(200)로 전송함으로써, 단말(200)이 할당된 고정 코드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접속하여 응답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다.
즉, 하향 트래픽 전송과 연동하여 상향 접속에 대한 고정 코드를 할당함으로써, 단말(200)이 하향 트래픽에 대한 응답 트래픽을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상향 접속 지연 문제를 해소하여 데이터 속도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200)이 고정 코드를 이용하여 기지국(100)에 접속할 수 있는 기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상향 링크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13)

  1. 기지국이 단말로 상향링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TCP 패킷 및 고정 코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고정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코드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코드 번호에 대한 요구 대역폭을 검색하고,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TCP 패킷에 대한 ACK 패킷을 상기 할당된 자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코드에 대한 정보는,
    상기 기지국으로 접속하는데 이용할 고정 코드의 번호;
    상기 고정 코드를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인 코드 사용 기간; 및
    상기 고정 코드를 사용할 수 있는 프레임 간격인 코드 사용 간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TCP 패킷 및 고정 코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로 전송할 TCP 패킷이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에 대한 고정 코드가 할당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대한 고정 코드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 접속하는데 이용할 고정 코드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코드 사용 기간 및 코드 사용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코드 번호에 대한 단말 및 서비스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에 대한 요구 대역폭을 검색하는 단계; 및
    현재 프레임에서 상기 단말로 할당 가능한 자원의 크기가 상기 요구 대역폭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현재 프레임에서 상기 단말로 할당 가능한 자원의 크기가 상기 요구 대역폭보다 큰 경우, 상기 요구 대역폭의 자원을 상기 단말로 할당하는 단계; 및
    현재 프레임에서 상기 단말로 할당 가능한 자원의 크기가 상기 요구 대역폭보다 작은 경우, 상기 단말로 할당 가능한 자원을 상기 단말로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비스 제공 방법.
  6. 단말이 상향링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TCP 패킷 및 고정 코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고정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코드 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상기 TCP 패킷에 대한 ACK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코드에 대한 정보는,
    상기 기지국으로 접속하는데 이용할 고정 코드의 번호;
    상기 고정 코드를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인 코드 사용 기간; 및
    상기 고정 코드를 사용할 수 있는 프레임 간격인 코드 사용 간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 코드 번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ACK 패킷이 발생한 경우, 상기 코드 사용 기간을 기초로 고정 코드가 할당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고정 코드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 상기 코드 사용 간격을 기초로 현재 프레임이 상기 기지국에 접속 가능한 프레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현재 프레임이 상기 기지국으로 접속 가능한 프레임인 경우, 상기 고정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코드 번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비스 제공 방법.
  9. 단말로 전송할 TCP 패킷이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에 대한 고정 코드가 할당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단말에 대한 고정 코드가 할당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단말에 대한 고정 코드를 할당하는 고정 코드 할당부;
    상기 단말로 상기 TCP 패킷 및 상기 고정 코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고정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코드 번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코드 번호에 대한 요구 대역폭을 기초로,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할당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TCP 패킷에 대한 ACK 패킷을 상기 할당된 자원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코드에 대한 정보는,
    상기 기지국으로 접속하는데 이용할 고정 코드의 번호;
    상기 고정 코드를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인 코드 사용 기간; 및
    상기 고정 코드를 사용할 수 있는 프레임 간격인 코드 사용 간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부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요구 대역폭을 검색하고, 현재 프레임에서 상기 단말로 할당 가능한 자원의 크기가 상기 요구 대역폭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자원판단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부는,
    상기 자원판단부에서 현재 프레임에서 상기 단말로 할당 가능한 자원의 크기 가 상기 요구 대역폭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요구 대역폭의 자원을 상기 단말로 할당하고,
    상기 자원판단부에서 현재 프레임에서 상기 단말로 할당 가능한 자원의 크기가 상기 요구 대역폭보다 작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단말로 할당 가능한 자원을 상기 단말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090106897A 2008-11-06 2009-11-06 기지국 및 상향 링크 서비스 방법 KR101173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13,942 US9131505B2 (en) 2008-11-06 2009-11-06 Bas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uplink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917 2008-11-06
KR20080109917 2008-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031A KR20100051031A (ko) 2010-05-14
KR101173258B1 true KR101173258B1 (ko) 2012-08-10

Family

ID=42276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897A KR101173258B1 (ko) 2008-11-06 2009-11-06 기지국 및 상향 링크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2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245B1 (ko) 2003-12-22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초고속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하향 버스트 프로파일 변경 방법
KR100874002B1 (ko) 2006-06-14 2008-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동기화 요청 방법, 그에따른 cdma 할당 정보 요소 구조 및 그에 따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245B1 (ko) 2003-12-22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초고속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하향 버스트 프로파일 변경 방법
KR100874002B1 (ko) 2006-06-14 2008-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동기화 요청 방법, 그에따른 cdma 할당 정보 요소 구조 및 그에 따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031A (ko) 201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95430A1 (en) Communication method,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JP4675167B2 (ja) チャネル割り当て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ユーザ端末
US20190159236A1 (en) Resource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RU2421911C2 (ru) Способ и процедуры несинхронизированной связи, синхронизированной связи и синхронизации связи в режиме ожидания "stand-by" и в системах e-utra
RU2565247C1 (ru) Способ и компоновк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запроса планирования
EP1248476B1 (en) Packet data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738485B2 (ja) 通信システムのアクセス試行処理のための方法及びプロトコル
KR101365757B1 (ko) Rrc 접속 요청 메시지를 분리하여 전송하는 방법
JP4901721B2 (ja) 拡張されたアップリンクデータ送信を支援するためにトラフィック量測定情報を報告する無線通信の方法および装置
US104555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02187B1 (ko) 중앙집중식으로 제어되는 복수채널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위한 mac 프로토콜
KR101176911B1 (ko) 스케줄링 요청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90131651A (ko) Mac pdu을 전송하는 방법
JPWO2005046282A1 (ja) 移動局、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
KR20080039294A (ko) 랜덤 접속 채널 메시지 응답 방법, 랜덤 접속 채널 메시지전송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
WO2013166670A1 (zh) 上行信道资源配置方法和设备
KR102067865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방법
JP2013516944A (ja) ワイヤレス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競合ベースアップリンクアクセス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9839031B2 (en) Multimode user equipment accessing wireless sensor network
US201902688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wireless network
KR101494907B1 (ko) 기할당된 무선 자원을 이용한 효율적인 Buffer Status Report(BSR) 과정 수행 방법
JP4772895B2 (ja) チャネル割り当て方法
KR101173258B1 (ko) 기지국 및 상향 링크 서비스 방법
US9131505B2 (en) Bas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uplink service
JP5869935B2 (ja) 競合に基づく上りアクセス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