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577B1 - 물조리개 헤드 - Google Patents

물조리개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8577B1
KR101168577B1 KR1020100076991A KR20100076991A KR101168577B1 KR 101168577 B1 KR101168577 B1 KR 101168577B1 KR 1020100076991 A KR1020100076991 A KR 1020100076991A KR 20100076991 A KR20100076991 A KR 20100076991A KR 101168577 B1 KR101168577 B1 KR 101168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d
fastening groove
fastened
contro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4798A (ko
Inventor
유진곤
Original Assignee
유진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곤 filed Critical 유진곤
Priority to KR1020100076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577B1/ko
Publication of KR20120014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4Hand watering devices, e.g. watering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물의 유출 용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물조리개 헤드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조리개 헤드는, 물조리개의 바디에 연장되어 바디에 적재된 물을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유출관로의 종단에 형성되고, 다수의 고정공을 포함하는 고정헤드와, 상기 고정헤드의 외피에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다수의 분사공을 갖는 조절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헤드는 조절커버에 밀착 수용되도록 체결되는 체결홈을 형성하며, 상기 조절커버의 내측 중앙에는 상기 체결홈과 대응하도록 돌출된 체결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체결돌기 및 체결홈은 억지끼움 결합에 의해 조립되거나, 나사 형태를 갖고 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무되는 물의 양을 조절함은 물론 소규모의 화분에도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도 물의 흩어짐 없이 정확한 지점에 분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물조리개 헤드{WATERING POT HEAD}
본 발명은 물조리개 또는 물뿌리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조리개의 사용 환경에 따라 토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물조리개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뿌리개 또는 물조리개는 상부가 개방되고 일정크기의 수용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덮는 뚜껑과, 상기 용기 본체의 수용공간 하부와 연통하고 선단에 노즐이 구비된 토출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물조리개는 사용자로 하여금 그 물뿌리개의 용기 본체 내에 담겨진 물을 좀더 편리하게 분사토록 함으로써, 각종 화분의 화초, 수목 등의 크기, 생육 특성, 건조 정도 등을 고려하여 해당 식물에 일정량의 물을 정확히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 20-0316486 호 고안의 명칭 '물뿌리개의 분사구'는 구조가 간단하며 합성수지재로 성형제조가 용이하여 양산이 가능하고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견고하고 사용이 편리한 물뿌리개의 분사구를 개시하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종래 물뿌리개의 분사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물뿌리개용 분사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나팔형 분사구 본체(1) 후부에 벽면(1a)을 구비하고, 벽면의 중앙지점에는 용수출구(2)를, 용수출구(2)의 후방으로는 각이 지는 용수관 결합구(3)와 복수개의 리브(4)를 일체로 구비하여서 된 구성이다.
미설명부호 20은 부싱, 30은 분사판, 40은 분사판 체결너트, 50은 용수관, 60은 용수호스, 70은 고리연결구를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물뿌리개 분사구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나팔형의 분사구 본체(1)의 후부 벽면(1a) 중심에는 용수출구(2)를 구비하고 용수출구(2) 후방으로는 용수관 결합구(3)를 각이 지게 구비되도록 하고 복수개의 리브(10)를 일체로 구비하여 성형제조하게 되면 견고한 분사구를 성형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성형 제조되는 분사구 본체(1)의 전방으로 부싱(20)과 분사판(30)을 위치시키고 분사판 체결 너트(40)를 이용하여 분사구 본체(1)의 선단과 체결하면 물뿌리개의 분사구가 완성된다. 이와 같은 분사구의 용수관 결합구(3)에 용수관(50)을 결합하고 용수관(50)의 손잡이 후부에는 용수호스(60)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용수호스(60)에서 용수가 공급되면 동 용수는 용수관(50)을 통하여 분사 구 본체(1)의 중심에 위치하는 용수출구(2)로 용수가 공급되면 분사구 본체(1)의 공간에 충진됨과 동시에 대각에 위치하는 분사판(30)으로 직선 분사가 이루어지므로 용수의 분사과정에서 압력의 손실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 분사구 본체(1)의 후부벽면(1a)에는 용수출구(2)를 통과하는 용수가 후방으로 유도되더라도 후부벽면(1a)을 타고 분사판(30)으로 이동되므로 용수의 분사가 원활하게 된다. 또 분사구 본체(1)와 후부벽면(1a)의 중심에 위치하는 용수출구(2)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각이 지게 구성되는 용수관 결합구(3)에는 복수개의 리브(4)가 구비되어 분사구 본체(1)와 용수관 결합구(3)간을 보강하게 되므로서 파손이나 변형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 소형의 분사구를 제조할 때에는 리브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사용에는 별다른 장애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물뿌리개를 구성하는 분사구 본체의 후부에 벽면을 구비하고, 중앙 지점의 용수출구 후방으로는 각이 지는 용수관 결합구와 복수 개의 리브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견고하며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 물뿌리개는 단순히 리브만을 연장하여 견고함을 유도하고 있으나, 물뿌리개의 실질적인 기능성은 결여되어 있어 제품의 완성도를 저하시킨다는 지적이 있다. 예컨대, 물뿌리개의 토출 용량을 제어함으로써, 물뿌리개의 안정적 동작을 통한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조적 변형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규모의 화분에도 물이 주변으로 튀기지 않게 하면서 원하는 화분의 분무 대상 영역에 적절하게 분무할 수 있게 하는 물 조리개 헤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 구조로서 사출 성형이 용이하도록 하여, 물조리개의 개발단가를 격감시킬 수 있는 물조리개 헤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조리개 헤드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도록 물의 토출용량이 제어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물조리개 헤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몰조리개 헤드는, 물조리개의 바디에 연장되어 바디에 적재된 물을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유출관로의 종단에 형성되고, 다수의 고정공을 포함하는 고정헤드와, 상기 고정헤드의 외피에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다수의 분사공을 갖는 조절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헤드는 조절커버에 밀착 수용되도록 체결되는 체결홈을 형성하며, 상기 조절커버의 내측 중앙에는 상기 체결홈과 대응하도록 돌출된 체결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체결돌기 및 체결홈은 억지끼움 결합에 의해 조립되거나, 나사 형태를 갖고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물조리개 헤드는, 물조리개의 바디에 연장되는 유출관로의 종단에 설치된 고정헤드의 고정공과, 상기 고정헤드의 외피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조절커버의 분사공 간의 교차 면적에 의해 물의 토출용량이 가변됨에 따라, 분무되는 물의 양을 조절함은 물론 소규모의 화분에도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도 물의 흩어짐 없이 정확한 지점에 분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물조리개 헤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조리개 헤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 5b, 5c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물조리개 헤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물조리개의 바디(미도시함)에 연장되어 바디에 적재된 물을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유출관로(203)의 종단에 형성되고, 다수의 고정공(205)을 포함하는 고정헤드(201)와, 상기 고정헤드(201)의 외피에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다수의 분사공(213)을 갖는 조절커버(211)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헤드(201)는 조절커버(211)의 내측에 밀착 수용되도록 체결되는 체결홈(207)을 형성하며, 상기 조절커버(211)의 내측 중앙에는 상기 체결홈(207)과 대응하도록 돌출된 체결돌기(미도시됨)가 마련된다. 상기 체결돌기와 체결홈(207)은 억지끼움 결합에 의해 조립되거나, 나사 형태를 갖고 체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절커버(211)는 노브(215)를 형성하며, 상기 노브(215)는 사용자로부터 회전 동작 시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를 형성한다. 상기 다수의 분사공(213)을 갖는 전면부와 상기 노브(215)는 일체화된 구조로 사출 성형되며, 상기 전면부의 내측 중앙에 상기 체결돌기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분사공(213)과 고정공(205)은 조절커버(211)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호 교차면적이 달리 되며, 교차면적에 비례하여 물의 유출용량이 가변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조절커버(211)의 전면에서 원호 형태로 정렬된 다수의 분사공을 균등하게 구획된 섹터별로 교번되게 구성하고, 상기 조절커버(211)의 각 섹터별 분사공을 상호 연장한 가상의 연장홈과 대응하도록 상기 고정 헤드(201)에 투영되는 고정공(205)을 상기 고정 헤드의 전면에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커버(211) 상으로 구획되는 섹터는 짝수 배 즉, 2개, 4개 등의 2배수로 구획됨이 적절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개의 섹터로 이루어진다. 4개의 섹터는 상호 섹터별로 대향 되도록 페어를 이루며, 원호 형태로 정렬된 다수의 분사공(213)은 각각으로 이웃하는 각 섹터별로 단차지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임의의 섹터에 구성된 원호 형태로 정렬된 분사공은 이웃하는 임의의 섹터에 구성된 원호 형태로 정렬된 분사공과 단차된 구조로서, 동일한 지름을 갖는 원호 상에서 구현되지 못하도록 한다.
예컨대, 하나의 섹터 내에 구비되어 하나의 원호를 이루는 다수의 분사공은 이웃하는 섹터 내에 구비되어 하나의 원호를 이루는 다수의 분사공과 동일한 원호(지름이 동일한) 상에서 구현되지 않는다. 즉, 하나의 섹터 내에서 형성되는 이웃하는 두 개의 원호 사이에는 이웃하는 섹터 내에서 어느 하나의 원호가 형성되는 것으로, 서로 다른 섹터 간 근접한 원호는 상호 단차를 갖고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분사공으로 이루어지고 그 정렬된 형상으로부터 유추되는 서로 다른 반경의 원호들이 하나의 섹터에 구비되고 있으며, 이 섹터에 이웃하는 다른 섹터 또한 다수 개의 분사공으로 이루어진 서로 다른 반경의 원호들이 구비되되, 이웃하는 섹터 내의 원호들 사이에 구성된다. 또한, 전술된 각 섹터 내의 원호들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고정공(205)이 고정헤드(201)의 외피상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공(205)은 원호 형태를 갖고 그 길이는 해당 섹터의 원주 길이에 대응하며, 높이는 분사공(213)의 직경과 같거나 소정 비율 증폭된 높이를 갖는다. 또한 고정공(205)으로 이루어진 원호는 서로 다른 반경을 갖도록 균등하게 분할된 다수 개 라인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조절커버(211)의 분사공(213)과 고정헤드(201)의 고정공(205)은 조절커버(211)의 회전 각도에 따라 분사공(213)과 고정공(205)이 대응되거나, 분사공(213)이 고정공(205)에 의해 밀착 차단될 수 있다. 여기서, 분사공(213)과 고정공(205)이 대응될 경우에는 유출관로(203)를 통해 유출되는 물의 양이 최대치가 될 것이고, 상기 분사공(213)과 고정공(205)이 밀착 차단될 경우에는 물의 유출을 차단하게 된다. 이로 인해, 조절커버(211)를 선형적으로 회전 제어하여 물의 유출량을 용이하게 조절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조리개 헤드의 조립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헤드(201)와 조절커버(211)는 상호 밀착되도록 가압 조립되며, 이를 위해 상기 조절커버(211)의 안측 중앙에 체결돌기(401)를 형상하여 상기 체결홈(207)에 인입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돌기(401)의 종단은 상기 체결홈(207)의 직경보다 소정치 크도록 함에 따라, 체결돌기(401)가 체결홈(207)으로 강제 끼움이 이루어지면, 상기 체결돌기(401)의 종단부가 체결홈(207)의 내측에 걸림에 따라, 체결돌기(401)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커버(211)는 고정헤드(201)를 수용하도록 체결돌기(401)가 체결홈(207)에 인입 설치되어, 상기 조절커버(211)가 고정헤드(201)의 외피 상에서 회동 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고정헤드(201)의 외피에 소정의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에 대응하도록 조절커버(211)의 내면에 균등한 다수의 홈을 마련하여 조절커버(211)의 회전 각도를 소정 위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조절커버(211)의 위치 고정을 통해 물조리개의 사용 용도 또는 환경에 따른 물 토출용량을 고정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커버(211)를 소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분사공(213)과 고정공(205)의 위치가 상호 대응되도록 위치할 경우, 분사공(213)의 개구면적이 최대가 된다. 이는 유출관로(203)를 통해 유출되는 물의 토출용량이 최대가 되는 것으로, 용량이 큰 화분에 물을 공급할 경우에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도 5b와 같이 조절커버(211)의 위치를 조금 더 회전시킬 경우, 상기 분사공(213)과 고정공(205)의 교차 공간이 일부 형성되어, 상기 분사공(213)을 통해 유출되는 물의 양이 제한된다. 또한, 도 5c와 같이 조절커버(211)를 완전히 회전시킬 경우, 여기서 회전 각도는 상기 섹터가 4개 일 경우에는 90도가 될 경이고, 섹터가 2개일 경우에는 180도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조절커버(211)가 완전히(본 실시 예에서 90도) 회전될 경우 고정헤드(201)의 고정공(205)은 조절커버(211)의 분사공(213)과 엇갈린 위치에 설정되어, 분사공(213)은 물조리개 내부로부터 차단된다. 결국, 물조리개 내부에 적재된 물은 외부로 토출되지 못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조절커버(211)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물의 토출 용량을 조절함에 따라 큰 화분에 물을 공급하거나, 작은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적절한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조리개 헤드는 조절커버의 전면에서 원호 형태로 정렬된 다수의 분사공을 균등하게 구획된 섹터별로 교번되게 구성하고, 조절커버의 각 섹터별 분사공을 상호 연장하여 고정 헤드로 투영되도록 형성된 고정공을 고정 헤드의 전면에 형성함으로써, 분사공과 고정공 간의 회전교차에 의해 물의 토출량을 결정함에 따라 물조리개의 기능성을 가미시켜 사용의 편의성을 높여 산업적 이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201 : 고정헤드 203 : 유출관로
205 : 고정공 207 : 체결홈
211 : 조절커버 213 : 분사공
215 : 노브 401 : 체결돌기

Claims (2)

  1. 물의 유출 용량을 조절하기 위한 물조리개 헤드에 있어서,
    물조리개의 바디에 연장되어 바디에 적재된 물을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유출관로(203)의 종단에 형성되고, 다수의 고정공(205)을 포함하는 고정헤드(201)와, 상기 고정헤드(201)의 외피에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다수의 분사공(213)을 갖는 조절커버(211)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헤드(201)는 조절커버(211)에 밀착 수용되도록 체결되는 체결홈(207)을 형성하며, 상기 조절커버(211)의 내측 중앙에는 상기 체결홈(207)과 대응하도록 돌출된 체결돌기(401)가 마련되고, 상기 체결돌기(401) 및 체결홈(207)은 억지끼움 결합에 의해 조립되거나, 나사 형태를 갖고 체결되며,
    상기 조절커버(211)의 전면에는 원호 형태로 정렬된 다수의 분사공을 균등하게 구획된 섹터별로 교번되게 구성하고, 상기 조절커버(211)의 각 섹터별 분사공을 상호 연장한 가상의 연장홈과 대응하도록 상기 고정 헤드(201)에 투영되는 고정공(205)을 상기 고정 헤드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조리개 헤드.
  2. 삭제
KR1020100076991A 2010-08-10 2010-08-10 물조리개 헤드 KR101168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991A KR101168577B1 (ko) 2010-08-10 2010-08-10 물조리개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991A KR101168577B1 (ko) 2010-08-10 2010-08-10 물조리개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798A KR20120014798A (ko) 2012-02-20
KR101168577B1 true KR101168577B1 (ko) 2012-07-30

Family

ID=4583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991A KR101168577B1 (ko) 2010-08-10 2010-08-10 물조리개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5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198Y1 (ko) 2000-03-03 2000-11-15 정지문 자화맛사지샤워기
KR200338631Y1 (ko) 2003-10-25 2004-01-16 박준의 페트병에 채결하는 물조리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198Y1 (ko) 2000-03-03 2000-11-15 정지문 자화맛사지샤워기
KR200338631Y1 (ko) 2003-10-25 2004-01-16 박준의 페트병에 채결하는 물조리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798A (ko) 2012-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3706B2 (en) Variable arc nozzle
US7832662B2 (en) Shower head
CN102725072B (zh) 冲洗设施的出口
EP0654304B1 (en) Multifunction delivery unit for irrigation pistol
US20020109023A1 (en) Shower head assembly
US20110000983A1 (en) Shower Head
AU2015200045B2 (en) Supporter for Connecting and Positioning Irrigation Device
KR101168577B1 (ko) 물조리개 헤드
JP2018508205A (ja) 植物栽培用回転噴出式分水ホース
KR20110117316A (ko) 살수기
KR200458062Y1 (ko) 분수대용 분사노즐
WO2015175658A1 (en) Interruptible sprinkler head
KR200445783Y1 (ko) 샤워기
CN108901782A (zh) 颈部三角度旋转调节式喷水枪
KR100874183B1 (ko) 광각분사용 비데 노즐팁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US20040140375A1 (en) Nozzle deflector element
US8695902B2 (en) Water sprinkler
CN215582813U (zh) 中草药浇灌装置
JP2018167186A (ja) 散水部材
ES2304337T3 (es) Dispositivo de distribucion de liquido, en particular cabezal de ducha manual de pulverizacion y riego para su utilizacion en casas y jardines.
CN218000517U (zh) 一种过水件及淋浴器
KR200335142Y1 (ko) 농약분사대의 약액공급관
KR200357707Y1 (ko) 바디마사지 강화용 샤워헤드
WO2023066801A1 (en) Sprinkling system
JP3111628U (ja) 園芸水管流水量コントロール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