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797B1 -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대나무 식생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대나무 식생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797B1
KR101171797B1 KR1020100008507A KR20100008507A KR101171797B1 KR 101171797 B1 KR101171797 B1 KR 101171797B1 KR 1020100008507 A KR1020100008507 A KR 1020100008507A KR 20100008507 A KR20100008507 A KR 20100008507A KR 101171797 B1 KR101171797 B1 KR 101171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rope
vegetation mat
vegetation
natur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8816A (ko
Inventor
김태양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대호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대호이엔씨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대호이엔씨
Priority to KR1020100008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797B1/ko
Publication of KR20110088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3Wood, e.g. wood chips or sawdu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길고 가늘게 쪼개진 대나무섬유(表皮)와 천연섬유를 함께 꼬아서 대나무로프를 형성하고 상기 대나무로프를 가로와 세로로 베를 짜듯이 직조하여 그물형상의 식생매트를 제조함으로써 대나무가 갖는 인장력과 탄성, 그리고 천연섬유가 갖는 잔디씨의 배양 및 식물의 식생능력 등을 이용하여 절개면의 표면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토사의 흘러내림을 최소화하며, 토사가 흘러내려 쌓인다고 하더라도 부러지거나 함께 쓸려 내려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절개지를 보호할 수 있는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대나무 식생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대나무 식생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A vegetation mat and method of me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대나무 식생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길고 가늘게 쪼개진 대나무섬유(表皮)와 천연섬유를 함께 꼬아서 대나무로프를 형성하고 상기 대나무로프를 가로와 세로로 베를 짜듯이 직조하여 그물형상의 식생매트를 제조함으로써 대나무가 갖는 인장력과 탄성, 그리고 천연섬유가 갖는 잔디씨의 배양 및 식물의 식생능력 등을 이용하여 절개면의 표면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토사의 흘러내림을 최소화하며, 토사가 흘러내려 쌓인다고 하더라도 부러지거나 함께 쓸려 내려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절개지를 보호할 수 있는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대나무 식생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제성장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는 공업도시로의 발전과정에서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도심녹지가 분절되고 감소되는 추세이며, 특히 사회 간접자본인 도로, 항만, 택지 및 공단조성, 하천공사 등으로 인해 자연상태의 토지나 산이 인위적으로 훼손 및 변형되어 절개지 또는 성토면이 나타나게 되고 이를 그대로 방치할 경우 침식에 의한 붕괴의 위험이 따르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재질로 제조된 호안블록이나 식생블록 등이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호안블록이나 식생블록은 종자의 발아 및 활착에 장시간이 소모되며 발아율이 낮고 설치 후 녹화를 위한 잔디 살포공정을 별도로 진행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자연계에서 부식되는데 수십 내지 수백 년이 소요되므로 자연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자연환경에 따른 관심이 높아지면서 생태적으로 훼손된 자연환경을 재생 및 복구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결과로 절개지, 성토면, 하천 바닥면, 경사면 등에 초목류의 완전한 착생과 함께 자연친화적 호안형태로 복원하도록 식생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다양한 식생매트가 개발되고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잔디씨 등이 도포된 야자섬유, 마섬유 등의 천연섬유 재질의 천연섬유매트를 이용하여 절개지를 덮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천연섬유재질로만 이루어진 매트는 비탈진 절개지나 경사면에 올려놓을 경우 쉬 부식되어 씨앗의 양분이 되는 등 식생환경에는 매우 양호하나 매우 유연한 상태이므로 이를 고정해 놓았다고 하더라도 비가 오거나 악천후 시 토사가 발생할 경우에는 이를 지탱하지 못하고 흙과 함께 쓸려 내려가 버리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나무 등으로 목재지지수단(11,31)을 만들고 상기 목재지지수단을 천연섬유로프(12,13,32,33)로 발처럼 엮어서 지지판(10,30)을 만든 다음, 상기 지지판으로 식생매트를 눌러 식생매트가 들리거나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식생매트들은 단순히 목재지지수단이 매트를 지지하는 기능만을 하는 것이어서 여전히 매트가 토사와 함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없으며, 심지어는 토사가 쌓여 솟아오르는 경우 목재지지수단이 부러지게 되는 등 오히려 환경을 망치는 단점을 갖기도 한다.
따라서 매트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면서도 절개지의 식생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토사의 솟아 오름 등으로 인해 부러지거나 하지 않으며, 씨앗의 착상 및 생장이 가능한 식생매트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천연섬유로만 이루어진 식생매트가 갖는 단점과 목재지지수단만으로 이루어진 식생매트가 갖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길고 가늘게 쪼개진 대나무섬유 여러 가닥과 천연섬유 여러 가닥을 함께 꼬아서 대나무로프를 만들고, 상기 대나무로프를 서로 교차하도록 하여 그물 형상으로 직조함으로써 엄청난 인장력과 탄성에 의해 절개지의 표면을 견고하게 지탱하고, 흘러내리거나 부러지지 않으며, 동시에 식물의 발아 및 생장이 가능한 식생매트의 기능을 수반할 수 있는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대나무 식생매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대나무로프 사이사이에 배치된 천연섬유에 식물의 씨앗이 도포되도록 하여 절개지에 보다 빠른 식생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대나무 식생매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대나무 로프와 대나무 로프 사이에 일정한 이격거리를 성형하되, 상기 이격된 대나무로프 사이에는 천연섬유 재질로만 이루어진 다수개의 천연섬유로프가 직조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대나무로프는 지지수단의 기능에 보다 충실하도록 구성된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대나무 식생매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매우 질기고 인장력이 강한 대나무섬유를 가늘고 길게 쪼개 천연섬유와 함께 꼬아서 대나무로프를 형성한 다음 이를 다시 직조하여 그물형상의 식생매트로 제조한 것이어서 종래 천연섬유 식생매트가 갖는 장점과 목재지지수단을 구비하는 식생매트가 갖는 장점을 모두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대나무섬유를 가늘고 길게 쪼개 천연섬유와 함께 꼬아서 만든 대나무로프는 어지간히 휘어서는 부러지지 않는 강인한 인장력과 탄성을 갖는 것이어서 단순한 대나무 막대를 사용하는 목재지지수단보다 토사의 흘러내림 및 솟아오름 등에 보다 나은 내구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기존 식생매트에 비해 본 발명 대나무식생매트는 자연분해되는 속도가 늦어 오랫동안 절개지의 보호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식생매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식생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 식생매트를 제조하기 위한 대나무로프 제조단계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식생매트(100)는 길고 가늘게 쪼개진 대나무섬유(111) 여러 가닥과 천연섬유(112) 여러 가닥을 함께 꼬아서 대나무로프(110)를 만들고, 상기 대나무로프를 서로 교차하도록 하여 그물 형상으로 직조한 것이다.
상기 대나무섬유(111)는 대나무를 가늘고 길게 쪼개서 얻어진 가로 또는 세로가 1~10mm범위의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너무 가늘 경우 대나무로서의 탄력을 잃기 때문에 식생매트로써의 지지력이 약화 되며, 너무 굵을 경우 꼬기가 힘들어 로프로 제작이 곤란하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한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가 1~10mm범위이며, 특히 무르고 약한 내피(內皮)보다는 질기고 인장력이 강한 대나무 표면의 표피(表皮)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천연섬유(112)는 야자섬유나 마섬유 등의 기존 식생매트의 재질로 사용되는 천연섬유라면 어떤 것이라도 무방할 것이다.
먼저 대나무로프(11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3~20가닥의 대나무섬유(111)과 역시 3~20가닥의 천연섬유(112)를 길이방향으로 배치한 후, 이를 수작업 또는 기계를 통해 꼬아서 대나무로프(11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대나무로프(110)의 양끝단은 끈(114)으로 묶어 풀리지 않도록 한다. 이를 묶어주지 않으면 대나무섬유(111)의 특성상 쉬 풀려버리기 때문이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제조된 대나무로프(110)는 천연섬유(112)와 함께 꼬았다고 하더라도 대나무가 가지는 탄성과 인장력이 그대로 살아있고, 천연섬유(112) 역시 대나무섬유(111)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씨앗의 도포가 가능하게 되고 식물의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대나무로프(11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베를 짜듯이 직조하여 본 발명 대나무 식생매트(100)가 제조되어 진다. 상기 대나무 식생매트(100)의 가장자리 역시 끈(115)으로 묶어 풀리지 않도록 한다. 이를 묶어주지 않으면 대나무로프(110)의 탄성에 의해 직조상태가 풀려버리면서 대나무 식생매트(100)의 형상을 오랫동안 유지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나무 식생매트(100)를 직조함에 있어 대나무로프(110)와 로프 사이에 천연섬유 재질로만 이루어진 천연섬유로프(120)를 다수개 끼워 넣어 반복적으로 직조함으로써 대나무로프(110) 끼리는 일정한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하고 그 사이를 천연섬유로프(120)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평판 상의 대나무 식생매트(100)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대나무로프(110)만으로 제조된 식생매트(100)의 경우 절개지의 토사를 흘러내리지 않도록 지탱하는 목적에 있어서는 매우 합당하나, 식생을 강조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대나무로프(110)만으로 촘촘한 직조가 곤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수개의 천연섬유로프(120)를 대나무로프(110) 사이사이에 배치하여 직조한 대나무 식생매트(100)는 대나무로프(110)의 탄성과 인장력에 의해 토사에 의해 흘러내리거나 부러지지 않으면서 절개지를 보호할 수 있으면서, 대나무로프(110) 사이의 천연섬유로프(120)들은 식물성장의 자양분으로 사용되는 등 식생환경을 개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대나무로프(110) 사이사이에 천연섬유(112) 및 상기 천연섬유로프(120)에 도포된 씨앗(113)은 강풍이나 호우시에도 대나무로프(110)에 지지되어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되고 또 식물의 성장시 버팀목 기능을 하게 되어 종자 발아 및 활착, 생장을 활성화시켜 안정적인 녹지기반을 조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 식생매트
110: 대나무로프 111: 대나무섬유
112: 천연섬유 113: 씨앗
114: 로프마감 끈 115: 매트마감 끈
120: 천연섬유로프

Claims (4)

  1. 대나무와 천연섬유를 사용하여 그물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는 대나무 식생매트에 있어서,
    직경이 1~5mm인 대나무섬유(111) 3 ~ 20가닥과 천연섬유(112) 3 ~ 20가닥을 서로 꼬아서 한 가닥으로 제조된 대나무로프(110)와, 상기 대나무로프(110)를 서로 교차하도록 직조하여 그물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대나무 식생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로프(110) 사이사이에 천연섬유 재질로만 이루어진 천연섬유로프(120)가 직조되어 배치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대나무 식생매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로프(110)의 천연섬유(112) 및 천연섬유로프(120)에 씨앗이 도포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대나무 식생매트.
  4. 대나무섬유(111)와 천연섬유(112)를 함께 꼬아서 대나무로프(110)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대나무로프(110)의 양끝단이 풀리지 않도록 끈(114)으로 묶어서 마감하는 단계와, 상기 대나무로프(110)를 서로 교차시켜 그물 형상으로 직조하여 대나무 식생매트(100)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대나무 식생매트(100)의 가장자리를 끈(114)으로 묶어서 마감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대나무 식생매트의 제조방법
KR1020100008507A 2010-01-29 2010-01-29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대나무 식생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71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507A KR101171797B1 (ko) 2010-01-29 2010-01-29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대나무 식생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507A KR101171797B1 (ko) 2010-01-29 2010-01-29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대나무 식생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816A KR20110088816A (ko) 2011-08-04
KR101171797B1 true KR101171797B1 (ko) 2012-08-13

Family

ID=44927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507A KR101171797B1 (ko) 2010-01-29 2010-01-29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대나무 식생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7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328B1 (ko) * 2014-08-14 2016-11-29 최상경 그물구조를 갖는 친환경 멀칭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518A (ja) 1998-10-30 2000-05-16 Nisshin Sangyo Kk 護岸のための植生マット
KR100698808B1 (ko) 2004-12-16 2007-03-23 맹용일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31759B1 (ko) * 2006-04-26 2007-06-27 김학기 자연분해되는 친환경재를 이용한 식생매트
KR101042265B1 (ko) 2010-05-06 2011-06-17 주식회사 우빈기술개발 친환경 사면 녹화용 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518A (ja) 1998-10-30 2000-05-16 Nisshin Sangyo Kk 護岸のための植生マット
KR100698808B1 (ko) 2004-12-16 2007-03-23 맹용일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31759B1 (ko) * 2006-04-26 2007-06-27 김학기 자연분해되는 친환경재를 이용한 식생매트
KR101042265B1 (ko) 2010-05-06 2011-06-17 주식회사 우빈기술개발 친환경 사면 녹화용 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328B1 (ko) * 2014-08-14 2016-11-29 최상경 그물구조를 갖는 친환경 멀칭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816A (ko)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13518A (zh) 一种坡面设有槽坑的边坡生态防护基材构筑方法
KR101421111B1 (ko) 습지식물의 근경을 이용한 부유형 매트의 제조방법 및 조성방법
KR100804756B1 (ko) 뿌리 엉김 기능을 갖는 식생매트를 이용한 법면 녹화장치및 녹화시공공법
KR101226872B1 (ko) 식생매트를 이용한 녹화 시공방법
CN201080611Y (zh) 用于岩质边坡的立体绿化构架
CN201962685U (zh) 一种护坡椰网
CN110557997B (zh) 一种边坡生态恢复系统的施工方法
CN106120647B (zh) 边坡防护装置及防护方法
KR101171797B1 (ko)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대나무 식생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CN111656901A (zh) 一种促进荒漠草原退化草场表土恢复和植物生长的绳网结构与方法
CN206581275U (zh) 用于边坡生态修复的植物纤维编织网结构
CN110463396A (zh) 采用网格状麻绳网带恢复退化草地植被的方法
KR101074565B1 (ko) 황마네트와 펄프를 이용한 친환경 사면 녹화 시공방법
KR101062680B1 (ko) 환경 친화형 침식방지 매트
KR101860018B1 (ko)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
CN205530293U (zh) 一种新型坡面结构
CN204898693U (zh) 一种坡面设有槽坑的边坡生态防护结构
CN104234060A (zh) 新型边坡防护绿化层
CN210238535U (zh) 填石路堤边坡废旧轮胎骨架植草防护系统
CN208949832U (zh) 一种高强快速植生垫护坡结构
CN201801877U (zh) 生态护坡固土的草坪垫
KR101049597B1 (ko) 식생매트를 이용한 사면 녹화 시공방법 및 장치
CN110004951A (zh) 一种带蓄水供水系统的边坡生态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042265B1 (ko) 친환경 사면 녹화용 매트
KR101028616B1 (ko) 법면 보호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