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780B1 - 온실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온실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780B1
KR101166780B1 KR1020100130079A KR20100130079A KR101166780B1 KR 101166780 B1 KR101166780 B1 KR 101166780B1 KR 1020100130079 A KR1020100130079 A KR 1020100130079A KR 20100130079 A KR20100130079 A KR 20100130079A KR 101166780 B1 KR101166780 B1 KR 101166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house
illumination
lighting device
lighting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8449A (ko
Inventor
엄영철
서태철
장윤아
이준구
오상석
정승룡
고관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00130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780B1/ko
Publication of KR20120068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8Suspending from a cable or suspension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2Adjustable mountings telescop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10), 조명지지바(20), 및 상기 조명지지바(20)에 상기 조명(10)을 고정하는 연결부재(30)를 포함하는 온실용 조명장치로서,
상기 연결부재(30)는 반복적으로 조명(10)의 위치와 방향을 변경하고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한 선형의 금속 또는 폴리머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실용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device for a greenhouse}
본 발명은 태양광을 보충하기 위하여 온실에서 사용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개별 조명의 위치와 방향의 변경이 매우 용이한 온실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실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경우, 일조량이 부족하면 작물의 수확량이 크게 줄고, 품질도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부족한 일조량을 보충하는 방법으로 인공조명장치를 이용하는 보광재배가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보광재배를 위한 조명장치의 설치비용 및 조명장치의 운전에 소요되는 전기료는 작물의 재배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조명장치 사용의 경제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조명 중 LED(light emitting diodes)는 초기에 많은 설치비용이 소요되므로 경제성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보광재배의 경제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조명장치들이 보급되고 있다. 특히, 조명장치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횡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들이 보급되어 보광재배의 경제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명장치들은 조명의 높낮이나 횡적인 이동은 가능하지만, 조명의 방향 조절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특히, 개별 조명의 위치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LED(light emitting diodes)와 같이 고가의 조명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충분한 경제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재배작물의 근접거리까지 조명을 접근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개별 조명의 위치와 방향을 조절하여 광의 효용이 가장 큰 재배작물의 부위에 집중적으로 광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한 온실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명(10), 조명지지바(20), 및 상기 조명지지바(20)에 상기 조명(10)을 고정하는 연결부재(30)를 포함하는 온실용 조명장치로서,
상기 연결부재(30)는 반복적으로 조명(10)의 위치와 방향을 변경하고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한 선형의 금속 또는 폴리머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온실용 조명장치는 재배작물의 근접거리까지 조명을 접근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개별 조명의 위치와 방향을 조절하여 광의 효용이 가장 큰 재배작물의 부위 즉, 생장점, 잎 등에 집중적으로 빛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매우 효율적인 보광재배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온실용 조명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LED(light emitting diodes)와 같은 고가의 조명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충분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온실용 조명장치가 설치된 온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온실용 조명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실용 조명장치는 조명(10), 조명지지바(20), 및 상기 조명지지바(20)에 상기 조명(10)을 고정하는 연결부재(30)를 포함하는 온실용 조명장치로서, 상기 연결부재(30)는 반복적으로 조명(10)의 위치와 방향을 변경하고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한 선형의 금속 또는 폴리머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온실용 조명장치에서 상기 연결부재(30)인 선형의 금속 또는 폴리머 소재는 0.1 m ~ 2.0 m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0.5 m ~ 1.0 m의 길이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선형의 금속 또는 폴리머 소재가 너무 짧은 경우 조명의 위치 및 방향 조절이 용이하지 않으며, 상기 선형의 금속 또는 폴리머 소재에 의한 조명의 위치 조절에도 한계가 있으므로 너무 긴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온실용 조명장치는 재배작물과 약 10cm의 거리를 두고 약 100umol/m2/s 이상의 밝기로 발광하도록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형의 금속소재로는 금속와이어 또는 금속관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와이어 또는 금속관은 조명(10)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변형은 용이하되, 변형 후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직도를 가져야 한다.
상기 선형의 금속관으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바라관(또는 코브라관)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의 금속 또는 폴리머 소재로는 금속와이어와 자바라관이 결합된 형태가 사용될 수 도 있다. 이 경우, 금속와이어는 자바라관에 속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지지바(20)는 1개 이상의 조명(10)이 고정되며, 승강시스템에 의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온실용 조명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승강시스템으로는 도1에 도시된 것 같은 와이어(50), 온실 천정의 가로대(40)에 고정된 도르레(60) 및 승강용 전동장치(70)를 포함하는 스템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승강시스템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조명지지바(20)가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떠 받치고 있는 기둥으로서,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지지 기둥을 기본 구성으로 하는 시스템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명지지바(20)는 수평이동이 가능한 온실 천정의 가로대(40)에 와이어(50) 또는 체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명(10)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LED 조명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명(10)은 연결부재(30)로서 자바라관(또는 코브라관)에 의해 조명지지바(20)에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자바라관은 조명의 위치 및 방향 변경과 변경후의 위치 및 방향의 고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조명에 연결되는 전선을 자바라관의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어서, 안전 및 외관면에서도 바람직한 효과를 제공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되어 설명되어 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조명 20: 조명지지바
30: 연결부재 40: 가로대
50: 와이어 60: 도르레
70: 승강용 전동장치

Claims (10)

  1. 조명(10), 조명지지바(20), 및 상기 조명지지바(20)에 상기 조명(10)을 고정하는 연결부재(30)를 포함하는 온실용 조명장치로서,
    상기 연결부재(30)는 반복적으로 조명(10)의 위치와 방향을 변경하고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한 선형의 금속 또는 폴리머 소재의 자바라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조명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인 선형의 금속 또는 폴리머 소재의 자바라관은 0.1 m ~ 2.0 m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조명장치.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인 선형의 금속 또는 폴리머 소재의 자바라관은 0.5 m ~ 1.0 m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조명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조명지지바(20)는 1개 이상의 조명(20)이 고정되며, 승강시스템에 의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조명장치.
  9. 청구항8에 있어서, 상기 조명지지바(20)는 수평이동이 가능한 온실 천정의 가로대(40)에 와이어(50) 또는 체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조명장치.
  10.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조명(10)은 LED 조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조명장치.
KR1020100130079A 2010-12-17 2010-12-17 온실용 조명장치 KR101166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079A KR101166780B1 (ko) 2010-12-17 2010-12-17 온실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079A KR101166780B1 (ko) 2010-12-17 2010-12-17 온실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449A KR20120068449A (ko) 2012-06-27
KR101166780B1 true KR101166780B1 (ko) 2012-08-22

Family

ID=46687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079A KR101166780B1 (ko) 2010-12-17 2010-12-17 온실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7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737B1 (ko) * 2012-12-07 2013-09-26 (주) 이레아이에스 식물재배용 조명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7591A (ja) * 2009-05-18 2010-11-2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器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7591A (ja) * 2009-05-18 2010-11-2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449A (ko)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68516B2 (ja) 作物育成システム
JP5095348B2 (ja) 植物栽培の照明装置
WO2011027999A3 (ko) 식물공장의 조명시스템
US8579465B2 (en) Plant growing system
US20060032115A1 (en) Method, greenhouse and an installation for illuminating plants
KR20150113457A (ko) 인공조명의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식물공장용 식물재배장치
JP5830661B2 (ja) 作物育成システム
RU2015105378A (ru) Способ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света для растениеводства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й культуре и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вещения для растениеводства
JP6814589B2 (ja) 植物生育促進装置、該植物生育促進装置を用いた植物生育促進システム、及び植物生育促進方法
EP3030071B1 (en) Cultivation system
KR20160065236A (ko) 실내용 led 재배장치 및 트레이
JP2020500027A5 (ko)
EP2393347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illuminating greenhouse plants
EP2090824A2 (en) Greenhouse light, greenhouse light system and method for altering the radiation pattern of a greenhouse light
JP2005328702A (ja) 植物育成用照明装置
JP2011244740A (ja) 栽培物用人工光源
NO20043896L (no) System for a fremme vekst av planter.
KR101166780B1 (ko) 온실용 조명장치
CN202385561U (zh) 一种可升降的温室补光装置
RU103704U1 (ru) Светодиодный облучатель для растениеводства
US20240052997A1 (en) Top lighting and interlighting luminaire assembly with movable light source
KR20160083261A (ko) 식물 재배장치
KR101902363B1 (ko) 작물별 필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식물재배용 조명장치
JP2015057965A (ja) 苺栽培用スタンド
KR20120138949A (ko) 플라즈마 조명을 구비한 곡물 또는 식물 재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