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7704B1 - Seat tilt adjustable wheel chair - Google Patents

Seat tilt adjustable wheel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704B1
KR101167704B1 KR1020100067195A KR20100067195A KR101167704B1 KR 101167704 B1 KR101167704 B1 KR 101167704B1 KR 1020100067195 A KR1020100067195 A KR 1020100067195A KR 20100067195 A KR20100067195 A KR 20100067195A KR 101167704 B1 KR101167704 B1 KR 101167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wheelchair
bed
tilt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1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6627A (en
Inventor
서윤강
Original Assignee
서윤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윤강 filed Critical 서윤강
Priority to KR1020100067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704B1/en
Publication of KR20120006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6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7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75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tilting the whole seat backw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 장애인 또는 노약자들이 앉은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이동프레임과 시트의 사이에 침대의 난간 등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시킴으로써, 휠체어의 시트부분을 침대에 최대한 근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침대의 높이와 시트의 높이가 대응되게 하여 환자가 침대에서 휠체어로 용이하고 안전하게 이동하여 착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시트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시트가 침대 및 난간에 결착, 고정되도록 하여 휠체어의 밀림현상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환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that enables the disabled, disabled or the elderly to move in a sitting state, and specifically, by forming a space for inserting the handrail of the bed between the movable frame and the seat, In addition to allowing the seat to be positioned as close to the bed as possible, the height of the bed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seat so that the patient can easily and safely move from the bed to the wheelchair and be seated, and adjust the tilt of the seat. By doing so, the seat is fixed to the bed and the handrail to the wheelchair and prevent the fall of the wheelchair and thereby prevent the fall of the patient to the wheelchair adjustable tilt.

Description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SEAT TILT ADJUSTABLE WHEEL CHAIR} Tilt-Adjustable Wheelchair {SEAT TILT ADJUSTABLE WHEEL CHAIR}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 장애인 또는 노약자들이 앉은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프레임과 시트의 사이에 침대의 난간 등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시킴으로써, 휠체어의 시트부분을 침대에 최대한 근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침대의 높이와 시트의 높이가 대응되게 하여 환자가 침대에서 휠체어로 용이하고 안전하게 이동하여 착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시트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시트가 침대 및 난간에 결착, 고정되도록 하여 휠체어의 밀림현상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환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that enables a patient, a disabled person, or an elderly person to move in a sitting state, and more particularly, by forming a space in which a handrail of a bed can be inserted between a moving frame and a seat. Not only can the seat of the seat be position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bed, but also the height of the bed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seat so that the patient can easily and safely move from the bed to the wheelchair and be seated, and adjust the tilt of the seat. By allowing the seat to be fixed and fixed to the bed and the railing, and prevent the fall of the wheelchair and thereby relates to a wheelchair adjustable tilt to prevent the fall of the patient.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 장애인 또는 노약자들이 앉은 상태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개발된 이동수단이다.In general, a wheelchair is a means of transportation developed to allow a patient, a disabled person, or an elderly person who is inconvenient to move while sitting.

종래의 휠체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향 되게 구성되는 좌우프레임(11)과, 상기 좌우프레임(11)을 연결하는 접철수단(12)과, 상기 좌우프레임(11)의 양측 후방에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구동휠(15)이 고정된 주바퀴(14)와, 상기 좌우프레임(11)의 전방에 설치되어 방향 전환 기능을 하는 보조바퀴(16)와, 상기 좌우프레임(11)의 양측에 장착되어 주바퀴(14)의 회동을 제어하는 브레이크(17)와, 상기 좌우프레임(11)의 양측에 고정되어 탑승자의 팔을 받치는 암레스트(18)와, 상기 좌우프레임(11)의 후방에 구비되는 등받이(21)와, 상기 등받이(21)와 직각되는 방향의 좌우프레임(11)의 상단에 구성되는 시트(22)로 구성된다.Conventional wheelchairs, as shown in Figure 1, the left and right frames 11 which are configured to face each other, the folding means 12 for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frames 11, and the rear of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frames 11 A main wheel 14 mounted to be rotatable and fixed with a driving wheel 15, an auxiliary wheel 16 installed in front of the left and right frames 11 to change directions, and Brakes 17 mounted on both sides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main wheel 14, armrests 18 fixed to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frame 11 to support the arm of the occupant, and the left and right frames 11 The backrest 21 is provided at the rear, and the seat 22 is configured on the upper end of the left and right frame 11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ackrest 21.

이때, 상기 접철수단(12)은 바(13)가 X자형으로 힌지결합되어 좌우프레임(11) 상간에 전후로 배치되어 상기 좌우프레임(11)에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folding means 12 is a bar 13 is hinged to the X-shape is arranged before and after between the left and right frame 11 is configured to be hinged to the left and right frame 11.

따라서, 상기 휠체어(10)는 탑승자가 시트(22)에 앉아서 주바퀴(14)에 고정된 구동휠(15)에 힘을 가함으로써 휠체어(10)는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wheelchair 10 moves forward or backward by the driver sitting on the seat 22 and applying a force to the driving wheel 15 fixed to the main wheel 14.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휠체어의 경우, 사용자가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하는데 상당한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wheelchair as described above, there was a significant inconvenience for the user to move from the bed to the wheelchair.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침대에 있는 환자가 휠체어로 이동하여 시트에 착석하고자 할 경우, 휠체어의 시트부분을 침대에 최대한 근접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종래의 휠체어는 휠체어의 전면(팔걸이부, 발받침부 등)이 침대의 난간에 부딪혀 더 이상 전진시킬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시트와 침대 사이에 높이의 차이가 발생한다.
Specifically, when a patient in a bed wants to move to a wheelchair and sit on a seat, it is preferable to position the seat of the wheelchair as close to the bed as possible, but the conventional wheelchair is a front of the wheelchair (armrest part, footrest part). Etc.) hit the railing of the bed and can no longer move forward, resulting in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seat and the bed.

따라서, 환자가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하여 시트에 착석하고자 할 경우, 상기 침대와 시트의 높이 차로 인해, 착석 시 환자에게 상당한 충격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when the patient is to move from the bed to the wheelchair to sit on the seat,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bed and the seat, there is a problem that a significant impact is applied to the patient when sitting.

아울러, 환자가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하여 시트에 착석하고자 할 경우, 휠체어가 침대 반대 측으로 밀려남에 따라 환자들에게 치명적인 추락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patient is going to move from the bed to the wheelchair seated on the seat, there was a problem causing a fatal fall accident for the patients as the wheelchair is push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bed.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인원이 환자를 옮겨야하는데, 이는 환자를 옮길 때마다 다수의 인원을 동원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환자를 옮기는 과정에서 상기 인원들 역시 허리 등에 각종 부상을 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above problems, a large number of people have to move the patient, which is not only a hassle to mobilize a large number of people each time the patient is moved, but also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patient is also various There were problems such as getting injur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퀴가 결합되는 이동프레임과 환자가 착석하는 시트가 하나의 프레임으로 연결되는 종래의 휠체어와 달리, 상기 이동프레임과 시트를 분리하여 상기 이동프레임과 시트의 사이에 침대의 난간 등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시킴으로써, 휠체어의 시트부분을 침대에 최대한 근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침대의 높이와 시트의 높이가 대응되게 함으로써, 환자가 침대에서 휠체어로 용이하고 안전하게 이동하여 착석할 수 있도록 한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를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unlike the conventional wheelchair, the movable frame and the seat seating seat is coupled to the wheel is coupled to one frame, by separating the movable frame and the seat by the movable frame and seat By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handrail or the like of the bed can be inserted in between, not only can the seat of the wheelchair be position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bed, but also the height of the bed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seat so that the patient can The task is to provide a wheelchair that can be tilted so that it can be easily and safely moved and seated in a wheelchair.

아울러, 상기 시트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상기 시트가 침대 및 난간에 결착되도록 함으로써, 휠체어의 밀림현상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환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를 제공함을 다른 과제로 한다.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seat so that the seat is bound to the bed and handrail, another problem is to provide a wheelchair that can adjust the tilt to prevent the fall of the wheelchair and thereby prevent the fall of the patient. .

또한, 시트의 방향이 환자 측으로 향할 수 있도록 하여, 많은 인원들이 동원되지 않더라도 환자를 휠체어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를 제공함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eelchair which can be tilted to allow the seat to be directed toward the patient so that the patient can be easily moved to the wheelchair even if many people are not mobilized.

본 발명은 상부면 중앙부에 기울기 축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하나 이상의 바퀴가 결합되는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에서 상향 이격되어 결합되되, 이동프레임의 중앙부에 형성된 기울기 축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는 시트; 및 상기 시트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를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ilt axis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 moving frame coupled to one or more wheels on the lower surface; A sheet which is coupled upwardly spaced apart from the movable frame and hinged via a tilt ax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ovable frame; And a control mean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seat; and a wheelchair capab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as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한편, 상기 이동프레임은, 전면부에 발판이 형성되고, 후면부에 상기 시트의 기울기를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수평유지 축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movable fra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caffold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the horizontal holding axis for maintaining the inclination of the sheet in the rear portion is formed.

또한, 상기 시트는, 전면부의 양측으로 '┏' 형태의 결착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중앙부에 팔걸이부가 형성되되, 상기 연장된 결착부의 끝단면에 고무패킹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heet is formed by extending the binding portion of the '┏' shape on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the armrest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ubber packing is formed on the end surface of the extended binding portion.

또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기울기 축과 수평유지 축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고정되고, 내부에 암나사가 구비되는 원통형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 내의 암나사에 삽입되되, 상기 암나사에 대응되는 나사선이 외면에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구동부; 및 일단이 구동핀을 매개로 상기 구동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시트부의 하부면 일단에 고정 결합되는 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adjusting means, the cylindrical support portion is fixed to penetrate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tilt axis and the horizontal maintenance shaft, the internal thread is provided; A driving part inserted into the female screw in the support part, the screw line corresponding to the female screw being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o move forward or backward through rotation; And an induction part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driving part via a driving pin and the other end fix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art.

본 발명에 의하면, 휠체어의 이동프레임과 시트의 사이에 침대의 난간 등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시켜 휠체어의 시트부분을 침대에 최대한 근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침대의 높이와 시트의 높이가 대응되게 함으로써, 환자가 침대에서 휠체어로 용이하고 안전하게 이동하여 착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시트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상기 시트가 침대 및 난간에 결착되도록 함으로써, 휠체어의 밀림현상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환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의 방향이 환자 측으로 향할 수 있도록 하여, 많은 인원들이 동원되지 않더라도 환자가 휠체어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 between the movable frame and the seat of the wheelchair can be inserted into the bed so that the seat of the wheelchair can be position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bed as well as the height of the bed and the seat By making the heights correspond, the patient can easily and safely move from the bed to the wheelchair and be seated, and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seat, the seat is bound to the bed and the railing, thereby preventing the wheelchair from being pushed and thereby Not only can the fall of the patient be prevented, but the direction of the seat can be directed toward the patient, so that even if a large number of personnel are not mobilized, the patient can easily move to a wheelchair.

도 1은 종래 휠체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wheelchair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eelchair adjustable incl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FIG.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그 작용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로써, 본 발명은 이동프레임(40), 시트(50) 및 조절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eelchair adjustable ti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2,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frame 40, the seat 50 and the adjusting means 6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이동프레임(40)은, 전면부에 발판(41)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기울기 축(42)이 형성되며, 후면부에 수평유지 축(43)이 형성된 상태로, 하부면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는 바퀴(44)를 통해 이동한다.The movable frame 40, the footrest 41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the inclination shaft 42 is formed in the center, the horizontal holding shaft 43 is formed in the rear portion, is coupled along the lower surface edge Move through the wheel 44.

상기 기울기 축(42)은 후술되어질 시트(50)가 이동프레임(40)으로부터 일정간격(예를 들어, 침대(B)의 높이)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매개체로써, 상부면 중앙에는 후술되어질 시트(50)와 힌지 결합할 수 있는 힌지부(42a)가 구성된다. The tilt axis 42 is a medium for allowing the sheet 5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coup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oving frame 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the height of the bed B). The hinge part 42a which can hinge-engage with the sheet | seat 50 is comprised.

따라서, 상기 기울기 축(42)에 의해 상기 이동프레임(40)과 시트(50)의 사이에 침대(B)의 난간(F)(도 4참조) 등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이로 인해 휠체어의 시트(50)부분을 침대(B)에 최대한 근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침대(B)의 높이와 시트(50)의 높이가 대응되게 함으로써, 환자가 침대(B)에서 휠체어로 용이하고 안전하게 이동하여 착석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ly, a space part into which the railing F (see FIG. 4), etc. of the bed B is inserted between the movable frame 40 and the seat 50 is formed by the inclination axis 42. Due to the position of the seat (50) of the wheelchair as close as possible to the bed (B), as well as the height of the bed (B) and the height of the seat (50) correspond, the patient in the wheelchair (B) It allows you to move easily and safely.

상기 수평유지 축(43)은, 후술되어질 시트(50)의 기울기 동작 후 원래의 수평상태로 복귀 시, 그 위치를 설정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시트(50)의 후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시트(50)가 침대(B)의 반대측으로 과도하게 하향 경사지는 것을 제한한다.
The horizontal holding shaft 43 is a function of setting the position when returning to the original horizontal state after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sheet 5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portion of the sheet 50 The seat 50 is restricted from inclining excessively downwar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bed B.

상기 시트(50)는, 상기 이동프레임(40)의 기울기 축(42)을 매개로 상기 이동프레임(40)에서 상향 이격되어 결합된다.The sheet 50 is coupled upwardly spaced apart from the moving frame 40 via the inclination axis 42 of the moving frame 40.

이때, 상기 시트(50)는 상기 기울기 축(42)의 힌지부(42a)와 힌지 결합되어 기울기 동작을 하게 되며, 후술되어질 조절수단(60)에 의해 기울기 각도가 조절된다.At this time, the seat 50 is hinged to the hinge portion 42a of the tilt shaft 42 to perform the tilt operation, the tilt angle is adjusted by the adjustment means 60 to be described later.

아울러, 상기 시트(50)의 전면부 양측에는 '┏' 형태의 결착부(51)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중앙부에 팔걸이부(52)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heet 50, the '51'-shaped binding portion 51 is formed to extend, the armrest portion 52 is formed in the center.

상기 결착부(51)는 시트(50)의 기울기 조절 시, 침대(B) 및 난간(F)에 결착됨으로써, 휠체어의 밀림현상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환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The binding unit 51 is bound to the bed (B) and the handrail (F) when the inclination of the seat 50, thereby preventing the fall of the wheelchair and thereby prevent the fall of the patient.

한편, 상기 결착부(51)의 끝단면은 시트(50)의 기울기 조절 시, 침대(B)와 직접적으로 접촉, 압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착부(51)의 끝단면에 고무 패킹(51b)을 형성시킴으로써, 마찰력은 극대화시키면서도 침대(B)의 손상은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end surface of the binding portion 51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bed (B), when the inclination of the seat 50 is adjusted. Therefore, by forming the rubber packing 51b on the end surface of the binding portion 51, it is preferable to prevent damage to the bed (B) while maximizing the friction force.

아울러, 상기와 같이 시트(50)의 양측에 결착부(51)가 연장되는 구성에 의해, 양측 결착부(51) 사이에는 다리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51a)이 형성되며, 이로 인해 환자는 상기 삽입홈(51a)을 통해 이동프레임(40)의 발판(41)으로 다리를 위치시킬 수 있어, 편안한 착석을 유도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binding portions 51 extend on both sides of the sheet 50 as described above, an insertion groove 51a through which the legs can be inserted is formed between the two binding portions 51, thereby causing a patient. The leg can be positioned to the footrest 41 of the moving frame 40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51a, thereby inducing a comfortable seating.

상기 조절수단(60)은, 상기 시트(5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지지부(61), 구동부(62), 유도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djusting means 60 is to be able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sheet 50, and comprises a support 61, a drive 62, the guide 63.

상기 지지부(61)는 원통형의 관형부재로써, 내부에 암나사(61a)가 구비되며, 상기 기울기 축(42)과 수평유지 축(43)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고정된다.The support portion 61 is a cylindrical tubular member, the female screw (61a) is provided therein, and is fix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clination axis 42 and the horizontal holding axis (43).

상기 구동부(62)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61) 내의 암나사(61a)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을 통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것으로, 후술되어질 유도부(63)와의 결합 매개체인 구동핀(62a)과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The drive part 62 is a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drive part 62 to move forward or backward through rotatio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emale screw 61a in the support part 61, and a driving pin 62a which is a coupling medium with the induction part 63 to be described later. And rotatably coupled thereto.

전진 동작을 통해 후술되어질 유도부(63)를 밀고, 후진 동작을 통해 유도부(63)를 당긴다.The induction part 63 to be described later is pushed through the forward operation, and the induction part 63 is pulled through the backward operation.

상기 유도부(63)는, 일단이 구동핀(62a)을 매개로 상기 구동부(62)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시트(50)의 하부면 일단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62)의 전진 또는 후진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시트(50)의 기울기를 유도하는 것으로, 구동부(62)의 후진동작에 대응하여 시트(50)를 침대(B)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유도하며, 구동부(62)의 전진동작에 대응하여 시트(50)를 다시 수평상태로 유도하게 된다.One end of the induction part 63 is hinged to the driving part 62 via a driving pin 62a, and the other end is fixedly coupled to one end of a lower surface of the seat 50 to move forward of the driving part 62. Or inducing the inclination of the seat 50 in response to the backward operation, inducing the seat 50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bed (B) in response to the backward operation of the drive unit 62, the forward of the drive unit 62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the sheet 50 is guided back to the horizontal state.

이때, 상기 시트(50)의 후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이동프레임(40)에 결합된 수평유지 축(43)이 위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시트(50)가 침대(B)의 반대측으로 과도하게 하향 경사지는 것이 제한되며, 이로 인해 상기 수평유지 축(43)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horizontal retaining shaft 43 coupled to the moving frame 40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50, the seat 50 is excessively downwardly opposite to the bed B. The inclination is limited, which makes it possible to maintain the horizontal state by the horizontal holding shaft 43.

도 4는 도 2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Figure 2,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wheelchair adjustable til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A) 보호자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침대(B)에서 휠체어로 이동시키기 위해, 휠체어를 침대(B)에 근접하게 이동시킨다. (A) The guardian moves the wheelchair close to the bed B, in order to move the inconvenient patient from the bed B to the wheelchair.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는 시트(50)가 이동프레임(40)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동프레임(40)과 시트(50)의 사이에 침대(B)의 난간(F) 등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시킴으로써, 휠체어의 시트(50)부분을 침대(B)에 최대한 근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침대(B)의 높이와 시트(50)의 높이가 대응되게 함으로써, 환자가 침대(B)에서 휠체어로 용이하고 안전하게 이동하여 착석할 수 있게 한다.
In this case, the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justable in the seat 50 is spaced apart from the moving frame 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handrail (B) between the bed (B) between the moving frame (40) F) By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back can be inserted, the seat 50 of the wheelchair can be position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bed B as well as the height of the bed B and the height of the seat 50 By doing so, the patient can easily and safely move from the bed B to the wheelchair and be seated.

(B) 이후, 보호자는 휠체어의 구동부(62)를 회전시켜, 유도부(63)를 당긴다, After (B) , the guardian rotates the drive part 62 of the wheelchair and pulls the induction part 63,

따라서, 유도부(63)에 결합된 시트(50)는 기울기 축(42)의 힌지부(42a)를 기준으로, 침대(B)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된다.Therefore, the sheet 50 coupled to the induction part 63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bed B with respect to the hinge part 42a of the inclination axis 42.

이때, 상기 시트(50)의 전면부 양측에서 연장된 '┏' 형태의 결착부(51)가 난간(F)에 결착되는 동시에 끝단면이 침대(B)를 압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50)가 침대(B) 및 난간(F)에 결착, 고정되어 휠체어의 밀림현상이 방지되고, 이로 인해 환자의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51'-type binding portion 51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of the sheet 50 is bound to the handrail (F) and the end surface is pressing the bed (B). Therefore, the seat 50 is fixed to the bed (B) and the handrail (F) to prevent the rolling phenomenon of the wheelchair, thereby preventing the fall of the patient.

아울러, 시트(50)의 방향이 환자 측으로 향함에 따라, 많은 인원들이 동원되지 않더라도 환자를 휠체어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direction of the seat 50 is toward the patient side, even if a large number of personnel are not mobilized, the patient can be easily moved to the wheelchair.

( A' )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환자가 시트(50)로 용이하게 이동하여 착석이 완료되면, 보호자는 휠체어의 구동부(62)를 반대로 회전시켜, 유도부(63)를 밀게 된다. ( A ' ) In the above state, when the patient is easily moved to the seat 50 and the seating is completed, the guardian rotates the drive part 62 of the wheelchair in reverse and pushes the induction part 63.

따라서, 유도부(63)에 결합된 시트(50)는 기울기 축(42)의 힌지부(42a)를 기준으로, 침대(B) 반대측으로 복귀하게 된다.Therefore, the sheet 50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63 is return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bed B, based on the hinge portion 42a of the inclination axis 42.

이때, 상기 시트(50)의 후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이동프레임(40)에 결합된 수평유지 축(43)이 위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시트(50)가 침대(B)의 반대측으로 과도하게 하향 경사지는 것을 제한되며, 이로 인해 상기 수평유지 축(43)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horizontal retaining shaft 43 coupled to the moving frame 40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50, the seat 50 is excessively downwardly opposite to the bed B. It is limited to the inclination, which makes it possible to maintain the horizontal state by the horizontal holding axis (43).

아울러, 상기 시트(50)의 복귀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결착부(51)와, 침대(B) 및 난간(F)의 결착상태가 해제되고, 이로 인해 휠체어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In addition, in response to the return operation of the seat 50, the binding state of the binding portion 51, the bed (B) and the handrail (F) is released, thereby enabling the wheelchair to move.

즉, 종래의 휠체어(도 1참조)와 달리, 상기 이동프레임(40)과 시트(50)를 분리하여 상기 이동프레임(40)과 시트(50)의 사이에 침대(B)의 난간(F) 등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시킴으로써, 휠체어의 시트(50)부분을 침대(B)에 최대한 근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침대(B)의 높이와 시트(50)의 높이가 대응되게 함으로써, 환자가 침대(B)에서 휠체어로 용이하고 안전하게 이동하여 착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시트(50)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상기 시트(50)가 침대 (B)및 난간(F)에 결착되도록 함으로써, 휠체어의 밀림현상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환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50)의 방향이 환자 측으로 향할 수 있도록 하여, 많은 인원들이 동원되지 않더라도 환자를 휠체어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That is, unlike the conventional wheelchair (see FIG. 1), the handrail F of the bed B between the movable frame 40 and the seat 50 by separating the movable frame 40 and the seat 50. By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back can be inserted, the seat 50 of the wheelchair can be position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bed B as well as the height of the bed B and the height of the seat 50 correspond. By doing so, the patient can easily and safely move from the bed (B) to the wheelchair seat and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seat (50) so that the seat (50) is bound to the bed (B) and the handrail (F).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ll of the wheelchair and thereby prevent the fall of the patient, as well as to allow the direction of the seat 50 to the patient side, even if a large number of personnel are not mobilized to easily move the patient to the wheelchair You can do it.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40 : 이동프레임 41:발판
42:기울기 축 42a : 힌지부
43 : 수평유지 축 44 : 바퀴
50 : 시트 51 : 결착부
51a : 삽입홈 51b : 고무 패킹
52 : 팔걸이부 60 : 조절수단
61 : 지지부 61a : 암나사
62 : 구동부 62a : 구동핀
63 : 유도부 B : 침대
F : 난간
40: moving frame 41: scaffold
42: tilt axis 42a: hinge portion
43: horizontal axis 44: the wheel
50: sheet 51: binding portion
51a: Insertion Groove 51b: Rubber Packing
52: armrest portion 60: adjusting means
61 support portion 61a female thread
62: drive portion 62a: drive pin
63: guide part B: bed
F: handrail

Claims (4)

상부면 중앙부에 기울기 축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하나 이상의 바퀴가 결합되는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에서 상향 이격되어 결합되되, 이동프레임의 중앙부에 형성된 기울기 축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는 시트; 및
상기 시트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An inclination shaft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a moving frame having one or more wheel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A sheet which is coupled upwardly spaced apart from the movable frame and hinged via a tilt ax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ovable frame; And
Wheelchair adjustable til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tilt of the se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은,
전면부에 발판이 형성되고,
후면부에 상기 시트의 기울기를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수평유지 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moving frame,
Scaffolding is formed on the front,
Wheelchair adjustable inclin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maintenance axis is formed in the rear to maintain the inclination of the seat horizont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전면부의 양측으로 '┏' 형태의 결착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중앙부에 팔걸이부가 형성되되,
상기 연장된 결착부의 끝단면에 고무패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sheet,
'B' shaped binding portions are extend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Armrest part is formed in the center,
Wheelchair adjustable tilt characterized in that the rubber packing is formed on the end surface of the extended binding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기울기 축과 수평유지 축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고정되고, 내부에 암나사가 구비되는 원통형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 내의 암나사에 삽입되되, 상기 암나사에 대응되는 나사선이 외면에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구동부; 및
일단이 구동핀을 매개로 상기 구동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시트부의 하부면 일단에 고정 결합되는 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adjusting means,
A cylindrical support portion fix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tilt shaft and the horizontal maintenance shaft and having a female screw therein;
A driving part inserted into the female screw in the support part, the screw line corresponding to the female screw being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o move forward or backward through rotation; And
One end is hinged to the drive unit via a drive pin, the other end is induction portion fix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tilt adjustable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KR1020100067195A 2010-07-13 2010-07-13 Seat tilt adjustable wheel chair KR1011677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195A KR101167704B1 (en) 2010-07-13 2010-07-13 Seat tilt adjustable wheel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195A KR101167704B1 (en) 2010-07-13 2010-07-13 Seat tilt adjustable wheel ch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627A KR20120006627A (en) 2012-01-19
KR101167704B1 true KR101167704B1 (en) 2012-07-20

Family

ID=45612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195A KR101167704B1 (en) 2010-07-13 2010-07-13 Seat tilt adjustable wheel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70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341Y1 (en) 2003-01-20 2003-05-09 대성공업주식회사 Device that regulate angle the back of wheel chair
KR100736530B1 (en) 2001-05-09 2007-07-06 이양배 A wheelchair for adjusting a heigh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530B1 (en) 2001-05-09 2007-07-06 이양배 A wheelchair for adjusting a heighe
KR200311341Y1 (en) 2003-01-20 2003-05-09 대성공업주식회사 Device that regulate angle the back of wheel 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627A (en)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6615B2 (en) Beds, especially hospital beds or nursing beds
EP0788323A1 (en) Arrangement in an adjustable chair
JP2000300611A (en) Standing-up helping chair
KR101527459B1 (en) chair
KR20130007300U (en) Office chair equipped with stool
KR102306638B1 (en) Standing-assisted chair
KR20190024417A (en) Chair with standing up aid
KR101167704B1 (en) Seat tilt adjustable wheel chair
KR101310841B1 (en) Armrest for electric wheel chair
EP2419069B1 (en) Seating furniture facilitating rising
JP5771344B1 (en) Nursing wheelchair
JP5067806B2 (en) Reclining wheelchair
EP1993406B1 (en) Rotary device for a foot and leg rest
KR20210127327A (en) Wheelchair with lifting function
JP3955984B2 (en) Reclining wheelchair
KR20110000141U (en) Multi-positioning chair
WO2014006768A1 (en) Chair-type massage machine
CN220423525U (en) Chair with adjustable seat board angle
JPS58427A (en) Structure of seat
JP7116485B2 (en) wheelchair
JP2005177333A (en) Chair with function of stand assistance
JP6353397B2 (en) Standing assistance chair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used therefor
JP2005073859A (en) Liftable legless chair
KR20240007418A (en) Bidirectional use chair of usability bettering
TWM473759U (en)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