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9158B1 -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9158B1
KR101169158B1 KR1020100089805A KR20100089805A KR101169158B1 KR 101169158 B1 KR101169158 B1 KR 101169158B1 KR 1020100089805 A KR1020100089805 A KR 1020100089805A KR 20100089805 A KR20100089805 A KR 20100089805A KR 101169158 B1 KR101169158 B1 KR 101169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agricultural work
main body
exten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9100A (ko
Inventor
박진우
박동호
Original Assignee
박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우 filed Critical 박진우
Publication of KR20110029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4Se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3/00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 A01B13/02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for making or working ridges, e.g. with symmetrically arranged mouldboards, e.g. ridging ploug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2Ridge-marking or like devices; Checkrow wire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다수의 작업자들이 편하게 앉아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피로를 줄이고, 효율을 향상시키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가 개시된다. 작업 보조장치는, 작업 대상이 되는 밭의 고랑을 따라 이동 가능한 형태를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에 작업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된 다수의 좌석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연결시키는 링크부 및 상기 좌석부 사이 사이에서 상기 밭의 이랑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랑의 흙을 돋우는 흙 돋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ASSISTING APPARATUS FOR WORKING POSTURE FOR AGRICULTURE}
본 발명은 고구마 순 등의 종묘, 육묘 등을 밭에 심는 작업과 같은 농사 작업 등에서 작업자가 일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구마는 과거 구황식품으로 흉년이 들 경우 주식을 대체하는 용도로 널리 재배되었으나, 쌀의 자급자족 이후 그 효용성이 감소하였다가 최근 건강자연식품으로 다시 소비가 급격히 늘고 있다.
고구마의 재배방법은 크게 고구마의 종구를 이용하여 육묘(고구마 순)를 기르는 과정과, 육묘에서 성장한 일정 크기 이상의 고구마 순을 채취하여 고구마를 재배하기 위한 밭에 삽식하여 재배하는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고구마 순은 삽식 후 생존률 및 생장률을 고려하여 마디가 7, 8 마디(약 20~30cm)가 되도록 절단한 순을 사용한다.
한편, 고구마 순을 삽식하는 작업은 작업자들이 일일이 고구마 순을 하나씩 흙에 적당한 각도로 삽입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우며 시간과 인력 및 인건비 등의 비용을 많이 필요로 한다. 특히, 고구마 순을 삽식 작업은 작업자들이 밭에 쪼그리고 앉아서 이동하면서 작업을 하므로, 자세가 불편하여 일정 시간 작업을 지속하는 것이 어렵고, 작업 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농사 작업 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는, 작업 대상이 되는 밭의 고랑을 따라 이동 가능한 형태를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에 작업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된 다수의 좌석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연결시키는 링크부 및 상기 좌석부 사이 사이에서 상기 밭의 이랑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랑의 흙을 돋우는 흙 돋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고랑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 다수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다수의 메인 프레임을 연결 및 지지하는 프론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에서 상기 다수의 메인 프레임을 연결 및 지지하는 리어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석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고랑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파이프 형태를 갖고, 다수의 작업자가 나란히 앉아서 작업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메인 프레임이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흙 돋움부는, 상기 본체부가 이동함에 따라 구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바퀴부, 상기 바퀴부를 지지하는 다수의 회전축 및 상기 다수의 회전축을 각각 상기 리어 프레임에 연결시키는 회전축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퀴부는 상기 각 이랑의 양측에서 흙을 돋울 수 있도록 각 이랑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바퀴가 서로 대응되어 작동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바퀴부는 상기 이랑에 대해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수렴되도록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의 이동 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갈수록 수렴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흙 돋움부는 상기 본체부의 이동시 상기 바퀴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바퀴부 지지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흙 돋움부의 후방에는 흙 받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흙 받이부는 상기 바퀴부에서 후방 및 상기 이랑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바퀴부에서 수렴되는 흙을 수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프론트 프레임 일측에는 상기 본체부의 이동시 상기 이랑에 골을 내기 위한 호미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메인 프레임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이동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작업 대상물을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프레임 상부에는 작업대가 구비되고, 상기 작업대는 다수의 작업자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프레임을 따라 연속된 선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좌석부는 회전 및 상기 메인 프레임과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각 메인 프레임 상에는 상기 좌석부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축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좌석부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각 메인 프레임마다 다수의 지지축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 일측에는 상기 좌석부에 앉은 작업자의 발을 거치하기 위한 발 거치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는, 밭의 고랑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형태를 갖는 본체부, 작업자가 앉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 상에 구비된 다수의 좌석부, 상기 본체부와 구동장치를 연결시키는 구동장치 링크부, 상기 밭의 이랑에 대응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랑의 흙을 돋우기 위한 흙 돋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메인유닛 및 상기 메인유닛과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구비되며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작업자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연장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연장유닛은 상기 메인유닛과 동일하거나 적은 수의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장유닛은 상기 메인유닛에 대해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유닛의 측부에 힌지 결합된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유닛과 상기 연장유닛을 연결 및 지지하는 연장유닛 링크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유닛 링크부는 상기 구동장치 링크부에서 상기 연장유닛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메인유닛 또는 상기 연장유닛 측부에는 상기 연장유닛의 착탈을 위한 착탈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유닛은 상기 메인유닛의 측부에서 슬라이드 체결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연장유닛의 고정을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유닛은 다수의 연장유닛이 상기 메인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하여 장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유닛은 본체부 하부에 상기 연장유닛이 상기 메인유닛과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보조 이동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작업자가 좌석부에 편하게 앉은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피로를 낮추고 장시간 작업 시에도 피로도가 낮아 효과적이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효율 향상으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필요한 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작업자가 동시에 탑승 가능하게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연장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필요한 수의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부피를 줄일 수 있어서 보관 및 이동 시 부피를 줄이고, 보관에 필요한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유지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가 사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작업 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작업 보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작업 보조장치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작업 보조장치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흙 돋움부를 설명하기 위한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의 요부 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보조장치(100)가 사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작업 보조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작업 보조장치(100)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작업 보조장치(100)의 요부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작업 보조장치(100)의 요부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흙 돋움부(140)를 설명하기 위한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100)의 요부 후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작업 보조장치(100)는 작업자들이 앉아서 작업할 수 있도록 다수의 좌석부(130)가 구비되고 밭의 고랑(22)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형태를 갖는 본체부(110)와 작업 보조장치(100)의 이동을 위한 구동장치(10)와 연결을 위한 구동장치 링크부(150)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조장치(10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방향을 정의한다. 즉, 구동장치(10)에 의해 보조장치(100)가 이동하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 하고, 보조장치(100)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 즉, 본체부(110)가 배치된 방향을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이라 한다.
또한, 구동장치(10)는 통상의 트랙터 등의 농사용 장치로써, 구동장치(10)의 상세한 기술 구성은 공지의 기술로부터 이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
작업 보조장치(100)는 작업자들이 작업 보조장치(100)에 탑승한 상태에서 구동장치(10)에 의해 작업 대상이 되는 밭(20)에서 고랑(22) 또는 이랑(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작업 보조장치(100)는 작업자가 탑승한 좌석부(130)는 고랑(22)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작업자들이 좌석부(130)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작업자의 측부에 이랑(21)이 위치하므로, 작업자들은 좌석부(130)에 편하게 앉은 상태에서 구동장치(10)에 의해 이동하는 속도에 따라 적절하게 작업 대상이 되는 파종이나 삽식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보조장치(100)는 고구마 순을 삽식하는 작업 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들은 좌석부(130)에 앉아서 본체부(110) 사이에 위치한 일측 또는 양측 이랑(21)에 고구마 순을 삽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고구마 순을 삽식하는 작업에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 보조장치(100)는 작업자들이 앉아서 작업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작업 보조장치(100)는 전방에는 구동장치 링크부(150)가 구비되어서 구동장치(1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다수의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할 수 있도록 일렬로 나란하게 다수의 좌석부(130)가 구비된다.
링크부(150)는 구동장치(10)와 연결되는 메인 링크(151)와 구동장치(10) 및 본체부(110)를 지지하는 지지 링크(152, 15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링크(151)는 구동장치(10)와 연결되는 바 형태를 가지며, 구동장치(10)의 이동 및 작업 보조장치(10)의 이동과 지면의 굴곡 등에 대응할 수 있도록 힌지 링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링크(152, 153)은 본체부(110)에서 상부로 소정 높이 돌출되어 구동장치(10)의 연결부와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며 구동장치(10)에 의해 이동 시 작업 보조장치(110)의 양쪽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작업 보조장치(100)의 중앙에 형성되며 양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지지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10)는 밭(20)의 고랑(22) 또는 이랑(2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형태를 갖는다. 또한, 본체부(110)는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중공의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이동이 용이하도록 단면이 원형 또는 밭(20)에 접촉되면 저면 둥근 형상을 갖는 파이프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부(110)는 원형 파이프 이외에도 사각 파이프나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10)는 밭(20)의 고랑(2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대략 직선 형태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메인 프레임(111)이 상기 고랑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다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111)의 전방 및 후방에서 메인 프레임(111)을 연결하고 지지하는 프론트 프레임(112)과 리어 프레임(11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의 견고함을 높이기 위해서 프론트 프레임 및 리어 프레임(113)의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부(110)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 및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들(111, 112, 113) 이외에도 실질적으로 다양한 구조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1) 상에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각 메인 프레임(111) 상에 각각 하나의 좌석부(130)가 배치된다. 좌석부(130)는 메인 프레임(111) 상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전방을 향하도록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111) 일측에는 좌석부(130)에 앉은 작업자가 발을 거치할 수 있도록 발 거치대(135)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작업자는 작업 보조장치(100)에서 전방이 아닌 측부의 이랑(21)에서 작업을 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자세를 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좌석부(130)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11)의 일측에는 상부로 소정 길이 돌출된 지지축(132)이 구비되고, 좌석부(130)는 하부에 상기 지지축(132)에 끼워지도록 돌출 형성된 결합축(131)이 구비되어 있어서, 결합축(131)과 지지축(132)이 서로 삽입 결합되면 좌석부(1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 지지된다.
또한, 작업자의 키나 몸집에 맞게 좌석부(1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축(132)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좌석부(130)를 분리하여 적절한 위치의 지지축(132)에 좌석부(130)를 결합시킴으로써 좌석부(130)의 위치를 메인 프레임(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2개의 지지축(132)이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축(132)의 수와 위치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흙 돋움부(140)는 작업 보조장치(100)가 이동함에 따라 이랑(21)의 흙을 돋울 수 있도록 이랑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좌석부(130) 사이 사이에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흙 돋움부(140)는 이랑(21)의 양측에서 흙을 돋울 수 있도록 구비된 한 쌍의 바퀴부(141)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퀴부(141)는 각 이랑(21)의 양측에서 흙을 돋울 수 있도록 한 쌍의 바퀴부(141) 사이에 이랑(21)이 위치하도록 한 쌍의 바퀴부(141)가 서로 대향되어 구비된다. 또한, 바퀴부(141)는 이동함에 따라 이랑(21)의 양측에서 흙을 돋울 수 있도록 상기 이랑(21)에 대해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수렴되도록 경사지게 구비되고, 본체부(110)의 이동 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갈수록 수렴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흙 돋움부(140)는 바퀴부(141)를 경사진 상태로 결합시키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142)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142)을 본체부(110)에 결합시키는 회전축 지지부(14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작업 보조장치(100)는 이동시 노면의 장애물이나 밭(20) 자체의 굴곡 등으로 인해 본체부(110) 및 흙 돋움부(140)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는데, 흙 돋움부(140)는 이와 같이 가해지는 충격에서 바퀴부(141)를 보호하고 에 가해지는 충격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바퀴부 지지 스프링(145)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흙 돋움부(140)의 후방에는 바퀴부(141)에서 돋우어지는 흙을 후방에서 수렴하여 주고, 흙이 후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흙 받이부(144)가 구비될 수 있다. 흙 받이부(144)는 바퀴부(141)의 후방 및 상기 이랑(21)의 상부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흙 받이부(144)는 흙의 비산 방지 및 바퀴부(141)에서 돋우어지는 흙을 수렴할 수 있는 형태라면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흙 받이부(144)는 이랑(21)의 높이를 비교적 평탄화 시키는 작용도 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10)의 전방에는 작업 보조장치(100)가 이동 시 이랑(21)에 골을 낼 수 있도록 호미부(121)가 구비될 수 있다. 호미부(121)는 이랑(21)에서 고구마 순을 삽식하기 위한 위치에 구비되며, 이랑(21)의 상부 중앙을 지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호미부(121)가 구비됨으로써, 고구마 순을 삽식하기 위한 위치에 미리 골이 생기게 되므로 삽식 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호미부(121)는 필요에 따라 장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호미부(121)는 필요에 따라 호미부(121)의 위치, 즉, 상기 호미부(121)가 이랑(21)과 접촉되는 높이 및 골을 내기 위해서 호미부(121)의 깊이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호미부(121)에는 통상의 호미 이외에도 실질적으로 다양한 도구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호미부(121)에도 흙 돋움부(140)와 같이, 충격에서 보호하고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호미부 지지 스프링부(123)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작업 보조장치(100)는 작업 대상물을 거치할 수 있도록 작업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작업대(120)는 좌석부(130)에 앉은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대(120)에 작업 대상물을 거치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고, 작업대(120)는 그 하부로 이랑(21)이 지나갈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111)에서 소정 높이 상부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메인 프레임(111)은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완만한 'U'자 형태를 갖고, 메인 프레임(111)의 상부에는 작업대(1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작업대(120)는 다수의 작업자들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작업 보조장치(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단일 개체로 형성되어 다수의 메인 프레임(111)을 하나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대(120)는 작업 대상물이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소정 폭을 갖고 상면이 평편한 선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작업대(120)에 거치된 작업 대상물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작업대(120)는 작업자를 향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작업대(120)는 작업 보조장치(1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전방 및 후방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메인 프레임(111)이 고랑(2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메인 프레임(111) 하부에 작업 보조장치(100)의 이동을 위한 별도의 이동유닛(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레임(111) 하부 또는 본체부(110) 일측에 롤러나 휠 또는 레일 등의 이동을 보조할 수 있는 이동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5명이 동시에 작업할 수 있도록 5개의 좌석부(130)가 구비된 작업 보조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석부(130)의 수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 및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더 많은 수의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할 수 있도록 작업자의 수에 따라 작업 보조장치(100)에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연장유닛(102)을 구비하는 작업 보조장치(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200)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구동장치(10)와 연결되는 부분을 '메인유닛(101)'이라 하고 메인유닛(101)의 양측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부분을 '연장유닛(102)'이라 한다. 또한, 메인유닛(101)의 구성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메인 유닛(101)에 대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사용하고, 연장유닛(102)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200번대의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연장유닛(102)에서도 메인유닛(10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메인유닛(101)은 밭(20)의 고랑(22)을 따라 이동 가능한 형태의 본체부(110)를 갖고, 다수의 작업자가 일렬로 나란히 앉아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다수의 좌석부(130)가 구비된다. 여기서, 본체부(110)는 파이프 형태의 메인 프레임(111)이 고랑(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나란히 배치되며, 각 메인 프레임(111) 상에는 하나의 좌석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유닛(101)은 5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탑승할 수 있도록 5개의 좌석부(130)와 5개의 메인 프레임(111)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좌석부(130) 사이 사이에는 본체부(110)가 이동함에 따라 이랑(21)의 흙을 돋우기 위한 흙 돋움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유닛(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폭을 갖는 작업대(1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작업대(120)는 메인유닛(101)의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전방 및 후방 양측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연장유닛(102)은 메인유닛(101)과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메인유닛(101)의 측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연장유닛(102)은 메인유닛(101)과 탑승할 수 있는 작업자의 수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연장유닛(102)은 2명의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2개의 메인 프레임(111)과 2개의 좌석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장유닛(102)에도 흙 돋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장유닛(102)의 전방 및 후방에는 소정 높이의 작업대(22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장유닛(102)의 크기 및 형태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연장유닛(102)은 메인유닛(101)의 측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부(260)는 연장유닛(102)과 메인유닛(101)의 사이에 개재되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유닛(102)이 메인유닛(101)에 대해 힌지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보관 시에는 연장유닛(102)을 힌지 회전시켜 메인유닛(101) 상부에 접철시킬 수 있다.
그리고 메인유닛(101)의 중앙 부분에는 구동장치(10)와의 연결을 위한 구동장치 링크부(150)가 구비된다.
그리고 구동장치 링크부(150) 일측에는 구동장치 링크부(150)와 연장유닛(102)을 연결하고 양측 연장유닛(102)이 균일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연장유닛 링크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유닛 링크부(250)는 구동장치 링크부(150)와 연장유닛(102) 단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251)과 체결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장유닛 링크부(250)는 메인유닛(101)의 길이가 길므로 구동장치(10)에 의해 메인유닛(101)의 양측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장치 링크부(150)에서 메인유닛(101)의 단부까지 연결하는 케이블(25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메인유닛(101)의 측부에 힌지 결합되어 메인유닛(101)에 대해 힌지 회전하여 메인유닛(101) 상부에 접철되는 방식의 연장유닛(102)에 대해서 설명하였는데, 이러한 연장유닛(102)의 변형 실시예로써 메인유닛(101)의 측부에 장착 가능한 형태의 연장유닛(103)이 구비된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300)가 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변형 실시예에 따른 연장유닛(103)에 대해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3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도 7 및 도 8의 연장유닛(102)과 메인유닛(101)과의 연결 형태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메인유닛(101)의 구성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100) 및 도 7과 도 8에서 설명한 메인유닛(101)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메인 유닛(101)에 대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사용하고, 연장유닛(103)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300번대의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연장유닛(103)은 메인유닛(101)과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메인유닛(101)의 측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메인유닛(101)과 탑승할 수 있는 작업자의 수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연장유닛(103)은 1명의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1개의 연장 프레임(310)에 좌석부(330) 및 작업대(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좌석부(330)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작업대(320)는 메인유닛(101)과 마찬가지로 좌석부(330)의 전방 및 후방 양측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장유닛(103)은 복수의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복수의 좌석부(330)가 구비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연장유닛(103)에도 좌석부(330) 사이에 흙 돋움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연장유닛(103)은 연장유닛(103)의 외측으로 또 다른 연장유닛(103)을 더 장착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필요한 작업자의 수에 따라 필요한 수의 연장유닛(103)을 메인유닛(101)의 양측에 장착할 수 있으며, 다수의 연장유닛(103)을 메인유닛(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 장착할 수 있다.
연장유닛(103)은 메인유닛(101)의 측부에서 메인유닛(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메인유닛(101) 및/또는 연장유닛(103)의 측부에는 연장유닛(103)의 장착 및 분리를 위한 착탈부(36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착탈부(36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유닛(101) 및/또는 연장유닛(103)의 메인 프레임(110, 310)이 외측으로 연장되어 소정 길이 돌출되고 이와 같이 돌출된 돌출부(361, 362)가 서로 체결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유닛(101)의 돌출부(361) 및 연장유닛(103)의 돌출부(362) 중 적어도 하나는 중공 파이프 형태를 갖고 중공 파이프 형태의 돌출부에 타측 돌출부가 삽입됨에 따라 메인유닛(101)과 연장유닛(103)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착탈부(360)는 서로 삽입 체결된 돌출부(361, 362)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메인유닛(101)과 연장유닛(103)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체결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는 돌출부(361, 362)를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는 핀 또는 바 형태를 갖고, 서로 삽입 체결된 돌출부(361, 362)에 동시에 체결됨에 따라 돌출부(361, 36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착탈부(360)의 형태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착탈부(360)의 고정을 위한 체결부재 역시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연장유닛(103)의 경우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되며 1명의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단위로 연장유닛(103)이 형성되므로, 착탈의 편의성을 위해 상술한 도 7 및 도 8 기재의 연장유닛(102)과 달리 메인유닛(101)과 케이블(251)이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연장유닛(103)을 장착하였을 때 메인유닛(101)에 작용하는 구동력이 연장유닛(103)에 균일하게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300)의 길이가 너무 길어지므로 작업 보조장치(300)의 양측 단부에는 힘이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거나 메인유닛(101)과 연장유닛(103)이 동일한 속도로 진행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극복하기 위해서 연장유닛(103)의 하부에는 연장유닛(103)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이동유닛(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유닛(103)은 본체부(310) 하부에 롤러나 바퀴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구동장치 20: 밭
21: 이랑 22: 고랑
100, 200, 300: 보조장치 101: 메인유닛
102, 103, 103: 연장유닛 110: 본체부
111: 메인 프레임 112: 프론트 프레임
113: 리어 프레임 120, 220, 320: 작업대
121: 호미부 123: 호미부 지지 스프링
130, 230: 좌석부 131: 결합축
132: 지지축 135: 발 거치대
140: 흙 돋움부 141: 바퀴부
142: 회전축 143: 회전축 지지부
144: 흙받이부 145: 바퀴부 지지 스프링
150: 구동장치 링크부 151: 메인 링크
152, 153: 지지 링크 210, 310: 연장유닛 본체부
250: 연장유닛 링크부 251: 케이블
252: 체결부 260: 힌지부
360, 361, 362: 착탈부

Claims (20)

  1. 작업 대상이 되는 밭의 고랑을 따라 이동 가능한 형태를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에 작업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된 다수의 좌석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연결시키는 링크부; 및
    상기 좌석부 사이 사이에서 상기 밭의 이랑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랑의 흙을 돋우는 흙 돋움부;
    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고랑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 다수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다수의 메인 프레임을 연결 및 지지하는 프론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에서 상기 다수의 메인 프레임을 연결 및 지지하는 리어 프레임;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좌석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고랑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파이프 형태를 갖고, 다수의 작업자가 나란히 앉아서 작업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메인 프레임이 나란히 배치된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흙 돋움부는,
    상기 본체부가 이동함에 따라 구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바퀴부;
    상기 바퀴부를 지지하는 다수의 회전축; 및
    상기 다수의 회전축을 각각 상기 리어 프레임에 연결시키는 회전축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바퀴부는 상기 각 이랑의 양측에서 흙을 돋울 수 있도록 각 이랑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바퀴가 서로 대응되어 작동하도록 구비된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는 상기 이랑에 대해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수렴되도록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의 이동 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갈수록 수렴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흙 돋움부는 상기 본체부의 이동시 상기 바퀴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바퀴부 지지 스프링을 구비하는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흙 돋움부의 후방에는 흙 받이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흙 받이부는 상기 바퀴부에서 후방 및 상기 이랑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바퀴부에서 수렴되는 흙을 수렴할 수 있도록 구비된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프레임 일측에는 상기 본체부의 이동시 상기 이랑에 골을 내기 위한 호미부가 더 구비된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이동유닛이 구비된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작업 대상물을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프레임 상부에는 작업대가 구비되고,
    상기 작업대는 다수의 작업자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프레임을 따라 연속된 선반 형태를 갖는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는 회전 및 상기 메인 프레임과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각 메인 프레임 상에는 상기 좌석부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이 구비된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좌석부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각 메인 프레임마다 다수의 지지축이 구비된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 일측에는 상기 좌석부에 앉은 작업자의 발을 거치하기 위한 발 거치대가 구비된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
  13. 밭의 고랑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형태를 갖는 본체부, 작업자가 앉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 상에 구비된 다수의 좌석부, 상기 본체부와 구동장치를 연결시키는 구동장치 링크부, 상기 밭의 이랑에 대응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랑의 흙을 돋우기 위한 흙 돋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메인유닛; 및
    상기 메인유닛과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구비되며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작업자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연장유닛;
    을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유닛은 상기 메인유닛과 동일하거나 적은 수의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형성된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유닛은 상기 메인유닛에 대해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유닛의 측부에 힌지 결합된 힌지부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닛과 상기 연장유닛을 연결 및 지지하는 연장유닛 링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유닛 링크부는 상기 구동장치 링크부에서 상기 연장유닛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닛 또는 상기 연장유닛 측부에는 상기 연장유닛의 착탈을 위한 착탈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유닛은 상기 메인유닛의 측부에서 슬라이드 체결 가능하게 형성된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연장유닛의 고정을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유닛은 다수의 연장유닛이 상기 메인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 장착 가능하게 형성된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유닛은 본체부 하부에 상기 연장유닛이 상기 메인유닛과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보조 이동유닛이 더 구비된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
KR1020100089805A 2009-09-14 2010-09-14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 KR101169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390 2009-09-14
KR20090086390 2009-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100A KR20110029100A (ko) 2011-03-22
KR101169158B1 true KR101169158B1 (ko) 2012-07-30

Family

ID=43935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805A KR101169158B1 (ko) 2009-09-14 2010-09-14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91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011A (ja) 1997-06-23 1999-01-19 Fukuoka Marumoto Kk 農作業用の多条型軌道式台車
JP2002262612A (ja) 2001-03-07 2002-09-17 Tsutomu Tomabechi 播種用作業機
KR200337839Y1 (ko) 2003-09-02 2004-01-13 백은기 딸기수확관리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011A (ja) 1997-06-23 1999-01-19 Fukuoka Marumoto Kk 農作業用の多条型軌道式台車
JP2002262612A (ja) 2001-03-07 2002-09-17 Tsutomu Tomabechi 播種用作業機
KR200337839Y1 (ko) 2003-09-02 2004-01-13 백은기 딸기수확관리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100A (ko) 201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7972B2 (en) Flexible wing sections for a field cultivator
US2799234A (en) Transplanter
CA2812547C (en) Tool bar mounting assembly for an agricultural implement
US4027733A (en) Weed pulling machine
KR101896472B1 (ko) 농업용 다목적 작업보조장비
KR101169158B1 (ko) 농업용 작업 보조장치
US2619887A (en) Garden tractor attachment
US4655295A (en) Tractor and implement stabilizer
US2221769A (en) Tractor attachment
US717471A (en) Wheelbarrow.
NL9300659A (nl) Grondbewerkingsmachine.
KR100849205B1 (ko) 농작물 관리용 3륜 작업의자
JP2004041166A (ja) 高設式栽培床用耕耘機
JP3182999U (ja) 乗用培土機
JPS6350961B2 (ko)
EP0288125B2 (en) A soil cultivating machine
ES2562578B1 (es) Implemento agrícola para sembrar y descompactar el suelo en una pasada
JP2000092924A (ja) 座席付き苗植え用台車
JP6954596B2 (ja) 農作業機
US686559A (en) Cultivator.
US1429376A (en) Farm implement
JPH0434662Y2 (ko)
US1767910A (en) Lister planter
JP5821663B2 (ja) 畝成形装置
US600662A (en) Attachment for harrow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