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345B1 - 배구공의 접촉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배구공의 접촉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345B1
KR101171345B1 KR1020100064023A KR20100064023A KR101171345B1 KR 101171345 B1 KR101171345 B1 KR 101171345B1 KR 1020100064023 A KR1020100064023 A KR 1020100064023A KR 20100064023 A KR20100064023 A KR 20100064023A KR 101171345 B1 KR101171345 B1 KR 101171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volleyball
pressure
pressure sensor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261A (ko
Inventor
김호기
최윤길
류성찬
윤준호
권순옥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64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345B1/ko
Publication of KR20120003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6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with illuminating devices ; with reflect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95Volleyb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Display Devices Of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구경기를 하면서 선수들의 손가락 등을 비롯한 신체가 배구공에 접촉하였을 경우에 신체의 접촉을 표시하는 배구공의 접촉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배구공 내에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표피의 압력을 검출하고, 배구공 내에 복수 개의 표시램프를 설치하며, 압력센서가 검출하는 압력의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구동회로가 복수 개의 표시램프를 구동시켜 광이 출력되게 하며, 표시램프가 출력하는 광이 복수 개의 구멍을 통해 외부로 표출되게 한다.

Description

배구공의 접촉 표시장치{Apparatus for displaying touch of volley ball}
본 발명은 배구경기를 하면서 선수들의 신체가 배구공에 접촉되었을 경우에 신체의 접촉을 광으로 표시하는 배구공의 접촉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구공 내에 압력센서 및 표시램프를 구비하고, 선수들이 배구 경기를 하면서 선수들의 손가락 등을 비롯한 신체의 일부가 배구공에 접촉될 경우에 상기 표시 램프를 점등시켜 배구공의 접촉을 표시하는 배구공의 접촉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구경기는 선수들이 상대방으로 공격할 경우에 통상적으로 스파이크를 하여 공격한다.
상기 배구공을 스파이크를 할 경우에 배구공은 매우 빠른 속도로 날아가고, 매우 빠른 속도로 날아오는 배구공을 상대방 선수들은 통상적으로 블로킹을 하여 배구공이 자신의 코트로 넘어오는 것을 차단하고 있다.
이 때, 스파이크한 배구공이 수비하는 상대방 선수의 손에 접촉되면서 굴절될 경우에는 스파이크를 한 배구공이 상대방 선수의 손에 접촉되었는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스파이크를 한 배구공이 상대방 선수의 손가락 끝에 살짝 접촉되었을 경우에 배구공의 굴절 각도가 매우 미약하고, 이로 인하여 심판들은 배구공이 상대방 선수의 손에 접촉되었는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하고, 잘못 판정하여 판정 시비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배구 경기를 할 경우에 심판들이 비디오 판독을 수행하여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심판들이 비디오 판독을 하더라도 상대방 선수들의 손이 배구공에 접촉되었는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 실정이고, 이로 인하여 심판들이 잘못 판정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배구공에 신체가 접촉될 경우에 신체의 접촉을 표시하는 배구공의 접촉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구공에 신체가 미세하게 접촉될 경우에도 이를 표시할 수 있는 배구공의 접촉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배구공의 접촉 표시장치는 배구공 내에 설치되어 표피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와, 배구공 내에 설치되고 광을 출력하는 복수 개의 표시램프와, 상기 압력센서가 검출하는 압력의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복수 개의 표시램프를 구동시켜 광이 출력되게 하는 구동회로와, 상기 표시램프가 출력하는 광을 외부로 표출시키는 복수 개의 광 출력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회로는 상기 압력센서가 검출하는 압력의 변화량을 검출하는 압력 변화량 검출부와, 상기 압력 변화량 검출부가 검출하는 압력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배구공의 접촉을 판단하는 접촉 판단부와, 상기 접촉 판단부가 접촉을 판단할 경우에 상기 표시램프를 구동시키는 표시램프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표피에 압력이 인가될 경우에 저항 값이 가변되는 저항막 방식의 압력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램프는 적외선을 출력하는 표시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구공의 접촉 표시장치는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수은전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구공의 접촉 표시장치에 따르면, 배구공에 압력센서를 구비하고, 압력센서의 압력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표시램프를 점등시켜 배구공에 선수들의 신체가 접촉되었음을 표시한다.
그러므로 심판들은 배구공의 표시상태로 배구공의 접촉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정확하게 심판을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시램프가, 사람들의 눈으로는 볼 수 없는 적외선을 출력함으로써 선수들이 배구 경기를 수행하는데 아무런 영향도 주지 않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며, 일부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촉 표시장치에 따른 배구공의 일부 절결 단면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접촉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촉 표시장치에 따른 배구공의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여기서, 부호 100은 배구공의 표피이고, 부호 110은 상기 표피(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표피(100)에 가해지는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이다.
상기 압력센서(110)는 예를 들면, 상기 표피(100)에 신체의 접촉 등으로 인한 압력이 인가될 경우에 저항 값이 가변되는 저항막 방식의 압력센서를 사용한다.
부호 120은 복수 개의 표시램프이다. 상기 복수 개의 표시램프(120)는 상기 압력센서(110)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적외선을 출력하는 적외선 램프를 사용한다.
부호 130은 복수 개의 광 출력구멍이다. 상기 복수 개의 광 출력구멍(130)은 상기 복수 개의 표시램프(120)들 각각이 구비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표피(100) 및 상기 압력센서(110)의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표시램프(120)들 각각이 출력하는 광이 상기 표피(100)의 외부로 출력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접촉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부호 200은 압력 변화량 검출부이다. 상기 압력 변화량 검출부(200)는 상기 압력센서(110)가 검출하는 압력의 변화량을 검출한다.
부호 210은 접촉 판단부이다. 상기 접촉 판단부(210)는 상기 압력 변화량 검출부(200)가 검출하는 압력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압력 변화량이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배구공에 신체가 접촉되었음을 판단한다.
부호 220은 표시램프 구동부이다. 상기 표시램프 구동부(220)는 상기 접촉 판단부(210)가 접촉을 판단할 경우에 상기 표시램프(120)를 동작시켜 광을 출력하게 한다.
부호 230은 배터리이다. 상기 배터리(230)는 상기 압력센서(110), 압력 변화량 검출부(200), 접촉 판단부(210) 및 표시램프 구동부(220)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수은전지를 사용하여 동작전압을 공급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배구공의 접촉 표시장치는 선수들이 통상의 방법으로 배구공을 사용하여 배구 경기를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선수들의 신체가 배구공의 표피(100)에 접촉될 경우에 압력센서(110)가 검출하는 압력에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압력센서(110)의 압력 변화를 압력 변화량 검출부(200)가 검출하고, 검출한 압력 변화량은 접촉 판단부(210)로 입력된다.
상기 접촉 판단부(210)는 상기 압력 변화량 검출부(200)가 검출하는 압력 변화량을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선수들의 신체가 배구공에 접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접촉 판단부(210)는 상기 압력 변화량 검출부(200)가 검출하는 압력 변화량을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압력 변화량이 임계값보다 클 경우에 선수들의 신체가 배구공에 접촉되었음을 판단하고, 접촉 판단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접촉 판단부(210)가 접촉 판단신호를 발생하면, 표시램프 구동부(220)가 표시램프(120)를 구동시켜 광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표시램프(120)가 출력하는 광은 광 출력구멍(130)을 통해 배구공의 외부로 표출되는 것으로서 선수들의 신체가 배구공에 접촉되었음을 표시한다.
여기서, 배구공에서 광이 출력되면, 선수들이 배구경기를 하는데 지장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표시램프(120)를 적외선 다이오드로 사용하고, 배구선수들의 신체가 표피(100)에 접촉될 경우에 상기 표시램프(120)가 적외선을 출력하게 한다.
상기 표시램프(120)가 출력하는 적외선은 사람들의 눈으로는 식별할 수 없는 것으로서 선수들의 배구경기에는 아무런 영향도 주지 않게 된다.
상기 표시램프(120)에서 출력되는 적외선은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적외선 카메라로 상기 배구공을 촬영하고, 적외선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심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심판들은 적외선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통해 선수들의 신체가 배구공에 접촉되었는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심판들이 정확하게 판정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배구공의 표피 110 : 압력센서
120 : 복수 개의 표시램프 130 : 복수 개의 광 출력구멍
200 : 압력 변화량 검출부 210 : 접촉 판단부
220 : 표시램프 구동부 230 : 배터리

Claims (5)

  1. 배구공 내에 설치되어 표피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
    배구공 내에 설치되고 광을 출력하는 복수 개의 표시램프;
    상기 압력센서가 검출하는 압력의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복수 개의 표시램프를 구동시켜 광이 출력되게 하는 구동회로; 및
    상기 표시램프가 출력하는 광을 외부로 표출시키는 복수 개의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회로는;
    상기 압력센서가 검출하는 압력의 변화량을 검출하는 압력 변화량 검출부;
    상기 압력 변화량 검출부가 검출하는 압력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배구공의 접촉을 판단하는 접촉 판단부; 및
    상기 접촉 판단부가 접촉을 판단할 경우에 상기 표시램프를 구동시키는 표시램프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배구공의 접촉 표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표피에 압력이 인가될 경우에 저항 값이 가변되는 저항막 방식의 압력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구공의 접촉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램프는;
    적외선을 출력하는 표시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구공의 접촉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수은전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구공의 접촉 표시장치.



KR1020100064023A 2010-07-02 2010-07-02 배구공의 접촉 표시장치 KR101171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023A KR101171345B1 (ko) 2010-07-02 2010-07-02 배구공의 접촉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023A KR101171345B1 (ko) 2010-07-02 2010-07-02 배구공의 접촉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261A KR20120003261A (ko) 2012-01-10
KR101171345B1 true KR101171345B1 (ko) 2012-08-13

Family

ID=45610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023A KR101171345B1 (ko) 2010-07-02 2010-07-02 배구공의 접촉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3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683B1 (ko) 2012-08-10 2013-12-09 주계원 라인 터치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101369990B1 (ko) 2012-09-17 2014-03-04 안태훈 정보표시 기능을 가지는 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66244B (zh) * 2016-03-31 2020-06-02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球以及相关数据处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6451A (ja) 2002-06-14 2004-01-22 Konami Co Ltd ボール
KR200362526Y1 (ko) * 2004-04-08 2004-09-20 박춘배 발광부를 갖는 공
JP2005152606A (ja) * 2003-10-29 2005-06-16 Masatoshi Shibuya 外皮発光式の発光するボールまたはロープ、捕手用マスク
US7278937B2 (en) 2002-12-20 2007-10-09 Russell Corporation Sport ball with self-contained inflation mechanism having pressure relief and indication capabil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6451A (ja) 2002-06-14 2004-01-22 Konami Co Ltd ボール
US7278937B2 (en) 2002-12-20 2007-10-09 Russell Corporation Sport ball with self-contained inflation mechanism having pressure relief and indication capability
JP2005152606A (ja) * 2003-10-29 2005-06-16 Masatoshi Shibuya 外皮発光式の発光するボールまたはロープ、捕手用マスク
KR200362526Y1 (ko) * 2004-04-08 2004-09-20 박춘배 발광부를 갖는 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683B1 (ko) 2012-08-10 2013-12-09 주계원 라인 터치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101369990B1 (ko) 2012-09-17 2014-03-04 안태훈 정보표시 기능을 가지는 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261A (ko) 201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8194B2 (en) Interactive instruments and other striking objects
US20020107077A1 (en) Athletic ball impact measurement and display device
US10292648B2 (en) Energy expenditure device
JP6325983B2 (ja) 動的な視覚インディシアを有するスポーツ用デバイスおよび構造
US7536033B2 (en) Portable swing analyzer
US7849740B2 (en) Impact resistant speed sensing object
WO2005110555A3 (en) Ball with internal impact detector and an indicator to indicate impact
KR20100015258A (ko) 당구점수 계산장치
US20090004945A1 (en) Flying disc training device
KR101171345B1 (ko) 배구공의 접촉 표시장치
WO2007010063A3 (es) Dispositivo de control y valoración de acciones deportivas
US20150185013A1 (en) Estimation apparatus for estimating state of one object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other object
KR20120075565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모바일 스포츠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JP2010069160A (ja) サウンドテーブルテニス用ラケット
KR102019760B1 (ko) 골프 퍼팅 연습 장치
US10695632B2 (en) Apparatus and methods to track movement of sports implements
KR101067544B1 (ko) 스크린 상의 타격 위치 감지 장치
AU2018202930A1 (en) Interactive cricket bat
TWI708627B (zh) 可集成或是安置於高爾夫球桿上的感測指向裝置
KR101599408B1 (ko) 골프퍼팅 연습장치
Ahmed et al. A wearable wireless sensor for real time validation of bowling action in cricket
US10918920B2 (en) Apparatus and methods to track movement of sports implements
TWM544348U (zh) 落點判斷裝置
JP2019197474A (ja) 映像表示システム
KR200219855Y1 (ko) 실내 연습용 티샷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