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571B1 - 유물의 복제방법 - Google Patents

유물의 복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571B1
KR101166571B1 KR1020110126426A KR20110126426A KR101166571B1 KR 101166571 B1 KR101166571 B1 KR 101166571B1 KR 1020110126426 A KR1020110126426 A KR 1020110126426A KR 20110126426 A KR20110126426 A KR 20110126426A KR 101166571 B1 KR101166571 B1 KR 101166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artifact
circle
forming
f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준
Original Assignee
조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준 filed Critical 조성준
Priority to KR1020110126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5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1/00Designs imitating artistic work

Landscapes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물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유물을 복제하는 방법을 위하여, 유물진품 상에 유물원형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물원형 상에 몰드용 형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몰드용 형틀을 이용하여 몰딩성형물로 이루어진 유물복제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물의 복제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유물의 복제방법{Methods of replicating relic}
본 발명은 물품의 복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유물(遺物)의 복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물은 선대의 인류가 후대에 남긴 물건이다. 유물을 복원하거나 복제하여 보존 및 전시하는 작업은 인류의 지혜와 경험을 후대에 전달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유물의 예술적, 종교적 가치는 물론이고 그 희소성 때문에 진품의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복제를 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유물의 복제는 통상적으로 유물진품 상에 몰드용 형틀을 제작한 후에, 유물진품과 몰드용 형틀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유물진품의 표면이 훼손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물진품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유물을 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유물진품의 표면 상에 유물원형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물원형 상에 몰드용 형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몰드용 형틀을 이용하여 몰딩성형물로 이루어진 유물복제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물의 복제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유물원형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물진품의 표면 상에 주석박지를 밀착시켜 제1 유물원형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유물원형 상에 제2 유물원형을 밀착하여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물원형은 상기 주석박지 상에 형성된 호일 테이프(foil tape)로 이루어진 보강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물원형은 석고붕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물원형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유물원형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드용 형틀은 경화제가 첨가된 실리콘(silicone)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드용 형틀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물원형 상에 상기 실리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1 몰드용 형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몰드용 형틀 상에 거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거즈층 상에 상기 실리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2 몰드용 형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혼합물을 포함하는 몰드용 형틀은 상기 몰드용 형틀 상에 석고로 형성된 보강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딩성형물은 수지 또는 급결 시멘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물진품 상에 주석박지를 밀착시켜 유물원형을 먼저 만든 후에 유물원형을 대상으로 몰드용 형틀을 만들어 유물복제품을 완성하므로, 유물진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유물원형을 만드는 과정에서 상기 주석박지 상에 호일테이프와 석고붕대를 이용한 보강재를 형성함으로써 쉽고 빠르게 유물원형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물의 복제방법을 도해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유물진품의 사진촬영 및 실측 단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유물진품 상에 제1 유물원형을 형성하는 단계를 촬영한 사진들이다.
도 4는 제1 유물원형 상에 제2 유물원형을 형성하는 단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유물진품과 제2 유물원형을 비교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몰드용 형틀을 형성하는 단계를 촬영한 사진들이다.
도 7은 유물복제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유물복제품을 채색하고 고풍 처리하는 단계를 촬영한 사진들이다.
도 9는 유물의 진품과 복제품을 비교하기 위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구조체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구조체의 상하가 뒤집어 진다면,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물의 복제방법을 도해하는 순서도이고,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물의 복제방법을 순차적으로 촬영한 사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물의 복제방법은 유물진품을 사진촬영하고 실측하는 단계(S10), 상기 유물진품 상에 제1 유물원형을 형성하는 단계(S20), 상기 제1 유물원형 상에 제2 유물원형을 형성하는 단계(S30), 상기 제2 유물원형 상에 몰드용 형틀을 형성하는 단계(S40), 상기 몰드용 형틀을 이용하여 유물 복제품을 형성하는 단계(S50) 및 상기 유물 복제품을 채색하고 고풍처리하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단계들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유물진품(10)의 사진을 촬영하고 실측하는 단계(S10)가 수행된다. 문헌조사 및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유물의 소장처 등을 정확하게 파악한 후, 방안지, 카메라 및 계측기 등의 실측에 소요되는 작업도구들을 준비한다. 사진촬영은 방안지 위에 왜곡되지 않게 정확한 각도를 유지하며 중첩되게 촬영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정밀 계측기(버니어캘리퍼스, 마이크로미터, 바디줄자, 원형게이지, 컴퍼스)를 이용하여 제원을 실측하여 실측도를 제작할 수 있다. 나아가, 유물진품(10)의 보존상태 및 산화된 표면의 질감등 유물의 미세한 특징을 관찰할 수 있다. 실측 작업 시 유물진품(10)에 물리적 손상과 화학적 변성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계속하여,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유물진품(10) 상에 주석박지(25)를 밀착시켜 제1 유물원형(20)을 형성하는 단계(S20)가 수행된다. 제1 유물원형(20)은 유물진품(10)의 외벽 및/또는 내벽에 밀착된 주석박지(25)로 이루어진다. 주석박지(25)가 유물진품(10)의 외벽 및/또는 내벽에 밀착될 수 있도록 면포나 솔로 주석박지(25)를 문지를 수 있다. 주석박지(25)(朱錫箔紙, tin foil)는 주석(Sn)으로 형성된 박지이다. 주석은 전성, 연성이 뛰어나므로 주석박지(25)는 성형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제1 유물원형(20)은 유물진품(10)이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도 상기 형상의 모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주석박지(25)의 두께는 예를 들어 0.006mm 내지 0.200m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주석으로 형성된 박지 외에 납(Pb) 또는 알루미늄(Al)으로 형성된 박지를 이용하여 제1 유물원형을 제조할 수도 있다.
한편, 주석박지(25)를 포함하는 제1 유물원형(20)은 상기 주석박지(25)의 표면 상에 형성된 호일 테이프(foil tape, 27)로 이루어진 보강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주석박지(25)를 유물진품(10) 상에 밀착하여 형성한 후 호일 테이프(27)를 이용하여 제1 유물원형(20)을 보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유물원형(20)은 주석박지(25)와 호일 테이프(27)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호일 테이프(27)를 사용하는 첫 번째 이유는 면포나 솔로 주석박지(25)를 문지르다 찢어진 주석박지(25)의 일부분 상에, 주석박지(25) 상에 석고붕대를 바르는 후속공정 과정에서, 석고물이 미세하게 스며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두 번째 이유는 유물진품(10)의 표면 전체를 주석박지(25)로 밀착하여 덮는 과정에서 연성이 좋은 주석박지(25)가 움직여 제1 유물원형(20)의 형상이 틀어질 위험이 있으므로 주석박지(25)보다 강도가 좋은 호일 테이프(27)로 강화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하면 더 이상 주석박지(25)가 늘어나거나 움직이지 않으며 제1 유물원형(20) 자체가 강화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유물원형(20) 상에 제2 유물원형(30)을 밀착하여 형성하는 단계(S30)가 수행된다. 제2 유물원형(30)은 제1 유물원형(20) 상에 형성된 석고붕대(石膏繃帶, cast bandage, 35)를 포함할 수 있다. 석고붕대(35)는 건포의 올에 석고 가루를 묻혀 제조한 붕대이다. 물에 적신 석고붕대(35)는 신속하게 굳어 제1 유물원형(20)의 형상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유물원형(30)은 유물진품(10)의 형상에 따라 일체형의 원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복수개의 부분원형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유물원형(30)을 형성한 후에 제1 유물원형(20)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제1 유물원형(20)은 주석박지(25)와 호일 테이프(27)로 구성되므로 비교적 용이하게 제2 유물원형(30)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제1 유물원형(20)을 제거하는 단계는 유물의 상태나 형상에 따라서는 생략되거나 또는 후속공정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제2 유물원형(30)은 유물진품(10)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진다. 제2 유물원형(30)과 유물진품(10)은 그 사이에 개재된 제1 유물원형(20)에 의하여 서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제2 유물원형(30) 상에 몰드용 형틀(40)을 형성하는 단계(S40)가 수행된다. 한다. 몰드용 형틀(40)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2 유물원형(30) 상에 실리콘 혼합물(45)을 포함하는 몰드용 형틀(4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2 유물원형(30)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유물원형(20) 상에 실리콘 혼합물(45)을 포함하는 몰드용 형틀(40)을 바로 형성할 수도 있다. 실리콘 혼합물(45)을 포함하는 몰드용 형틀(40)을 형성하는 단계는, 예를 들어, 유물원형(20, 30) 상에 실리콘 혼합물(45)을 포함하는 제1 몰드용 형틀을 형성하는 제1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몰드용 형틀 상에 거즈층을 형성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거즈층 상에 실리콘 혼합물(45)을 포함하는 제2 몰드용 형틀을 추가로 형성하는 제3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와 제3 단계는 붓과 기타 도구를 이용하여 유물원형(20, 30) 상에 실리콘 혼합물(45)을 적당한 두께로 일정하게 도포하고 경화시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는 거즈를 적절하게 자른 후 상기 제1 몰드용 형틀 상에 빈틈이 없도록 붙여 구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유물원형은 앞에서 설명한 제1 유물원형(20)과 제2 유물원형(30)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몰드용 형틀(40)을 형성하기 이전에 또는 몰드용 형틀(40)을 형성한 이후에, 주석박지(25)를 포함하는 제1 유물원형(20)을 제거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몰드용 형틀(40)을 형성하기 이전에 몰드용 형틀(40)과 직접 접촉하는 유물원형(20, 30) 상에 선택적으로 이형제를 골고루 수회 바르고 건조시킬 수도 있다. 몰드용 형틀(40)은 유물진품(10)의 형상에 따라 일체형의 형틀로 이루어지거나 복수개의 부분형틀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몰드용 형틀(40)은 경화제가 첨가된 실리콘(silicone) 혼합물(45)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 혼합물(45)은 실온 또는 가열에 의해 경화되는 물질로서 단시간에 성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형성, 내열성, 내약품성, 치수안정성 등이 뛰어나고 경화시 발열하지 않으므로 유물진품(10)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실리콘 혼합물(45)은 신에츠(ShinEtsu) 사의 KE-1402 실리콘 제품에 CAT-1402 경화제 제품을 중량비 10:1로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실리콘 혼합물(45)은 경화시간(curing time)이 23℃에서 24시간이며, 점도는 70,000cps이며, 연신율(Elongation at break)은 300%이며, 인장강도(tensile strength)는 4.5MPa이며, 수축률(Linear shrinkage)은 0.5%이다. 실리콘 혼합물(45)은 경화시간을 촉진하기 위하여 경화촉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의 물성 자체가 점성이 떨어지므로 경사진 곳을 바를 때는 증점제(增粘劑)인 에어로젤(aerogel)을 첨가하여 실리콘의 점도를 높인다. 이렇게 하면 실리콘이 흘러내리지 않고 경사진 벽면에 균일하게 실리콘을 바를 수 있다. 에어로젤은 1930년대에 처음 발견된 이후 열ㅇ전기ㅇ소리ㅇ충격 등에 강하고, 무게도 같은 부피의 공기보다 3배밖에 무겁지 않아 미래의 단열재ㅇ충격완충재ㅇ방음재 등으로 주목을 받아 온 신소재이다. 재료는 머리카락의 1만 분의 1 굵기인 규소 산화물(SiO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미세한 입자를 실리콘에 반죽하면 점도는 높아지지만 부드러워 유물 면에 실리콘을 바르기가 최적의 상태가 된다.
실리콘 혼합물을 이용해 몰드용 형틀(40)을 형성한 후에 추가적으로 보강재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몰드용 형틀(40)은 실리콘 혼합물(45) 상에 석고붕대(47)를 이용하여 형성된 보강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몰드용 형틀(40)은 실리콘 혼합물(45)과 석고붕대(47)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에 적신 석고붕대(47)는 신속하게 굳어 몰드용 형틀(40)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완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몰드용 형틀(40)을 이용하여 몰딩성형물(55)로 이루어진 유물복제품(50)을 형성하는 단계(S50)가 수행된다. 몰딩성형물(55)은 몰드용 형틀(40)을 이용하여 소조(塑造) 또는 주조(鑄造) 공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주조 공법에 의하여 형성할 경우, 몰드용 형틀(40) 상에 주입구를 설치하고 이를 통하여 몰딩성형물(55)을 주입할 수도 있다. 소조 공법에 의하여 형성할 경우, 몰드용 형틀(40) 상에 몰딩성형물(55)을 덧붙이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몰딩성형물(55)은, 예를 들어, 급결(急結) 시멘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결 시멘트는 물과 비볐을 때 빨리 응결하는 시멘트로서, 통상의 시멘트에 건조된 모래를 혼합하고 이에 분말형 급결제를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급결 시멘트는 플라이 애시(fly ash)를 더 혼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안료를 사용하여 급결 시멘트 자체를 착색할 수도 있다.
그러나, 몰딩성형물(55)의 재료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조 공법이나 주조 공법에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몰딩성형물(55)의 재료는 액상의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수지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몰드용 형틀(40)을 이용하여 몰딩성형물(55)을 형성하기 이전에 몰드용 형틀(40)의 변형 유무를 확인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몰드용 형틀(40)의 조립 시 뒤틀림이 생기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계속하여, 몰딩성형물(55)로 이루어진 유물복제품(50)과 몰드용 형틀(40)을 서로 분리하여 이탈시킨 후 유물복제품(55)을 장시간 자연 건조시킨 뒤에 거친 표면을 다듬고 불필요한 부위는 절단하여 원하는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유물복제품(50)에서 분리된 몰드용 형틀(40)은 경우에 따라서는 재사용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유물복제품(50)을 채색하고 고풍 처리하는 단계(S60)가 수행된다. 우선, 전시 환경이 어떤지 파악하여 유물복제품(50)의 채색 정도나 방법을 결정한다. 완성된 유물복제품(50)은 아크릴 물감이나 기타 여러 안료를 이용해 실제에 가깝게 채색한다. 채색하기 전에 안료층이 들뜨지 않도록 에폭시 프라이머를 도포해 접착력을 높여줄 수 있다. 채색에 있어 단순히 미학적 차원뿐만 아니라 과학적, 역사적 및 고고학적 차원에서도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정확한 자료와 세심한 관찰력으로 채색을 완성한다. 한편, 유물복제품(50)을 채색하는 단계와 유물복제품(50)을 고풍 처리하는 단계는 수행 순서가 서로 변경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유물진품(10)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형성된 유물복제품(50)을 비교하였다. 크기, 형상, 질감 및 색채의 측면에서 유물진품(10)과 유물복제품(50)이 상당히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금속 재질(예를 들어, 철기나 청동기)의 유물에 대한 복제방법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유물의 재질이나 형상, 종류 및 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유물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유물의 재질 측면에서는 철기나 청동기 뿐만 아니라 도토기(陶土器), 유기, 자기, 목기 또는 석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유물의 종류 측면에서는 각종 생활유물, 종교유물, 제례유물 또는 건축물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유물진품
20 : 제1 유물원형
30 : 제2 유물원형
40 : 몰드용 형틀
50 : 유물복제품

Claims (9)

  1. 주석박지, 호일 테이프 및 석고붕대를 유물진품의 표면 상에 순차적으로 밀착시켜 형성한 구조체인 유물원형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물원형 상에 증점제인 에어로젤이 첨가된 실리콘 혼합물을 포함하는 몰드용 형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몰드용 형틀을 이용하여 몰딩성형물로 이루어진 유물복제품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호일 테이프는 상기 몰드용 형틀을 형성하기 이전에 상기 주석박지의 형상이 늘어나거나 움직이거나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주석박지의 보강재인, 유물의 복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물원형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물진품 상에 상기 주석박지를 밀착시켜 제1 유물원형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유물원형 상에 제2 유물원형을 밀착하여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물의 복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일 테이프는 상기 석고붕대를 밀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석고붕대의 석고물이 상기 유물진품의 표면에 스며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테이프를 포함하는, 유물의 복제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물원형은 상기 석고붕대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유물의 복제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물원형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유물원형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물의 복제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용 형틀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물원형 상에 상기 실리콘 혼합물을 포함하는 몰드용 형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물의 복제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물원형 상에 상기 실리콘 혼합물을 포함하는 몰드용 형틀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물원형 상에 상기 실리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1 몰드용 형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몰드용 형틀 상에 거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거즈층 상에 상기 실리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2 몰드용 형틀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물의 복제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혼합물을 포함하는 몰드용 형틀은 상기 실리콘 혼합물을 포함하는 몰드용 형틀 상에 석고로 형성된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유물의 복제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성형물은 수지 또는 급결 시멘트를 포함하는, 유물의 복제방법.


KR1020110126426A 2011-11-30 2011-11-30 유물의 복제방법 KR101166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426A KR101166571B1 (ko) 2011-11-30 2011-11-30 유물의 복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426A KR101166571B1 (ko) 2011-11-30 2011-11-30 유물의 복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6571B1 true KR101166571B1 (ko) 2012-07-19

Family

ID=46717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426A KR101166571B1 (ko) 2011-11-30 2011-11-30 유물의 복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57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scher et al. Funnel‐shaped microstructures for strong reversible adhesion
CN108225859B (zh) 一种基于3d打印技术制备单裂隙岩石试样的方法
DE50101927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ermanenten entformungsschicht durch plasmapolymerisation auf der oberfläche eines formteilwerkzeugs, formteilwerkzeug und verwendung
DE60042244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atrix
US2491147A (en) Method of making denture base parts and applying artificial teeth thereto
KR101418439B1 (ko) 고체형 실리콘 의수의 제조방법
KR101166571B1 (ko) 유물의 복제방법
US20200108655A1 (en) Method for Creating a Three-Dimensional Decorative Sculpture
RU2015109356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устотелых ландшафтных декоративных изделий
ATE355952T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hinterspritzten kunststoffformteilen
CN111662097A (zh) 一种陶瓷文物保护及修复的方法
KR102076303B1 (ko) 조형석 블록 제조 방법
US869311A (en) Process of producing gelatin forms or molds.
RU2391217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коративных изделий
US2005000886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tructures and structures resulting there from
KR100587775B1 (ko) 범종의 로스트왁스 주조방법
FR2566709A1 (fr) Nouveau procede d'obtention de bas-reliefs pharaoniques realises a partir de l'original, d'une photographie ou d'un dessin
JP2011194691A (ja) 平面素材を粘土に付着させ一体化させて凹凸加工後凝固させた造形物作成手法
Chase et al. Appendix 2: Technical Studies and Metal Compositional Analyses of Bronzes of the Eastern Eurasian Stepper from the Arthur M. Sackler Collections
TWI665048B (zh) 相異物件的嵌入接合方法
Roma Claudi de Jose: Ceramics and architecture
TW200808538A (en) Manufacturing method of damp proof film and pattern
KR930000110B1 (ko) 자개를 매설한 수지기념패의 제조방법
KR101168087B1 (ko) 클레이캐릭터 및 그 제조방법
TW200823353A (en) Method for producing integrated three-dimensional doorframe made of an artificial st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