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430B1 - 배터리 커넥터 - Google Patents

배터리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430B1
KR101170430B1 KR1020110001807A KR20110001807A KR101170430B1 KR 101170430 B1 KR101170430 B1 KR 101170430B1 KR 1020110001807 A KR1020110001807 A KR 1020110001807A KR 20110001807 A KR20110001807 A KR 20110001807A KR 101170430 B1 KR101170430 B1 KR 101170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air
terminal
arms
contact a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0386A (ko
Inventor
김민환
송인덕
최정훈
김덕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1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430B1/ko
Publication of KR20120080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체 하우징; 및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설치되고, 기판 실장부와, 상기 기판 실장부로부터 연장되어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컨택트 암과, 상기 한 쌍의 컨택트 암 사이에 형성되는 터미널 컨택트의 삽입 경로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한 쌍의 컨택트 암의 후단을 서로 연결하는 커넥팅 암을 구비한 컨택트 핀;을 포함하는 배터리 커넥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커넥터{Battery connector}
본 발명은 배터리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팩과의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컨택트 핀의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 등과 같은 휴대기기에는 전원 공급을 위해 배터리 팩이 장착되고, 휴대기기의 일측에는 상기 배터리 팩의 터미널 컨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터리 커넥터가 구비된다.
배터리 커넥터는 소정 형상의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일정한 피치로 배열된 복수개의 컨택트 핀을 포함한다.
배터리 커넥터와 관련있는 선행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5949호에 개시된 휴대폰용 배터리 접속 커넥터를 예로 들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5949호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몰드(3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이송 및 실장 브래킷(100)을 구비하고, 접속핀(200)의 실장단자(210) 측에 경사지게 형성한 실장탄성부(250)를 형성하며, 접속핀(200)의 접속단(230)의 양측에 측면으로 직각 절곡된 가이드벽부재(240)를 구비하고, 텐션부의 2차 절곡부(222)의 폭을 1차 절곡부(221)의 폭보다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배터리 접속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5949호에 따르면, 커넥터의 실장을 위한 부품의 이송과정에 있어 흡착 이송이 가능하고 PCB 기판에 견고하게 실장될 수 있으며, 텐션부의 2차 절곡부(222)의 폭을 1차 절곡부(221)의 폭보다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구성함으로써 배터리와의 접속과정에 있어서 탄성변형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의 배터리 커넥터는 그 컨택트 핀이 배터리 팩의 터미널 컨택트의 한쪽면과 점접촉을 이룸으로써 배터리 팩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러나, 이러한 1 접점 방식의 접속 구조는 휴대기기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거나 이물질이 유입되었을 때 배터리 팩과 배터리 커넥터의 접점에서 접촉불량이 쉽게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휴대기기에 전원공급이 차단될 수 있는 취약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배터리 팩의 터미널 컨택트의 양쪽면과 접촉 가능한 구조를 가진 컨택트 핀을 구비한 배터리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택트 핀에 삽입된 터미널 컨택트의 체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배터리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절연체 하우징; 및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설치되고, 기판 실장부와, 상기 기판 실장부로부터 연장되어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컨택트 암과, 상기 한 쌍의 컨택트 암 사이에 형성되는 터미널 컨택트의 삽입 경로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한 쌍의 컨택트 암의 후단을 서로 연결하는 커넥팅 암을 구비한 컨택트 핀;을 포함하는 배터리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컨택트 핀은 상기 한 쌍의 컨택트 암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터미널 삽입공간 쪽으로 가면서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 커넥터는 상기 컨택트 암의 바깥쪽에 배치된 한 쌍의 마운팅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마운팅 플레이트는 상기 기판 실장부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암의 일부는 상기 기판 실장부로 연장되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 상기 기판 실장부는 상기 커넥팅 암의 한쪽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터미널 컨택트의 삽입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편의 구조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컨택트 핀은 배터리 팩의 터미널 컨택트의 삽입시 상기 한 쌍의 컨택트 암이 상호 벌어졌다가 복원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기존의 1 접점 방식과는 달리 배터리 팩의 터미널 컨택트 양면에 대하여 2 접점 방식으로 접촉이 이루어짐으로써 접촉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접촉을 위한 탄성력이 터미널 컨택트의 양면에 분산되므로 접촉단자의 도금 표면이 손상되는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미널 컨택트가 적정 깊이까지만 삽입되도록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컨택트 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접속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 삽입공간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실장 구조에 의해 실장강도와 내구성, 접촉 안정성 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터리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3에서 컨택트 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배면도,
도 8은 도 6에서 컨택트 핀에 배터팩의 터미널 컨택트가 접속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내부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넥터는 이동통신단말 등에 해당하는 소정 기기에 설치되는 절연체 하우징(10)과, 절연체 하우징(10)에 일정 피치로 설치된 2 접점 구조의 컨택트 핀(C)을 포함한다.
절연체 하우징(10)에는 배터리 팩의 터미널 컨택트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터미널 삽입구(11)가 일정 피치로 형성되고, 각각의 터미널 삽입구(11) 내에는 컨택트 핀(C)이 구비된다.
도 6 및 도 7에는 컨택트 핀(C)의 상세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컨택트 핀(C)은 기판 실장부(23)와, 기판 실장부(23)에 연결되어 상호 대향하고 선단에는 접촉부(21a,21b)가 마련된 한 쌍의 컨택트 암(20a,20b)과, 한 쌍의 컨택트 암(20a,20b)의 후단을 서로 연결하는 커넥팅 암(22)과, 기판 실장부(23)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컨택트 암(20a,20b)의 바깥쪽에 배치된 한 쌍의 마운팅 플레이트(Mounting plate)(24a,24b)를 포함한다.
단일 몸체를 갖는 컨택트 핀(C)이 제공되도록 기판 실장부(23), 컨택트 암(20a,20b), 커넥팅 암(22) 및 마운팅 플레이트(24a,24b)는 소정의 탄성 도전체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기판 실장부(23)는 컨택트 핀(C)을 기기 내부의 해당 PCB에 실장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바람직하게 터미널 컨택트의 삽입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길게 연장된 바(Bar) 또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된다.
컨택트 암(20a,20b)은 터미널 컨택트의 삽입을 위한 터미널 삽입공간을 그 중간에 형성하도록 상호 대향하는 동시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컨택트 암(20a,20b)의 선단에는 한 쌍의 접촉부(21a,21b)가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하면 터미널 컨택트의 삽입 전에 한 쌍의 접촉부(21a,21b)가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고, 터미널 컨택트의 삽입에 의해 접촉부(21a,21b)가 벌어지면서 터미널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구조의 컨택트 핀(C)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접촉부(21a,21b)는 상기 터미널 삽입공간 쪽으로 가면서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터미널 컨택트와 접촉부(21a,21b) 사이에 이물질이 개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커넥팅 암(22)은 한 쌍의 컨택트 암(20a,20b)의 후단을 서로 연결한다. 커넥팅 암(22)은 터미널 컨택트의 삽입 경로를 가로지르도록 한 쌍의 컨택트 암의 후단을 서로 연결하여 실질적으로 후방을 폐쇄함으로써 컨택트 핀(C)의 후면부를 형성한다. 커넥팅 암(22)은 터미널 컨택트의 삽입에 의해 한 쌍의 컨택트 암(20a,20b)이 탄성 변형될 때 컨택트 핀(C)의 뒷부분에서 컨택트 암(2Oa,20b)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터미널 컨택트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작용을 한다.
터미널 컨택트의 삽입시 한 쌍의 컨택트 암(20a,20b)은 커넥팅 암(22)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호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었다가 복원됨으로써 터미널 컨택트와 긴밀히 접촉될 수 있다.
컨택트 핀(C)의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커넥팅 암(22)은 그 일부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기판 실장부(23)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마운팅 플레이트(24a,24b)는 양쪽 컨택트 암(20a,20b)의 바깥쪽에 각각 위치하여 절연체 하우징(10)에 조립된다. 한 쌍의 마운팅 플레이트(24a,24b)의 후단은 기판 실장부(23)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마운팅 플레이트(24a,24b)는 컨택트 핀(C)의 기판 실장시 작업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높여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대안으로, 커넥팅 암(22)의 한쪽 가장자리의 중간지점에는 또다른 기판 실장부(2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기판 실장부(25)는 터미널 컨택트의 삽입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커넥팅 암(22)으로부터 수직으로 밴딩된 돌출편 구조를 갖는다. 배터리 커넥터의 기판 실장시 상기 두가지 형태의 기판 실장부(23,25)는 실장 지점의 형태나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넥터의 작동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넥터는 컨택트 핀(C)에 구비된 한 쌍의 접촉부(21a,21b) 사이에 배터리 팩의 터미널 컨택트(1)가 삽입됨에 따라 한 쌍의 컨택트 암(20a,20b)이 벌어지면서 터미널 컨택트(1)를 수용하고, 한 쌍의 컨택트 암(20a,20b)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한 쌍의 접촉부(21a,21b)가 터미널 컨택트(1)의 양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2 접점 방식의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 쌍의 컨택트 암(20a,20b) 사이에 삽입된 터미널 컨택트(1)는 컨택트 핀(C)의 후면부를 형성하는 커넥팅 암(22)에 의해 그 삽입깊이가 제한되고, 한 쌍의 컨택트 암(20a,20b)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마운팅 플레이트(24a,24b)와 기판 실장부(23)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어 체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터미널 컨택트 10: 절연체 하우징
11: 터미널 삽입구 20a,20b: 컨택트 암
21a,21b: 접촉부 22: 커넥팅 암
23,25: 기판 실장부 24a,24b: 마운팅 플레이트
C: 컨택트 핀

Claims (8)

  1. 배터리 팩의 터미널 컨택트와 접속되는 배터리 커넥터에 있어서,
    절연체 하우징; 및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설치되고, 기판 실장부와, 상기 기판 실장부로부터 연장되어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컨택트 암과, 상기 한 쌍의 컨택트 암 사이에 형성되는 터미널 컨택트의 삽입 경로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한 쌍의 컨택트 암의 후단을 서로 연결하는 커넥팅 암을 구비한 컨택트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핀은,
    상기 한 쌍의 컨택트 암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접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터미널 삽입공간 쪽으로 가면서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암의 바깥쪽에 배치된 한 쌍의 마운팅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실장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마운팅 플레이트가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암의 일부가 상기 기판 실장부로 연장되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실장부는 상기 커넥팅 암의 한쪽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터미널 컨택트의 삽입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핀은 배터리 팩의 터미널 컨택트의 삽입시 상기 한 쌍의 컨택트 암이 상호 벌어졌다가 복원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넥터.
KR1020110001807A 2011-01-07 2011-01-07 배터리 커넥터 KR101170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807A KR101170430B1 (ko) 2011-01-07 2011-01-07 배터리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807A KR101170430B1 (ko) 2011-01-07 2011-01-07 배터리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386A KR20120080386A (ko) 2012-07-17
KR101170430B1 true KR101170430B1 (ko) 2012-08-07

Family

ID=46713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807A KR101170430B1 (ko) 2011-01-07 2011-01-07 배터리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4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9519B (zh) * 2015-03-26 2018-01-09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7732507B (zh) * 2017-09-22 2020-09-08 实盈电子(东莞)有限公司 电池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386A (ko) 2012-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093B1 (ko) 전기 커넥터
US7803011B1 (en) Battery connector
JP2020123578A (ja) コンパクト高速コネクタ
CN111527650B (zh) 印刷电路板(pcb)直接连接器
CN202308484U (zh) 一种led用的接线端子
KR102194620B1 (ko) 전자기기용 보드 접속 커넥터
JP5597418B2 (ja) 基板実装用コネクタ
US10422816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tacts thereof
US7828578B1 (en)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having two contact portions and two leaning portions extending from a base
CN104617424A (zh) 用于电源扁平电缆的连接器
KR20090010319A (ko) 유동형 커넥터
US1007944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ductive balls
KR101170430B1 (ko) 배터리 커넥터
US9711877B2 (en) Plug and connector module
US20100195302A1 (en) Flexible guiding module
US20120225594A1 (en) Pin header connector
US7837512B1 (en) Audio jack connector
KR101693024B1 (ko) 센서용 신호전달 조립체
US20200021050A1 (en) Electrical connector
CN110707454A (zh) 电连接器
TW202112015A (zh) 連接組件及其導電端子
US10819051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210111085U (zh) 电连接器组件
CN201266709Y (zh) 电连接器端子
KR101928382B1 (ko) 이형 재질 접합 구조의 접속 단자를 가진 산업용 제어기의 입출력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