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694B1 - 스마트폰용 젠더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용 젠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694B1
KR101171694B1 KR1020110061672A KR20110061672A KR101171694B1 KR 101171694 B1 KR101171694 B1 KR 101171694B1 KR 1020110061672 A KR1020110061672 A KR 1020110061672A KR 20110061672 A KR20110061672 A KR 20110061672A KR 101171694 B1 KR101171694 B1 KR 101171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external device
gender
main body
smart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영희
박태양
Original Assignee
박태양
허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양, 허영희 filed Critical 박태양
Priority to KR1020110061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PC용 외부기기를 연결하여 스마트폰으로 작동시키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젠더 자체가 스마트폰에 분리 가능하게 견고히 고정되어 외부기기의 취급 시에 스마트폰에 대한 젠더의 분리가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는 스마트폰용 젠더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젠더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내장되고, 스마트폰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기기로 승압하여 공급하는 승압 회로부를 가지며, 스마트폰과 외부기기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연결 잭에 끼워져 상기 스마트폰의 전원이 통전되면서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제어부 사이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연결 플러그를 가지는 스마트폰 연결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기기에 구비되는 USB 플러그가 끼워져 상기 본체부에 의해 승압된 전원이 통전되면서 상기 제어부와 상기 외부기기 사이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USB 잭을 가지는 외부기기 연결부와;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를 상기 스마트폰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스마트폰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용 젠더{GENDER FOR A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외부 기기를 연결하는 스마트폰용 젠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에 PC용 외부기기를 연결하여 스마트폰으로 작동시키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젠더 자체가 스마트폰에 분리 가능하게 견고히 고정되어 외부기기의 취급 시에 스마트폰에 대한 젠더의 분리가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는 스마트폰용 젠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모바일기능(통신기능)과 PC기능(운영체계, 어플리케이션, 인터넷)을 제공하는 휴대폰으로 실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하, "어플"이라고 합니다)은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기능과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실생활에 편리함을 제공하기도 한다.
상기 스마트폰은 PC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어플, 즉 실행프로그램을 무선인터넷을 통해 다운 받아서 다양한 외부 기기를 운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운용할 수 있는, 즉 PC에 연결하여 운용할 수 있는, 외부기기들은 이미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스마트폰과 외부기기의 전압 레벨이 맞지 않거나 스마트폰에 외부기기를 적절히 연결할 수 없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외부기기를 원활히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종래의 PC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바코드 스캐너는 5 V의 전압으로 작동되는 것이지만, 스마트폰은 주로 3.7 V 정도의 전압에서 작동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에 상기 바코드 스캐너를 연결하여도 사용 전압이 맞지 않아 바코드 스캐너를 작동시킬 수 없게 된다.
아울러, 통상 PC와 연결되는 외부기기는 PC의 USB 포트에 끼워지는 USB 플러그가 구비되어 PC와 연결된다.
따라서, PC 기능을 가지며 휴대가 용이한 스마트폰을 통해 종래의 PC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외부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젠더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에 PC용 외부기기를 연결하여 스마트폰으로 작동시키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젠더 자체가 스마트폰에 분리 가능하게 견고히 고정되어 외부기기의 취급 시에 스마트폰에 대한 젠더의 분리가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는 스마트폰용 젠더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젠더가 외부기기에 분리 가능하게 견고히 고정되어 외부기기의 취급 시에 외부기기에 대한 젠더의 분리가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는 스마트폰용 젠더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젠더 자체에 교체 가능한 충전지를 구비하여 외부기기에 대한 전원공급이 보다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마트폰용 젠더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기기의 사용을 위한 실행프로그램을 스마트폰에 손쉽게 탑재시킬 수 있어 별도로 실행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지 않은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외부기기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용 젠더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부를 절첩하여 스마트폰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시켜 스마트폰에 대한 본체부의 고정이 보다 안정적이면서 견고하게 이루어지고 본체부의 고정 후에 스마트폰의 사용 시 그립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스마트폰용 젠더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젠더"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내장되고, 스마트폰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기기로 승압하여 공급하는 승압 회로부를 가지며, 스마트폰과 외부기기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연결 잭에 끼워져 상기 스마트폰의 전원이 통전되면서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제어부 사이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연결 플러그를 가지는 스마트폰 연결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기기에 구비되는 USB 플러그가 끼워져 상기 본체부에 의해 승압된 전원이 통전되면서 상기 제어부와 상기 외부기기 사이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USB 잭을 가지는 외부기기 연결부와;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를 상기 스마트폰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스마트폰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젠더"의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는,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의 둘레에 끼워지고 수평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에 상단 일측에 장착되고 끝단이 하부측으로 경사지게 굽힘되며 탄성 굽힘 가능한 금속 박판재의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의 하단 일측에 장착되고 끝단이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굽힘되며 탄성 굽힘 가능한 금속 박판재의 제2 탄성부재와, 상기 제1 탄성부재의 끝단에 끼워지고 하면에 제1 돌턱이 형성되는 고무 재질의 제1 슬립방지캡과, 상기 제2 탄성부재의 끝단에 끼워지고 상면에 제2 돌턱이 형성되는 고무 재질의 제2 슬립방지캡과,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의 단부의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제1 이탈방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젠더"는,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에 설치되고,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를 상기 USB 플러그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플러그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젠더"의 상기 플러그 고정부는,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의 둘레에 끼워지고 수평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에 상단 일측에 장착되고 끝단이 하부측으로 경사지게 굽힘되며 탄성 굽힘 가능한 금속 박판재의 제3 탄성부재와,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의 하단 일측에 장착되고 끝단이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굽힘되며 탄성 굽힘 가능한 금속 박판재의 제4 탄성부재와, 상기 제3 탄성부재의 끝단에 끼워지고 하면에 제3 돌턱이 형성되는 고무 재질의 제3 슬립방지캡과, 상기 제4 탄성부재의 끝단에 끼워지고 상면에 제4 돌턱이 형성되는 고무 재질의 제4 슬립방지캡과,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의 단부의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제2 이탈방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젠더"의 상기 본체부는, 그 하면에 일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충전지 장착부와, 상기 충전지 장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충전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나온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충전지로부터 나온 전원을 상기 승압 회로부를 통해 승압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우선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젠더"는, 상기 외부기기의 사용을 위한 실행프로그램이 저장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실행프로그램을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된 상기 실행프로그램이 자동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젠더"의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는,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1 힌지부와, 상기 제1 힌지부에 일단이 장착되는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로드의 타단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 플러그가 힌지 결합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플러그가 상기 스마트폰의 연결 잭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본체부가 절첩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배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젠더"의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는, 상기 스마트폰에 자력으로 접착되도록 상기 스마트폰의 배면에 밀착되는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장착되는 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젠더"의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는, 상기 스마트폰의 배면에 상기 본체부가 밀착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의 외부면에 끼워지는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의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일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억지 끼움되는 제1 클립부재와, 상기 끼움부재의 타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타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억지 끼움되는 제2 클립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PC용 외부기기를 연결하여 스마트폰으로 작동시키거나 제어할 수 있어 외부기기의 사용상의 편의성과 운용성이 현저증대되고, 젠더 자체가 스마트폰에 분리 가능하게 견고히 고정되어 외부기기의 취급 시에 스마트폰에 대한 젠더의 분리가 원활히 방지되어 젠더의 작동상 및 사용상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젠더가 외부기기에 분리 가능하게 견고히 고정되어 외부기기의 취급 시에 외부기기에 대한 젠더의 분리가 원활히 방지되고, 그에 따라 젠더의 작동상 및 사용상의 안정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젠더 자체에 교체 가능한 충전지를 구비하여 외부기기에 대한 전원공급이 보다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스마트폰에 의한 외부기기의 운용 시간이 현저히 길어지고 사용상의 간편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기기의 사용을 위한 실행프로그램을 스마트폰에 손쉽게 탑재시킬 수 있어 별도로 실행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지 않은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외부기기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를 절첩하여 스마트폰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시켜 스마트폰에 대한 본체부의 고정이 보다 안정적이면서 견고하게 이루어지고, 본체부의 고정 후에 스마트폰의 사용 시 그립감이 향상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가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젠더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젠더의 개략적인 부분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젠더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부분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젠더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부분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젠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젠더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젠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젠더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젠더의 개략적인 부분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젠더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에 내장되는 제어부(20)와,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마트폰 연결부(30)와, 상기 본체부(10)의 타측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연결부(40)와,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30)에 설치되는 스마트폰 고정부(5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제어부(20)가 내장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30)와 외부기기 연결부(4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본체부(10)에 내장되고 스마트폰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기기로 승압하여 공급하는 승압 회로부(21)를 가지는 것으로, 스마트폰과 외부기기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압 회로부(21)는 상기 제어부(20)에 구비되는 것으로, 스마트폰에서 공급되는 3.7 V의 전압을 외부기기에 사용되는 5 V로 승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승압 회로부(21)에 의해 승압된 전압을 외부기기에 공급하여 외부기기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연결 잭에 끼워져 상기 스마트폰의 전원이 통전되면서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제어부(20) 사이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연결 플러그(31)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연결 플러그(31)를 통해 상기 본체부(10)에 스마트폰의 연결 잭이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제어부(20)가 전기 신호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 플러그(31)는 상기 스마트폰에 데이터의 전송 및 전원의 공급을 위해 설치되며 상기 연결 잭에 끼워질 수 있는 공지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스마트폰과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면서 전원의 연결, 즉 통전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어부(20)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40)는 상기 본체부(10)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기기에 구비되는 USB 플러그가 끼워져 상기 본체부(10)에 의해 승압된 전원이 통전되면서 상기 제어부(20)와 상기 외부기기 사이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USB 잭(41)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USB 잭(41)으로 상기 본체부(10)에 외부기기의 USB 플러그가 연결되어 상기 외부기기와 상기 제어부(20)가 전기 신호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USB 잭(41)은 상기 외부기기에 데이터의 수신 및 전원의 공급을 위해 설치되며 상기 USB 플러그가 끼워질 수 있는 공지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외부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면서 전원 연결, 즉 통전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어부(20)와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50)는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3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30)를 상기 스마트폰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50)는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30)의 둘레에 끼워지고 수평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슬라이딩부재(51)와,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51)에 상단 일측에 장착되고 끝단이 하부측으로 경사지게 굽힘되며 탄성 굽힘 가능한 금속 박판재의 제1 탄성부재(52)와,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51)의 하단 일측에 장착되고 끝단이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굽힘되며 탄성 굽힘 가능한 금속 박판재의 제2 탄성부재(53)와, 상기 제1 탄성부재(52)의 끝단에 끼워지고 하면에 제1 돌턱(541)이 형성되는 고무 재질의 제1 슬립방지캡(54)과, 상기 제2 탄성부재(53)의 끝단에 끼워지고 상면에 제2 돌턱(551)이 형성되는 고무 재질의 제2 슬립방지캡(55)과,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30)의 단부의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51)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제1 이탈방지턱(56)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51)는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30)의 둘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제1 탄성부재(52)와 제2 탄성부재(53)를 고정하면서 상기 제1 탄성부재(52)와 제2 탄성부재(53)를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30)에서 외측으로 상기 스마트폰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탄성부재(52)와 제2 탄성부재(53)는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51)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하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금속 박판으로 상기 스마트폰의 외부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30)를 상기 스마트폰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슬립방지캡(54)과 제2 슬립방지캡(55)은 각각 상기 제1 탄성부재(52)와 제2 탄성부재(53)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제1 탄성부재(52)와 제2 탄성부재(53)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의 외부면에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돌턱(541)과 제2 돌턱(551)이 상기 스마트폰의 외부면에 밀착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1 탄성부재(52)와 제2 탄성부재(53)가 상기 스마트폰의 외부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돌턱(541)과 제2 돌턱(551)에 의해 마찰력을 부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이탈방지턱(56)은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30)의 둘레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30)에서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51)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제1 이탈방지턱(56)은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30)에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51)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30)의 선단 외부면에 접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젠더는 상기 제어부(20)와 승압 회로부(21)에 의해 스마트폰에 PC용 외부기기를 연결하여 스마트폰으로 작동시키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50)에 의해 그 자체가 스마트폰에 분리 가능하게 견고히 고정되어 외부기기의 취급 시에 스마트폰에 대한 젠더의 분리가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젠더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부분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예로서 스마트폰(S)에 외부기기인 바코드 스캐너를 연결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1 탄성부재(52)와 제2 탄성부재(53)를 벌린 상태로 그 내측으로 상기 스마트폰(S)을 밀어 넣으면서 상기 스마트폰(S)의 연결 잭(J)에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30)의 연결 플러그(31)를 삽입하게 된다.
상기 연결 잭(J)에 상기 연결 플러그(31)를 완전히 삽입하면 상기 제1 탄성부재(52)와 제2 탄성부재(53)가 자연스럽게 상기 스마트폰(S)의 외부면에 의해 벌어지면서 상기 스마트폰(S)의 외부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1 탄성부재(52)와 제2 탄성부재(53)의 가압력이 상기 제1 슬립방지캡(54)과 제2 슬립방지캡(55)에 작용하여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상기 스마트폰(S)이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30)에 견고히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30)에 상기 스마트폰(S)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외부기기(D)인 바코드 스캐너의 USB 플러그(P)를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40)에 설치되는 상기 USB 잭(41)에 끼워 연결하게 된다.
상기 본체부(10)의 양측으로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30)와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40)에 상기 스마트폰(S)과 외부기기(D)를 연결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스마트폰(S)으로부터 3.7 V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승압 회로부(21)를 통해 5 V로 승압한 후에 상기 외부기기(D)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상기 외부기기(D)에 5 V의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외부기기(D)가 작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폰(S)을 통해 상기 외부기기(D)의 작동을 제어하여 필요한 작업을, 예를 들어 바코드 스캐너인 경우에 바코드 스캐닝 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40)에 연결되는 상기 외부기기(D)로는 다양한 것이 있으며, 예를 들어 프린터, 스캐너, 조명등, 리더기, 멀티미디어 기기 등등이 이고, USB 메모리 자체도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젠더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부분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스마트폰용 젠더는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40)에 설치되는 플러그 고정부(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 고정부(60)는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40)를 상기 USB 플러그(P)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플러그 고정부(60)는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40)의 USB 잭(41)에 끼워지는 외부기기의 USB 플러그(P)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플러그 고정부(60)는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40)의 둘레에 끼워지고 수평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슬라이딩부재(61)와,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61)에 상단 일측에 장착되고 끝단이 하부측으로 경사지게 굽힘되며 탄성 굽힘 가능한 금속 박판재의 제3 탄성부재(62)와,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61)의 하단 일측에 장착되고 끝단이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굽힘되며 탄성 굽힘 가능한 금속 박판재의 제4 탄성부재(63)와, 상기 제3 탄성부재(62)의 끝단에 끼워지고 하면에 제3 돌턱(641)이 형성되는 고무 재질의 제3 슬립방지캡(64)과, 상기 제4 탄성부재(63)의 끝단에 끼워지고 상면에 제4 돌턱(651)이 형성되는 고무 재질의 제4 슬립방지캡(65)과,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40)의 단부의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61)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제2 이탈방지턱(66)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61)는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40)의 둘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제3 탄성부재(62)와 제4 탄성부재(63)를 고정하면서 상기 제3 탄성부재(62)와 제4 탄성부재(63)를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40)에서 외측으로 상기 외부기기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3 탄성부재(62)와 제4 탄성부재(63)는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61)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하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금속 박판으로 상기 외부기기의 USB 플러그(P)의 외부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40)를 상기 USB 플러그(P)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슬립방지캡(64)과 제4 슬립방지캡(65)은 각각 상기 제3 탄성부재(62)와 제4 탄성부재(63)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제3 탄성부재(62)와 제4 탄성부재(63)에 의해 상기 USB 플러그(P)의 외부면에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제3 돌턱(641)과 제4 돌턱(651)이 상기 USB 플러그(P)의 외부면에 밀착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3 탄성부재(62)와 제4 탄성부재(63)가 상기 USB 플러그(P)의 외부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3 돌턱(641)과 제4 돌턱(651)에 의해 마찰력을 부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이탈방지턱(66)은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40)의 둘레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40)에서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61)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제2 이탈방지턱(66)은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40)에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61)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40)의 선단 외부면에 접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본체부(10)의 양단으로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30)에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50)가 구비되면서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40)에 상기 플러그 고정부(6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본체부(10)에 대해 상기 스마트폰과 외부기기가 함께 견고히 고정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폰이나 외부기기의 취급 시에 본 젠더와의 연결부의 이탈이 원활히 방지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진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젠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스마트폰용 젠더의 상기 본체부(10)는 그 하면에 일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충전지 장착부(11)와, 상기 충전지 장착부(11)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충전지(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나온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충전지(12)로부터 나온 전원을 상기 승압 회로부(21)를 통해 승압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우선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충전지 장착부(11)와 이에 착탈되는 상기 충전지(12)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20)를 통해 상기 충전지 장착부(11)에 상기 충전지(12)가 끼워진 경우에 상기 충전지(12)의 전원을 상기 승압 회로부(21)를 통해 승압시켜 상기 외부기기로 우선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의 전원이 약한 경우나 상기 스마트폰의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충전지(12)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충전지(12)는 상기 스마트폰에 사용하는 예비용 충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스마트폰용 젠더는 상기 외부기기의 사용을 위한 실행프로그램이 저장되도록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20)와 연결되는 메모리(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메모리(70)에 저장된 상기 실행프로그램을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된 상기 실행프로그램이 자동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70)는 상기 외부기기의 사용 및 제어를 위한 실행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공지의 것으로, 상기 스마트폰에 상기 외부기기 작동용 애플이나 실행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에 상기 외부기기용 실행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설치되어 본 젠더를 연결하기만 하면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외부기기를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젠더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스마트폰용 젠더의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50)는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30)에 힌지 결합되는 제1 힌지부(51a)와, 상기 제1 힌지부(51a)에 일단이 장착되는 연결로드(52a)와, 상기 연결로드(52a)의 타단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 플러그(31)가 힌지 결합되는 제2 힌지부(53a)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젠더는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30)와 상기 연결 플러그(31) 사이에 상기 제1 힌지부(51a)와 제2 힌지부(53a) 및 상기 연결로드(52a)를 두어 상기 연결 플러그(31)가 상기 스마트폰(S)의 연결 잭(J)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본체부(10)가 절첩되어 상기 스마트폰(S)의 배면에 밀착된다.
상기 본체부(10)가 상기 스마트폰(S)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본체부(10)와 함께 스마트폰(S)을 한 손으로 잡을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본체부(10)가 상기 스마트폰(S)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안정적이면서 정밀하게 고정된다.
아울러, 사용자는 상기 본체부(10)와 함께 스마트폰(S)은 한 손으로 잡게 됨에 따라 그립감이 향상되면서 상기 스마트폰(S)의 조작이 간편해진다.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50)는 상기 스마트폰(S)의 배면에 밀착되는 상기 본체부(10)의 외면에 장착되는 자석(54a)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자석(54a)은 상기 본체부(10)가 상기 스마트폰(S)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스마트폰(S)의 배면에 자력에 의해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젠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스마트폰용 젠더의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50)는 상기 스마트폰(S)의 배면에 상기 본체부(10)가 밀착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10)의 외부면에 끼워지는 끼움부재(55a)와, 상기 끼움부재(55a)의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S)의 일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억지 끼움되는 제1 클립부재(56a)와, 상기 끼움부재(55a)의 타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S)의 타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억지 끼움되는 제2 클립부재(57a)를 더 포함한다.
본 젠더는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30)와 상기 연결 플러그(31) 사이에 상기 제1 힌지부(51a)와 제2 힌지부(53a) 및 상기 연결로드(52a)를 두어 상기 연결 플러그(31)가 상기 스마트폰(S)의 연결 잭(J)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본체부(10)가 절첩되어 상기 스마트폰(S)의 배면에 밀착된다.
상기 끼움부재(55a)는 상기 본체부(10)가 상기 스마트폰(S)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의 외부면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제1 클립부재(56a)와 제2 클립부재(57a)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이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클립부재(56a)와 제2 클립부재(57a)는 각각 상기 스마트폰(S)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딸깍 소리와 함께 분리 가능하게 억지 끼움되어 상기 끼움부재(55a)에 걸린 상기 본체부(10)를 상기 스마트폰(S)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본체부
11 : 충전지 장착부 12 : 충전지
20 : 제어부
21 : 승압 회로부
30 : 스마트폰 연결부
31 : 연결 플러그
40 : 외부기기 연결부
41 : USB 잭
50 : 스마트폰 고정부
51 : 제1 슬라이딩부재 52 : 제1 탄성부재
53 : 제2 탄성부재
54 : 제1 슬립방지캡 541 : 제1 돌턱
55 : 제2 슬립방지캡 551 : 제2 돌턱
56 : 제1 이탈방지턱
51a : 제1 힌지부 52a : 연결로드
53a : 제2 힌지부 54a : 자석
55a : 끼움부재 56a : 제1 클립부재
57a : 제2 클립부재
60 : 플러그 고정부
61 : 제2 슬라이딩부재 62 : 제3 탄성부재
63 : 제4 탄성부재
64 : 제3 슬립방지캡 641 : 제3 돌턱
65 : 제4 슬립방지캡 651 : 제4 돌턱
66 : 제2 이탈방지턱
70 : 메모리
S : 스마트폰 J : 연결 잭
D : 외부기기 P : USB 플러그

Claims (9)

  1.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에 내장되고, 스마트폰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기기로 승압하여 공급하는 승압 회로부(21)를 가지며, 스마트폰과 외부기기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와;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연결 잭에 끼워져 상기 스마트폰의 전원이 통전되면서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제어부(20) 사이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연결 플러그(31)를 가지는 스마트폰 연결부(30)와;
    상기 본체부(10)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기기에 구비되는 USB 플러그가 끼워져 상기 본체부(10)에 의해 승압된 전원이 통전되면서 상기 제어부(20)와 상기 외부기기 사이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USB 잭(41)을 가지는 외부기기 연결부(40)와;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30)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30)를 상기 스마트폰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스마트폰 고정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젠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50)는,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30)의 둘레에 끼워지고 수평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슬라이딩부재(51)와,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51)에 상단 일측에 장착되고 끝단이 하부측으로 경사지게 굽힘되며 탄성 굽힘 가능한 금속 박판재의 제1 탄성부재(52)와,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51)의 하단 일측에 장착되고 끝단이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굽힘되며 탄성 굽힘 가능한 금속 박판재의 제2 탄성부재(53)와,
    상기 제1 탄성부재(52)의 끝단에 끼워지고 하면에 제1 돌턱(541)이 형성되는 고무 재질의 제1 슬립방지캡(54)과,
    상기 제2 탄성부재(53)의 끝단에 끼워지고 상면에 제2 돌턱(551)이 형성되는 고무 재질의 제2 슬립방지캡(55)과,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30)의 단부의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51)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제1 이탈방지턱(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젠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40)에 설치되고,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40)를 상기 USB 플러그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플러그 고정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젠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고정부(60)는,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40)의 둘레에 끼워지고 수평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슬라이딩부재(61)와,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61)에 상단 일측에 장착되고 끝단이 하부측으로 경사지게 굽힘되며 탄성 굽힘 가능한 금속 박판재의 제3 탄성부재(62)와,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61)의 하단 일측에 장착되고 끝단이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굽힘되며 탄성 굽힘 가능한 금속 박판재의 제4 탄성부재(63)와,
    상기 제3 탄성부재(62)의 끝단에 끼워지고 하면에 제3 돌턱(641)이 형성되는 고무 재질의 제3 슬립방지캡(64)과,
    상기 제4 탄성부재(63)의 끝단에 끼워지고 상면에 제4 돌턱(651)이 형성되는 고무 재질의 제4 슬립방지캡(65)과,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40)의 단부의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61)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제2 이탈방지턱(6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젠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는,
    그 하면에 일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충전지 장착부(11)와,
    상기 충전지 장착부(11)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충전지(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나온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충전지(12)로부터 나온 전원을 상기 승압 회로부(21)를 통해 승압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우선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젠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의 사용을 위한 실행프로그램이 저장되도록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20)와 연결되는 메모리(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메모리(70)에 저장된 상기 실행프로그램을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된 상기 실행프로그램이 자동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젠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50)는,
    상기 스마트폰 연결부(30)에 힌지 결합되는 제1 힌지부(51a)와,
    상기 제1 힌지부(51a)에 일단이 장착되는 연결로드(52a)와,
    상기 연결로드(52a)의 타단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 플러그(31)가 힌지 결합되는 제2 힌지부(53a)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플러그(31)가 상기 스마트폰의 연결 잭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본체부(10)가 절첩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배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젠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50)는,
    상기 스마트폰에 자력으로 접착되도록 상기 스마트폰의 배면에 밀착되는 상기 본체부(10)의 외면에 장착되는 자석(54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젠더.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50)는,
    상기 스마트폰의 배면에 상기 본체부(10)가 밀착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10)의 외부면에 끼워지는 끼움부재(55a)와,
    상기 끼움부재(55a)의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일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억지 끼움되는 제1 클립부재(56a)와,
    상기 끼움부재(55a)의 타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타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억지 끼움되는 제2 클립부재(57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젠더.
KR1020110061672A 2011-06-24 2011-06-24 스마트폰용 젠더 KR101171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672A KR101171694B1 (ko) 2011-06-24 2011-06-24 스마트폰용 젠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672A KR101171694B1 (ko) 2011-06-24 2011-06-24 스마트폰용 젠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1694B1 true KR101171694B1 (ko) 2012-08-09

Family

ID=4688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672A KR101171694B1 (ko) 2011-06-24 2011-06-24 스마트폰용 젠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6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5000A1 (en) * 2013-03-12 2014-10-09 Gibbons Innovations Mounting clips and adapters for mounting decorative articles
US9127805B2 (en) 2011-05-24 2015-09-08 Gibbons Innovations, Inc. Mounting clips and decorative mounting articl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746B1 (ko) 2009-04-30 2010-02-10 원종민 휴대용 기기 충전용 승압 젠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746B1 (ko) 2009-04-30 2010-02-10 원종민 휴대용 기기 충전용 승압 젠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7805B2 (en) 2011-05-24 2015-09-08 Gibbons Innovations, Inc. Mounting clips and decorative mounting articles
WO2014165000A1 (en) * 2013-03-12 2014-10-09 Gibbons Innovations Mounting clips and adapters for mounting decorative articles
US9657894B2 (en) 2013-03-12 2017-05-23 Gibbons Innovations, Inc. Mounting clips and adapters for mounting decorative arti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9624B2 (ja) バッテリー保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電子機器
US9190639B2 (en) Protecting case
KR101784991B1 (ko) 착탈식 전원어댑터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KR101171694B1 (ko) 스마트폰용 젠더
KR10042509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 착탈 구조
KR20120008840U (ko)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
KR200469096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HK1074684A1 (en) Electronic device and battery pack
US10840727B1 (en) Smart holster for receiving and wirelessly charging communication device
US20210229463A1 (en) Shell for a portable telecommunication system
US7065389B2 (en) Locking device for a battery pack in a handheld radiotelephone
JP2014023096A (ja) 電子機器
US20060172771A1 (en) Mobile communication peripheral device
JP6026623B1 (ja) Ledを装置したカバーを装着したカラオケマイク
JP2017092860A (ja) Ledを装置したカバーを装着したカラオケマイク
JP6235433B2 (ja) Icタグ読取装置
JP2004214969A (ja) 携帯電子機器
JP5134099B2 (ja) 充電システム
JP4198126B2 (ja) 接点端子の固定構造及び電子機器
JP2006049194A (ja) 電池パック
KR101602872B1 (ko) 휴대 단말의 부팅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N213072612U (zh) 一种光控接触器
JP5208845B2 (ja) 携帯電子機器
US7696983B2 (en) Wireless mouse having a power switch with dual engagement modes
US202200822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ell phone cases with charging port illum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