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598B1 - 방사형 스택 구조를 가지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방사형 스택 구조를 가지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8598B1 KR101168598B1 KR1020100053714A KR20100053714A KR101168598B1 KR 101168598 B1 KR101168598 B1 KR 101168598B1 KR 1020100053714 A KR1020100053714 A KR 1020100053714A KR 20100053714 A KR20100053714 A KR 20100053714A KR 101168598 B1 KR101168598 B1 KR 1011685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zinc
- reaction cell
- housing
- air fuel
- main rea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4—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the fuel-cell type and of a half-cell of the primary-cell type
- H01M12/06—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the fuel-cell type and of a half-cell of the primary-cell type with one metallic and one gaseous electrod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6—Electrodes for primary cells
- H01M4/0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2—Processes of manufacture of consumable metal or alloy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 H01M6/46—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of flat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Hybrid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형 스택 구조를 가지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사형 스택 구조를 가지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는, 원통형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방사형으로 배열되고, 각각 아연볼과 전해질이 수용됨으로써 상기 전해질 내에서의 아연볼과 산소 간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를 집전시키는 복수의 메인 반응셀 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협소한 공간에도 복수의 반응셀의 배치가 가능하여서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버스 등의 플랫폼의 최적설계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방사형 스택 구조를 가지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자연을 보존하고자 하는 환경정책과 그린 에너지 정책에 부합하여 매연이 발생되지 않는 전기자동차, 모터바이크, 전기버스 등이 화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연-공기 연료전지는 전해질 내에서 아연과 공기 중의 산소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전자를 집전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것으로, 근자에 연료에서 생성되는 수소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전통적인 연료전지를 대체하는 연료전지로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아연-공기 연료전지는 전자 생성을 위한 반응계의 구조가 간소하여 경량화 및 전력소비 절감을 통해 고용량 배터리의 구현을 통해 사용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전기자동차의 개발추세에 부합하는 것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아연-공기 연료전지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아연-공기 연료전지는 미국등록특허 US 6,153,328호에 개시된 기술로서, 복수의 반응셀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는 수평형 스택 구조가 채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아연-공기 연료전지는, 복수의 반응셀이 일방향으로만 길게 배열되기 때문에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버스 등의 차체 내부의 공간 활용의 폭이 좁아지는 단점을 초래하게 됨으로써, 결국 전기자동차 등의 최적설계의 어려움을 낳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공간에서도 복수의 반응셀의 배치가 가능한 방사형 스택 구조를 가지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통형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방사형으로 배열되고, 각각 아연볼과 전해질이 수용됨으로써 상기 전해질 내에서의 아연볼과 산소 간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를 집전시키는 복수의 메인 반응셀 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메인 반응셀 유니트는,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음극 주머니와, 상기 음극 주머니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해질 내에서의 아연볼과 산소 간의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를 집전하는 집전체와, 상기 음극 주머니와 집전체를 커버하는 커버블럭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메인 반응셀 유니트는, 상기 하우징의 지름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일면들이 다각통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각통 형상의 공간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전해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메인 반응셀 유니트들 중 인접한 메인 반응셀 유니트들의 사이사이에 방사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메인 반응셀 유니트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서브 반응셀 유니트들을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메인 반응셀 유니트들의 그 하우징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일측면들 사이에 방사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메인 반응셀 유니트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제1서브 반응셀 유니트들; 및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서브 반응셀 유니트 사이사이에 방사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메인 반응셀 유니트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제2서브 반응셀 유니트들;을 더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메인 반응셀 유니트가 케이스 내에 방사형으로 배치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도 복수의 반응셀의 배치가 가능하여서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버스 등의 플랫폼의 최적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수평형 스택 구조를 가지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스택 구조를 가지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스택 구조를 가지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스택 구조를 가지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스택 구조를 가지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스택 구조를 가지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스택 구조를 가지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의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스택 구조를 가지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스택 구조를 가지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부분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사형 스택 구조를 가지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는, 원통형의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메인 반응셀 유니트(20)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메인 반응셀 유니트(20)는, 아연볼과 전해질이 수용됨으로써 상기 전해질 내에서의 아연볼과 산소 간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를 집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방사형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메인 반응셀 유니트(20)는, 음극 주머니(22)와 집전체(24)와 커버블럭(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음극 주머니(22)는, 내부에 아연볼과 전해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아연볼은 구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아연볼은, 상기 전해질 내에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산소와 산화환원 반응을 함으로써, 전자를 내어 놓고 산화아연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 집전체(24)는 상기 반응에 의해 생성된 전자를 집전하여 전기를 생성하게 되고, 그 생성된 전기는 배터리(미도시)에 저장된다.
상기 집전체(24)는 상기 수용공간을 2분할하는 구획판(24a)과, 그 구획판(24a)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24b)들을 구비한다. 상기 각 리브(24b)들은 상기 구획판(24a)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재차 분할하게 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을 복수개로 구획하게 된다.
이러한 집전체(24)는, 상기 각 리브(24b)들 사이사이에 상기 아연볼을 배치되게 함으로써, 상기 아연볼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서 집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집전체(24)의 재질은 집전이 가능하도록 구리, 황동, 청동, 니켈 등 전도성물질이며, 내식성 및 전자 집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금, 은, 백금 등 도금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집전체(24)는 전해질이 통과될 수 있는 복수의 구멍을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집전체(24)와 음극 주머니(22)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집전체(24)와 음극 주머니(22)를 각각 별개로 성형한 후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커버블럭(26)은, 상기 음극 주머니(22)와 집전체(24)를 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커버블럭(26)의 내측에 상기 음극 주머니(22)가 배치되고 상기 음극 주머니(22)의 내측에 상기 집전체(24)가 위치된다. 상기 커버블럭(26)은, 공기는 통과하고 전해질은 통과할 수 없는 미세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기공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메인 반응셀 유니트(20)가 상기 하우징(10) 내에 방사형으로 배치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도 복수의 반응셀의 배치가 가능하여서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버스 등의 플랫폼의 최적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본 실시예는, 상기 하우징(10)과 소통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측케이스(28)와 그 하측케이스(28)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자(30)와 상기 하측케이스(28)와 하우징(10) 사이에 설치되는 걸름망을 구비한다.
상기 하측케이스(28)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과 소통됨으로써 내부에 상기 내부공간(11)에 수용된 전해질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측케이스(28)의 내부공간(11)을 소통공간(32)이라 한다.
상기 진동자(30)는 상기 하우징(10)의 소통공간(32)에 배치되어 음파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전해질에 파동을 일으켜 상기 아연볼에 흡착되어 있는 산화아연을 그 아연볼로부터 탈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결국, 본 실시예는 아연볼과 산소 간의 반응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각 메인 반응셀 유니트(20)는, 상기 하우징(10)의 지름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일면들이 다각통 형상의 공간(34)을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다각통 형상의 공간(34)에 예컨대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수용되는 전해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등을 설치하도록 하여서, 공간 활용의 폭을 넓혀 제품의 최적설계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구성 중 미설명부호 36는 상기 하우징(10)에 수용된 전해질의 순환경로를 제공하는 연결관이고, 38은 상기 연결관(36)의 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하측케이스(28)의 전해질 내에 부유하고 있는 산화아연을 여과시키기 위한 필터(38)이며, 40은 상기 하측케이스(28)의 전해질을 펌핑하기 위한 액체펌프이며, 42는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상기 아연볼과의 반응을 위한 공기를 강제로 유입시키는 유입용 송풍팬이며, 44는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배출용 송풍팬이다.
상기 액체펌프(40)는, 상기 전해질을 펌핑하기 위해 실린더와 피스톤 등을 구비하는 공지의 구성이며, 상기 실린더와 피스톤 등은, 상기 전해질이 예컨대 KOH, NaOH 와 같이 강염기성 물질이 채용되기 때문에, PTFE(Polytetrafluoroethylene)과 같이 내식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스택 구조를 가지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스택 구조를 가지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메인 반응셀 유니트(100)들 중 인접한 메인 반응셀 유니트(100)들의 사이사이에 방사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메인 반응셀 유니트(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서브 반응셀 유니트(110)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인 반응셀 유니트(100)들 사이사이에 서브 반응셀 유니트(110)들의 배치가 가능하여서 공간 활용의 효율이 높아지게 됨에 따라 전기 자동차 등의 플랫폼(하드웨어)에 대한 최적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과 전기생성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스택 구조를 가지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하우징의 원주가 커지기는 하나, 확장된 공간 대비 반응셀 유니트들의 배치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즉, 본 실시예는, 메인 반응셀 유니트(200)들과 제1서브 반응셀 유니트(210)들과 제2서브 반응셀 유니트(220)들을 구비한다. 상기 각 제1서브 반응셀 유니트(210)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메인 반응셀 유니트(200)들의 그 하우징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일측면들 사이에 방사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메인 반응셀 유니트(2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각 제2서브 반응셀 유니트(22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서브 반응셀 유니트(210) 사이사이에 방사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메인 반응셀 유니트(2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이상,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통형의 하우징에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의 반응셀 유니트를 최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하우징 11:내부공간
20:메인 반응셀 유니트 22:음극 주머니
24:집전체 24a:구획판
24b:리브 26:커버블럭
28:하측케이스 30:진동자
32:소통공간 34:다각통 형상의 공간
36:연결관 38:필터
40:액체펌프 42:유입용 송풍팬
44:배출용 송풍팬
20:메인 반응셀 유니트 22:음극 주머니
24:집전체 24a:구획판
24b:리브 26:커버블럭
28:하측케이스 30:진동자
32:소통공간 34:다각통 형상의 공간
36:연결관 38:필터
40:액체펌프 42:유입용 송풍팬
44:배출용 송풍팬
Claims (6)
- 삭제
- 원통형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방사형으로 배열되고, 각각 아연볼과 전해질이 수용됨으로써 상기 전해질 내에서의 아연볼과 산소 간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를 집전시키는 복수의 메인 반응셀 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 메인 반응셀 유니트는,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음극 주머니와, 상기 음극 주머니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해질 내에서의 아연볼과 산소 간의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를 집전하는 집전체와, 상기 음극 주머니와 집전체를 커버하는 커버블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메인 반응셀 유니트는, 상기 하우징의 지름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일면들이 다각통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통 형상의 공간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전해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반응셀 유니트들 중 인접한 메인 반응셀 유니트들의 사이사이에 방사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메인 반응셀 유니트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서브 반응셀 유니트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메인 반응셀 유니트들의 그 하우징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일측면들 사이에 방사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메인 반응셀 유니트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제1서브 반응셀 유니트들; 및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서브 반응셀 유니트 사이사이에 방사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메인 반응셀 유니트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제2서브 반응셀 유니트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3714A KR101168598B1 (ko) | 2010-06-08 | 2010-06-08 | 방사형 스택 구조를 가지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3714A KR101168598B1 (ko) | 2010-06-08 | 2010-06-08 | 방사형 스택 구조를 가지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3987A KR20110133987A (ko) | 2011-12-14 |
KR101168598B1 true KR101168598B1 (ko) | 2012-07-30 |
Family
ID=45501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3714A KR101168598B1 (ko) | 2010-06-08 | 2010-06-08 | 방사형 스택 구조를 가지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859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1997B1 (ko) * | 2014-03-19 | 2019-11-11 | 이응조 | 전류집적체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지 |
JP6513256B1 (ja) * | 2018-04-09 | 2019-05-15 | 古河電池株式会社 | 電池収納箱 |
CN109638389A (zh) * | 2018-12-19 | 2019-04-16 | 刘芙蓉 | 一种电池阳极快速更换装置 |
KR20230095639A (ko) * | 2021-12-22 | 2023-06-2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수직 방향으로 확장이 용이한 구조를 가진 배터리 모듈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6434B1 (ko) | 2003-12-26 | 2007-08-03 |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연료 전지 및 연료 전지 스택 |
KR100767924B1 (ko) | 2006-11-15 | 2007-10-17 |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 연료전지 스택 |
-
2010
- 2010-06-08 KR KR1020100053714A patent/KR10116859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6434B1 (ko) | 2003-12-26 | 2007-08-03 |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연료 전지 및 연료 전지 스택 |
KR100767924B1 (ko) | 2006-11-15 | 2007-10-17 |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 연료전지 스택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3987A (ko) | 2011-1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6541871U (zh) | 一种散热抗震型新能源电池防护箱 | |
KR101168598B1 (ko) | 방사형 스택 구조를 가지는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 | |
KR100976504B1 (ko) |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 | |
CN104170158A (zh) | 空气电池 | |
CN1208865C (zh) | 布置椭圆柱形电池的方法和组合电池 | |
US20150162571A1 (en) | Concave cell design for an alkaline battery with a comb spacer | |
CN111183549A (zh) | 电池壳体、金属空气电池以及金属空气电池的制造方法 | |
CN111525051B (zh) | 电芯盖板、电池模组以及车辆 | |
CN105098292A (zh) | 一种水平式三电极电化学可充的锌空气电池 | |
KR20180004407A (ko) | 메탈폼을 이용한 리튬-공기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010236B1 (ko) |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 | |
CN112448104A (zh) | 一种配置有弹性多孔结构的电芯、电池模组及电池 | |
KR100977018B1 (ko) | 아연-공기 연료전지 반응셀 유니트 | |
KR101002963B1 (ko) |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 | |
KR101163537B1 (ko) | 전기자동차의 연료전지 이원화 시스템 | |
KR101010235B1 (ko) |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 | |
CN110870120A (zh) | 燃料电池堆和具有燃料电池堆的车辆 | |
KR20110133986A (ko) | 산화아연 탈리수단이 채용된 아연-공기 연료전지 셀 어셈블리 | |
KR101793907B1 (ko) | 공기-아연 이차전지 | |
KR101618161B1 (ko) | 금속공기 전지 유닛 | |
KR101764486B1 (ko) | 금속 공기 전지 유닛 | |
KR101187866B1 (ko) | 아연-공기 연료전지의 반응셀 유니트 | |
KR20170128642A (ko) | 금속 공기 전지 유닛 | |
KR101584271B1 (ko) | 금속 공기 전지 유닛 | |
KR101187870B1 (ko) | 아연볼 공급 및 배출의 동시수행이 가능한 아연-공기 연료전지 반응셀 유니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1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