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240A -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최적 전력 요금제 추천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최적 전력 요금제 추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240A
KR20160043240A KR1020140137023A KR20140137023A KR20160043240A KR 20160043240 A KR20160043240 A KR 20160043240A KR 1020140137023 A KR1020140137023 A KR 1020140137023A KR 20140137023 A KR20140137023 A KR 20140137023A KR 20160043240 A KR20160043240 A KR 20160043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ower
module
meter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7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Original Assignee
김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민 filed Critical 김영민
Priority to KR1020140137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3240A/ko
Publication of KR20160043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업장에 설치된 전력 계측기들을 통하여 사업장의 시간대별 사용 전력량[kWh]을 일별, 월별, 연(Year)별 집계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성하여, 전력 요금 산정시 가중치 적용되는 전력 부하별(저부하, 중부하, 최대부하) 사용 비율 정보를 제공하는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을 구성하고, 이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 공급사(대한민국의 경우 한국전력)에서 제공하는 전기 요금제별 요금 산정 방식을 적용하여 각 요금제별로 해당 사업장의 전기요금들을 산출하여, 현재 채택한 요금제 대비 다른 요금제를 채택했을 경우의 전기 요금 차액을 비교할 수 있고 해당 사업장에서 가장 낮은 비용의 전력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최적 전력 요금제 추천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최적 전력 요금제 추천 시스템{Hourly electric power load analysis system and Optimal electricity rates recommendation system using this system}
본 발명은 사업장에 설치된 전력 계측기들을 통하여 사업장의 시간대별 사용 전력량[kWh]을 일별, 월별, 연(Year)별 집계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성하여, 전력 요금 산정시 가중치 적용되는 전력 부하별(저부하, 중부하, 최대부하) 사용 비율 정보를 제공하는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을 구성하고, 이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 공급사(대한민국의 경우 한국전력)에서 제공하는 전기 요금제별 요금 산정 방식을 적용하여 각 요금제별로 해당 사업장의 전기요금들을 산출하여, 현재 채택한 요금제 대비 다른 요금제를 채택했을 경우의 전기 요금 차액을 비교할 수 있고 해당 사업장에서 가장 낮은 비용의 전력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최적 전력 요금제 추천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전으로 우리가 이용하는 에너지원들은 다양하지만, 그 중 '전력(Electric power)'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이러한 전력 에너지도 해가 갈수록 요금이 상승하고 있고, 전력 요금이 기업의 생산 활동에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전력은 여유 에너지 저장의 한계로 인하여 부하(load)의 관리가 중요하며, 실제로 전력공급사에서는 전력 사용량이 많은 부하 시간대와 적은 부하 시간대를 구분하고 요금 단가를 차등하여 적용한다. 따라서 전력을 이용하는 수용가 입장에서는 전력 사용량을 줄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낮은 부하 시간대를 잘 활용하고 높은 부하 시간대에 전력 사용량을 가급적 줄일 수 있는 것도 전력 요금 절감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최근 정보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사업장 내의 에너지 사용량을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Energy Management System)'을 구축하는 것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제공되는 대부분의 에너지관리시스템은 전력 사용량 정보만 제공되고 있어서 사용자 입장에서 절감을 위한 정보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업장에 설치된 전력 계측기들을 통하여 사업장의 시간대별 사용 전력량[kWh]을 일별, 월별, 연(Year)별 집계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성하여, 전력 요금 산정시 가중치 적용되는 전력 부하별(저부하, 중부하, 최대부하) 사용 비율 정보를 제공하는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을 구성하고, 이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 공급사(대한민국의 경우 한국전력)에서 제공하는 전기 요금제별 요금 산정 방식을 적용하여 각 요금제별로 해당 사업장의 전기요금들을 산출하여, 현재 채택한 요금제 대비 다른 요금제를 채택했을시의 전기 요금 차액을 비교할 수 있고 해당 사업장에서 가장 낮은 비용의 전력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최적 전력 요금제 추천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최적 전력 요금제 추천 시스템은 인터넷으로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접속되는 운영서버와 DB서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는, 사업장에 부착된 계측기로부터 계측된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를 RS485, RS232, 이더넷(Ethernet), Zigbee 등 여러 통신 방식을 통하여 수신하여 계측기별 데이터 Table에 저장하는 계측기 데이터 수신모듈과, 수신된 데이터를 계측기별로 하부 각 설비별 분배율에 따라 배분하여 각 계측기별 데이터 Table에 저장하는 계측기 데이터 분배율 적용 모듈과, 계측기와 설비별로 저장된 데이터들을 1시간 간격으로 집계하여 부하 시간대별 사용량 Table과 계측기별 데이터 Table과 설비별 데이터 Table에 각각 별도로 저장하도록 하는 데이터 집계 모듈과, 전력 공급사(예: 한국전력)에서 제시하는 요금제별 부하 시간대별 단가[원], 부하 시간대 지정 정보를 사용자가 등록하고 변경될 수 변경 등록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전력 요금제 관리 모듈과, 각 요금제별 요금 계산 방식에 따라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에 기반하여 요금을 산정하는 요금 계산 모듈과, 본 시스템의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들을 화면에 구현해주는 조회 화면 구현 모듈과, 사용자가 본 시스템을 이용하면서 조회한 데이터들을 엑셀 파일로 변환하여 다운로드를 받도록 하는 엑셀 파일 변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B서버는, 사업장의 설비 정보를 저장하는 설비 Table과, 계측기 정보를 저장하는 계측기 Table과, 계측기별로 하부 연결된 각 설비들의 분배 비율 정보를 저장하는 계측기-설비 분배율 Table과, 사업장의 공정 정보와 각 공정을 구성하는 설비들의 구성 정보를 저장하는 공정-설비 Table과, 전력 공급사가 제시하는 각 요금제별 요금단가 데이터를 관리하는 전력요금제 Table과, 일자별 시간별로 전력 사용량을 집계 관리하는 부하 시간대별 사용량 Table과, 계측기별로 측정된 전력 사용량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계측기별 데이터 Table과, 배분율에 의해 계측기 사용량 데이터로부터 배분되어 각 설비별 전력 사용량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설비별 데이터 Tab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최적 전력 요금제 추천 시스템은 사업장에 설치된 전력 계측기들을 통하여 사업장의 시간대별 사용 전력량[kWh]을 일별, 월별, 연(Year)별 집계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성하여, 전력 요금 산정시 가중치 적용되는 전력 부하별(저부하, 중부하, 최대부하) 사용 비율 정보를 제공하는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을 구성하고, 이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 공급사(대한민국의 경우 한국전력)에서 제공하는 전기 요금제별 요금 산정 방식을 적용하여 각 요금제별로 해당 사업장의 전기요금들을 산출하여, 현재 채택한 요금제 대비 다른 요금제를 채택했을시의 전기 요금 차액을 비교할 수 있고 해당 사업장에서 가장 낮은 비용의 전력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최적 전력 요금제 추천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다.
전력 공급사가 전력 사용량이 많은 부하 시간대와 적은 부하 시간대를 구분하고 요금 단가를 차등하여 적용함에 따라, 전력을 이용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전력 사용량을 줄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최적 전력 요금제 추천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가 낮은 부하 시간대를 잘 활용하고 높은 부하 시간대에 전력 사용량을 가급적 줄일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전력 사용 패턴을 기준으로 현재 채택한 요금제와 다른 요금제들과의 비용 차이를 보여주어 가장 저렴한 전력 요금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최적 전력 요금제 추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최적 전력 요금제 추천 시스템의 운영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최적 전력 요금제 추천 시스템의 DB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위하여 여러 공정으로 나뉘어진 사업장에서 전력 계측기들의 하부에 단독 또는 복수의 생산 설비들로 구성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위하여 사업장에 설치된 전력 계측기들의 전력량 데이터가 RS485 등과 같은 통신 수단을 통하여 DB서버에 전송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위하여 전력 공급사에서 사용자(수용가)에 부과하는 전기 요금제별 기본요금 및 경부하, 중부하, 최대부하별 요금 단가표의 일부를 표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위하여 전력 공급사에서 사용자(수용가)에 부과하는 전기 요금 관련하여 부하별 시간대를 구분한 것을 표시한 것이다.
도8은 전력 계측기로부터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수집하여 최종적으로 사업장의 공정별, 설비별로 부하 시간대별 전력 사용량 분석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부하 시간대별 사용량 Table에 저장된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사업장(사용자)에게 각 전기 요금제별 전기 요금을 산출하여 보여주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 중, 사업장의 공정별로 특정 연도에 대한 월별로 부하 시간대별 전력 사용량을 분석한 것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 중, 사업장의 공정별로 특정 월에 대한 일자별로 부하 시간대별 전력 사용량을 분석한 것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 중, 사업장의 생산 설비별로 특정 연도에 대한 월별로 부하 시간대별 전력 사용량을 분석한 것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 중, 사업장의 생산 설비별로 특정 월에 대한 일자별로 부하 시간대별 전력 사용량을 분석한 것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전력 데이터들을 취합하여, 이를 각 전력 요금제별로 적용하여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요금제별 전력 요금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별로 하부 설비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각 설비별로 분배율(%)을 설정하는 것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최적 전력 요금제 추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1을 참고하면,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최적 전력 요금제 추천 시스템은 인터넷(100)으로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접속되는 운영서버(300)와 DB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최적 전력 요금제 추천 시스템의 운영서버(3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영서버(3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운영서버(300)는, 사업장에 부착된 계측기로부터 계측된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를 RS485, RS232, 이더넷(Ethernet), Zigbee 등 여러 통신 방식을 통하여 수신하여 계측기별 데이터 Table에 저장하는 계측기 데이터 수신모듈(302)과, 수신된 데이터를 계측기별로 하부 각 설비별 분배율에 따라 배분하여 각 계측기별 데이터 Table(407)에 저장하는 계측기 데이터 분배율 적용 모듈(303)과, 계측기와 설비별로 저장된 데이터들을 1시간 간격으로 집계하여 부하 시간대별 사용량 Table(406)과 계측기별 데이터 Table(407)과 설비별 데이터 Table(408)에 각각 별도로 저장하도록 하는 데이터 집계 모듈(304)과, 전력 공급사(예: 한국전력)에서 제시하는 요금제별 부하 시간대별 단가[원], 부하 시간대 지정 정보를 사용자가 등록하고 변경될 수 변경 등록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전력 요금제 관리 모듈(305)과, 각 요금제별 요금 계산 방식에 따라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에 기반하여 요금을 산정하는 요금 계산 모듈(306)과, 본 시스템의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들을 화면에 구현해주는 조회 화면 구현 모듈(307)과, 사용자가 본 시스템을 이용하면서 조회한 데이터들을 엑셀 파일로 변환하여 다운로드를 받도록 하는 엑셀 파일 변환 모듈(30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DB서버(4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최적 전력 요금제 추천 시스템의 DB서버(4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DB서버(400)는, 사업장의 설비 정보를 저장하는 설비 Table(401)과, 계측기 정보를 저장하는 계측기 Table(402)과, 계측기별로 하부 연결된 각 설비들의 분배 비율 정보를 저장하는 계측기-설비 분배율 Tabl(403)e과, 사업장의 공정 정보와 각 공정을 구성하는 설비들의 구성 정보를 저장하는 공정-설비 Table(404)과, 전력 공급사가 제시하는 각 요금제별 요금단가 데이터를 관리하는 전력요금제 Table(405)과, 일자별 시간별로 전력 사용량을 집계 관리하는 부하 시간대별 사용량 Table(406)과, 계측기별로 측정된 전력 사용량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계측기별 데이터 Table(407)과, 배분율에 의해 계측기 사용량 데이터로부터 배분되어 각 설비별 전력 사용량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설비별 데이터 Table(40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위하여 여러 공정으로 나뉘어진 사업장(예:공장)에서 전력 계측기(103)들의 하부에 단독 또는 복수의 생산 설비(101)들로 구성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사업장 내부는 여러 생산 설비(101)들이 공정(102) 단위로 구분되어진다. 또한 이들 설비(101)들 중 전기를 이용하는 설비(101)들은 본 그림과 같이 전력 계측기(103)들이 부착되어질 수 있는데, 이들 전력 계측기(103)는 특정한 설비(101) 단독의 전력 사용량이 측정되도록 부착되거나, 다수 설비(101)들의 전력 사용량이 합쳐져서 측정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관련하여, 도5는 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위하여 사업장에 설치된 전력 계측기(103)들의 전력량 데이터가 RS485 등과 같은 통신 수단(201)을 통하여 PC 또는 서버(202)로 전송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전력 계측기(103)들이 사업장 내에 설치된 유선 네트워크(예: RS485, RS232, 이더넷 등)(201) 또는 무선 네트워크(예: Wi-fi, Zigbee 등)(201)를 통하여 측정된 전력량 데이터들이 데이터 수집 PC(202) 또는 서버(202)에 집결되어, 이 데이터들을 집계 분석한 정보들을 유저(User)(203)들에게 제공하게 된다.
도6과 도7은 본 발명에 대한 보충 설명을 위하여, 각각 전력 공급사에서 사용자(수용가)에 부과하는 전기 요금제별 기본요금 및 경부하, 중부하, 최대부하별 요금 단가표의 일부를 표시한 그림 및 전력 공급사에서 사용자(수용가)에 부과하는 전기 요금 관련하여 부하별 시간대를 구분한 것을 표시한 것이다. 본 그림들과 같이, 전력 공급사에서 부과하는 전력요금은, 단순 사용 전력량[kWh]만으로 계산되지 않으며 시간대별로 경부하, 중간부하, 최대부하로 구분되어 전기요금이 차등 적용되어 부과되며, 부하 시간대별 단위 요금도 사용자가 선택한 요금제별로 달리하여 부과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입장에서 전기 요금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단순 전력 사용량 절감의 노력 외에, 단가가 높은 부하 시간대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과 사용자의 사용 환경에 적합한 요금제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며, 본 발명은 그러한 사용자의 행위를 올바르게 취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다.
도8은 전력 계측기로부터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수집하여 최종적으로 사업장의 공정별, 설비별로 부하 시간대별 전력 사용량 분석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전력 계측기(103)로 측정된 전력 사용량 데이터가 사업장 내에 설치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201)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시스템의 계측기 데이터 수신모듈(302)를 통하여 계측기별 데이터 Table(407)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저장된 계측기(103)별 전력 사용량 데이터는 도4와 같이 각 계측기(103)별로 생산 설비(101)가 1:1로 연결되거나, 1:n개로 연결 될 수 있는데, 계측기 데이터 분배율 적용 모듈(303)을 통하여 계측기 Table(402)와 설비 Table(401) 상에 등록된 계측기(103)와 설비(101)간의 분배 비율(%) 설정 관리한다. 또한 설정하여 등록한 배분 비율 데이터들은 정기적으로 변경 관리할 수 있다. 참고로 도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103)별로 하부 설비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각 설비별로 분배율(%)을 설정하는 것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계측기(103)로 측정된 전력량 데이터[kWh]들은 사업장의 각 설비(101)들의 전력 사용량으로 배분되어 설비별 데이터 Table(408)에 등록된다. 이는 다시 데이터 집계 모듈(304)을 통하여 시각 단위로(예: 2014년 10월 1일 14시)로 집계되어 부하 시간대별 사용량 Table(406)에 저장되며, 결과적으로 사업장 내의 각 설비(101)별로 부하 시간대별로 집계된 전력 사용량 데이터들은 조회 화면 구현 모듈(307)을 통하여 화면으로 구현된다. 도12와 도13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업장의 생산 설비(101)별로 특정 연도에 대한 월별로 부하 시간대별 전력 사용량을 분석한 것을 보여주는 화면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업장의 생산 설비(101)별로 특정 월에 대한 일자별로 부하 시간대별 전력 사용량을 분석한 것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그림과 같이 부하 시간대별로 전력 사용량 집계 데이터 외에, 총 전력 사용량 대비 각 부하 수준(저부하, 중부하, 최대부하)별 사용량을 나누어 각 부하 수준별 점유율(%) 데이터를 설비(101)별로 볼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부하 시간대별 전력 사용량 집계 데이터는 개별 설비(101)별 외에 사업장의 공정(102) 단위별로도 볼 수 있다. 즉, 공정-설비 Table(404)에 등록되어 있는 사업장 내의 공정(102)별로 등록된 설비(101)들 목록 정보를 활용하여, 특정 공정(102)에 포함된 개별 설비(103)들의 부하 시간대별 전력 사용량의 합산으로 사업장 내의 공정(102)별로 부하 시간대별 전력 사용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10과 도11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업장의 공정(102)별로 특정 연도에 대한 월별로 부하 시간대별 전력 사용량을 분석한 것을 보여주는 화면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업장의 공정(102)별로 특정 월에 대한 일자별로 부하 시간대별 전력 사용량을 분석한 것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그림과 같이 부하 시간대별로 전력 사용량 집계 데이터 외에, 총 전력 사용량 대비 각 부하 수준(저부하, 중부하, 최대부하)별 사용량을 나누어 각 부하 수준별 점유율(%) 데이터를 공정(102)별로 볼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9는 부하 시간대별 사용량 Table에 저장된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사업장(사용자)에게 각 전기 요금제별 전기 요금을 산출하여 보여주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앞서 기술하였듯이 전력 공급자(예: 한국전력)가 사용자에게 부과하는 전기 요금은 동일한 전력 사용량[kWh]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선택하는 요금제와 부하 시간대별(저부하, 중부하, 최대부하) 사용량의 분포에 따라 달라진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부하 시간대별 사용량 Table(406)의 데이터들을 각 일자별의 시간대별로 총합하고, 전력 요금제 관리 모듈(305)을 통해 등록되어 전력 요금제 Table(405)에 저장된 각 요금제별 부하 시간대별 요금 단가를 이용하여 요금 계산 모듈(306)이 사용자가 실제 사용한 전력량 정보를 기반으로 각 요금제별로 전기 요금을 산출한다. 도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전력 데이터들을 취합하여, 이를 각 전력 요금제별로 적용하여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요금제별 전력 요금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Claims (3)

  1. 사업장에 부착된 계측기로부터 계측된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를 RS485, RS232, 이더넷(Ethernet), Zigbee 등 여러 통신 방식을 통하여 수신하여 계측기별 데이터 Table에 저장하는 계측기 데이터 수신모듈과, 수신된 데이터를 계측기별로 하부 각 설비별 분배율에 따라 배분하여 각 계측기별 데이터 Table에 저장하는 계측기 데이터 분배율 적용 모듈과, 계측기와 설비별로 저장된 데이터들을 1시간 간격으로 집계하여 부하 시간대별 사용량 Table과 계측기별 데이터 Table과 설비별 데이터 Table에 각각 별도로 저장하도록 하는 데이터 집계 모듈과, 전력 공급사(예: 한국전력)에서 제시하는 요금제별 부하 시간대별 단가[원], 부하 시간대 지정 정보를 사용자가 등록하고 변경될 수 변경 등록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전력 요금제 관리 모듈과, 각 요금제별 요금 계산 방식에 따라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에 기반하여 요금을 산정하는 요금 계산 모듈과, 본 시스템의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들을 화면에 구현해주는 조회 화면 구현 모듈과, 사용자가 본 시스템을 이용하면서 조회한 데이터들을 엑셀 파일로 변환하여 다운로드를 받도록 하는 엑셀 파일 변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영서버;
    사업장의 설비 정보를 저장하는 설비 Table과, 계측기 정보를 저장하는 계측기 Table과, 계측기별로 하부 연결된 각 설비들의 분배 비율 정보를 저장하는 계측기-설비 분배율 Table과, 사업장의 공정 정보와 각 공정을 구성하는 설비들의 구성 정보를 저장하는 공정-설비 Table과, 전력 공급사가 제시하는 각 요금제별 요금단가 데이터를 관리하는 전력요금제 Table과, 일자별 시간별로 전력 사용량을 집계 관리하는 부하 시간대별 사용량 Table과, 계측기별로 측정된 전력 사용량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계측기별 데이터 Table과, 배분율에 의해 계측기 사용량 데이터로부터 배분되어 각 설비별 전력 사용량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설비별 데이터 Tab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B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최적 전력 요금제 추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전력 계측기의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수집하여 최종적으로 사업장의 공정별, 설비별로 부하 시간대별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월별, 일자별로 생성하는 과정과 공정별, 설비별로 전력 사용량에서 각 부하 수준(저부하, 중부하, 최대부하)별 사용량 점유율(%)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최적 전력 요금제 추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부하 시간대별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사업장(사용자)에게 각 전기 요금제별 전기 요금을 산출하여 보여주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최적 전력 요금제 추천 시스템.
KR1020140137023A 2014-10-10 2014-10-10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최적 전력 요금제 추천 시스템 KR20160043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023A KR20160043240A (ko) 2014-10-10 2014-10-10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최적 전력 요금제 추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023A KR20160043240A (ko) 2014-10-10 2014-10-10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최적 전력 요금제 추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240A true KR20160043240A (ko) 2016-04-21

Family

ID=55917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7023A KR20160043240A (ko) 2014-10-10 2014-10-10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최적 전력 요금제 추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324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573A (ko) 2016-10-24 2018-05-03 주식회사 쿠루 전기요금 절감을 위한 태양광 발전 전환 스위칭 시스템
KR20200142752A (ko) * 2019-06-13 2020-12-23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인공지능 기반의 요금제 추천이 가능한 전력량 계측장치 및 그 요금제 추천방법
KR102268012B1 (ko) * 2020-09-15 2021-06-23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전력 계산 장치 및 전력 계산 방법
KR102428448B1 (ko) 2022-05-10 2022-08-01 이상현 인공지능 기반 전기 사용 시설의 계약 전력 최적화 방법
KR20230083656A (ko) 2021-12-03 2023-06-12 주식회사 해줌 Re100 이행을 위한 태양광 발전 전환 스위칭 시스템
KR102570098B1 (ko) * 2023-01-30 2023-08-24 주식회사 지노베이션씨앤지 전력요금 절감 컨설팅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573A (ko) 2016-10-24 2018-05-03 주식회사 쿠루 전기요금 절감을 위한 태양광 발전 전환 스위칭 시스템
KR20200142752A (ko) * 2019-06-13 2020-12-23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인공지능 기반의 요금제 추천이 가능한 전력량 계측장치 및 그 요금제 추천방법
KR102268012B1 (ko) * 2020-09-15 2021-06-23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전력 계산 장치 및 전력 계산 방법
KR20230083656A (ko) 2021-12-03 2023-06-12 주식회사 해줌 Re100 이행을 위한 태양광 발전 전환 스위칭 시스템
KR102428448B1 (ko) 2022-05-10 2022-08-01 이상현 인공지능 기반 전기 사용 시설의 계약 전력 최적화 방법
KR102570098B1 (ko) * 2023-01-30 2023-08-24 주식회사 지노베이션씨앤지 전력요금 절감 컨설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3240A (ko) 부하 시간대별 전력량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최적 전력 요금제 추천 시스템
KR101173769B1 (ko) 동태적 시변 전력요금제를 지원하는 전력량계
Lima et al. Smart metering and systems to support a conscious use of water and electricity
US201802936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tail Consumers to Purchase Dynamically Priced Wholesale Electricity Generation Services
US20140236508A1 (en) Method for energy consumption monitoring and control and system therefrom
JP2012190457A (ja) エネルギー表示装置及びエネルギー表示方法
US201301519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terprise utility data aggregation, management, and reporting
SA515360874B1 (ar) نظام لقياس إستخدام المصدر ومعالجة بيانات الدفع وعمل الفاتورة
CN107228974B (zh) 一种基于实时用电的计量系统与方法
CN107563740A (zh) 电力交易购电管理平台系统及表计数据采集方法
Pesola et al. Multicriteria evaluation of alternatives for remote monitoring systems of municipal buildings
Sheeba et al. Real-time monitoring of energy meters using cloud storage
Balan et al. Development of smart energy monitoring using NB-IOT and cloud
Aravind et al. Smart electricity meter on real time price forecasting and monitoring system
KR101807975B1 (ko) 계측기 하부 설비별로 계측 데이터에 대한 분배율 적용을 통한 제품의 에너지 비용 산출 모듈을 포함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
KR20120062038A (ko) 변압기 스마트 부하감시 시스템 및 방법
Fernando et al. Smart electricity monitoring and analysing an IoT system with a mobile application
JP2017207887A (ja) 電力消費量用途分解装置
AU2014100351A4 (en) A system that comprehensively provides real-time billing of energy usage with a minute by minute live billing update to the user.
Pereyra-Zamora et al. An infrastructure of dynamic tariff management and demand response applied to smart grids using renewable energy resources and energy storage systems
Priy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mart energy meter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neural network approach
Baruah et al. Low-Cost Power Monitoring System
CN105631606A (zh) 一种基于能量计量网络图的能源数据管理系统及方法
JP2016144370A (ja) 計測装置、プログラム、方法、及び、電力管理装置
Palati et al. Unmanned Electrical Energy Billing System and Theft Control Using the GSM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