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288B1 - 폐열을 활용한 다습성폐기물 처리시설 - Google Patents

폐열을 활용한 다습성폐기물 처리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288B1
KR101171288B1 KR1020120052162A KR20120052162A KR101171288B1 KR 101171288 B1 KR101171288 B1 KR 101171288B1 KR 1020120052162 A KR1020120052162 A KR 1020120052162A KR 20120052162 A KR20120052162 A KR 20120052162A KR 101171288 B1 KR101171288 B1 KR 101171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transfer
humid
pipe
inci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학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Priority to KR1020120052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GHOT GAS OR COMBUSTION-PRODUCT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USE OF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0Profiting from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2Profiting from waste heat of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22B1/1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F26B17/2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the axis of rotation being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폐열을 활용한 다습성폐기물 처리시설에 관한 것으로, 쓰레기가 저장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에서 쓰레기를 공급받아 쓰레기를 소각하는 소각처리부와, 상기 소각처리부에서 쓰레기의 소각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보일러를 구성한 폐기물처리장치; 제1, 2공간부를 형성한 이중케이스를 구성하되, 상기 제1공간부에는 동력전달부에 의해 회전작동하는 이송날을 형성한 회전축이 설치되어 유입구를 통해 제1공간부로 유입된 다습성폐기물을 배출구로 이송시켜 이중케이스의 외부로 배출하며, 제2공간부에는 스팀공급연결관과 스팀배기관이 형성된 건조장치; 상기 폐기물처리장치의 보일러와 건조장치 사이에 구성되어 보일러의 스팀을 건조장치의 제2공간부로 공급하는 스팀공급배관; 폐기물처리장치의 소각처리부와 건조장치의 제1공간부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이송배관과, 상기 이송배관에 설치되어 건조장치 내부의 악취와 수분을 소각처리부 내부로 이송시키는 송풍기로 구성된 악취이송부; 물탱크와 쿨링타워가 설치된 순환배관을 구성하되, 상기 순환배관에는 악취이송부의 이송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악취의 온도를 낮추는 콘덴서가 설치된 온도저감장치;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이용하면, 도서지역과 같은 소규모 지역에 설치된 폐기물처리장치에 연계하여 설치가 가능하므로, 적은 비용과 단순한 구성으로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고, 기존의 폐기물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재활용하여 다습성폐기물의 건조를 이룰 수 있어 이물질의 전처리에 따른 시설투자비와 처리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차 오염이 방지되어 매립장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건조장치에 발생되는 악취를 저온으로 변환시킴과 동시에 악취에 포함된 이물질의 제거를 통하여 송풍기 내부의 부품의 손상을 방지는 물론, 악취의 소각을 통해 공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 2, 3이송날에 의해 다습성폐기물을 충분한 시간 동안 건조시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폐열을 활용한 다습성폐기물 처리시설{A damp garbage processing equipment using waste heat}
본 발명은 폐열을 활용한 다습성폐기물 처리시설에 관한 것으로, 도서지역과 같은 소규모 지역에 설치된 폐기물처리장치에 연계하여 설치가 가능하므로, 적은 비용과 단순한 구성으로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고, 기존의 폐기물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재활용하여 다습성폐기물의 건조를 이룰 수 있어 이물질의 전처리에 따른 시설투자비와 처리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차 오염이 방지되어 매립장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건조장치에 발생되는 악취를 저온으로 변환시킴과 동시에 악취에 포함된 이물질의 제거를 통하여 송풍기 내부의 부품의 손상을 방지는 물론, 악취의 소각을 통해 공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 2, 3이송날에 의해 다습성폐기물을 충분한 시간 동안 건조시켜 배출할 수 있는 다습성폐기물 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습성폐기물중 음식물류는 퇴비화, 사료화 및 매립처리 방식으로 처리되어 지고 있으며, 슬러지의 경우에는 고형화 연료등의 방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쓰레기 또는 슬러지 소각처리 시스템은 일반쓰레기 소각로 또는 슬러지 소각로로 각각 구분되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일반쓰레기의 열량이 높아 소각이 급격히 연소되기 때문에 소각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반면, 슬러지는 자체 열량이 너무 작고, 수분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소각시 건조공정을 반드시 거쳐야 할 뿐만 아니라, 가스 또는 유류를 사용하는 버너로 열을 추가로 가해야만 소각되므로 많은 에너지가 낭비되는 단점이 있어 대부분 매립처리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18477 슬러지 및 일반쓰레기 소각처리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슬러지 및 일반쓰레기 소각처리 시스템은 고형화 연료등의 방법으로 처리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소량의 슬러지에 대량의 일반쓰레기가 혼합되어야 하므로, 대용량의 경우에만 처리가 가능하며, 소규모의 경우에는 시설이 복잡하고 운전이 까다로워 설치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다습성폐기물 내에는 여러 가지 이물질들이 포함되어있어 이런 이물질들을 전처리하지 않으면 퇴비화, 사료화, 고형화연료 등의 처리가 되지 않기 때문에 전처리시설에 막대한 시설 투자비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이런 막대한 시설 투자비를 투자하여 퇴비화, 사료화, 고형화 연료등의 제품을 생산하였을 경우에도 이 생산품을 사용할 수요처가 만치 않아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도서지역이나 소규모도시에서는 어쩔 수 없이 매립처리하는 것이 통상적이나, 다습성폐기물의 특성상 발생되는 침출수로 인해 지하수오염 등 매립장의 2차 오염을 유발시켜 그 위험성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폐열을 활용한 다습성폐기물 처리시설은 쓰레기가 저장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에서 쓰레기를 공급받아 쓰레기를 소각하는 소각처리부와, 상기 소각처리부에서 쓰레기의 소각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보일러를 구성한 폐기물처리장치; 제1, 2공간부를 형성한 이중케이스를 구성하되, 상기 제1공간부에는 동력전달부에 의해 회전작동하는 이송날을 형성한 회전축이 설치되어 유입구를 통해 제1공간부로 유입된 다습성폐기물을 배출구로 이송시켜 이중케이스의 외부로 배출하며, 제2공간부에는 스팀공급연결관과 스팀배기관이 형성된 건조장치; 상기 폐기물처리장치의 보일러와 건조장치 사이에 구성되어 보일러의 스팀을 건조장치의 제2공간부로 공급하는 스팀공급배관; 폐기물처리장치의 소각처리부와 건조장치의 제1공간부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이송배관과, 상기 이송배관에 설치되어 건조장치 내부의 악취와 수분을 소각처리부 내부로 이송시키는 송풍기로 구성된 악취이송부; 물탱크와 쿨링타워가 설치된 순환배관을 구성하되, 상기 순환배관에는 악취이송부의 이송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악취의 온도를 낮추는 콘덴서가 설치된 온도저감장치;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폐열을 활용한 다습성폐기물 처리시설은 도서지역과 같은 소규모 지역에 설치된 폐기물처리장치에 연계하여 설치가 가능하므로, 적은 비용과 단순한 구성으로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고, 기존의 폐기물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재활용하여 다습성폐기물의 건조를 이룰 수 있어 이물질의 전처리에 따른 시설투자비와 처리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2차 오염이 방지되어 매립장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악취를 온도저감장치를 통해 냉각하여 순환시킬 뿐만 아니라, 사이클론집진기를 통해 악취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어 송풍기 내부의 부품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과 작업시간 지연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다습성폐기물 처리시 발생되는 각종 악취를 기존 폐기물처리장치에 연계처리할 수 있으므로 악취에 따른 공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건조시설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2이송날 통해 다습성폐기물을 소량씩 배출구쪽으로 진행시킬 수 있어 배출되는 폐기물의 충분한 건조를 이룰 수 있으며, 배출구를 벗어나는 다습성폐기물은 제3이송날을 통해 배출구로 배출할 수 있어 다습성폐기물이 건조장치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폐열을 활용한 다습성폐기물 처리시설을 도시한 계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조장치와 스팀공급관과 악취이송부와 온도저감장치를 확대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조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건조장치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건조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2, 3이송날이 형성된 회전축을 도시한 상태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폐기물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활용하여 다습성폐기물을 처리하는 폐열을 활용한 다습성폐기물 처리시설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기물처리장치(10)와, 건조장치(20)와, 스팀공급배관(30)과, 악취이송부(40)와, 온도저감장치(50)로 구성된다.
첫째, 폐기물처리장치(10)는 일반쓰레기를 소각시킴과 동시에 일반쓰레기의 소각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구성으로써, 일반쓰레기가 저장되는 저장조(11)와, 상기 저장조(11)에서 일반쓰레기를 공급받아 쓰레기를 소각하는 소각처리부(13)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소각처리부(13)는 보일러(15)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보일러(15)가 소각처리부(13)에서 일반쓰레기의 소각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통상의 구성이다.
둘째, 건조장치(20)는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다습성폐기물을 건조시키는 구성으로, 경계를 형성하여 내부에 제1, 2공간부(21, 22)를 형성한 이중케이스(2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중케이스(23)의 일측 상부에는 제1공간부(21)와 연결되는 유입구(27)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27)의 타측 하부에는 제1공간부(21)에 연결되는 배출구(28)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이중케이스(23)에 형성된 제1공간부(21)에는 이송날(25)이 형성된 회전축(26)이 설치되는데, 상기 이중케이스(20)의 외측에는 모터와 밸트풀리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동력전달부(24)가 이중케이스(23)의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축(26)과 결합을 이루고 있어 동력전달부(24)의 작동에 따라 회전축(26)이 회전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유입구(27)를 통해 이중케이스(23)의 제1공간부(21)로 유입된 다습된폐기물은 상기 회전축(26)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26)에 형성된 이송날(25)에 의해 배출구(28) 방향으로 이송된다.
더불어, 상기 이중케이스(23)의 일측으로는 스팀공급배관(30)을 통해 보일러(15)의 스팀을 공급받도록 하는 스팀공급연결관(29a)이 제2공간부(22)와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스팀공급연결관(29a)의 타측 하부에는 열기가 식은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배기관(29b)이 형성되는데, 상기 스팀공급연결관(29a)은 유입구(27) 방향에 형성하고 상기 스팀배기관(29b)은 배출구(28) 방향에 형성함으로써 제2공간부(22)로 유입된 스팀의 체류시간을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이중케이스(23)의 제1공간부(21)로 유입되어 회전하는 회전축(26)의 이송날(25)에 의해 이송되는 다습성폐기물은 제2공간부(22)로 유입된 스팀의 열에 의해 가열되며, 이와 같은 가열을 통해 다습성폐기물의 포함된 수분의 양이 감소된 상태로 배출구(28)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상기 건조장치(20)의 회전축(26)에 형성된 이송날(25)은 다습성폐기물이 건조되지 않은 상태로 배출구(28)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제1공간부(21)로 유입된 다습성폐기물을 일정시간 동안 체류시킴으로써 다습성폐기물의 건조시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이송날(25)을 다습성폐기물을 배출구(28)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날(25a)과, 다습성폐기물을 유입구(27)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날(25b)로 구성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데, 이때에는, 상기 제1이송날(25a)의 크기를 제1공간부(21)의 내주 보다는 작게 형성하고 제2이송날(25b) 보다는 크게 형성해야 한다.
또한, 상기 제1공간부(21)에 형성된 회전축(26)의 끝단 부분에는 다습성폐기물이 제1공간부(21)에 끝단 부분에 쌓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다습성폐기물을 배출구(28)로 이송시키는 제3이송날(25c)을 더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제3이송날(25c)이 형성되는 회전축(26)에는 제1이송날(25a)이 형성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제3이송날(25c)은 제1이송날(25a)의 크기와 동일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입구(27)를 통해 제1공간부(21)로 다습성폐기물이 유입되면, 제1, 2이송날(25a, 25b)에 의해 다습성폐기물이 교반되면서 유입구(27)와 유출구(28) 방향으로 왕복이송되는 운동을 하다가 제2이송날(25b)의 크기를 벗어나는 소량의 다습성폐기물만 제1이송날(25a)에 의해 배출구(28)방향으로 이송되므로, 다습성폐기물을 충분히 건조시켜 배출구(28)로 배출할 수 있으며, 배출구(28)로 배출되지 않고 제1공간부(21)에 끝단 부분에 쌓이려는 다습성폐기물은 제3이송날(25c)에 의해 배출구(28)로 배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배출구(28)를 통해 배출된 다습성폐기물은 충분한 건조를 통해 다량의 습기가 제거되어 있으므로, 건조완료된 다습성폐기물을 폐기물처리장치(10)의 저장조(11)에 담아 일반쓰레기와 함께 소각처리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다습성폐기물의 매립 없이도 완벽한 처리가 가능하다.
셋째, 스팀공급배관(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폐기물처리장치(10)의 보일러(15)와 건조장치(20) 사이에 구성되어 보일러(15)의 스팀을 건조장치(20)의 제2공간부(22)로 공급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건조장치(20)의 스팀공급연결관(29a)에 연결설치되는 구성이다.
넷째, 악취이송부(40)는 상기 건조장치(20)의 제1공간부(21)에 유입된 다습설폐기물이 제2공간부(22)로 유입된 스팀의 열에 의해 건조가 이루어질 때에 발생하는 수분이 포함된 열기와 악취를 폐기물처리장치(10)의 소각처리부(13)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폐기물처리장치(10)의 소각처리부(13)와 건조장치(20)의 제1공간부(21) 사이를 연결하는 이송배관(41)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이송배관(41)에는 건조장치(20)의 제1공간부(21) 내부에서 발생한 악취와 수분을 소각처리부(13) 내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송풍기(43)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섯째, 온도저감장치(50)는 상기 악취이송부(40)의 이송배관(41)을 통해 이송되는 악취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구성으로, 물탱크(51)와 쿨링타워(53)가 설치된 순환배관(55)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순환배관(55)에는 악취이송부(40)의 이송배관(41)과 연결되는 콘덴서(57)가 설치된 것에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콘덴서(57)를 거쳐 송풍기(43)를 통과하는 악취는 저온의 상태로 변환되므로, 송풍기(43) 내부의 부품 손상이 방지되어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과 작업시간의 지연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폐기물처리장치(10)의 소각처리부(13)와 온도저감장치(50)의 콘덴서(57) 사이의 이송배관(41)에는 이물질 거름을 위한 사이클론집진기(45)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사이클론집진기(45)에 의하면, 악취에 포함된 이물질이 이송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어 송풍기(43) 내부의 부품 손상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아울러, 상기 온도저감장치(50)의 순환배관(55)에는 물탱크(51)에 저장된 물이 부족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급수라인(15a)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보조급수라인(15a)은 보일러(15)에서 사용하는 보일러물탱크(15b)에 연결설치하여 물탱크(51)의 물 부족시 자동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통해 간단히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폐기물처리장치(10)가 가동되면, 폐기물처리장치(10)의 보일러(15)에 연결된 스팀공급배관(30)을 통해 스팀이 건조장치(20)의 제2공간부(22)로 공급되어 건조장치(20)의 내부가 고온으로 형성되며, 다습성폐기물은 처리는 상기와 같이 건조장치(20)의 내부가 고온으로 형성되어 있을 때에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건조장치(20)의 내부가 고온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다습성폐기물이 유입구(27)를 통해 건조장치(20)의 제1공간부(21)로 유입되면, 제1공간부(21)로 유입된 다습성폐기물은 제1, 2이송날(25a, 25b)에 의해 교반되면서 유입구(27)와 유출구(28) 방향으로 왕복이송되는 운동을 하게 되어 충분한 체류시간을 가지게 되며, 지속적인 왕복이송운동 및 계속 유입되는 다습성폐기물에 의해 제2이송날(25b)의 크기를 벗어나는 소량의 다습성폐기물만 제1이송날(25a)을 통해 배출구(28)방향으로 이송되어 배출구(28)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1이송날(25a)을 통해서 배출구(28)로 배출되지 않은 다습성폐기물은 제1공간부(21)의 끝단 부분에 쌓이는데, 본 발명에서는 제2이송날(25b)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배출구(28) 방향으로 다습성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제3이송날(25c)이 형성되어 있어 제1공간부(21)에 다습성폐기물이 쌓이는 현상 없이 용이한 배출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건조장치(20)의 제1공간부(21)로 저장된 다습성폐기물은 충분한 건조가 이루어진 후 배출구(28)를 통해 모두 배출되며, 배출된 다습성폐기물에는 소량의 수분만 남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건조장치(20)의 제1공간부(21)에서 다습성폐기물의 건조가 이루어질 때에 발생하는 습기와 악취는 악취이송부(40)에 구성된 송풍기(43)에 흡기력에 의해 이송배관(41)을 통해 폐기물처리장치(10)의 소각처리부(13)로 이송되는 작용이 일어나므로, 건조장치(20) 내부에서의 다습성폐기물의 건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악취가 소각처리부(13)에서 소각되는 것에 의해 대기오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악취이송부(40)의 이송배관(41)을 통해 소각처리부(13)로 이송되는 악취에는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을 형성하는데, 악취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이송배관(41)에 설치된 사이클론집진기(45)를 통해 걸러지며, 고온의 악취는 물탱크(51)와 쿨링타워(53)가 설치된 순환배관(55)에 구성되어 이송배관(41)에 연결되는 콘덴서(57)를 통해 저온으로 변환되므로 송풍기(43)를 거쳐 소각처리부(13)로 이송되는 악취는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저온의 상태로 이송된다.
따라서, 이물질이나 고온에 의해 송풍기(43) 내부의 부품이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건조장치(20)의 내부에서 건조되어 배출된 다습성폐기물에는 소량의 수분만 남아 있기 때문에, 일반쓰레기를 소각하는 폐기물처리장치(10)의 저장조(11)에 저장하여 일반쓰레기와 함께 소각처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미리 설치된 폐기물처리장치(10)에 연계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다습성폐기물이 다량으로 발생하지 않은 도서지역과 같은 소규모 지역에도 용이하게 설치하여 다습성폐기물의 처리를 손쉽게 이룰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저렴한 시설투자비와 처리비용의 감소를 이룰 수 있고, 매립에 의한 2차 오염을 예방할 수 있어 매립장의 수명 연장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10 : 폐기물처리장치 11 : 저장조
13 : 소각처리부 15 : 보일러
15a : 보조급수라인 15b : 보일러물탱크
20 : 건조장치 21, 22 : 제1, 2공간부
23 : 이중케이스 24 : 동력전달부
25 : 이송날 25a, 25b, 25c : 제1, 2, 3이송날
26 : 회전축 27 : 유입구
28 : 배출구 29a : 스팀공급연결관
29b : 스팀배기관 30 : 스팀공급배관
40 : 악취이송부 41 : 이송배관
43 : 송풍기 45 : 사이클론집진기
50 : 온도저감장치 51 : 물탱크
53 : 쿨링타워 55 : 순환배관
57 : 콘덴서

Claims (4)

  1. 쓰레기가 저장되는 저장조(11)와, 상기 저장조(11)에서 쓰레기를 공급받아 쓰레기를 소각하는 소각처리부(13)와, 상기 소각처리부(13)에서 쓰레기의 소각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보일러(15)를 구성한 폐기물처리장치(10);
    제1, 2공간부(21, 22)를 형성한 이중케이스(23)를 구성하되, 상기 제1공간부(21)에는 동력전달부(24)에 의해 회전작동하는 이송날(25)을 형성한 회전축(26)이 설치되어 유입구(27)를 통해 제1공간부(21)로 유입된 다습성폐기물을 배출구(28)로 이송시켜 이중케이스(23)의 외부로 배출하며, 제2공간부(22)에는 스팀공급연결관(29a)과 스팀배기관(29b)이 형성된 건조장치(20);
    상기 폐기물처리장치(10)의 보일러(15)와 건조장치(20) 사이에 구성되어 보일러(15)의 스팀을 건조장치(20)의 제2공간부(22)로 공급하는 스팀공급배관(30);
    폐기물처리장치(10)의 소각처리부(13)와 건조장치(20)의 제1공간부(21)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이송배관(41)과, 상기 이송배관(41)에 설치되어 건조장치(20) 내부의 악취와 수분을 소각처리부(13) 내부로 이송시키는 송풍기(43)로 구성된 악취이송부(40);
    물탱크(51)와 쿨링타워(53)가 설치된 순환배관(55)을 구성하되, 상기 순환배관(55)에는 악취이송부(40)의 이송배관(41)을 통해 이송되는 악취의 온도를 낮추는 콘덴서(57)가 설치된 온도저감장치(5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폐열을 활용한 다습성폐기물 처리시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20)의 이송날(25)은,
    다습성폐기물을 배출구(28)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날(25a)과, 다습성폐기물을 유입구(27)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날(25b)로 구성되되,
    상기 제1이송날(25a)은 제1공간부(21)의 내주 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2이송날(25b) 보다 크게 형성되어 건조장치(20)의 제1공간부(21)에 저장된 다습성폐기물의 건조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폐열을 활용한 다습성폐기물 처리시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부(21)에 형성된 회전축(26)의 끝단 부분에는 다습성폐기물이 제1공간부(21)에 쌓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다습성폐기물을 배출구(28)로 이송시키는 제3이송날(25c)이 더 포함되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폐열을 활용한 다습성폐기물 처리시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처리장치(10)의 소각처리부(13)와 온도저감장치(50)의 콘덴서(57) 사이의 이송배관(41)에는 이물질 거름을 위한 사이클론집진기(45)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폐열을 활용한 다습성폐기물 처리시설.
KR1020120052162A 2012-05-16 2012-05-16 폐열을 활용한 다습성폐기물 처리시설 KR101171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162A KR101171288B1 (ko) 2012-05-16 2012-05-16 폐열을 활용한 다습성폐기물 처리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162A KR101171288B1 (ko) 2012-05-16 2012-05-16 폐열을 활용한 다습성폐기물 처리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1288B1 true KR101171288B1 (ko) 2012-08-20

Family

ID=46887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162A KR101171288B1 (ko) 2012-05-16 2012-05-16 폐열을 활용한 다습성폐기물 처리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2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512B1 (ko) 2013-11-13 2014-11-2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폐수증기를 활용하는 건조 및 농축 장치
KR101534197B1 (ko) * 2014-10-24 2015-07-06 주식회사 알엠 폐자원 및 폐가스 회수열을 이용한 슬러지 자원화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277B1 (ko) 2006-04-07 2007-06-04 이동완 소각장치에서 발생하는 폐열(스팀)을 이용하는 슬러지 및음식물 쓰레기 건조 시스템
KR100734092B1 (ko) 2006-04-24 2007-07-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자체 에너지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277B1 (ko) 2006-04-07 2007-06-04 이동완 소각장치에서 발생하는 폐열(스팀)을 이용하는 슬러지 및음식물 쓰레기 건조 시스템
KR100734092B1 (ko) 2006-04-24 2007-07-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자체 에너지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512B1 (ko) 2013-11-13 2014-11-2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폐수증기를 활용하는 건조 및 농축 장치
KR101534197B1 (ko) * 2014-10-24 2015-07-06 주식회사 알엠 폐자원 및 폐가스 회수열을 이용한 슬러지 자원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014456Y (zh) 工业污泥干化与焚烧系统
CN105180170B (zh) 一种城市固体废物协同焚烧发电系统
CN103539333B (zh) 一种利用燃气轮机余热干燥污泥的系统及方法
CN101844859B (zh) 一种污泥的蒸汽低温热调质干化成套处理装置及方法
KR101692830B1 (ko) 유기성 폐기물 건조 시스템
JP6639330B2 (ja) 脱水システム及び脱水方法
CN104628237B (zh) 一种依托热电厂的污泥干化焚烧系统
CN101560047A (zh) 高环保低成本干燥污泥的设备及其方法
CN102476907A (zh) 一种快速高效、环保节能污泥处理系统的设备及方法
CN203513455U (zh) 一种污泥干化与焚烧系统
KR100734092B1 (ko) 자체 에너지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CN104438297B (zh) 一种处理有机垃圾的方法和装置
KR20170114021A (ko) 가스를 열원으로 하는 열매체유 보일러를 이용한 악취방지용 폐쇄회로형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9990075118A (ko)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처리 방법 및 장치
CN113091071A (zh) 一种垃圾焚烧协同处置低温干化污泥的系统
KR101171288B1 (ko) 폐열을 활용한 다습성폐기물 처리시설
CN102701564A (zh) 污泥干燥方法
CN110615594A (zh) 一种高效洁净的垃圾电厂污泥干化掺烧系统
CN103359906B (zh) 利用地沟油进行污泥干化及焚烧方法
KR100268592B1 (ko) 하수 슬러지 처리방법
CN110790473A (zh) 一种纺织污泥干化及其火电厂再利用方法
CN203653399U (zh) 一种利用燃气轮机余热干燥污泥的系统
CN102430559A (zh) 城市生活垃圾综合处理工艺
JP2010247111A (ja) 汚泥乾燥システム
JP2009214087A (ja) 下水汚泥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