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126B1 - 슬림형 오픈커버 - Google Patents

슬림형 오픈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126B1
KR101170126B1 KR1020100043170A KR20100043170A KR101170126B1 KR 101170126 B1 KR101170126 B1 KR 101170126B1 KR 1020100043170 A KR1020100043170 A KR 1020100043170A KR 20100043170 A KR20100043170 A KR 20100043170A KR 101170126 B1 KR101170126 B1 KR 101170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slim
seating groove
decorative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3605A (ko
Inventor
이용춘
이근기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에스피아이피
이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에스피아이피, 이누리 filed Critical (주)케이에스피아이피
Priority to KR1020100043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126B1/ko
Publication of KR20110123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림형 오픈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려하고 슬림한 외관을 위하여 도색 또는 도금이 용이한 합성수지제 장식플레이트와 이와 배면측에서 밀착되어 강성을 보조하기 위하여 함께 결합되는 보강플레이트로 이루어져 흠집이 잘 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색상과 슬림한 형태로 제조 가능하며 동시에 제조단가가 낮아 생산성이 높은 슬림형 오픈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냉온수의 공급 및 분기를 위한 냉온수배관을 구비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전면에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오픈커버에 있어서, 원호형상 또는 다각형상으로 본체가 형성되되 도색 및 도금이 용이하도록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수전결합구통공(111)이 형성되며 가장자리로부터 소정간격 내측으로 이격되어 본체 중앙에 중심을 갖는 가상원을 따라 장방형의 고정공(113)이 다수 이격되어 형성되는 판형의 장식플레이트(110)와; 상기 장식플레이트(110)의 강성을 보조하도록 배면에 밀착되어 함께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전면에 결합되는 금속제 보강플레이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장식플레이트의 두께가 슬림하게 형성될 수 있는 슬림형 오픈커버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슬림형 오픈커버{Slim type decorative cover plate}
본 발명은 슬림형 오픈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려하고 슬림한 외관을 위하여 도색 또는 도금이 용이한 합성수지제 장식플레이트와 이와 배면측에서 밀착되어 강성을 보조하기 위하여 함께 결합되는 보강플레이트로 이루어져 흠집이 잘 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색상과 슬림한 형태로 제조 가능하며 동시에 제조단가가 낮아 생산성이 높은 슬림형 오픈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오피스텔, 호텔 등의 주거 공간을 신축이나 증축하는 경우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냉온수연질관은 싱크대 하부, 붙박이장, 드레스룸 등에 설치되어 있는 난방수 분배기를 통하여 각 방 및 거실 등 난방이 필요한 각수요처로 난방수를 보내고, 또한 냉온수분배기를 통하여 냉온수공급측으로부터 냉온수를 공급받아 냉온수 분배기로 유도되고, 상기 분배기로부터 화장실이나 욕실, 보일러실, 다용도실, 세탁실, 보조주방 등의 각 수요처로 보내져 냉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냉온수 분배기로부터 각 수요처로 이송되는 냉온수 배관을 살펴보면, 외면이 굴곡진 보호용 주름관(자바라 형상의 연질관, Corrugated duct)의 내부에 냉온수 유로용 연질관이 끼워진 이중관 구조로 방바닥이나 거실, 주방바닥을 통과해 화장실이나 욕실, 세탁실, 다용도실을 향하고, 각 수요처에 설치된 각각의 수전함으로부터 연결구를 결속하여 욕조, 세면대, 변기 등에 각 수전금구를 배설하여 냉온수를 공급하게 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렇게 각 수요처에 내설되는 수전함의 전면에 유지보수를 위하여 개폐가 용이하도록,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489440호 "벽체 매립형 수전함"에서 콘크리트 타설시 수전함과 함께 매설되는 속커버(2)의 전면에 결합되어 속커버(2)의 중앙에 형성되는 보수용 구멍(3)을 개폐가능하게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오픈판(1)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오픈판(1)은 벽체의 마감재와 함께 사용자에게 노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외측 표면이 미려할 필요가 있어, 오픈판(1)의 재질은 주로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이 많이 사용되는데 스테인리스 스틸로 된 오픈판(1)의 경우 도색 및 도금이 잘 되지 않아 마감재에 따른 다양한 색상을 적용할 수 없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제 오픈판(1)은 외측 표면이 스크래치에 약하여 흠집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과, 이로 인한 가공성이 좋지 않아 레이저로 가공하게 되는데 레이저로 가공시 레이저 가공 흔적이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오픈판(1)의 원호형의 좌,우 상부에 형성되는 타원형의 슬롯(4,4')이 형성되고 이에 미관을 위해 끼워 마무리하기 위한 마무리캡(5)이 있는데, 이는 슬롯(4,4')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끼움시 완전삽입되어 유지보수를 위하여 오픈판(1)의 개방시 슬롯(4,4')으로부터 마무리캡(5)을 이탈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마무리캡(5)이 훼손되어 재사용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후, 재질을 반투명의 고무재를 이용하여 이탈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였으나 이 또한 이탈시 휘어지고 눌려지면서 훼손되어 재사용이 불가하게 되는 문제점은 동일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등장한 것이 합성수지제 오픈커버인데 합성수지제 오픈커버는 도색 및 도금이 용이하고 원가가 저렴하며 얇게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얇게 제작하였을 때엔 강성이 약하여 쉽게 휘어지거나 부러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금속재 수전결합구(20)와 결합시 수전결합구(20)가 회전하게 되면 수전결합구(20)와 닿는 합성수지제 오픈커버의 부분이 뭉개지거나 패여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어 합성수지제 오픈커버의 사용이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미려하고 슬림한 외관을 위하여 도색 또는 도금이 용이한 합성수지제 장식플레이트와 이와 배면측에서 밀착되어 강성을 보조하기 위하여 함께 결합되는 보강플레이트로 이루어져 흠집이 잘 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색상과 슬림한 형태로 제조 가능하며 동시에 제조단가가 낮아 생산성이 높은 슬림형 오픈커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온수의 공급 및 분기를 위한 냉온수배관을 구비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전면에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오픈커버에 있어서, 원호형상 또는 다각형상으로 본체가 형성되되 도색 및 도금이 용이하도록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수전결합구통공(111)이 형성되며 가장자리로부터 소정간격 내측으로 이격되어 본체 중앙에 중심을 갖는 가상원을 따라 장방형의 고정공(113)이 다수 이격되어 형성되는 판형의 장식플레이트(110)와; 상기 장식플레이트(110)의 강성을 보조하도록 배면에 밀착되어 함께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전면에 결합되는 금속제 보강플레이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장식플레이트의 두께가 슬림하게 형성될 수 있는 슬림형 오픈커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슬림형 오픈커버에 있어서, 상기 장식플레이트(110)는 전방에서 볼 때 상기 수전결합구통공(111)의 둘레를 따라 소정 폭으로 오목하게 수전결합구안착홈(112)이 형성되며; 상기 수전결합구통공(111)에 삽입되어 수전(50)과 결합되는 수전결합구(20)가 상기 수전결합구안착홈(112)에 안착되어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수전결합구(20)의 전면부가 수전결합구안착홈(112)에 대응되는 모양의 플렌지부(21);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림형 오픈커버에 있어서, 상기 수전결합구(20)의 플렌지부(21)는 외주연을 따라 하나 이상의 절단된 직선부(211)를 형성하고; 상기 수전결합구(20)의 플렌지부(21)가 수전결합구안착홈(112)에 안착시 회전되거나 움직이지 않고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수전결합구안착홈(112)은 상기 수전결합구(20)의 직선부(211)에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부(112a);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림형 오픈커버에 있어서, 상기 장식플레이트(110)와 보강플레이트(120)의 결합시 회전을 방지하고 보다 밀착되도록 상기 장식플레이트(110)는 배면에 보강플레이트(120)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안착부(11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림형 오픈커버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수전결합구(20)가 합성수지제 장식플레이트(110)의 수전결합구안착홈(112) 내에서 회전으로 인한 수전결합구안착홈(112)의 뭉개짐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전결합구안착홈(112)은 수전결합구통공(111)으로부터 수전결합구안착홈(112)의 외주연까지 절개되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112b)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120)는 절개부(112b)에 상응되는 위치를 절개 및 절첩하여 상기 절개부(112b)를 통하여 전방으로 절첩되는 절첩부(121)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플레이트(120)의 절첩부(121)가 절첩시 수전결합구(20)와 걸림되어 고정수단과 나사결합시 회전을 방지하고 절첩공간을 마련하도록 상기 수전결합구(20)의 플렌지부(21)는 상기 수전결합구안착홈(112)의 절개부(112b)와 대응되는 절개홈(2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림형 오픈커버에 있어서, 상기 장식플레이트(110)는 전방에서 볼 때 상기 장방형 고정공(113)의 둘레를 따라 소정 폭으로 오목하게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마개안착홈(114)이 형성되고; 상기 마개안착홈(114)의 내경과 대응되는 모양의 외경을 갖는 삽입부(62)와 상기 삽입부(62)의 전면에 마개안착홈(114)을 밀폐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마개안착홈(114)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마개안착홈(114)에 걸림되는 전면부(61)로 이루어지는 덮개(60)를 형성하되, 상기 덮개(60)는 손톱 또는 물체를 삽입하여 걸림되어 이탈이 용이하도록 상기 전면부(61)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홈부(611)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림형 오픈커버에 있어서, 상기 보강플레이트(120)는 장식플레이트(110)의 사출시 미리 삽입되어 제조되는 인서트사출(insert injection molding)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미려하고 슬림한 외관을 위하여 도색 또는 도금이 용이한 합성수지제 장식플레이트와 이와 배면측에서 밀착되어 강성을 보조하기 위하여 함께 결합되는 보강플레이트로 이루어져 흠집이 잘 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색상과 슬림한 형태로 제조 가능하며 동시에 제조단가가 낮아 생산성이 높은 슬림형 오픈커버를 제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489440호의 대표도
도 2 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의 결합과정을 보이는 측단면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하며,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1)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픈커버(10)는 장식플레이트(110)와 보강플레이트(120)와 덮개(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식플레이트(110)는 다각형상 중 직사각 모양이되 소정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본체가 형성되되 도색 및 도금이 용이하도록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2개의 수전결합구통공(111)이 형성되며 가장자리로부터 소정간격 내측으로 이격되어 본체 중앙에 중심을 갖는 가상원을 따라 장방형의 고정공(113) 4개를 이격하여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장식플레이트(110)는 크롬도금을 함으로써 스테인리스 스틸과는 또 다른 고급스러운 심미감을 제공한다.
상기 장식플레이트(110)는 전방에서 볼 때, 상기 수전결합구통공(111)의 둘레를 따라 소정 폭으로 오목하게 원형의 수전결합구안착홈(112)을 형성하고, 상기 수전결합구통공(111)에 삽입되어 수전(50)과 결합되는 수전결합구(20)가 상기 수전결합구안착홈(112)에 안착되어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수전결합구(20)의 전면부가 수전결합구안착홈(112)에 대응되는 모양의 플렌지부(21)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보강플레이트(120)는 상기 장식플레이트(110)의 강성을 보조하도록 배면에 밀착되어 함께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전면에 고정수단(80)을 이용하여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플레이트(120)의 재질은 녹발생의 방지를 위하여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제조하였으나, 이와 유사한 강성을 갖는 다른 재질로의 대체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수전결합구(20)는 그 플렌지부(21)에 외주연을 따라 상부 및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절단된 직선부(211)를 형성하고, 상기 수전결합구안착홈(112)은 상기 수전결합구(20)의 직선부(211)에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부(112a)를 형성하여, 상기 수전결합구(20)의 플렌지부(21)가 수전결합구안착홈(112)에 안착시 회전되거나 움직이지 않고 삽입만으로도 위치고정되게 된다. 상기 수전결합구(20)는 배면에서 고정구(2)를 이용하여 밀착되도록 나사결합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상기 장식플레이트(110)는 배면에 보강플레이트(120)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안착부(115)가 형성하여, 장식플레이트(110)와 보강플레이트(120)의 결합시 회전을 방지하고 보다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장식플레이트(110)의 수전결합구안착홈(112)은 수전결합구통공(111)으로부터 좌우측으로 수전결합구안착홈(112)의 외주연까지 절개되는 절개부(112b)를 형성하고, 상기 수전결합구(20)와의 결합시 회전을 방지하고 보다 밀착되도록 상기 절개부(112b)에 상응되는 위치의 보강플레이트(120)를 절개 및 절첩하여 상기 절개부(112b)를 통하여 전방으로 절첩되는 절첩부(121)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보강플레이트(120)의 절첩부(121)가 장식플레이트(110)의 절개부(112b)를 통하여 절곡되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음으로 수전결합구(20)의 플렌지부(21)와 간섭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수전결합구(20)의 플렌지부(21)는 상기 수전결합구안착홈(112)의 절개부(112b)와 대응되는 절개홈(212)을 형성하여 보강플레이트(120)의 절첩부(121)가 절곡되어 수전결합구(20)의 절개홈(212)에 삽입되어 걸림됨으로써 수전결합구(20)의 회전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금속제 수전결합구(20)가 금속제 보강플레이트(120)와 걸림됨으로써 회전되지 않아 합성수지로 제작된 장식플레이트(1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수전결합구(20)가 회전된다면, 수전결합구(20)에 의해서 장식플레이트(110)의 걸림부(112a)는 그냥 뭉개지면서 파손될 것이다.
또한, 상기 장식플레이트(110)는 전방에서 볼 때 상기 장방형 고정공(113)의 둘레를 따라 소정 폭으로 오목하게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마개안착홈(114)을 형성하고, 상기 마개안착홈(114)의 내경과 대응되는 모양의 외경을 갖는 삽입부(62)와 상기 삽입부(62)의 전면에 마개안착홈(114)을 밀폐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마개안착홈(114)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마개안착홈(114)에 걸림되는 전면부(61)로 이루어지는 덮개(60)를 형성하되, 상기 덮개(60)는 손톱 또는 물체를 삽입하여 걸림되어 이탈이 용이하도록 상기 전면부(61)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홈부(611)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보강플레이트(120)는 장식플레이트(110)의 사출시 미리 금형에 삽입되어 사출하여 제조되는 인서트사출(insert injection molding) 방식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슬림형 오픈커버(10)를 조립 및 설치하는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장식판플레이트(110)의 배면측에 형성된 보강플레이트(120) 안착부(115)에 보강플레이트(120)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보강플레이트(120)는 장식플레이트(110)의 사출전에 미리 금형에 삽입되어 사출시 함께 사출함으로써 일체형으로 제조(인서트 사출)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일체형을 제조된 경우에는 상기 과정이 생략된다.
다음, 상기 장식플레이트(110)의 전방에서 수전결합구(20)를 삽입하되 수전결합구(20)의 플렌지부(21)가 장식플레이트(110)의 수전결합구안착홈(112)에 안착된다. 이 때 수전결합구(20)의 플렌지부(21)에 형성된 직선부(211)가 장식플레이트(110)의 걸림부(112a)에 안착되면서 걸림되어 회전이 발생되지 않도록 위치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보강플레이트(120)의 절첩부(121)를 전방으로 절첩하여 장식플레이트(110)의 절개부(112b)를 통과하여 플렌지부(21)의 절개홈(212)에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절개홈(212)과 걸림되는 절첩부(121)에 의해 수전결합구(20)는 고정수단과 나사결합시 2차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위치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절첩부(121)에 의해서 수전결합구(20)의 회전이 방지되는 힘이 더 강하며, 상기 금속제인 수전결합구(20)의 회전으로 인한 합성수지제인 장식플레이트(110)의 뭉개짐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장식플레이트(110)를 합성수지제로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특징이 된다.
다음, 상기 수전결합구(20)가 삽입된 보강플레이트(120)의 배면측에서 내측에 암나사부(91)가 형성되고 외주면은 육각면을 형성하는 고정구(2)를 이용하여 수전결합구(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22)와 나사결합하여 고정시킨다.
다음, 벽체에 매립된 속커버(도시없음, 또는 수전함의 전면)의 전면에 장식플레이트(110)와 보강플레이트(120)가 결합된 본 발명의 오픈커버(10)를 결합시킨다. 이 때, 장식플레이트(110)의 전면에 다수 형성된 장방형의 고정공(113)을 통하여 고정수단(80)을 삽입시켜 고정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고정수단(80)에 의하여 속커버(70)의 전면(또는 수전함의 전면)에 고정된 오픈커버(10)의 장방형 고정공(113)에 덮개(60)를 삽입하여 고정공(113) 및 마개안착홈(114)을 덮어 외관이 미려하게 마감한다.
이후, 유지보수 필요시 상기 오픈커버(10)의 덮개(60)를 제거한다. 상기 덮개(60)의 전면부(61)의 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된 홈부(611)에 손톱을 넣어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용이하게 이탈된다.
다음, 상기 덮개(60)가 제거된 마개안착홈(114)에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고정수단(80)을 모두 풀어 제거한다.
다음, 상기 오픈커버(10)를 전방으로 당겨 유지보수를 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오픈커버 110: 장식플레이트
111: 수전결합구통공 112: 수전결합구안착홈
112a: 걸림부 112b: 절개부
113: 장방형 고정공 114; 마개안착홈
115: 안착부 120: 보강플레이트
121: 절첩부 20: 수전결합구 21: 플렌지부
211: 직선부 212: 절개홈 22: 숫나사부
50: 수전 60: 덮개 61: 전면부
611: 홈부 62: 삽입부 80: 고정수단
90: 고정구 91: 암나사부

Claims (7)

  1. 냉온수의 공급 및 분기를 위한 냉온수배관을 구비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전면에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오픈커버에 있어서,
    원호형상 또는 다각형상으로 본체가 형성되되 도색 및 도금이 용이하도록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수전결합구통공(111)이 형성되며 가장자리로부터 소정간격 내측으로 이격되어 본체 중앙에 중심을 갖는 가상원을 따라 장방형의 고정공(113)이 다수 이격되어 형성되는 판형의 장식플레이트(110)와;
    상기 장식플레이트(110)의 강성을 보조하도록 배면에 밀착되어 함께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전면에 결합되는 금속제 보강플레이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장식플레이트의 두께가 슬림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오픈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플레이트(110)는 전방에서 볼 때 상기 수전결합구통공(111)의 둘레를 따라 소정 폭으로 오목하게 수전결합구안착홈(112)이 형성되며;
    상기 수전결합구통공(111)에 삽입되어 수전(50)과 결합되는 수전결합구(20)가 상기 수전결합구안착홈(112)에 안착되어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수전결합구(20)의 전면부가 수전결합구안착홈(112)에 대응되는 모양의 플렌지부(21);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오픈커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결합구(20)의 플렌지부(21)는 외주연을 따라 하나 이상의 절단된 직선부(211)를 형성하고;
    상기 수전결합구(20)의 플렌지부(21)가 수전결합구안착홈(112)에 안착시 회전되거나 움직이지 않고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수전결합구안착홈(112)은 상기 수전결합구(20)의 직선부(211)에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부(112a);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오픈커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플레이트(110)와 보강플레이트(120)의 결합시 이동 및 회전을 방지하고 보다 밀착되도록 상기 장식플레이트(110)는 배면에 보강플레이트(120)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안착부(11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오픈커버.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수전결합구(20)가 합성수지제 장식플레이트(110)의 수전결합구안착홈(112) 내에서 회전으로 인한 수전결합구안착홈(112)의 뭉개짐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전결합구안착홈(112)은 수전결합구통공(111)으로부터 수전결합구안착홈(112)의 외주연까지 절개되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112b)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120)는 절개부(112b)에 상응되는 위치를 절개 및 절첩하여 상기 절개부(112b)를 통하여 전방으로 절첩되는 절첩부(121)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플레이트(120)의 절첩부(121)가 절첩시 수전결합구(20)와 걸림되어 고정수단과 나사결합시 회전을 방지하고 절첩공간을 마련하도록 상기 수전결합구(20)의 플렌지부(21)는 상기 수전결합구안착홈(112)의 절개부(112b)와 대응되는 절개홈(2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오픈커버.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플레이트(110)는 전방에서 볼 때 상기 장방형 고정공(113)의 둘레를 따라 소정 폭으로 오목하게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마개안착홈(114)이 형성되고;
    상기 마개안착홈(114)의 내경과 대응되는 모양의 외경을 갖는 삽입부(62)와 상기 삽입부(62)의 전면에 마개안착홈(114)을 밀폐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마개안착홈(114)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마개안착홈(114)에 걸림되는 전면부(61)로 이루어지는 덮개(60)를 형성하되,
    상기 덮개(60)는 공구를 삽입하여 걸림되어 이탈이 용이하도록 상기 전면부(61)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홈부(611)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오픈커버.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플레이트(120)는 장식플레이트(110)의 사출시 미리 삽입되어 제조되는 인서트사출(insert injection molding)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오픈커버.
KR1020100043170A 2010-05-07 2010-05-07 슬림형 오픈커버 KR101170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170A KR101170126B1 (ko) 2010-05-07 2010-05-07 슬림형 오픈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170A KR101170126B1 (ko) 2010-05-07 2010-05-07 슬림형 오픈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605A KR20110123605A (ko) 2011-11-15
KR101170126B1 true KR101170126B1 (ko) 2012-08-06

Family

ID=45393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170A KR101170126B1 (ko) 2010-05-07 2010-05-07 슬림형 오픈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1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745B1 (ko) * 2014-05-21 2014-11-05 정종필 테이블 프레임 및 그 조립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25033B2 (ja) * 2019-06-07 2023-02-20 Sanei株式会社 水栓取付構造
CN214008218U (zh) * 2020-09-02 2021-08-20 福建西河卫浴科技有限公司 一种水龙头及其装饰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717Y1 (ko) 2002-10-14 2003-01-24 이병무 수도미터기함의 뚜껑
KR100483997B1 (ko) 2002-07-03 2005-04-18 이운선 수도미터기 보호통 뚜껑의 제조방법
KR100489440B1 (ko) 2002-11-19 2005-05-17 주식회사 피아이피 벽체 매립형 수전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997B1 (ko) 2002-07-03 2005-04-18 이운선 수도미터기 보호통 뚜껑의 제조방법
KR200301717Y1 (ko) 2002-10-14 2003-01-24 이병무 수도미터기함의 뚜껑
KR100489440B1 (ko) 2002-11-19 2005-05-17 주식회사 피아이피 벽체 매립형 수전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745B1 (ko) * 2014-05-21 2014-11-05 정종필 테이블 프레임 및 그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605A (ko) 201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440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US7204267B1 (en) Modular rough-in plumbing accessary
US4158471A (en) Washing machine outlet box
US20090145493A1 (en) Built-in wall water service box
US7409968B2 (en) Faucet with a water outlet controlled by a central pull stick
US8769736B2 (en) Device for concealing a plate associated with overflow plumbing
KR101170126B1 (ko) 슬림형 오픈커버
US10125479B2 (en) P-trap plumbing connection and a method of installing a P-trap plumbing connection
CN103031875A (zh) 具有推拉手柄组件的凹陷的安装于墙壁上的出水口箱
KR100860555B1 (ko) 냉온수 다분기 연결수단 및 이를 이용한 냉온수 배관시스템
KR101116305B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개선된 냉온수배관 연결구조 및 냉온수배관용 연장
KR100960710B1 (ko)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및체결구조 시스템
KR20070001162U (ko) 조절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속부재를 갖는 냉, 온수혼합수도전
KR101105787B1 (ko) 설치위치 변경이 용이한 비매립형 분배기
KR200304846Y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CN102797366A (zh) 浴室系统模块
CN216075359U (zh) 一种暗装式龙头预埋件保护结构
KR20120134819A (ko) 혼합수전 체결장치
JPH0340942Y2 (ko)
KR20090009360U (ko) 벽체매립형 냉,온수분배기
KR20110004401U (ko) 욕실용 악세사리가 형성된 수전
KR200286526Y1 (ko) 벽면설치용 수도밸브의 연결 어댑터
US20170227144A1 (en) Decorative escutcheons and flanges
CN204940431U (zh) 一体式快装重锤
KR20050111536A (ko) 벽체 부착형 보일러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