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204B1 -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204B1
KR101173204B1 KR1020100033699A KR20100033699A KR101173204B1 KR 101173204 B1 KR101173204 B1 KR 101173204B1 KR 1020100033699 A KR1020100033699 A KR 1020100033699A KR 20100033699 A KR20100033699 A KR 20100033699A KR 101173204 B1 KR101173204 B1 KR 101173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df
pharmaceutical composition
csf
neurodegenerative diseases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4197A (ko
Inventor
진희경
배재성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33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204B1/ko
Publication of KR20110114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193Colony stimulating factors [CS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Zo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기반으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화성 인자인 SDF-1α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알츠하이머, 치매 또는 기억력 장애와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외인성 줄기세포를 도입하는 치료와 비교하여 비정상적인 세포 증식 또는 분화와 같은 부작용이 없이 우수한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본 발명은 알츠하이머 질환, 치매 또는 기억력 장애와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줄기세포 치료 (stem cell therapy)의 일반적인 개념은 분리된 자가 골수세포 (bone marrow, BM)와 같은 외래성 줄기세포의 이식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방법은 알츠하이머 질환 (Alzheimer's disease, AD)을 포함하는 다양한 신경 질환에서 유용한 치료법으로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인공적으로 이식된 세포의 이상 증식 (proliferation) 또는 분화 (differentiation)를 배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인체를 대상으로 한 이러한 치료법의 안정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대체적인 치료법으로서, 성장 인자 (growth factor) 또는 케모카인 (chemokine)의 전신적 투여에 의한 손상된 뇌로 내인성 골수 줄기세포 (bone marrow stem cells, BMSC)를 이동시키는 안전하고, 편리하며, 경제적인 접근법이 제안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기반으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화성 인자인 SDF-1α (stromal cell derived factor-1α)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s)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SDF-1α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SDF-1α는 인간 유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DF-1α는 재조합 인간 SDF-1α일 수 있다.
상기 신경퇴행성 질환은 알츠하이머 질환, 치매 (dementia) 또는 기억력 장애 (memory deficit)이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내인성 줄기 세포를 손상된 뇌로 이동시키는 기전으로 작용한다.
상기 줄기세포는 골수 줄기세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은 성장인자 및 케모카인과의 시너지 작용으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성장인자는 G-CSF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모카인은 AMD3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알츠하이머, 치매 또는 기억력 장애와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외인성 줄기세포를 도입하는 치료와 비교하여 비정상적인 세포 증식 또는 분화와 같은 부작용이 없이 우수한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e는 APP/PS1 마우스에서 SDF-1α 및 G-CSF/AMD3100 처리에 따른 인지능력 개선 효과를 보여주는 결과들이다. 도 1a는 실험 과정을 시간 경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Morris water maze task에서 hidden platform을 발견하는 시간을 날짜별로 실험한 결과이다. 도 1c는 헤엄친 경로를 나타낸다. 도 1d는 quadrant occupancy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e는 platform crossing의 횟수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WT는 무처리군, SG는 SDF-1α 및 G-CSF/AMD3100 처리군, SP는 SDF-1α 및 PBS 처리군, PG는 PBS 및 G-CSF/AMD3100 처리군, Sham은 PBS 처리군을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c는 APP/PS1 마우스에서 SDF-1α 및 G-CSF/AMD3100 처리에 따른 β 아밀로이드(Aβ) 플라크 침착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피질과 해마에서의 confocal microscopic image를 나타낸다. 도 2b는 피질에서의 노인성 반점 지역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c는 해마에서의 노인성 반점 지역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SG는 SDF-1α 및 G-CSF/AMD3100 처리군, SP는 SDF-1α 및 PBS 처리군, PG는 PBS 및 G-CSF/AMD3100 처리군, Sham은 PBS 처리군을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c는 APP/PS1 마우스에서 SDF-1α 및 G-CSF/AMD3100 처리에 따른 미세교세포 (microglia)의 증가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3a는 해마에서의 confocal microscopic image를 나타낸다. 도 3b와 도 3c는 해마와 피질에서의 양성 지역을 그래프로 각각 표시한 것이다. SG는 SDF-1α 및 G-CSF/AMD3100 처리군, SP는 SDF-1α 및 PBS 처리군, PG는 PBS 및 G-CSF/AMD3100 처리군, Sham은 PBS 처리군을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c는 APP/PS1-GFP 마우스에서 SDF-1α 및 G-CSF/AMD3100 처리에 따른 BM-유래 미세교세포의 증가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4a는 Iba-1, GFP 및
이들의 조합에 대한 immunofluorescent image를 나타낸다. 도 4b는 GFP를 나타내는 세포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c는 GFP와 Iba-1을 모두 나타내는 세포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SG는 SDF-1α 및 G-CSF/AMD3100 처리군, SP는 SDF-1α 및 PBS 처리군, PG는 PBS 및 G-CSF/AMD3100 처리군, Sham은 PBS 처리군을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5f는 APP/PS1 마우스에서 SDF-1α 및 G-CSF/AMD3100 처리에 따른 면역 반응 조절의 상승 작용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5a는 면역 반응 관련 사이토카인의 정량적 real-time PCR에 의한 mRNA 발현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b 내지 도 5e는 Iba-1과 사이토카인의 이중 염색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화살표는 Iba-1과 각 사이토카인이 동시에 발현되는 지점을 나타낸 것이다. 도 5f는 면역 반응 지역을 각 사이토카인 별로 정량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SG는 SDF-1α 및 G-CSF/AMD3100 처리군, SP는 SDF-1α 및 PBS 처리군, PG는 PBS 및 G-CSF/AMD3100 처리군, Sham은 PBS 처리군을 나타낸다.
도 6a 내지도 6d는 APP/PS1 마우스에서 SDF-1α 및 G-CSF/AMD3100 처리에 따른 해마 신경 생성의 증가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6a는 해마 신경 생성을 BrdU immunofluorescent image 및 이에 따른 세포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b는 SDF-1α 및 G-CSF/AMD3100 처리군의 NeuN, BrdU 및 이들을 조합한 immunofluorescent image이다. 도 6c는 BrdU/NeuN 세포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d는 BrdU 세포수에 대한 NeuN 세포수의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WT는 무처리군, SG는 SDF-1α 및 G-CSF/AMD3100 처리군, SP는 SDF-1α 및 PBS 처리군, PG는 PBS 및 G-CSF/AMD3100 처리군, Sham은 PBS 처리군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SDF-1α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SDF-1α은 조혈모세포 (hematopoietic pregenitor cells)의 케모카인 (chemokine)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내인성 줄기세포를 손상된 중추신경계 (central nervous system)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SDF-1α는 포유류 기원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간 유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재조합 인간 SDF-1α일 수 있다.
상기 신경퇴행성 질환은 알츠하이머 질환, 치매 또는 기억력 장애 등을 들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내인성 줄기세포를 손상된 중추신경계로 이동시켜 신경퇴행성 질환을 예방, 경감 또는 치료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내인성 줄기세포는 바람직하게는 내생적 골수 줄기세포이다. 상기 골수 줄기세포는 골수로부터 혈류 (blood circulation)로 이주하며, 이후 상기 혈류에서 본 발명의 SDF-1α의 케모카인 활성에 의하여 손상된 뇌 조직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동은 성장인자 및 케모카인과에 의하여 시너지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즉, 내인성 골수 줄기세포는 골수에서 상기 성장인자 및 케모카인의 작용을 받아 혈류로 이주하게 되고, 혈류로 이주된 상기 골수 줄기세포는 본 발명의 SDF-1α의 작용을 받아 손상된 뇌 조직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는 유효성분으로서 SDF-1α 이외에 성장인자 및 케모카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장인자의 예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G-CSF이며, 상기 케모카인은 CXCR4의 길항제로 알려진 AMD3100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 실시예 ]
1. 실험 동물
Taconic and Jackson Laboratory로부터 제공받은 인간 돌연변이 APP와 인간 돌연변이 PS1을 각각 발현하는 형질전환 마우스 간의 교배로 APP/PS1 이중 형질전환 마우스를 얻었다. 모든 과정은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에서 승인된 프로토콜에 따라 진행하였다. 온도 및 습도가 조절된 환경에서 12 시간 주야 사이클로 동물을 사육하였다.
2. APP / PS1 - GFP 키메릭 마우스
6 개월령 APP/PS1 마우스로부터 APP/PS1-GFP 키메릭 마우스를 제조하였다. BM 세포의 공여자는 6 주된 C57BL/6 background homozygous (GFPU) 5Nagy mice (The Jackson Laboratory, Bar Harbor, Maine, USA)이었다. 공여자 마우스에서 경골과 대퇴골을 제거하였다. BM 세포를 수거하고, 40 μm cell stainer (BM Biosciences)를 사용하여 단일세포 현탁액을 얻었다. 수여자 마우스를 whole body irradiation (1 Gy/min의 속도로 5 Gy)하고, 추가적으로 동일한 양과 속도로 머리를 제외하고 다시 조사한 후, GFP-BM (약 7×106 cells)을 꼬리 정맥 내로 투입하였다. 상기 조사 전 2 주부터 투입 후 2 주까지, 마우스에 0.2 mg/ml의 trimethoprim과 1 mg/ml의 sulfamethoxazole을 첨가한 물을 제공하였다. BM 이식 후 5 주에 GFP의 확인을 위하여 tail clipping으로부터 blood smear에 의하여 키메릭 마우스 여부를 확인하였다.
3. 가이드 캐뉼러 ( guide cannula )의 이식을 위한 외과적 처치
stainless steel guide cannula를 키메릭 마우스의 뇌에 삽입하기 위하여, SDF-1α의 첫 번째 투여 전 1 주차에 외과적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마우스끼리 캐뉼러를 제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마우스를 개별적인 cage에 나누어 두었다.
4. 처리 프로토콜
8 개월령 APP/PS1 마우스 32 마리 중 16 마리에 연속 4 일 동안 인간 재조합 G-CSF (Peprotech) 100 μg/kg/day를 투여하고, 나머지 16 마리에는 PBS를 복강 내 주사하였다. 상기 마지막 주사 후 24 시간째 AMD3100 (Sigma) 5mg/kg 또는 PBS를 각각 복강 내 주사하였다. G-CSF/AMD3100 또는 PBS/PBS로 처리된 마우스 8 마리씩에 연속 5 일 동안 이식된 가이드 캐뉼러를 통하여 해마 내로 인간 재조합 SDF-1α (Peprotech)를 스트레오탁식(streotaxic) 주사 (3 μl의 PBS에 혼합된 1 μl의 SDF-1α를 0.8 μl/min의 속도) 하였다. G-CSF/AMD3100 또는 PBS/PBS로 처리된 나머지 마우스 8 마리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PBS를 주사하였다.
8 개월령 APP/PS1-GFP 키메릭 마우스를 대상으로 상기와 동일한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하였다.
5. BrdU 주입
상기 각 물질로 처리된 마우스에 첫번째 처리일로부터 행동 실험일까지 연속 13 일 동안 0.9 % NaCl/0.007 M NaOH 용액 내의 BrdU (5-bromo-2-deoxyuridine)을 50 mg/kg/day로 복강 내 투여하였다.
6. 행동 실험
공간 기억 (spatial memory) 수행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Morris water maze (MWM) task를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모든 실험을 비디오 모니터와 컴퓨터가 연결된 charge-coupled device (CCD) camera를 사용하여 기록하였다. 테스트는 Image J software를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모든 장비는 O'Hara & Company (Tokyo, Japan)로부터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다.
7. Quantitative real - time PCR
RNA 추출은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RNeasy Lipid Tissue Mini kit (Qiagen Ltd., Korea)로 수행하였다. 실험군 당 4 마리씩의 마우스로부터 얻은 RNA 샘플로부터 Oligo (dT)12-18 프라이머 및 SuperScript Ⅲ RT (Invitrogen)를 사용하여 RT-PCR용 cDNA를 합성하였다. cDNA를 QuantiTect SYBR Green PCR Kit (Qiagen Ltd., Korea)로 정량하고, Corbett research RG-6000 real-time PCR machine에 장착하였다. 사용된 프라이머는 다음과 같다: TNF-α (forward: 5'-GCTCCAGTGAATTCGGAAAG-3', reverse: 5'-GATTATGGCTCAGGGTCCAA-3'), IL-1β (forward: 5'-CCCAAGCAATACCCAAAGAA-3', reverse: 5'-GCTTGTGCTCTGCTTGTGAG-3'), IL-4 (forward: 5'-ATCCATTTGCATGATGCTCT-3', reverse: 5'-GAGCTGCAGAGACTCTTTCG-3'), YM-1 (forward: 5'-AGAGCAAGAAACAAGCATGG-3', reverse: 5'-CTGTACCAGCTGGGAAGAAA-3').
8. 신경형성 검출
BrdU histochemistry 전에 sections을 2 N HCl에 37 ℃에서 1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0.1 M borate buffer로 10 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다음으로, rat anti-BrdU (1:100; Abcam)와 mouse anti-NeuN (1:200; Chemicon) 항체의 존재 하에서 4 ℃, 오버나이트로 인큐베이션하고, secondary antibody로 Alexa anti-rat 546 및 Alexa anti-mouse 488을 사용하여 시각화하였다. 형광을 confocal microscope (Olympus FV1000, Japan)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9. 통계적 분석
데이터를 평균±SEM으로 표시하였다. 실험군 간의 평균 편차(mean differences)를 평가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 (one-way ANOVA)을 사용하였다. 행동 데이터에서 실험군 간의 탈출 경향의 시간 경과적 감소를 비교하기 위하여, 개체 인자 간의 실험군과 개체 반복 측정 인자 내의 기간을 이용한 이원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다중 비교를 위하여, Tukey's HSD 테스트를 사용하고, null hypotheses를 0.05 수준에서 제거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SAS statistical package 9.1 ver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10. 결과
(1) APP / PS1 마우스에서 G- CSF / AMD3100 SDF -1α에 의한 공간 기억 손상 개선
실험 과정은 도 1a에 따라 수행하였다. 처음 주사 후 2 주에 공간 기억의 개선을 평가하기 위하여 MWM test를 수행하였다. 도 1b 내지 도 1e에 나타낸 바와 같이, WT (wild type)과 SG (SDF-1α와 G-CSF/AMD3100)는 sham (PBS), PG (PBS와 G-CSF/AMD3100), SP (SDF-1α와 PBS)에 비하여 escape latency, swimming trace, probe analysis에 의한 quadrant occupancy 및 platform crossing에서 현저한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으며, 이로부터 SG 처리군의 경우 공간 기억력의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2) APP / PS1 마우스에서 G- CSF / AMD3100 SDF -1α에 의한 Aβ (배타 아밀로이드)의 변화 여부
상기 (1)의 결과로부터 공간 기억력의 개선이 Aβ와 관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Thioflavin S 염색으로 APP/PS1 마우스의 cortex와 hippocampus section에서의 Aβ plaque를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내었다.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SG SP, PG 및 sham 간의 Aβ plaque의 유의성 있는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공간 기억 개선과 Aβ plaque의 변화는 관련이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APP / PS1 마우스에서 G- CSF / AMD3100 SDF -1α에 의한 미세교세포 (microglia)의 증가
상기 각 처리군에서의 cortex와 hippocampus로의 미세교세포의 침투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Iba-1 항체를 사용하여 immunostaining하고, 그 결과를 도 3a 내지 도 3c에 나타내었다. 도 3a 내지 도 3c에 나타난 바와 같이, SG와 PG의 경우 SP와 sham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4) APP / PS1 마우스에서 G- CSF / AMD3100 SDF -1α에 의한 BM 유래 세포의 이동 증가 및 BM 유래 미세교세포의 증가
상기 (3)에서 증가된 미세교세포가 BM 세포 유래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6 개월령 APP/PS1 마우스를 조사하고, GFP 마우스로부터 BM 세포를 수거하여 정맥 내 주사함으로써 GFP 키메릭 마우스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GFP 키메릭 마우스를 8 개월째 G-CSF/AMD3100 및/또는 SDF-1α로 처리하였다 (n=3). 처리 후 1 주째 뇌 절편을 취하고, 해마 지역에서의 GFP 양성 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도 4a 내지 도 4c에 나타난 바와 같이, SG 처리군의 경우 PG, SP, sham에 비하여 GFP+ 및 GFP Iba-1 double+ 모두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SDF-1α의 투여는 G-CSF/AMD3100 처리에 의하여 이동된 BM-유래 미세교세포의 뇌로의 이주를 유도하는 효과적인 적략임을 보여준다.
(5) APP / PS1 마우스에서 G- CSF / AMD3100 SDF -1α에 의한 면역반응의 상승적 조절
내인성 줄기 세포의 약학적 활성은 AD 마우스에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β 아밀로이드는 IL-1β 및 TNF-α와 같은 전염증 사이토카인을 유도하여, AD 마우스에서 신경손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IL-4는 β 아밀로이드에 의하여 유도된 염증을 하향 조절하며, 활성화된 미세교세포에 의하여 발현된 YM-1 및 IL-4는 신경보호 기능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는 G-CSF/AMD3100 및 SDF-1α의 면역반응의 상승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IL-1β, TNF-α, IL-4 및 YM-1의 발현 정도를 real-time PCR과 Immunohistochemical staining으로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5a 내지 도 5f에 나타내었으며, SG의 경우 IL-1β와 TNF-α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IL-4 및 YM-1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확인하였다.
(6) G- CSF / AMD3100 SDF -1α에 의한 hippocampal neurogenesis 의 증가
G-CSF/AMD3100 및 SDF-1α에 의한 hippocampal neurogenesis를 확인하기 위하여, MWM task 수행 전 2 주 동안 BrdU를 주사하였고, hippocampus의 dentate gyrus에서 증식 세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BrdU 및 NeuN 항체를 사용하여 이중 면역 염색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 6a 내지 도 6d에 나타냈었다.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SG의 경우 WT과 동일한 정도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모든 BrdU 양성 세포는 뉴런 특이적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G-CSF/AMD3100 및 SDF-1α은 APP/PS1 마우스에서 hippocampal neurogenesis에 상승적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SDF-1α를 intrahippocampal 투여함으로써 Sanchez-Ramos J. et al. (Neuroscience 2009; 163(1): 55-72)에 의하여 사용된 G-CSF 투여량의 30 %정도만을 보다 단기간으로 투여하고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한 것이다.

Claims (9)

  1. SDF-1α(stromal cell derived factor-1α), G-CSF(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및 1,1'-[1,4-페닐렌비스(메틸렌)]비스-1,4,8,11-테트라아자시클로테트라데칸 옥타하이드로클로라이드(1,1'-[1,4-phenylenebis(methylene)]bis-1,4,8,11-tetraazacyclotetradecane octahydrochloride)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s)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DF-1α는 인간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SDF-1α는 재조합 인간 SDF-1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퇴행성 질환은 알츠하이머 질환 (Alzheimer's disease), 치매 (dementia) 또는 기억력 장애 (memorry defic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내인성 줄기세포 (endogenous stem cells)를 손상된 뇌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골수 줄기세포 (bone marrow stem cell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1) G-CSF를 투여하는 단계;
    2)1,1'-[1,4-페닐렌비스(메틸렌)]비스-1,4,8,11-테트라아자시클로테트라데칸 옥타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투여하는 단계; 및
    3) SDF-1α 를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경세포 이동 촉진을 통한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1)단계 투여 후 24시간 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주사를 이용한 투여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KR1020100033699A 2010-04-13 2010-04-13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173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699A KR101173204B1 (ko) 2010-04-13 2010-04-13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699A KR101173204B1 (ko) 2010-04-13 2010-04-13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197A KR20110114197A (ko) 2011-10-19
KR101173204B1 true KR101173204B1 (ko) 2012-08-10

Family

ID=4502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699A KR101173204B1 (ko) 2010-04-13 2010-04-13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2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861B1 (ko) * 2013-05-07 2015-02-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md3100을 포함하는 골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1451A1 (en) * 2006-09-11 2008-03-20 Institut Für Molekulare Diagnostik Und Innovative Therapie - Molthera - Gmbh A post-natal periodontal-derived neural stem cel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1451A1 (en) * 2006-09-11 2008-03-20 Institut Für Molekulare Diagnostik Und Innovative Therapie - Molthera - Gmbh A post-natal periodontal-derived neural stem cel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Neuropathology & Experimental Neurology. 2004, Vol.63, Issue 1, pages 84-9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197A (ko)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nchez-Ramos et al.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decreases brain amyloid burden and reverses cognitive impairment in Alzheimer's mice
Valdearcos et al. Microglial inflammatory signaling orchestrates the hypothalamic immune response to dietary excess and mediates obesity susceptibility
Mukaino et al. Anti-IL-6-receptor antibody promotes repair of spinal cord injury by inducing microglia-dominant inflammation
Wakabayashi et al. Blockade of interleukin-6 signaling suppressed cochlear inflammatory response and improved hearing impairment in noise-damaged mice cochlea
JP6799117B2 (ja) 単一サイクルでコンディショニングおよび化学選択を組み合わせる方法
Zhang et al. Matrix metalloproteinase-9 and stromal cell-derived factor-1 act synergistically to support migration of blood-borne monocytes into the injured spinal cord
Torres-Espín et al. Immunosuppression of allogenic mesenchymal stem cells transplantation after spinal cord injury improves graft survival and beneficial outcomes
Wu et al. Hippocampal overexpression of TREM2 ameliorates high fat diet induced cognitive impairment and modulates phenotypic polarization of the microglia
EP1507551A2 (en) The functional role and potential therapeutic use of pacap, vip and maxadilan in relation to adult neural stem or progenitor cells
JP5891068B2 (ja) Lifおよびbmpによる腫瘍性幹細胞の潜在的腫瘍形成能力の抑制
KR20190051837A (ko) 중뇌 유래의 성상교세포와 도파민 신경줄기세포의 공동 이식에 의한 도파민 신경세포의 이식 치료 효과 개선
Bang et al. Curcumin increase the expression of neural stem/progenitor cells and improves functional recovery after spinal cord injury
JP2021505611A (ja) 免疫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のためのripk1阻害剤とikk阻害剤の組み合わせ
Fukuda et al. Hemokinin-1 competitively inhibits substance P-induced stimulation of osteoclast formation and function
KR101173204B1 (ko)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063792A (ko) 슈반세포 분화용 배지 조성물 및 상기 배지 조성물을 이용한 체세포로부터 슈반세포로의 분화 방법
Komaki et al. Combined Effect of Co-administration of stromal cell-derived factor-1 and 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on rat model of Alzheimer’s disease
KR20210148958A (ko) 치아 주변조직 유래 다분화능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im et al. Assessing the effects of cyclosporine A on the osteoblastogenesis, osteoclastogenesis, and angiogenesis mediated by human periodontal ligament stem cells
Mitani et al. Inoculation of lymphocytes from young mice prevents progression of age-related hearing loss in a senescence-associated mouse model
AU2019418187B2 (en) Novel glia-like cells differentiated from somatic cells,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ocktail composition for preparing same, cell therapeutic ag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logical disorders,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neurological disorders by administering same
KR20210008817A (ko) 에티오나마이드를 이용한 줄기세포의 효능 강화방법
WO2014126175A1 (ja) 糖尿病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KR20230087351A (ko) 전분화능 줄기세포 기반 혈관성 인지장애 및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30047040A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comprising mesenchymal stem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