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949B1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949B1
KR101165949B1 KR1020050035882A KR20050035882A KR101165949B1 KR 101165949 B1 KR101165949 B1 KR 101165949B1 KR 1020050035882 A KR1020050035882 A KR 1020050035882A KR 20050035882 A KR20050035882 A KR 20050035882A KR 101165949 B1 KR101165949 B1 KR 101165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hamber
compressor
chamber
discharge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3052A (ko
Inventor
임권수
황승용
김민규
문경운
이성명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5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949B1/ko
Publication of KR20060113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81Casings,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78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05B2260/301Retaining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후방하우징의 흡입실을 일부 구획하여 형성된 제 2 토출실과 상기 제 2 토출실에 인접 배치된 볼트체결공의 사이에 토출냉매의 온도영향을 줄이도록 전열방지수단을 형성함으로서 열팽창에 의한 볼트 풀림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내부에 둘레방향으로 다수개의 볼트체결공(16)(16a)이 형성됨과 아울러 격벽(13)을 사이에 두고 흡입실(11) 및 토출실(12)이 형성되는 전,후방 하우징(10)(10a)과, 상기 전,후방 하우징(10)(10a)의 사이에 설치되는 실린더블록(20)(20a)과, 상기 실린더블록(20)(20a)의 실린더보어(21)내에 설치되고 사판(40)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왕복운동하는 다수의 피스톤(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실(12)과 상기 토출실(12)에 인접 배치된 볼트체결공(16a)의 사이에는 열팽창에 의한 볼트(80)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열방지수단(1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축기, 전,후방하우징, 토출실, 볼트체결공, 전열방지수단

Description

압축기{Compressor}
도 1 은 종래의 압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 는 도 1 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전,후방 하우징에 전열방지수단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전,후방 하우징에 형성된 전열방지수단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압축기 10: 전방하우징
10a: 후방하우징 11: 흡입실
12: 토출실 12a: 제 1 토출실
12b: 제 2 토출실 12c: 토출홀
13: 격벽
15: 고정홀 16,16a: 볼트체결공
16b: 살부 17,17a: 구획벽
20: 전방실린더블록 20a: 후방실린더블록
21: 실린더보어 22: 흡입통로
23: 연결통로 24: 사판실
25: 지지공
30: 구동축 40: 사판
45: 슈 50: 피스톤
60: 밸브유니트 61: 밸브플레이트
62: 토출리드밸브 63: 흡입리드밸브
65: 고정핀 70: 머플러
71: 냉매흡입구 72: 냉매토출구
80: 볼트
100: 전열방지수단 101: 공간부
105: 홈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후방하우징의 흡입실을 일부 구획하여 형성된 제 2 토출실과 상기 제 2 토출실에 인접 배치된 볼트체결공의 사이에 토출냉매의 온도영향을 줄이도록 전열방지수단을 형성함으로서 열팽창에 의한 볼트 풀림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압축기는 증발기로부터 증발이 완료되어 토출된 냉매가스를 흡입하여 액화되기 쉬운 고온고압 상태의 냉매가스로 변환시켜 응축기로 토출 한다.
이러한 압축기에는 경사진 사판의 회전으로 피스톤이 왕복운동하는 사판식 압축기, 2개의 스크롤의 회전운동에 의해 압축하는 스크롤식 압축기, 회전 배인(vane)에 의해 압축하는 배인 로터리식 압축기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 중 피스톤의 왕복 운동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는 왕복식 압축기에는 상기 사판식 압축기 외에도 크랭크식과 워블 플레이트식 등이 있으며, 상기 사판식 압축기의 경우에도 용도에 따라 고정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와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등이 있다.
도 1 및 도 2 는 종래의 고정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판식 압축기(1)는 전방 실린더블록(20)이 내장된 전방 하우징(10)과, 상기 전방 하우징(10)과 결합되며 후방 실린더블록(20a)이 내장된 후방 하우징(10a)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후방 하우징(10)(10a)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밸브 플레이트(61)의 냉매토출공 및 냉매흡입공과 대응하여 격벽(13)의 내,외측에 각각 토출실(12) 및 흡입실(1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실(12)은 격벽(13)의 내측에 형성된 제 1 토출실(12a)과, 상기 격벽(13)의 외측에 형성되어 흡입실(11)과 구획되며 제 1 토출실(12a)과 토출홀(12c)을 통해 연통하는 제 2 토출실(12b)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 토출실(12a)의 냉매가 상기 작은 직경의 토출홀(12c)을 통과 할 때는 축소되고 제 2 토출실(12b)로 이동할 때는 확대되는데, 이렇게 냉매가 축소 및 확대 되는 과정에서 맥동압이 떨어져 진동과 소음을 감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흡입실(11)의 둘레방향으로는 다수개의 볼트체결공(16)(16a)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볼트체결공(16)(16a)을 통해 상기 전,후방 하우징(10)(10a)은 그 내부에 다수의 구성부품들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호 볼트(80)로 체결/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은 내부에 다수의 실린더보어(21)가 구비되고,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의 서로 대응하는 실린더보어(21)에는 피스톤(50)들이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피스톤(50)들은 구동축(30)에 경사지게 결합된 사판(40)의 외주에 슈(45)를 개재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30)과 함께 회전하는 사판(40)에 연동하여 상기 피스톤(50)들은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의 실린더보어(21) 내부를 왕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 하우징(10)(10a)과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 사이에는 밸브유니트(6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유니트(60)는 냉매흡입공 및 냉매토출공을 갖는 밸브 플레이트(61)와 그 양측면에 설치되는 흡입리드밸브(63) 및 토출리드밸브(62)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밸브유니트(60)는 상기 전,후방 하우징(10)(10a)과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 사이에 각각 조립되게 되는데, 이때 밸브 플레이트(61)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핀(65)이 전,후방 하우징(10)(10a)과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 의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고정홀(15)에 삽입되면서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 사이에 구비된 사판실(24)로 공급되는 냉매가 상기 각 흡입실(11)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에는 다수의 흡입통로(22)가 형성되며, 상기 전,후방 하우징(10)(10a)의 제 2 토출실(12b)은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을 관통하여 형성된 연결통로(23)에 의해 상호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50)의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의 보어(21)내에서 동시에 냉매의 흡입 및 압축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의 중앙에는 구동축(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공(25)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공(25) 내에는 니들롤러베어링(26)이 개재되어 상기 구동축(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한편, 상기 후방 하우징(10a)의 외주면 상부에는 피스톤(50)의 흡입행정시 증발기로부터 이송된 냉매를 압축기(1) 내부로 공급하고, 피스톤(50)의 압축행정시에는 압축기(1) 내부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 쪽으로 토출하도록 머플러(70)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압축기(1)의 냉매순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는 상기 머플러(70)의 흡입부로 흡입된 후 냉매흡입구(71)를 통해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 사이의 사판실(24)로 공급되고, 상기 사판실(24)로 공급된 냉매는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에 형성된 흡입통로(22)를 따라 상기 전,후방 하우징(10)(10a)의 흡입실(11)로 유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피스톤(50)의 흡입행정시 상기 흡입리드밸브(63)가 열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 흡입실(11)의 냉매가 상기 실린더보어(21)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피스톤(50)의 압축행정시 상기 실린더보어(21) 내부의 냉매가 압축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토출리드밸브(62)가 열리면서 냉매가 상기 전,후방 하우징(10)(10a)의 제 1 토출실(12a)로 유동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제 2 토출실(12b)을 거쳐 상기 머플러(70)의 냉매토출구(72)를 통해 머플러(70)의 토출부로 토출된 후 응축기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방 실린더블록(20)의 실린더보어(21)내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전방 하우징(10)의 제 1 토출실(12a)로 토출되고 이후 제 2 토출실(12b)로 유동한 후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에 형성된 연결통로(23)를 따라 상기 후방 하우징(10a)의 제 2 토출실(12b)로 유동하여 이곳의 냉매와 함께 상기 냉매토출구(72)를 통해 머플러(70)의 토출부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흡입실(11)의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볼트체결공(16)(16a) 중 하나는 상기 제 2 토출실(12b)과 인접 배치되어 상기 흡입실(11)과 제 2 토출실(12b)을 구획하게 되는데, 즉, 상기 제 2 토출실(12b)의 일측은 상기 볼트체결공(16a)을 이루는 살부(16b)에 의해 흡입실(11)과 구획되고 타측은 구획벽(17)에 의해 구획된다.
그러나, 상기 피스톤(50)의 압축행정시 상기 실린더보어(21)에서 상기 제 1 토출실(12a)로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는 상기 제 2 토출실(12b)을 거쳐 머플러(70)측으로 토출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제 2 토출실(12b)을 통과하는 냉매의 높은 온도가 상기 제 2 토출실(12b)과 인접 배치된 볼트체결공(16a)의 살부(16b)를 통해 볼트체결공(16a)측으로 전열되게 된다.
즉, 상기 볼트체결공(16a)이 토출냉매의 온도 영향을 받게 되면서 열팽창을 하게 되어 상기 볼트체결공(16a)에 체결된 볼트(80)가 풀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됨과 동시에 이 부위에서 냉매의 리크가 발생하는 등 내구성에 많은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 2 토출실과 상기 제 2 토출실에 인접 배치된 볼트체결공의 사이에 토출냉매의 온도영향을 줄이도록 전열방지수단을 형성함으로서 열팽창에 의한 볼트 풀림을 방지하여 냉매의 리크를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킨 압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둘레방향으로 다수개의 볼트체결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격벽을 사이에 두고 흡입실 및 토출실이 형성되는 전,후방 하우징과, 상기 전,후방 하우징의 사이에 설치되는 실린더블록과, 상기 실린더 블록의 실린더보어내에 설치되고 사판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왕복운동하는 다수의 피스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실과 상기 토출실에 인접 배치된 볼트체결공의 사이에는 열팽창에 의한 볼트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열방지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동일한 부분은 종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전,후방 하우징에 전열방지수단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전,후방 하우징에 형성된 전열방지수단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1)를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내부에 격벽(13)을 사이에 두고 내,외측에 토출실(12)과 흡입실(11)이 각각 구획/형성되고 상호 결합되는 전,후방 하우징(10)(10a)과, 상기 전,후방 하우징(10)(10a)의 사이에 설치되는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과,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30)과, 상기 구동축(30)과 함께 회전하는 사판(40) 및 상기 사판(40)의 외주에 슈(45)를 개재하여 결합되며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의 사판실(24) 양측에 형성된 실린더보어(21) 내부를 왕복운동하는 다수의 피스톤(5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후방 하우징(10)(10a)의 토출실(12)은 격벽(13)의 내측에 형성된 제 1 토출실(12a)과, 상기 격벽(13)의 외측에 형성되어 흡입실(11)과 구획 되며 제 1 토출실(12a)과 토출홀(12c)을 통해 연통하는 제 2 토출실(12b)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 토출실(12a)의 냉매가 상기 작은 직경의 토출홀(12c)을 통과할 때는 축소되고 제 2 토출실(12b)로 이동할 때는 확대되는데, 이렇게 냉매가 축소 및 확대 되는 과정에서 맥동압이 떨어져 진동과 소음을 감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흡입실(11)의 둘레방향으로는 다수개의 볼트체결공(16)(16a)이 형성되며, 이러한 상기 볼트체결공(16)(16a)을 통해 상기 전,후방 하우징(10)(10a)은 그 내부에 상기한 구성부품들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호 볼트(80)로 체결/고정된다.
또한,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 사이에 구비된 사판실(24)로 공급되는 냉매가 상기 각 흡입실(11)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에는 다수의 흡입통로(22)가 형성되며, 상기 전,후방 하우징(10)(10a)의 토출실(12)은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을 관통하여 형성된 연결통로(23)에 의해 상호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 하우징(10)(10a)과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 사이에는 밸브유니트(60)가 조립되는데, 상기 밸브유니트(60)는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 측으로부터 흡입리드밸브(63), 냉매흡입공 및 냉매토출공이 형성된 밸브 플레이트(61), 토출리드밸브(62)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밸브유니트(60)는 양측면에 구비된 고정핀(65)이 상기 전,후방 하우징(10)(10a)과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의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고정홀 (15)에 삽입되면서 결합/고정된다.
한편, 상기 후방 하우징(10a)의 외주면 상부에는 피스톤(50)의 흡입행정시 증발기로부터 이송된 냉매를 냉매흡입구(71)를 통해 압축기(1) 내부로 공급하고, 피스톤(50)의 압축행정시에는 압축기(1) 내부에서 압축된 냉매를 냉매토출구(72)를 통해 응축기 쪽으로 토출하도록 머플러(70)가 설치된다.
이러한 압축기(1)는 엔진의 동력을 전자클러치(미도시)의 단속작용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구동된다.
상기한 압축기(1)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하우징(10)(10a)의 흡입실(11) 둘레에 형성된 다수개의 볼트체결공(16)(16a) 중 하나는 상기 제 2 토출실(12b)과 인접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2 토출실(12b)과 상기 제 2 토출실(12b)에 인접 배치된 볼트체결공(16a)의 사이에 전열방지수단(10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전열방지수단(100)은 상기 볼트체결공(16a)이 토출냉매의 온도 영향을 받지않도록 함으로서 열팽창에 의한 볼트(80)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전열방지수단(100)은 여러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먼저, 도 3에 도시된 전열방지수단(100)은 상기 제 2 토출실(12b)과 흡입실(11)을 구획하는 구획벽(17a)과 상기 볼트체결공(16a)을 이루는 살부(16b)를 이격시켜 그 사이에 공간부(101)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즉, 종래에는 상기 볼트체결공(16a)을 이루는 살부(16b)가 직접 상기 제 2 토출실(12b)과 흡입실(11)을 구획함에 따라 토출냉매의 온도가 이 살부(16b)를 통 해 볼트체결공(16a)으로 전열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2 토출실(12b)과 흡입실(11)을 별도의 구획벽(17a)으로 구획함과 동시에 상기 볼트체결공(16a)을 이루는 살부(16b)는 상기 구획벽(17a)과 이격시켜 그 사이에 공간부(101)를 형성하여줌으로서 토출냉매의 온도가 전열되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전열방지수단(100)은 상기 볼트체결공(16a)을 이루는 살부(16b)가 직접 상기 제 2 토출실(12b)과 흡입실(11)을 구획할 경우, 상기 제 2 토출실(12b)과 상기 볼트체결공(16a)의 사이에 형성된 살부(16b)에 일정공간을 갖는 홈(105)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 2 토출실(12b)을 통과하는 토출냉매의 온도가 상기 살부(16b)를 통해 볼트체결공(16a)으로 전열될 때 상기 홈(105)에 의해 전열이 차단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는 전열방지수단(100)의 일예를 나타낸 것일 뿐, 이 외에도 더욱더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축기(1)에 따르면, 상기 전,후방 하우징(10)(10a)의 흡입실(11)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볼트체결공(16)(16a) 중 상기 제 2 토출실(12b)에 인접 배치된 볼트체결공(16a)과 상기 제 2 토출실(12b)의 사이에 전열방지수단(100)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50)의 압축행정시 상기 실린더보어(21)에서 토출된 고압/고온의 냉매는 상기 전,후방 하우징(10)(10a)의 제 1 토출실(12a)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 1 토출실(12a)로 이동한 냉매는 상기 토출홀(12c)을 통과하여 제 2 토출실(12b)로 이동하게 되며, 이후 상기 머플러(70)의 냉매토출구(72)를 통해 응축기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토출실(12b)을 통과하는 토출냉매는 고압/고온의 냉매로서 이 냉매의 높은 온도가 주변으로 전열되게 되는데, 상기 제 2 토출실(12b)에 인접 배치된 상기 볼트체결공(16a)측으로는 상기 전열방지수단(100)에 의해 전열이 차단 및 방지되어 열팽창에 의한 볼트(80) 풀림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후방 하우징(10)(10a)의 제 2 토출실(12a)과 상기 제 2 토출실(12a)에 인접 배치된 볼트체결공(16a)과의 사이에 전열방지수단(100)을 형성한 구성을 고정용량형 사판식 압축기(1)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전동압축기 등 다양한 종류의 압축기에 동일한 방법 및 구성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후방 하우징의 제 2 토출실과 상기 제 2 토출실에 인접 배치된 볼트체결공의 사이에 토출냉매의 온도영향을 줄이도록 전열방지수단을 형성함으로서 열팽창에 의한 볼트 풀림이 방지되어 냉매의 리크가 방지되고 내구성도 향상된다.

Claims (4)

  1. 내부에 둘레방향으로 다수개의 볼트체결공(16)(16a)이 형성됨과 아울러 격벽(13)을 사이에 두고 흡입실(11) 및 토출실(12)이 형성되는 전,후방 하우징(10)(10a)과,
    상기 전,후방 하우징(10)(10a)의 사이에 설치되는 실린더블록(20)(20a)과,
    상기 실린더블록(20)(20a)의 실린더보어(21)내에 설치되고 사판(40)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왕복운동하는 다수의 피스톤(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실(12)은 상기 격벽(13)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 1 토출실(12a)과, 상기 격벽(13)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실(11)과 구획되며 상기 제 1 토출실(12a)과 연통하는 제 2 토출실(12b)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토출실(12b)과 상기 제 2 토출실(12b)에 인접 배치된 볼트체결공(16a)의 사이에는 열팽창에 의한 볼트(80)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열방지수단(100)이 형성되되,
    상기 전열방지수단(100)은 상기 제 2 토출실(12b)과 흡입실(11)을 구획하는 구획벽(17a)과 상기 볼트체결공(16a)을 이루는 살부(16b)를 이격시켜 그 사이에 공간부(101)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2. 삭제
  3. 내부에 둘레방향으로 다수개의 볼트체결공(16)(16a)이 형성됨과 아울러 격벽(13)을 사이에 두고 흡입실(11) 및 토출실(12)이 형성되는 전,후방 하우징(10)(10a)과,
    상기 전,후방 하우징(10)(10a)의 사이에 설치되는 실린더블록(20)(20a)과,
    상기 실린더블록(20)(20a)의 실린더보어(21)내에 설치되고 사판(40)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왕복운동하는 다수의 피스톤(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실(12)은 상기 격벽(13)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 1 토출실(12a)과, 상기 격벽(13)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실(11)과 구획되며 상기 제 1 토출실(12a)과 연통하는 제 2 토출실(12b)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토출실(12b)과 상기 제 2 토출실(12b)에 인접 배치된 볼트체결공(16a)의 사이에는 열팽창에 의한 볼트(80)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열방지수단(100)이 형성되되,
    상기 전열방지수단(100)은 상기 제 2 토출실(12b)과 상기 볼트체결공(16a)의 사이에 형성된 살부(16b)에 일정공간을 갖는 홈(105)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4. 삭제
KR1020050035882A 2005-04-29 2005-04-29 압축기 KR101165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882A KR101165949B1 (ko) 2005-04-29 2005-04-29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882A KR101165949B1 (ko) 2005-04-29 2005-04-29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052A KR20060113052A (ko) 2006-11-02
KR101165949B1 true KR101165949B1 (ko) 2012-07-18

Family

ID=37651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882A KR101165949B1 (ko) 2005-04-29 2005-04-29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9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6312U (ko) * 1973-12-12 1975-07-23
JPS5799288A (en) 1980-12-10 1982-06-19 Hitachi Ltd Compressor for refrigerator
JP2004183534A (ja) 2002-12-02 2004-07-02 Sanden Corp 圧縮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6312U (ko) * 1973-12-12 1975-07-23
JPS5799288A (en) 1980-12-10 1982-06-19 Hitachi Ltd Compressor for refrigerator
JP2004183534A (ja) 2002-12-02 2004-07-02 Sanden Corp 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052A (ko)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4662B1 (en) Compressor
KR101031812B1 (ko) 압축기
KR101104283B1 (ko) 압축기
KR101172693B1 (ko) 압축기
KR101046095B1 (ko) 압축기
KR101165949B1 (ko) 압축기
KR101093964B1 (ko) 압축기
KR20080009361A (ko) 압축기
KR101184209B1 (ko) 압축기
KR101089980B1 (ko) 압축기
KR101038363B1 (ko) 압축기
KR101184577B1 (ko) 압축기
KR101049598B1 (ko) 압축기
KR20080006258A (ko) 압축기
KR101031811B1 (ko) 압축기
KR101041948B1 (ko) 압축기
KR20060082146A (ko) 압축기의 토출실 구조
KR101088079B1 (ko) 압축기
KR101031813B1 (ko) 압축기
KR101047693B1 (ko) 압축기
KR101139346B1 (ko) 압축기
KR101094625B1 (ko) 압축기
KR101032196B1 (ko) 압축기
KR101065978B1 (ko) 압축기
KR101032184B1 (ko)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