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019B1 - 케이블 배선작업용 공구 - Google Patents

케이블 배선작업용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8019B1
KR101168019B1 KR1020110016832A KR20110016832A KR101168019B1 KR 101168019 B1 KR101168019 B1 KR 101168019B1 KR 1020110016832 A KR1020110016832 A KR 1020110016832A KR 20110016832 A KR20110016832 A KR 20110016832A KR 101168019 B1 KR101168019 B1 KR 101168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ray
support
rolle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6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rollers which are moved, e.g. over a supporting surface, by the traction element to effect conveyance of loads or load-c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케이블 배선작업용 공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배선작업용 공구는, 케이블 트레이의 러너바 또는 케이블 트레이를 선체에 고정, 지지하는 지지바에 착탈 조립되는 트레이조립부; 및 케이블 트레이 외측으로 인출되는 케이블과, 케이블 트레이 러너바 또는 지지바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케이블과의 접촉면을 제공하고, 케이블의 이동에 연동 회전되는 받침롤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배선작업용 공구{tool for cable laying working}
본 발명은 케이블 배선작업용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배선하는 과정에서 사용가능한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및 해양구조물 등에는 전원 공급 등을 위한 다수의 케이블이 천장 및 바닥, 또는 벽체에 근접하게 배설되며, 다른 배선과의 효율적인 배치, 사용자의 통행성 등을 위해 케이블을 특정 위치, 형태로 지지가능한 케이블 행거(cable hanger) 또는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가 사용되고 있다.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의 배선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한쌍의 러너바(runner bar)와, 한쌍의 러너바 사이에 다수가 이격 설치되는 티어바(tier bar)로 이루어지며, 케이블 트레이 지지바에 의해 선체(inner hull)상에 고정설치된다.
케이블 트레이의 연장방향을 따라 케이블을 풀링(pulling)시키거나, 케이블 트레이상에서 러너바 외부로 일부 케이블을 인출시키는 작업과정에서, 러너바, 지지바를 포함한 주변의 바(bar) 형상의 부재의 가장자리 단부와의 마찰 등에 의해 케이블이 손상되어, 누전, 합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케이블을 포설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기술들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케이블 트레이 자체의 구조를 개시한 것으로, 케이블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임의로 착탈시킬 수 없으며, 케이블 트레이의 연장방향을 따라 케이블을 풀링(pulling)시키는 작업에만 한정되어 효과가 구현되는 한계가 있다.
또한, 다수의 수직롤러, 수평롤러를 이용, 고정시키기 위한 대형의 설치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설치, 분해작업이 번거로워 실질적으로 그 적용이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케이블 트레이상에서 러너바 외부로 일부 케이블을 인출시키는 작업과정에서, 러너바, 지지바를 포함한 바 형상의 부재의 가장자리 단부와의 마찰 등에 의한 케이블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립 및 해제가능한 케이블 배선작업용 공구를 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케이블 트레이의 러너바(11) 또는 케이블 트레이(10)를 선체에 고정, 지지하는 지지바(30)에 착탈 조립되는 트레이조립부(110); 및 상기 케이블 트레이(10) 외측으로 인출되는 케이블(20)과, 상기 케이블 트레이 러너바(11) 또는 지지바(30)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케이블(20)과의 접촉면을 제공하고, 케이블(20)의 이동에 연동 회전되는 받침롤러부(120);를 는 것을 케이블 배선작업용 공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조립부(110)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러너바(11) 또는 지지바(3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베이스부(111); 및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러너바(11) 또는 지지바(30)의 타측면에 구비되며, 볼트 조립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111)와의 간격이 조정되는 조립접촉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롤러부(120)는, 제1롤러부(120a); 및 상기 제1롤러부(120a)와 연속된 케이블 접촉면(122)을 형성하며, 상기 제1롤러부(120a) 내외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받침롤러부(120)의 길이를 신축조정하는 제2롤러부(12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롤러부(120)는, 케이블(20)의 종단면 일부가 인입가능하도록 케이블 접촉면(122) 둘레에 오목하게 함몰형성되는 케이블 안내홈(122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조립부(110)상에 상기 받침롤러부(120)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받침롤러부의 샤프트(121)의 양단부가 결합되는 롤러지지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지지부(130)는, 상기 트레이조립부(110)에 고정설치되며, 호(弧)형상의 슬릿(131a)이 상기 받침롤러부의 샤프트(121)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고정슬릿부(131); 및 상기 받침롤러부의 샤프트(121)가 결합되고, 케이블(20)의 인출방향에 따라 상기 받침롤러부(120)의 방향이 회전 조정되도록 상기 고정슬릿부(131)상에 슬릿(131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릿이동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케이블에 완만한 접촉면을 제공하고 케이블의 이동에 연동회전되는 받침롤러부를 구비함으로써, 케이블 트레이상에서 러너바 외부로 일부 케이블을 인출시키는 작업과정에서, 러너바, 지지바를 포함한 바 형상의 부재의 가장자리 단부와의 마찰 등에 의한 케이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러너바, 지지바를 포함한 바 형상의 부재에 임의로 착탈 조립가능한 트레이조립부를 구비함으로써, 한정된 공간 내에서 설치 방향과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가능하고, 반복하여 사용가능하여 실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받침롤러부의 전체 길이를 신축 조정할 수 있으며, 케이블의 인출방향에 따라 받침롤러부의 각도, 방향을 조정할 수 있으며, 다수의 케이블 인출용 공구를 이용하여 -자형 이외에, ㄱ자형, ㄴ자형, ㄷ자형 ㅅ자형 등 다양한 형상의 모서리를 가지는 부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배선작업용 공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 - 도 1의 측면도
도 3 - 받침롤러부의 연장길이를 신축조정시키는 일례를 도시한 요부 정면도
도 4 - 도 3에 적용된 가이드홀과 홀체결수단의 일례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
도 5 - 받침롤러부의 방향을 조정시키는 일례를 도시한 요부 평면도.
도 6 - 케이블 트레이의 러너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 - ㄴ자 형상의 모서리를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의 러너바 및 지지바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배선작업용 공구들을 설치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배선작업용 공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1,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트레이조립부(110), 받침롤러부(120), 롤러지지부(130)로 이루어지며, 케이블 트레이(10)의 러너바(11) 또는 케이블 트레이(10)를 선체(inner hull)에 고정, 지지하는 지지바(30)에 조립된다.
상기 트레이조립부(110)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러너바(11) 또는 지지바(3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베이스부(111)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러너바(11) 또는 지지바(30)의 타측면에 구비되며, 볼트 조립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111)와의 간격이 조정되는 조립접촉부(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롤러부(120)는, 상기 트레이조립부(110)의 설치에 의해, 상기 케이블 트레이(10) 외측으로 인출되는 케이블(20)과,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러너바(11) 또는 지지바(30)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트레이조립부(110)의 일측부에 결합된다.
상기 받침롤러부(120)는, 케이블(20)과 접촉되는 외면이 완만한 곡면을 이루는 롤러형상을 가지는데, 이하에서는 이러한 상기 받침롤러부(120)의 외면을 케이블 접촉면(122)이라 한다.
케이블(20)이 상기 케이블 접촉면(122)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면, 케이블(20)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케이블(20) 외피와의 접촉, 마찰로 인해 케이블(2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받침롤러부(120)를 상기 트레이조립부(110)에 결합시킴에 있어서는, 상기 받침롤러부(120)가 러너바(11)나 지지바(30)로부터 이격, 회전가능할 정도로, 상기 트레이조립부(110)의 사이즈를 확대하거나, 상기 받침롤러부(120)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면, 상기 트레이조립부(110)에 상기 받침롤러부의 샤프트(121)를 직접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 받침롤러부의 샤프트(121)의 단부를 결합시킬 수 있을 정도로 상기 받침롤러부(120)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롤러지지부(130)를 상기 트레이조립부(110)에 설치하면, 상기 롤러지지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조립부(110)의 소형화와 함께, 상기 받침롤러부(120)의 길이 확보로 인해 보다 안정적인 케이블 접촉면(122)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조립부(110)는 상기 받침롤러부(120)의 길이에 대응되는 좌, 우측 이격간격을 두고 상기 러너바(11) 또는 지지바(30)상에 조립, 고정되는 한쌍이 구비되며, 상기 받침롤러부(120)는 상기 트레이조립부(110)에 각각에 결합된 한쌍의 상기 롤러지지부(130) 사이에서 축결합된다.
도 1의 (a)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받침롤러부(120)의 길이를 연장형성하기 용이하여, 다수의 케이블(20)을 한꺼번에 인출하거나, 케이블(20)을 인출시키는 과정에서 케이블(20)의 좌우측 이동이 발생되는 경우 등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받침롤러부의 샤프트(121)의 양단부를 결합, 지지가능한 좌, 우측 한쌍의 돌출부를 구비한 형상으로 상기 롤러지지부(130)를 제작, 적용함으로써, 하나의 상기 트레이조립부(110)만으로도 상기 받침롤러부의 샤프트(121) 양단부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도 1의 (b)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도 1의 (a)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상기 받침롤러부(120)의 길이를 축소시키기 용이하여, 소량 또는 소형의 케이블(20)을 인출하거나, 상기 트레이조립부(110)의 설치 공간이 협소한 경우 등에 사용하기 적합하며, 보다 신속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조립부(110)는 상기 베이스부(111)와 조립접촉부(112)간의 이격간격 사이로 상기 러너바(11) 또는 지지바(30)를 삽입가능하고, 상기 베이스부(111)와 조립접촉부(112)간의 이격간격을 조정가능하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U볼트(U-bolt)를 상기 트레이조립부(110)에 적용가능하며, U볼트의 U자형 굴곡부가 상기 베이스부(111), 너트의 체결, 고정이 이루어지는 판부재가 상기 조립접촉부(112)에 해당되어, 너트의 조립, 해제에 의해 상기 U자형 굴곡부와 판부재간의 거리를 자유롭게 이격 조정하면서 상기 러너바(11) 또는 지지바(30)상에 착탈 조립할 수 있다.
도 3의 (a), (b), (c)는 상기 받침롤러부(120)의 연장길이를 신장 조정시키는 일례를 도시한 요부 정면도이다.
도 3의 (a), (b), (c)을 참조하면, 제1롤러부(120a)와, 제2롤러부(120b)를 포함한 다수의 롤러부재를 축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받침롤러부(120)를 구성하면, 롤러부재의 단부간의 거리를 조정하면서 상기 받침롤러부(120)의 길이를 신축조정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2롤러부(120b)는 상기 제1롤러부(120a)의 내경에 해당되는 외경을 가지고 상기 제1롤러부(120a) 내부에 끼워지며, 상기 제2롤러부(120b)가 상기 제1롤러부(120a) 내측에 대부분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롤러부(120)는 최단길이를 가진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2롤러부(120b)를 상기 제1롤러부(120a) 외측(도 3의 우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받침롤러부(120)의 길이를 보다 신장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2롤러부(120b)가 상기 제1롤러부(120a)와 함께 연속된 케이블 접촉면(122)을 형성한다.
상기 제1롤러부(120a)와 제2롤러부(120b)의 경계부에서는 상기 제1롤러부(120a) 부재의 두께만큼의 단차가 있을 수 있으나, 상기 제1롤러부(120a)와 제2롤러부(120b)가 함께 형성하는 케이블 접촉면(122)상에 하나의 케이블 다발을 임의로 걸쳐 적용할 수 있다면, 상기 제1롤러부(120a)와 제2롤러부(120b)의 외면간에 미세 단차가 있는 경우에도 연속된 케이블 접촉면(122)을 형성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케이블(20)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롤러부(120a)와 제2롤러부(120b)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면, 이러한 단차는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연속된 케이블 접촉면(122)을 형성한다고 표현한다.
또한, 상기 제1롤러부(120a)의 단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제2롤러부(120b)측으로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하면, 상기 제1롤러부(120a)와 제2롤러부(120b)의 외면이 연속된 케이블 접촉면(122)을 이룰 수 있으며, 뾰족한 모서리부에 의해 상기 케이블(20)의 외피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2롤러부(120b)를 보다 외측(도 3의 우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롤러부(120b)가 상기 제1롤러부(120a) 외측으로 대부분이 인출된 상태가 되면, 상기 받침롤러부(120)는 최장길이를 가지게 된다.
상기 제1롤러부(120a)상에는 가이드홀(123a)이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연속하여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2롤러부(120b)상에는 상기 가이드홀(123a)을 관통하여 상기 제1롤러부(120a)상에 체결, 고정되는 홀체결수단(123b)이 외면부에 돌출형성된다.
도 3의 (a), (b), (c)에서, 상기 홀체결수단(123b)은, 다수의 상기 가이드홀(123a) 중 최좌측, 중앙, 최우측에 위치한 것에 각각 체결되며, 상하방향으로의 수직력이나 임의의 회전력 등이 상기 받침롤러부(120)에 작용하더라도 상기 제1롤러부(120a)와 제2롤러부(120b)간의 결합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의 (a), (b), (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홀(123a)은 3개가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으나, 상기 가이드홀(123a)은 좌, 우측 2개가 형성되거나, 4개 이상이 형성된 실시예를 포함하여 그 개수가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롤러부(120a) 둘레 중 일측에만 일렬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롤러부(120a)의 둘레 중 다수의 개소에 다수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의 (a)는 상기 가이드홀(123a)과 홀체결수단(123b)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4의 (b)는 상기 가이드홀(123a)과 홀체결수단(123b)이 체결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4의 (a), (b)를 참조하면, 상기 홀체결수단(123b)은 상기 제2롤러부(120b) 내부의 탄성부재(spring)에 의해 상기 가이드홀(123a)측으로 탄성가압을 지속적으로 받는 구(球)형상의 체결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홀체결수단(123b)의 돌출된 단부 일부가 삽입가능한 정도의 직경으로 상기 가이드홀(123a)을 관통형성하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체결수단(123b)과 가이드홀(123a)의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홀체결수단(123b)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자연히 상기 제2롤러부(120b) 외부로 돌출되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2롤러부(120b) 내부로 밀려들어가게 된다.도 3의 (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체결수단(123b)의 일부가 상기 가이드홀(123a) 내부에 삽입, 체결된 상태가 되며, 상기 홀체결수단(123b)이 상기 가이드홀(123a)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상기 받침롤러부의 케이블 접촉면(122)이 일정한 곡면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도 3의 (a)에서 도 3의 (b)와 같은 상태로, 내지는 도 3의 (b)에서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상기 제2롤러부(120b)를 이동시킴에 있어서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체결수단(123b)을 상기 가이드홀(123a) 및 제1롤러부(120a) 내측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상기 제1롤러부(120a)와 제2롤러부(120b)간의 체결 상태를 간단히 해제시킬 수 있다.
도 5의 (a), (b), (c)는 케이블(20)의 인출방향에 따라 상기 받침롤러부(120)를 방향을 다양하게 조정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평면도이다.
상기 롤러지지부(130)는, 상기 트레이조립부(110)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슬릿부(131)와, 상기 받침롤러부의 샤프트(121)가 결합되는 슬릿이동부(132)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상기 고정슬릿부(131)에는 호(弧)형상의 슬릿(131a)이 상기 받침롤러부의 샤프트(121)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슬릿이동부(132)의 하부에는 슬라이더부(132a)가 축경 형성되어 상기 고정슬릿부의 슬릿(131a)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슬릿(131a)을 관통한 상기 슬라이더부(132a)의 단부에 상기 슬릿(131a)의 너비보다 확장된 단면적을 가지는 고정부재(도면부호 미표기)를 결합(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더부(132a)의 단부 둘레에 나사산을 연속형성하고 너트부재를 체결)하면 상기 슬라이더부(132a)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슬릿부(131)는 상기 슬릿(131a)이 형성된 상면부(도면부호 미표기)와, 상기 트레이조립부(110)와 상기 고정슬릿부(131)의 상면부를 연결하는 수직연결부(도면부호 미표기)로 구성되어, 상기 트레이조립부(110)와 슬릿(131a) 사이에는 상기 수직연결부의 높이에 해당되는 여유간격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131a)을 관통한 상기 고정슬릿부(131a)의 단부 및 고정부재는 상기 트레이조립부(110)와 고정슬릿부(131)의 상면부 사이에 형성된 여유공간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슬릿(131a)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러너바(11) 또는 지지바(30)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케이블(20)이 인출되는 경우, 좌, 우측 한쌍의 상기 고정슬릿부의 슬릿(131a)의 중앙에 상기 슬릿이동부(132)를 각각 위치시키면, 상기 받침롤러부(120)가 케이블(20)의 인출,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회전되며 케이블(20)의 마찰 손상을 최소화한다.
도 5의 (b), (c)를 참조하면, 케이블(20)이 상기 러너바(11) 또는 지지바(30)의 연장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인출되는 경우에도, 좌, 우측 한쌍의 상기 슬릿이동부(132)를 상기 고정슬릿부의 슬릿(131a)상에서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도록 조정시키면서, 상기 받침롤러부(120)의 회전방향과 케이블(20)의 인출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상기 받침롤러부(120)의 각도, 방향을 조정함에 있어서는, 케이블(20)의 인출이 특정방향으로 일정하게 이루어지거나, 특정방향으로의 인출을 유도하기 위해, 도 5의 (a), (b), (c)와 같이 조정시킨 후 상기 슬릿이동부(132)를 상기 고정슬릿부(131)상에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케이블(20)의 인출방향에 따라 연동하여 상기 받침롤러부(120)의 방향이 자연히 조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받침롤러부의 케이블 접촉면(122) 둘레에 케이블 안내홈(122a)을 오목하게 함몰형성하면, 케이블(20)의 종단면 일부가 상기 케이블 안내홈(122a)에 인입되어 상기 받침롤러부(120)와 보다 명확히 접촉된 상태로 지정방향으로 안내, 인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러너바(11)에 설치한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내부선각(inner hull)의 수직벽면을 따라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설치된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러너바(11)와, 상기 러너바(11)를 상기 내부선각상에 고정, 지지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설치된 지지바(30)간의 연결부, 즉, ㄴ자 형상의 모서리를 가지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러너바(11) 및 지지바(30)상에 설치한 일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티어바(12) 사이에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러너바(11)상에 상기 트레이조립부(110)를 조립함으로써, 상기 케이블 트레이(10)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20)이 상기 러너바(11)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러너바용 공구(100A)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블 트레이 지지바(30)상에 상기 트레이조립부(110)를 조립함으로써, 상기 케이블 트레이(10)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20)이 상기 지지바(30)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바용 공구(100B)로도 활용할 수 있다.
서로 수직되는 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러너바(11)와 지지바(30) 사이의 모서리부분을 통해 상기 러너바(11) 외부로 케이블(20)이 인출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러너바용 공구(110A)와 지지바용 공구(100B)를 함께 활용하여, 케이블(20)이 상기 러너바(11) 또는 지지바(20) 부재의 가장자리 단부와의 마찰 등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블(20)과 접촉된 상태로 케이블(20)의 이동에 연동회전되는 상기 받침롤러부(12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상에서 상기 러너바(11) 외부로 케이블(20)을 인출시키는 작업과정에서, 상기 러너바(11), 지지바(30)를 포함한 바 형상의 부재의 가장자리 단부와의 마찰에 의한 케이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러너바(11), 지지바(30)를 포함한 바 형상의 부재에 임의로 착탈 조립가능한 상기 트레이조립부(110)를 구비함으로써, 한정된 공간 내에서 설치 방향과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가능하고, 반복하여 사용가능하여 실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롤러부(120)의 전체 길이를 신축 조정할 수 있으며, 케이블(20)의 인출방향에 따라 상기 받침롤러부의 각도, 방향을 조정할 수 있으며, 다수의 케이블 인출용 공구를 이용하여 -자형 이외에, ㄱ자형, ㄴ자형, ㄷ자형 ㅅ자형 등 다양한 형상의 모서리를 가지는 부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10 : 케이블 트레이 11 : 러너바
12 : 티어바 20 : 케이블
30 : 지지바 100A : 러너바용 공구
100B : 지지바용 공구 110 : 트레이조립부
111 : 베이스부 112 : 조립접촉부
120 : 받침롤러부 120a : 제1롤러부
120b : 제2롤러부 121 : 샤프트
122 : 케이블 접촉면 122a : 케이블 안내홈
123a : 가이드홀 123b : 홀체결수단
130 : 롤러지지부 131 : 고정슬릿부
131a : 슬릿 132 : 슬릿이동부

Claims (6)

  1. 케이블 트레이의 러너바(11), 또는 케이블 트레이(10)를 선체에 고정, 지지하는 지지바(30)에 착탈 조립되는 트레이조립부(110); 및
    상기 케이블 트레이(10) 외측으로 인출되는 케이블(20)과, 상기 케이블 트레이 러너바(11) 또는 지지바(30)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케이블(20)과의 접촉면을 제공하고, 케이블(20)의 이동에 연동 회전되는 받침롤러부(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작업용 공구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조립부(110)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러너바(11) 또는 지지바(3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베이스부(111); 및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러너바(11) 또는 지지바(30)의 타측면에 구비되며, 볼트 조립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111)와의 간격이 조정되는 조립접촉부(1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작업용 공구.
  2. 삭제
  3. 케이블 트레이의 러너바(11), 또는 케이블 트레이(10)를 선체에 고정, 지지하는 지지바(30)에 착탈 조립되는 트레이조립부(110); 및
    상기 케이블 트레이(10) 외측으로 인출되는 케이블(20)과, 상기 케이블 트레이 러너바(11) 또는 지지바(30)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케이블(20)과의 접촉면을 제공하고, 케이블(20)의 이동에 연동 회전되는 받침롤러부(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작업용 공구에 있어서,
    상기 받침롤러부(120)는,
    제1롤러부(120a); 및
    상기 제1롤러부(120a)와 연속된 케이블 접촉면(122)을 형성하며, 상기 제1롤러부(120a) 내외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받침롤러부(120)의 길이를 신축조정하는 제2롤러부(120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작업용 공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롤러부(120)는,
    케이블(20)의 종단면 일부가 인입가능하도록 케이블 접촉면(122) 둘레에 오목하게 함몰형성되는 케이블 안내홈(122a);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작업용 공구.
  5. 케이블 트레이의 러너바(11), 또는 케이블 트레이(10)를 선체에 고정, 지지하는 지지바(30)에 착탈 조립되는 트레이조립부(110); 및
    상기 케이블 트레이(10) 외측으로 인출되는 케이블(20)과, 상기 케이블 트레이 러너바(11) 또는 지지바(30)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케이블(20)과의 접촉면을 제공하고, 케이블(20)의 이동에 연동 회전되는 받침롤러부(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작업용 공구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조립부(110)상에 상기 받침롤러부(120)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받침롤러부의 샤프트(121)의 양단부가 결합되는 롤러지지부(1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작업용 공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지지부(130)는,
    상기 트레이조립부(110)에 고정설치되며, 호(弧)형상의 슬릿(131a)이 상기 받침롤러부의 샤프트(121)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고정슬릿부(131); 및
    상기 받침롤러부의 샤프트(121)가 결합되고, 케이블(20)의 인출방향에 따라 상기 받침롤러부(120)의 방향이 회전 조정되도록 상기 고정슬릿부(131)상에 슬릿(131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릿이동부(1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작업용 공구.
KR1020110016832A 2011-02-25 2011-02-25 케이블 배선작업용 공구 KR101168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832A KR101168019B1 (ko) 2011-02-25 2011-02-25 케이블 배선작업용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832A KR101168019B1 (ko) 2011-02-25 2011-02-25 케이블 배선작업용 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8019B1 true KR101168019B1 (ko) 2012-07-26

Family

ID=46717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832A KR101168019B1 (ko) 2011-02-25 2011-02-25 케이블 배선작업용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01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1782A (en) * 2013-03-13 2014-09-17 Andrew Cawood A cable installation device
KR20150001385U (ko) * 2013-09-30 2015-04-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트레이 거치용 롤러기구
CN108336699A (zh) * 2018-05-15 2018-07-27 国网河南省电力公司禹州市供电公司 多功能电缆中间接头工具
WO2020122493A1 (ko) * 2018-12-10 2020-06-18 강기수 조립식 케이블 덕트
CN114614403A (zh) * 2022-03-25 2022-06-10 华能渑池热电有限责任公司 复合式电缆敷设工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4515U (ko) 1985-09-26 1987-04-04
JPS63182620U (ko) * 1987-05-15 1988-11-24
JPH1032906A (ja) * 1996-07-15 1998-02-03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ケーブル延線用ローラ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4515U (ko) 1985-09-26 1987-04-04
JPS63182620U (ko) * 1987-05-15 1988-11-24
JPH1032906A (ja) * 1996-07-15 1998-02-03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ケーブル延線用ローラ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1782A (en) * 2013-03-13 2014-09-17 Andrew Cawood A cable installation device
KR20150001385U (ko) * 2013-09-30 2015-04-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트레이 거치용 롤러기구
CN108336699A (zh) * 2018-05-15 2018-07-27 国网河南省电力公司禹州市供电公司 多功能电缆中间接头工具
CN108336699B (zh) * 2018-05-15 2024-04-05 国网河南省电力公司禹州市供电公司 多功能电缆中间接头工具
WO2020122493A1 (ko) * 2018-12-10 2020-06-18 강기수 조립식 케이블 덕트
CN114614403A (zh) * 2022-03-25 2022-06-10 华能渑池热电有限责任公司 复合式电缆敷设工具
CN114614403B (zh) * 2022-03-25 2023-10-03 华能渑池热电有限责任公司 复合式电缆敷设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8019B1 (ko) 케이블 배선작업용 공구
US10571969B2 (en) Rollable display device
US9144174B2 (en) Cable management arm assembly
US9723924B1 (en) Bracket assembly
JP3208442B2 (ja) ケーブル受具へのケーブル布設方法、ケーブル受具装置及びケーブル受具
KR101038975B1 (ko) 지중배전용 전력케이블 곡선지지장치
EP2393400B1 (en) Display stand
JP2014152604A (ja) ブラインドカーテンのコード案内装置
KR20150029906A (ko) 케이블 트레이용 롤러장치
JP2008096513A (ja) 画像表示装置用取付スタンド
JP6110795B2 (ja) スライド連結装置
JP2009112693A (ja)
KR100535824B1 (ko) 텐트용 폴대
KR101371673B1 (ko) 조립 및 설치의 편의성이 향상된 조립용 테이블
KR20200144714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일체형 책상
JP4926820B2 (ja) 浴室
RU17559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готовки каналов (УЗК)
KR20100081182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 장치
KR20130115936A (ko) 티 자형 스탠드
CN217689917U (zh) 一种带有稳定支撑结构的一体式电脑
CN217624019U (zh) 一种可折叠鱼鳍
CN217208610U (zh) 电子设备支架
CN217102636U (zh) 快拆式电梯围挡
CN214035188U (zh) 一种能够避免松动的插销结构
KR101621690B1 (ko)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