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552B1 -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 - Google Patents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552B1
KR101166552B1 KR1020110104628A KR20110104628A KR101166552B1 KR 101166552 B1 KR101166552 B1 KR 101166552B1 KR 1020110104628 A KR1020110104628 A KR 1020110104628A KR 20110104628 A KR20110104628 A KR 20110104628A KR 101166552 B1 KR101166552 B1 KR 101166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haft
bridge
lower plate
reaction resistanc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경
현정환
이강돈
Original Assignee
협성실업 주식회사
(주)협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협성실업 주식회사, (주)협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협성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4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5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 E01D19/047Pot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반력에 의해 상부구조물이 하부구조물 상에서 들뜨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은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각각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로부터 하부구조물에 하중을 전달하는 베어링부재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고정되며, 가이드홀이 일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부반력저항블록과;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서 하부플레이트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고정되는 제1지주부 및 제2지주부와; 상기 부반력저항블록의 가이드홀 내측을 통과하며, 양단이 상기 제1,2지주부에 고정되는 가이드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Up-lift Resistant Elastomeric Bearing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교량받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의 사이에 설치되는 교량받침에 있어서 부반력에 의해 상부구조물이 하부구조물 상에서 들뜨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받침이란 교량 상판 등과 같은 상부 구조물과 이를 지지하는 교각 등과 같은 하부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연직방향으로는 충분한 강성으로 지지안전성을 확보하는 가운데 수평방향으로는 충분한 전단능력 및 회전능력을 구비한 장치이며, 특히 면진 계열의 교량받침은 자체 변형을 통하여 지진 등의 수평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기능을 발휘한다. 이와 같은 교량받침은 탄성받침, 납면진받침 등과 같은 고무계열의 받침과 포트받침, 스페리칼 받침 등과 같은 강재 계열의 받침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탄성받침은 대표적인 교량받침으로, 전통적으로 복수의 고무판과 강판을 교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탄성패드와, 상기 탄성패드를 교량 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한 상, 하부 플레이트를 주요구성으로 한다.
이같은 교량받침을 교량에서 사용하는 경우 교량받침은 상판과 교각의 상대적인 변위와 하중을 끊임없이 야기하는 요인들에 대하여 적절한 대응이 가능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예건대, 차량 통행에 따른 동하중의 작용, 계절 및 온도 변화로 인한 상판 길이의 변화, 지진으로 인한 충격력 등의 요인으로 발생하는 교량 상판의 변위 및 하중을 적절히 대비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교량 전체 또는 부분 붕괴를 막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지진의 발생이나 열차의 전복사고, 교량의 하중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교량의 상판에 부반력(UP-LIFTING FORCE)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부반력을 적절히 제어하지 못할 경우에는 교량의 낙교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많은 인명사고와도 연결될 수 있어 교량받침에 부반력에 저항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86976호(2005년 6월 7일 등록)에는 교량의 상하부구조물에 각각 대응되게 고정되는 상부판 및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 및 하부판의 대응면에 상하면이 고정되는 탄성패드를 구비한 탄성받침에 있어서, 탄성패드를 중심으로 한 상기 하부판의 상면 양쪽에 부반력 저항부를 갖는 한 쌍의 부반력 키를 세워서 고정시키고, 상기 상부판의 양쪽에 상기 부반력 저항부의 저면이 각각 슬라이드 안내되도록 형성된 부반력 슬라이드부를 설치하여, 부반력이 발생 시 상기 부반력 슬라이드부가 상기 부반력 키의 부반력 저항부에 걸려 부반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교량받침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의 탄성받침을 비롯한 종래의 탄성받침에 적용되고 있는 부반력 저항 구조체들은 구성이 복잡하고 그 크기가 커서 많은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받침의 전체 크기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탄성받침에만 국한되어 적용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교량받침 전체 크기를 거의 증가시키지 않으며, 교량받침의 수평방향 거동시에는 가이드 및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역할도 겸할 수 있는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각각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U)로부터 하부구조물(L)에 하중을 전달하는 베어링부재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고정되며, 가이드홀이 일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부반력저항블록과;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서 하부플레이트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고정되는 제1지주부 및 제2지주부와; 상기 부반력저항블록의 가이드홀 내측을 통과하며, 양단이 상기 제1,2지주부에 고정되는 가이드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반력저항블록과 제1,2지주부 및 가이드샤프트가 부반력에 저항하여 연직 방향으로의 변위를 제한하는 부반력 저항 구조체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시에 수평방향 변위 발생시에는 상대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되므로 부반력 저항 구조와 가이드 구조를 별도로 구성할 필요가 없게 되고, 따라서 교량받침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교각 크기의 감소로 이어져 전체적인 시공비 등의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부반력저항블록과 제1,2지주부 및 가이드샤프트는 완전히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며 콤팩트한 크기를 갖게 되므로 교량받침의 전체 크기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교량받침은 봉형상의 가이드샤프트에서 파괴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파괴 후 간단히 가이드샤프트만 교량받침에서 분리하여 새것으로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 보수 및 관리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우수한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의 결합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의 정면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의 측면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을 나타낸 측면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을 나타낸 측면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으로서 납면진받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으로서 포트받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으로서 탄성받침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의 교량받침은 교량의 상부구조물(U)과 하부구조물(L) 각각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2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0)와 하부플레이트(20)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U)과 하부구조물(L) 간에 하중을 전달하는 탄성패드(3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0)와 하부플레이트(20) 사이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10)에 고정되며 가이드홀(41)이 일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부반력저항블록(40)과, 상기 상부플레이트(10)와 하부플레이트(20) 사이에서 하부플레이트(20)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고정되는 제1지주부(51) 및 제2지주부(52)와, 상기 부반력저항블록(40)의 가이드홀(41) 내측을 통과하며 양단이 상기 제1,2지주부(51, 52)에 고정되는 가이드샤프트(6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20)는 각각 교량의 상부구조물(U)과 하부구조물(L) 각각에 복수개의 앵커볼트(25)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탄성패드(30)는 상부플레이트(10)와 하부플레이트(20) 사이에서 상부구조물(U)과 하부구조물(L) 간에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에너지를 흡수하는 베어링부재로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고무층(31)과, 상기 고무층(31) 내에 일정 간격으로 적층된 강판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보강판(32)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패드(30)는 대표적인 교량받침인 탄성받침의 베어링 부재인데, 상기 베어링 부재의 종류에 따라 교량받침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교량받침은 납면진받침으로서 탄성패드(130)의 중앙부에 납봉(131)이 삽입된구조의 베어링 부재가 구성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교량받침은 강재계열의 베어링 부재를 갖는 포트받침의 일례로, 이 포트받침에는 하부플레이트(20)에 고정되는 원형링 형태의 포트(231)와, 상기 포트(231)에 삽입되는 지압 베어링(232)과, 상기 지압 베어링(232)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불소수지판(PTFE)(233), 상부플레이트(1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미도시)로 구성된 베어링 부재가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베어링 부재라 함은 상기 탄성받침의 탄성패드(30) 뿐만 아니라 탄성받침 이외의 다른 종류의 교량받침에서의 지지, 전단 변형, 회전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의미한다.
상기 부반력저항블록(40)은 양단부가 상부플레이트(10)의 하부면에 볼트(45)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부반력저항블록(40)은 볼트(45)에 의해 상부플레이트(10)에 고정되지만 이외에도 용접 등의 방식으로 상부플레이트(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부반력저항블록(40)의 가이드홀(41)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형의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샤프트(60)의 직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홀(41)은 측면부는 완전히 막히고 양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지만, 이와 다르게 측면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개방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지주부(51)와 제2지주부(52)는 소정 직경의 원통형 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수나수부(53)가 형성되어 하부플레이트(20)에 형성된 지주결합홀(21)에 나선 결합되는 방식으로 고정되나, 이외에도 용접 등의 방식으로 하부플레이트(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제1,2지주부(51, 52)의 상단부 양측은 면취된 형태를 가지며, 이 면취된 부분에 상기 가이드샤프트(60)의 결합을 위한 결합홀(51a, 5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홀(51a, 52a)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샤프트(60)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수나사부(61a, 61b)가 결합홀(51a, 52a)의 암나사부에 나선결합됨으로써 가이드샤프트(60)의 양단부가 제1,2지주부(51, 52)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1지주부(51)의 결합홀(51a)의 내경은 제2지주부(52)의 결합홀(52a)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가이드샤프트(60)의 양단부의 외경은 상기 제1지주부(51)의 결합홀(51a) 내경과 제2지주부(52)의 결합홀(52a)의 내경과 각각 대응하는 크기로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가이드샤프트(60)의 일단부를 상기 제2지주부(52)의 결합홀(52a) 내측을 통과시켜 제1지주부(51)에 맞추어 나선 결합시키고, 가이드샤프트(60)의 다른 일단부를 제2지주부(52)의 결합홀(52a) 내측에 맞추어 나선 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제작 및 교체가 용이해지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샤프트(60)는 기다란 원형봉 형태를 가지며, 양단부에 상기 제1,2지주부(51, 52)의 결합홀(51a, 52a) 내측에 나선 결합되는 수나사부(61a, 6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샤프트(60)의 양단부는 상기 제1,2지주부(51, 52)의 결합홀(51a, 52a) 내측에 나선 결합되므로 양단부의 외경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지주부(51)의 결합홀(51a)에 결합되는 부분이 제2지주부(52)의 결합홀(52a)에 결합되는 부분보다 작은 외경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샤프트(60)의 일단부가 다른 일단부보다 작은 외경을 갖게 되면, 수평 지진과 같은 강한 지진 수평력이 작용하여 일정 하중 이상이 가해지게 되면 이 부분에서 파괴가 발생하고, 탄성 고무층의 전단 변형으로 지진 수평력을 감쇠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샤프트(60)의 양측부에는 작업자가 공구로 가이드샤프트(60)를 잡고 돌릴 수 있도록 다각형(이 실시예에서 사각형) 형상의 공구파지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구파지부(63)는 지진이나 기타 하중 발생시 가이드샤프트(60)의 파괴를 유도하는 파괴유도 기능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교량받침은 상기 가이드샤프트(60)가 부반력저항블록(40)의 가이드홀(41) 내측을 관통하여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진이나 다른 요인에 의해 부반력이 발생하여 상부플레이트(10)가 하부플레이트(20)에 대해 부양되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부반력저항블록(40)이 가이드샤프트(60)에 걸려 더 이상 연직 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부반력이 발생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수평하중에 의한 상부플레이트(10)와 하부플레이트(20) 간의 수평 변위 발생시 부반력저항블록(40)이 가이드샤프트(60)의 안내를 받아 수평 방향으로 일정 변위만큼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상부플레이트(10)와 하부플레이트(20) 간의 수평 변위가 일정량 이상이 되면, 부반력저항블록(40)이 제1지주부(51) 또는 제2지주부(52)에 부딪혀 더 이상의 이동이 제한된다. 결국 상기 가이드샤프트(60) 및 제1지주부(51)와 제2지주부(52)에 의하여 교량받침은 교량 배치에 있어서 방향성을 가지게 되며, 더욱이 수평방향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교량받침은 상기 부반력저항블록(40)과 제1,2지주부(51, 52) 및 가이드샤프트(60)가 부반력에 저항하여 연직 방향으로의 변위를 제한하는 부반력 저항 구조체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시에 수평방향 변위 발생시에는 상대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부반력저항블록(40)과 제1,2지주부(51, 52) 및 가이드샤프트(60)는 완전히 상부플레이트(10)와 하부플레이트(20) 사이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며 콤팩트한 크기를 갖게 되므로 교량받침의 전체 크기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교량받침에 적용되는 부반력 저항 구조체는 강한 지진 발생과 같이 일정 이상의 하중이 작용시에는 파괴되는 메커니즘을 가져야 하는데, 본 발명의 교량받침은 가이드샤프트(60)에서 파괴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파괴 후 간단히 가이드샤프트(60)만 교량받침에서 분리하여 새것으로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 보수 및 관리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우수한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 부반력저항블록(40)과 제1,2지주부(51, 52)와 가이드샤프트(6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0)와 하부플레이트(20) 사이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부반력저항블록(40)의 가이드홀(41)과 가이드샤프트(60)의 외주면 사이에는 아무것도 없는 공간이지만, 이와 다르게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이드홀(41) 내측에 가이드샤프트(60)의 수평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싱(70)을 추가로 장착하여 가이드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가이드홀(41)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가이드샤프트(60)의 외면에 고무와 같은 수지 재질로 된 탄성밴드(미도시)를 추가로 결합시켜 완충 기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2지주부(51, 52)가 하부플레이트(20)에만 고정되었지만,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2지주부(51, 52)를 상기 앵커볼트(25)의 상단에 나선 결합 방식 등으로 고정되게 결합시키거나,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2지주부(51, 52)를 앵커볼트(25)와 일체로 형성하여 하부플레이트(20)에 고정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의 교량받침은 부반력저항블록(40)이 상부플레이트(10)에 설치되고, 제1,2지주부(51, 52) 및 가이드샤프트(60)가 하부플레이트(20)에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와 반대로도 가능하다. 즉, 제1,2지주부(51, 52) 및 가이드샤프트(60)를 상부플레이트(10)에 설치하고, 부반력저항블록(40)을 하부플레이트(20)에 설치하여 부반력 저항 기능 및 수평 변위 가이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에 대한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 목적으로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 상부플레이트 20 : 하부플레이트
25 : 앵커볼트 30 : 탄성패드
40 : 부반력저항블록 41 : 가이드홀
45 : 볼트 51, 52 : 제1,2지주부
51a, 52b : 결합홀 60 : 가이드샤프트
61a, 61b : 수나사부 63 : 공구파지부
70 : 가이드부싱 U : 상부구조물
L : 하부구조물

Claims (9)

  1. 교량의 상부구조물(U)과 하부구조물(L) 각각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2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0)와 하부플레이트(20)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U)로부터 하부구조물(L)에 하중을 전달하는 베어링부재(3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0)와 하부플레이트(20) 사이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10)에 고정되며, 가이드홀(41)이 일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부반력저항블록(40)과;
    상기 상부플레이트(10)와 하부플레이트(20) 사이에서 하부플레이트(20)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고정되며, 결합홀(51a, 5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지주부(51) 및 제2지주부(52)와;
    상기 부반력저항블록(40)의 가이드홀(41) 내측을 통과하며, 양단부가 상기 제1지주부(51) 및 제2지주부(52)의 결합홀(51a, 52a) 내측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가이드샤프트(6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주부(51)의 결합홀(51a)의 내경은 제2지주부(52)의 결합홀(52a)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가이드샤프트(60)의 양단부의 외경은 상기 제1지주부(51)의 결합홀(51a) 내경과 제2지주부(52)의 결합홀(52a)의 내경과 각각 대응하는 크기로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
  2. 교량의 상부구조물(U)과 하부구조물(L) 각각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2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0)와 하부플레이트(20)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U)로부터 하부구조물(L)에 하중을 전달하는 베어링부재(3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0)와 하부플레이트(20) 사이에서 상기 하부플레이트(20)에 고정되며, 가이드홀(41)이 일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부반력저항블록(40)과;
    상기 상부플레이트(10)와 하부플레이트(20) 사이에서 상부플레이트(10)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고정되며, 결합홀(51a, 5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지주부(51) 및 제2지주부(52)와;
    상기 부반력저항블록(40)의 가이드홀(41) 내측을 통과하며, 양단부가 상기 제1지주부(51) 및 제2지주부(52)의 결합홀(51a, 52a) 내측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가이드샤프트(6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주부(51)의 결합홀(51a)의 내경은 제2지주부(52)의 결합홀(52a)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가이드샤프트(60)의 양단부의 외경은 상기 제1지주부(51)의 결합홀(51a) 내경과 제2지주부(52)의 결합홀(52a)의 내경과 각각 대응하는 크기로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주부(51, 52)의 결합홀(51a, 52a)의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샤프트(60)의 양단에 수나사부(61a, 61b)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샤프트(60) 양단의 수나사부(61a, 61b)가 각각 제1,2지주부(51, 52)의 결합홀(51a, 52a) 내측에 나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샤프트(60)에는 공구로 가이드샤프트(60)를 잡고 돌릴 수 있도록 다각형 형상의 공구파지부(6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반력저항블록(40)의 가이드홀(41)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샤프트(60)의 수평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싱(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샤프트(60)의 외면에 결합되며 상기 부반력저항블록(40)의 가이드홀(41) 내측에 삽입되는 탄성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주부(51, 52)는 상기 하부플레이트(20)를 하부구조물(L)에 고정시키는 앵커볼트(25)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주부(51, 52)는 상기 하부플레이트(20)를 하부구조물(L)에 고정시키는 앵커볼트(25)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
KR1020110104628A 2011-10-13 2011-10-13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 KR101166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628A KR101166552B1 (ko) 2011-10-13 2011-10-13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628A KR101166552B1 (ko) 2011-10-13 2011-10-13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6552B1 true KR101166552B1 (ko) 2012-07-30

Family

ID=46717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628A KR101166552B1 (ko) 2011-10-13 2011-10-13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5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4231A (zh) * 2017-11-15 2018-02-23 武汉理工大学 一种城市高架桥的半球凸起式橡胶减振支座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494Y1 (ko) 1999-11-19 2000-08-16 주식회사케이.알 교좌장치의 예비전단변형장치
JP3591119B2 (ja) 1996-03-19 2004-11-17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ム支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1119B2 (ja) 1996-03-19 2004-11-17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ム支承装置
KR200191494Y1 (ko) 1999-11-19 2000-08-16 주식회사케이.알 교좌장치의 예비전단변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4231A (zh) * 2017-11-15 2018-02-23 武汉理工大学 一种城市高架桥的半球凸起式橡胶减振支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1736B (zh) 疊層橡膠體用接合構件及使用該接合構件之疊層橡膠體以及構造體
KR101440878B1 (ko) 덮개판과 지지대가 구비된 구조물의 마찰 진자받침
CN112663605B (zh) 锚固装置、预应力锚固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10019587A (ko) 댐퍼 분리형 면진받침
CN203144886U (zh) 一种具有减震机构的盆式橡胶支座
JP4360559B2 (ja) 回転吸収層付支承装置
KR101166552B1 (ko) 부반력 저항 교량받침
KR101127938B1 (ko) 면진 장치
KR101208034B1 (ko) 지진 격리 장치
JP4974110B2 (ja) 免震装置
KR20140117052A (ko) 부반력 저항 면진 시스템
CN216277183U (zh) 一种约束层具有负泊松比结构的装配式防屈曲支撑构件
JP2007321969A (ja) 免震構造及び免震方法
KR20110072412A (ko) 면진 장치
JP2006207680A (ja) 積層ゴム支承体
JP2013148106A (ja) 構造物用薄型滑り支承装置
JP2002070943A (ja) 免震滑り支承装置
JP2011089305A (ja) 橋梁用支承装置
KR102152740B1 (ko) 교량구조물의 교량받침 배치방법
JP5002403B2 (ja) 既存杭と新設杭とを用いた基礎構造
KR100767344B1 (ko) 교량의 지진격리를 위한 탄성받침 배치 구조 및 이에적용하기 위한 탄성받침
CN204282203U (zh) 一种短钢臂耗能支座
KR101292012B1 (ko) 부반력 제어 기능을 갖는 교좌장치
CN105484380A (zh) 一种分离式自动回弹水平剪切锁定装置
KR20200116699A (ko) 교량용 디스크 받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