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058B1 -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8058B1
KR101168058B1 KR1020100103854A KR20100103854A KR101168058B1 KR 101168058 B1 KR101168058 B1 KR 101168058B1 KR 1020100103854 A KR1020100103854 A KR 1020100103854A KR 20100103854 A KR20100103854 A KR 20100103854A KR 101168058 B1 KR101168058 B1 KR 101168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transformer
currents
voltages
cu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2038A (ko
Inventor
이용인
김용범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00103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058B1/ko
Publication of KR20120062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02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 G01D4/004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to a fixed lo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01R11/32Watt-hour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수용가의 부하에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수용가의 부하로부터 복수의 전류 및 전압을 복수의 측정시간에 측정하는 부하 상태 측정부; 상기 다수의 수용가의 각각의 변압기로부터 갱신가능한 다수의 부하별 인입주 번호, 고객번호, 검침일, 계기번호, 사용자 성명, 검침 전력량을 포함하는 고객 현황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영업정보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부하 상태 측정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전류, 전압 및 상기 복수의 측정시간을 수신하고, 상기 영업정보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상기 고객 현황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복수의 전류, 전압 및 상기 복수의 측정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가의 변압기별 부하 전력량을 연산하고, 상기 검침 전력량과 상기 부하 전력량을 이용하여 손실율을 산출하는 원격 감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SMART LOAD MONITORING FOR ELECTRIC TRANSFORMER}
본 발명은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하 상태 측정부가 측정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산한 변압기별 부하 전력량과 영업정보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수신한 변압기별 검침전력량을 이용하여 변압기별 손실율을 산출함으로써, 저압 부하의 상태를 감시하고 피드백할 수 있는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 무선부하 감시시스템은 변압기의 과부하로 인한 소손 방지를 위하여 변압기에 무선부하 감시장치를 부착하고 이를 이용하여 변압기의 부하상태를 감시한다. 무선부하 감시시스템은 주로 대도시 변압기의 과부하 소손방지를 위하여 설치되는데, 현재 전체 변압기의 7.1% 정도 설치되어 운영중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선부하 감시시스템의 블럭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종래의 무선부하 감시시스템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변전소(S/S)가 복수의 변압기(예컨대, 변압기 1, 변압기 2, 및 변압기 3)를 통해 배분전력량을 다수의 부하측에 공급할 수 있다. 각 변압기는 다수의 부하측의 용량에 맞도록 전압을 변압하여 다수의 부하측에 공급한다.
무선부하 감시장치는 복수의 변압기 각각에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각각의 무선부하 감시장치는 해당 변압기의 전압값 및 전류값을 이용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power)을 연산하고,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이 해당 변압기의 소정 용량(예컨대, 100kW)을 초과하는 경우에 이에 대한 정보를 원격 감시 서버에 전송한다.
즉, 종래의 무선부하 감시시스템은 변압기의 전력을 측정하고, 이렇게 측정된 전력이 변압기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원격 감시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변압기의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설치되어 운영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변전소(S/S)에서 공급하는 배분전력량과, 부하측에서 소비하는 판매전력량을 이용하여 다음 식에 의해서 배전손실율을 구함으로써 부하 감시를 수행할 수 있다.
Figure 112010068700017-pat00001
이렇게 배전손실율을 이용하여 부하를 감시하는 것은 실제적인 저압 부하 상태를 확인할 수 없고, 종래의 무선부하 감시시스템은 변압기의 과부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 변압기별 손실율을 점검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해서는 변압기별 수용가의 저압 부하의 상태를 실제적으로 파악하는 것에 취약하므로 부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부하 상태 감시부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전압, 전류 및 측정시간을 이용하여 산출한 변압기별 부하전력량(kWh)과, 영업정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갱신가능한 변압기별 검침 전력량(kWh)을 이용함으로써 변압기별 월 단위 손실율을 산출하여 부하를 감시하고 이를 피드백하여, 저압 부하를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시스템은 다수의 수용가의 부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수용가의 부하로부터 복수의 전류 및 전압을 복수의 측정시간에 측정하는 부하 상태 측정부; 상기 다수의 수용가의 각각의 변압기로부터 갱신가능한 다수의 부하별 인입주 번호, 고객번호, 검침일, 계기번호, 사용자 성명, 검침 전력량을 포함하는 고객 현황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영업정보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부하 상태 측정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전류, 전압 및 상기 복수의 측정시간을 수신하고, 상기 영업정보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상기 고객 현황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복수의 전류, 전압 및 상기 복수의 측정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가의 변압기별 부하 전력량을 연산하고, 상기 검침 전력량과 상기 부하 전력량을 이용하여 손실율을 산출하는 원격 감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시스템은, 상기 부하 전력량이, 30분 시간 간격으로 상기 복수의 측정시간에서 측정된 상기 복수의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연산된 복수의 부하 전력량을 더하여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시스템은, 상기 손실율이,
Figure 112010068700017-pat00002
에 의해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방법은, 부하 상태 측정부가, 다수의 수용가의 부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수용가의 부하로부터 복수의 전류 및 전압을 복수의 측정시간에 측정하는 단계; 영업정보 데이터 저장부가, 상기 다수의 수용가의 각각의 변압기로부터 갱신가능한 다수의 부하별 인입주 번호, 고객번호, 검침일, 계기번호, 사용자 성명, 검침 전력량을 포함하는 고객 현황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원격 감시 서버가, 상기 부하 상태 측정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전류, 전압 및 상기 복수의 측정시간을 수신하고, 상기 영업정보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상기 고객 현황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복수의 전류, 전압 및 상기 복수의 측정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가의 변압기별 부하 전력량을 연산하고, 상기 검침 전력량과 상기 부하 전력량을 이용하여 손실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수용가의 부하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방법은, 상기 부하 전력량이, 30분 시간 간격으로 상기 복수의 측정시간에서 측정된 상기 복수의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연산된 복수의 부하 전력량을 더하여 상기 부하 전력량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방법은, 상기 원격 감시 서버가,
Figure 112010068700017-pat00003
에 의해서 상기 손실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 시스템에 따르면, 부하 상태 감시부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전압, 전류 및 측정시간을 이용하여 산출한 변압기별 부하전력량(kWh)과, 영업정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갱신가능한 변압기별 검침 전력량(kWh)을 이용하여 변압기별 월 단위 손실율을 산출하여 부하를 감시하고 피드백하여, 저압 부하를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변압기 무선부하 감시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시스템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하 전력량 산출표,
도 4는 GIS를 이용한 영업정보 시스템의 예시적인 화면,
도 5는 영업정보 데이터 저장부(200)에 저장된 고객정보 데이터의 예시적인 화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 방법의 블럭도를 도시.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시스템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시스템은 부하 상태 측정부(100), 영업정보 데이터 저장부(200) 및 원격 감시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부하 상태 측정부(100)는 다수의 수용가의 부하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수의 수용가의 부하 전류, 전압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부하측의 복수의 전류, 전압 및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는 복수의 측정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부하 상태 측정부(100)는 무선부하 감시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종래의 무선부하 감시장치에 의해서 측정된 변압기의 전압 및 전류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및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한 복수의 측정시간에 대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부하 상태 측정부(100)는 다수의 수용가의 부하측 전류 및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부하 상태 측정부(100)가 다수의 수용가의 부하측의 전류 및 전압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저압 선로의 전기적 손실 분석을 통해 저압 전압 강하 개소를 점검할 수도 있다.
영업정보 데이터 저장부(200)는 상기 다수의 수용가의 복수의 변압기로부터 다수의 부하별 인입주 번호, 고객번호, 검침일, 계기번호, 사용자 성명, 검침 전력량을 포함하는 고객 현황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영업정보 데이터 저장부(20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데이터가 갱신될 수 있다. 이런 데이터의 갱신은 검침자가 수용가를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갱신정보를 수집하여 영업정보 데이터 저장부(200)에 저장하거나, 사용자가 유무선으로 자신의 갱신 정보를 영업정보 데이터에 제공함으로써 갱신될 수도 있다.
원격 감시 서버(300)는 부하 상태 측정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유무선으로 부하의 복수의 전류, 전압 및 이들을 측정한 복수의 측정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하 전력량 산출표를 도시한다.
도 3을 참고하여 부하 전력량을 산출하는 알고리즘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원격 감시 서버(300)가 부하 상태 측정부(100)로부터 부하 상태 데이터(복수의 전압, 전류)를 수신하고, 복수의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하여 다음 식에 의해서 부하 전력량(Wh)을 산출할 수 있다.
부하 전력량(Wh) = 전압(V) × 전류(A) × cos θ(역율) × h(시간)
예컨대, 역률이 0.9인 경우에 측정주기가 30분이면 부하 전력량(Wh) = 전력(W) × 0.9 × 0.5에 의해서 부하 전력량이 산출될 수 있다.
즉, 2010년04월18일 23:30 각 상별 변압기 평균 부하전력량은 A상은 0.88 [kWh]이고, B상은 3.73[kWh]이며, C상은 1.58[kWh]이다. 따라서, 2010년 4월 18일 23시30분에서 24시까지 30분간의 부하 전력량으로 6.19 [kWh]이 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30분 간격으로, 즉 2회 × 24시간 × 31일(1달) = 1,488 회/월 다수의 수용가의 복수의 부하 전력량을 한 달 동안 측정하고 복수의 부하 전력량을 합하여서 부하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부하별로 영업정보 데이터를 획득하는 검침주기와 부하 전력량을 산출하는 주기를 일치하도록 부하 전력량 산출 주기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한 달 동안 복수의 부하 전력량을 측정하고 이를 합하여서 부하 전력량을 산출하고, 영업정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도 갱신함으로써, 매월 손실율을 산출할 수 있다.
도 4는 GIS를 이용한 영업정보 시스템의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일반적으로 지리적 정보 시스템은 과거 인쇄물 형태로 이용하던 지도 및 지리정보를 컴퓨터를 이용해 작성·관리하고, 여기서 얻은 지리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를 수집·분석·가공하여 지형과 관련되는 모든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 설계된 종합 정보시스템을 말한다. 이런 GIS 정보 기술이 적용된 영업정보 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수의 수용가의 변압기별 사용자에 대한 영업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전기적 장치를 이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예컨대 시, 도, 구, 군 등의 경계나 교량 또는 각종 도로나 건물에 대한 정보를 입력, 관리하는 기본도 관리와 주소 등을 이용하여 GIS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갱신하는 지도검색, 고객정보를 입력하여 GIS정보를 컴퓨터나 작업기사의 PDA 또는 휴대전화에 디스플레이하거나 갱신하는 고객검색 그리고, 증폭기나 동축케이블, 분배기 등의 시설물을 GIS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갱신하는 시설물검색의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영업정보 시스템은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시스템)를 이용하여 변압기의 각각의 부하별로 인입주번호, 고객번호, 계기번호, 검침일자, 계약종별, 계약전력, 공급방식, 계약자 성명, 수용장소, 공동주택명, 전화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영업정보 데이터 저장부(2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수집된 영업정보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도 5는 영업정보 데이터 저장부(200)에 저장된 예시적인 고객정보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영업정보 데이터 저장부(200)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 인입주번호, 고객번호, 검침일, 계기번호, 사용자성명, 검침량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영업정보 데이터는 검침자에 의해서 현장에서 검침되어영업정보 데이터 저장부(200)에 저장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유무선으로 갱신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갱신될 수도 있다.
원격 감시 서버(300)는 영업정보 데이터 저장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영업정보 데이터 저장부(200)로부터 영업정보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러한 영업정보 데이터 내에는 다수의 수용가의 변압기별로 부하측의 정보를 포함한다. 영업정보 데이터 중에는 검침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변압기에서 일정 기간(2010년03월26일 ~ 04월25일) 동안 부하 전력량과 검침 전력량을 비교 분석하여 변압기별 손실율을 연산하고 이를 토대로 한 수용가의 부하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0068700017-pat00004
상기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2009년 2월 ~ 4월의 평균 손실율은 19%임을 알 수 있다. 즉, 2009년 2월은 17%, 3월은 19%, 4월은 22%임을 알 수 있다. 또한, 2010년 2월 ~ 4월의 평균 손실율은 14%임을 알 수 있다. 즉, 2010년 2월은 14%, 3월은 13%, 4월 15%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석보고서를 참고하면 2009년에 비해 2010년에는 평균손실율이 감소하였으므로 해당 개소의 수용가의 부하는 적정함을 알 수 있다.
다른 수용가의 부하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 표와 같다.
Figure 112010068700017-pat00005
상기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2009년 2월 ~ 4월의 평균 손실율은 -29%임을 알 수 있다. 즉, 2009년 2월은 -18%, 3월은 -41%, 4월은 -29%임을 알 수 있다. 한편, 2010년 2월 ~ 4월의 평균 손실율은 -30%임을 알 수 있다. 즉, 2010년 2월은 -27%, 3월은 -28%, 4월 -33%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석보고서를 참고하면 부하의 상태가 부적정하다는 판단을 할 수 있다.
이런 판단을 기초로 전력공급자는 부적정한 상태의 부하측을 현장 조사할 필요성이 있는 변압기로 판단한다. 전력공급자는 향후 부하측 현장 조사 후에 변압기별 고객현황에 대한 정비를 한다. 또한, 스마트 그리드 구축과 관련하여 고객의 데이터베이스를 정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시스템에 따르면, 저압부하측의 부하 상태를 감시할 수 있어서 저압선로의 전기적 손실 분석이 가능하고, 수용가의 계량기 역률 및 배수착오를 진단할 수 있으며, 매월 손실율을 감시함으로써 도전 및 누전 여부를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방법은, 다수의 수용가의 부하의 복수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S100), 고객현황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S200) 및 손실율을 산출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다수의 수용가의 부하의 복수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S100)는, 각각의 수용가의 부하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하 상태 측정부(100)가 전류 및 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런 센서에 의해서 다수의 수용가의 부하측에 흐르는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각 부하측에 흐르는 전압 및 전류는 일정한 시간 간격, 바람직하게는 30분 간격으로 측정될 수 있다. 즉, 한달 동안 1488회에 거쳐서 각 변압기별로 부하 전류 및 전압을 반복적으로 측정하고, 그 측정시간을 측정한다. 이렇게 측정된 복수의 전류, 전압, 복수의 측정시간은 전기적 저장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고객현황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S200)는, 고객정보 데이터 저장부(200)가 각각의 수용가의 변압기별로 수집된 고객현황 데이터를 입력받고, 이를 전기적 저장장치에 저장한다. 변압기별로 고객현황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은 공지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더라도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손실율을 산출하는 단계(S300)는, 원격 감시 서버(300)가 부하 상태 측정부(100)로부터 변압기별 복수의 부하 전압 및 전류를 수신하고, 고객정보 데이터 저장부(200)로부터 변압기별 검침 전력량을 수신한다.
원격 감시 서버(300)가 복수의 부하 전압, 전류 및 전압과 전류가 측정된 측정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부하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부하 전력량은 복수의 측정시간에 측정된 복수의 부하 전력량을 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원격 감시 서버(300)가 부하 전력량과 검침 전력량을 이용하여 변압기별 손실율을 최종적으로 연산할 수 있다.
상술한 대로 이런 손실율을 분석하여 저압 부하를 감시하고 부적정한 경우에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다수의 수용가의 부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수용가의 부하로부터 복수의 전류 및 전압을 복수의 측정시간에 측정하는 부하 상태 측정부;
    상기 다수의 수용가의 각각의 변압기로부터 갱신가능한 다수의 부하별 인입주 번호, 고객번호, 검침일, 계기번호, 사용자 성명, 검침 전력량을 포함하는 고객 현황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영업정보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부하 상태 측정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전류, 전압 및 상기 복수의 측정시간을 수신하고, 상기 영업정보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상기 고객 현황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복수의 전류, 전압 및 상기 복수의 측정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가의 변압기별 부하 전력량을 연산하고, 상기 검침 전력량과 상기 부하 전력량을 이용하여 변압기 손실율을 산출하는 원격 감시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부하 전력량은 30분 시간 간격으로 상기 복수의 측정시간에서 측정된 상기 복수의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연산된 복수의 부하 전력량을 더하여 연산하고,
    변압기 손실율은
    Figure 112012017429156-pat00014
    에 의해서
    산출되며,
    변압기별 전년도 월별 또는 분기별 손실율의 분석 결과를 서로 대비한 결과 손실율이 감소하였을 경우에 적정하다고 판단하고,
    대비한 결과 손실율이 증가하였을 경우에 부적정하다고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부하 상태 측정부가, 다수의 수용가의 부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수용가의 부하로부터 복수의 전류, 전압을 복수의 측정시간에 측정하는 단계;
    영업정보 데이터 저장부가, 상기 다수의 수용가의 각각의 변압기로부터 갱신가능한 다수의 부하별 인입주 번호, 고객번호, 검침일, 계기번호, 사용자 성명, 검침 전력량을 포함하는 고객 현황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원격 감시 서버가, 상기 부하 상태 측정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전류, 전압, 역률 및 상기 복수의 측정시간을 수신하고, 상기 영업정보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상기 고객 현황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복수의 전류, 전압 및 상기 복수의 측정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가의 변압기별 부하 전력량을 연산하고, 상기 검침 전력량과 상기 부하 전력량을 이용하여 변압기 손실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부하 전력량은 30분 시간 간격으로 상기 복수의 측정시간에서 측정된 상기 복수의 전류, 전압을 이용하여 연산된 복수의 부하 전력량을 더하여 상기 부하 전력량을 연산하고,
    변압기 손실율은
    Figure 112012017429156-pat00015
    에 의해서 상기 손실율을 산출하며,
    변압기별 전년도 월별 또는 분기별 손실율의 분석 결과를 서로 대비하여 손실율이 감소하였을 경우에 적정하다고 판단하고,
    대비한 결과 손실율이 증가하였을 경우에 부적정하다고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00103854A 2010-10-25 2010-10-25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168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854A KR101168058B1 (ko) 2010-10-25 2010-10-25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854A KR101168058B1 (ko) 2010-10-25 2010-10-25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038A KR20120062038A (ko) 2012-06-14
KR101168058B1 true KR101168058B1 (ko) 2012-07-24

Family

ID=46683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854A KR101168058B1 (ko) 2010-10-25 2010-10-25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0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331B1 (ko) * 2017-03-30 2021-03-05 엘에스일렉트릭(주) 전기에너지 관리시스템
KR102352938B1 (ko) * 2019-10-10 2022-01-20 한국전력공사 Dcu 검침량 연계 변압기 부하 감시시스템
CN112557745A (zh) * 2020-12-08 2021-03-26 国网山西省电力公司临汾供电公司 一种线损监测的功率叠加对比系统及方法
KR20230108012A (ko) 2022-01-10 2023-07-18 한국전력공사 Dcu-ami 연계 실시간 변압기 부하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985B1 (ko) 2005-01-14 2006-09-14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수용가의 도전 및 누전 감시가 가능한 원격검침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985B1 (ko) 2005-01-14 2006-09-14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수용가의 도전 및 누전 감시가 가능한 원격검침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0년 정보 및 제어 학술대회 논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038A (ko)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9125B2 (en) Distributed asset optimization (DAO) system and method
JP6164030B2 (ja) 相判定プログラム、相判定方法および相判定装置
JP4266011B2 (ja) 配電系統負荷想定方法、配電系統負荷想定装置
KR101173769B1 (ko) 동태적 시변 전력요금제를 지원하는 전력량계
US7801647B2 (en) Method of tracking power outages
US20120078680A1 (en) Electrical Engineering And Capac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402575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Demand Management Monitoring System
US20170122989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Energy Consumption Metering System and Energy Consumption Metering System
CN104242466A (zh) 使用计量器数据的分发系统分析
KR101168058B1 (ko)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 시스템 및 방법
US20170292999A1 (en) Transformer monitoring and data analysis systems and methods
CN114757478A (zh) 电能采集异常的监控方法、监控器、系统以及电子设备
KR20160043240A (ko)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최적 전력 요금제 추천 시스템
CN114778936A (zh) 电能计量异常的监控方法、监控器、系统以及电子设备
CN210438843U (zh) 电位监测系统
US10847974B2 (en) Device and method for estimating a voltage distribution along a power distribution line in a high-voltage system
Balan et al. Development of smart energy monitoring using NB-IOT and cloud
KR102352938B1 (ko) Dcu 검침량 연계 변압기 부하 감시시스템
Hasa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meter for smart city
JP4773606B2 (ja)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JP6164031B2 (ja) 不平衡判定プログラム、不平衡判定方法および不平衡判定装置
WO2012040515A1 (en) Electrical engineering and capac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07003358A (ja) 電力量情報処理システム、電力量情報処理方法、および電力量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5560828B2 (ja) 変圧器の負荷推定方法
Neagu et al. Monitoring system of electric energy consumption to u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