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933B1 - 계피를 포함하는 돼지 사육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돈육의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계피를 포함하는 돼지 사육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돈육의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933B1
KR101165933B1 KR1020110137942A KR20110137942A KR101165933B1 KR 101165933 B1 KR101165933 B1 KR 101165933B1 KR 1020110137942 A KR1020110137942 A KR 1020110137942A KR 20110137942 A KR20110137942 A KR 20110137942A KR 101165933 B1 KR101165933 B1 KR 101165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nnamon
feed composition
pork
feed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시내
Original Assignee
박시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시내 filed Critical 박시내
Priority to KR1020110137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9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웅취 제거 효과, 기능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돈육을 생산하기 위한 계피 포함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돈육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사육된 돼지는 웅취가 제거되어 관능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돼지 혈액 내 면역물질 함량이 높으며 몸에 나쁜 LDL콜레스테롤, 포화지방산 및 성인병을 유발한다고 알려진 오메가 6:3의 함량이 급격히 낮아지는 효과가 있어 기능성 측면이나 기호성에서 우수한 고품질 제품이므로, 사육 농가들의 소득 향상에 기여하며 대외경쟁력을 향상시켜 수출 증대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계피를 포함하는 돼지 사육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돈육의 생산 방법{Feed composition for pig breeding comprising cinnammons}
본 발명은 웅취 제거 효과 및 기능성과 저장성이 우수한 돈육을 생산하기 위한 배합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돈육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피는 오래전부터 한약 재료로써 이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수정과, 떡, 과자 등의 음식재료로써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알려져 있는 가장 오래된 향미료의 하나이다.
계피에는 많은 생리활성 성분이 있는데 주요 성분으로는 19-아세틸신카시올 A, 안하이드로신젤알라닌, 카시오사이드, 유게놀, 신남알데하이드 및 시남에틸아세테이트가 있으며, 해열 작용, 진통 작용, 건위 작용 등에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www.tradimed.co.kr; 지형준 등, 한약(생약)규격집 주해서, 87p, 1998)
한편, 돼지고기는 주요 육류식품 급원으로 콜레스테롤과 포화지방산 함량이 매우 높다. 최근 콜레스테롤과 포화지방산의 과잉섭취 또는 지속적인 섭취증가에 의해 사람의 혈액 내 나쁜 LDL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아지게 됨으로써 뇌심장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 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돼지고기 섭취에 대한 건강상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최근, 수퇘지 특유의 냄새가 제거된 돼지고기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욕구가 높아짐에 따라, 돼지고기 내 콜레스테롤과 포화지방산 함량을 낮춤과 동시에 수퇘지 냄새가 제거된 새로운 돼지고기를 생산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Determination of skatole and indole in backfat of Korean pigs by HPLC. Korean J. Food Sci. Anim. Res. 16:180.; Maxwell et al., 2010. Examination of testicular gene expression patterns in Yorkshire pigs with high and low levels of boar taint. Anim. Biotech. 21:77).
이에 돼지를 사육하는 곳에서는 성의 성숙이 이루어지기 전에 수퇘지를 거세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수퇘지를 거세하면 수퇘지 특유 냄새인 웅취를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근육 속에 지방 침착이 잘되어 육질이 암퇘지처럼 좋아지고 감금과 성적 스트레스에 의한 폭력적인 행동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거세를 하게 되면 근육의 성장 촉진 및 회복 효과가 강한 남성 호르몬의 일종인 난드롤론의 생산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콜레스테롤, 포화지방산 함량이 낮고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으면서, 거세하지 않고도 수퇘지의 웅취를 제거할 수 있는 돈육 생산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서는, 한국등록특허 제0477099호에 감마지방산을 함유하는 돼지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웅취가 제거된 돈육을 생산할 수 있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0659737호에는 금속음이온을 이온수용액 형태로 사료 첨가제 조성물로 넣어 웅취 제거 돈육을 생산한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계피분말 또는 계피 열수추출물의 분말화 가공품 또는 계피정유를 이용하여 웅취가 제거되고 기능성이 향상된 돈육을 생산한다는 내용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거세하지 않고도 수퇘지의 웅취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계피 첨가된 돼지 사육용 사료를 이용한 돈육의 생산방법이 수퇘지의 웅취를 제거하여 기호성이 높고 콜레스테롤 및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낮은 기능성 돈육을 생산할 수 있다는 사실과 상기 사료가 돼지의 면역력을 증가시켜 생산성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돼지고기의 저장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계피 분말 또는 계피 열수추출물의 분말화 가공품 또는 계피 정유를 함유한 돼지 사육용 사료 조성물 및 상기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기능성 돈육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계피분말을 사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7 ~ 9 중량% 또는 계피 열수 추출물의 가공 분말을 4 ~ 6 중량%로 함유하는 돼지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계피는 계피분말 형태 또는 계피 열수추출물의 가공 분말 또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계피정유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계피정유는 계피를 세척한 후 냉압침법에 의한 추출 또는 유기용매에 의한 추출 이후 원심분리하여 수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료 조성물은 비타민 E를 0.01 ~ 0.03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 있어서, 상기 사료용 조성물은 돼지의 면역력 증가효과, 유해 미생물 성장억제 효과, 유산균 성장촉진효과, 콜레스테롤 감소효과, 오메가 6:3 지방산 비율감소 효과, 웅취제거 효과 및 돼지고기의 저장 연장성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료용 조성물을 돼지에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돈육의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더불어, 상기 방법에 의해 생산된 돈육을 이용하는 돈육 가공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웅취 제거 효과 및 기능성과 저장성이 우수한 돈육을 생산하기 위해 계피를 포함하는 돼지 사육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돈육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사육된 돈육은 웅취가 제거되어 관능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돼지 혈액 내 면역물질 함량이 높고 몸에 나쁜 LDL콜레스테롤, 포화지방산 및 성인병을 유발한다고 알려진 높은 오메가 6:3의 비율이 급격히 낮아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능성 측면이나 기호성 및 저장성에서 우수한 고품질 돈육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본 발명은 사육 농가들의 소득 향상은 물론 대외경쟁력을 향상시켜 수출 증대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를 먹인 돼지의 돈육(계피삼겹살)과 일반 삼겹살의 LDL콜레스테롤 함량 비교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계피를 첨가한 돼지 사육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일반 사료에 첨가하고 돼지에게 공급하여 기존의 돈육에 비해 체내 유용한 성분의 함량이 증가되고 웅취가 제거된 기능성 돈육의 생산방법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웅취(수퇘지 냄새, boar taint, boar odor, boar smell, boar taste)는 거세를 실시하지 않은 수퇘지 고기를 요리할 때 발생하는 수퇘지 특유의 노린내로 알려져 있다. 수퇘지 냄새의 발생요인은 휘발성물질로써 성스테로이드 호르몬인 안드로스테논(Androstenone, 5α-androstene-3-one)과 스카톨(Skatole)에 기인한 것이다. 웅취 원인물질로 알려진 스카톨은 단백질이 소화기관에서 소화되는 동안에 대장에서 자연적으로 생산되며 아미노산의 하나인 트립토판의 분해과정에서 생성되어 살코기와 지방조직에 축적되며 특히 등지방에 대한 스카톨의 축적이 현저하다. 웅취는 거세돈 및 암퇘지의 냄새와는 구별되는 거세하지 않은 수퇘지의 특정한 성질이며 웅취 돈육을 가열하였을 때는 특징적인 땀 냄새나 오줌 냄새와 비슷한 냄새를 나타낸다.
이에 특유의 웅취로 인해 수퇘지 돈육을 기피하는 일반 소비자가 점차 많아짐에 따라 양돈업계에서는 웅취 제거를 위한 수퇘지 양육방법으로서 어릴적 거세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현실상의 어려움들이 있어 거세하지 않고도 웅취가 나지않는 돈육을 생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계피(cinammon, Cinnamonum zeylanicum Beryn)는 계수나무의 뿌리, 줄기, 가지 등의 껍질을 벗겨서 말리거나 껍질을 벗기지 않고 건조시킨 가느다란 가지를 말하는데, 특유의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맛은 맵고 달며 뜨거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여러 유익한 생리활성 성질이 알려져 있는데, 특히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흉복부의 냉증을 제거하며 식욕을 증진시키고 소화를 촉진하고 위장의 경련성 통증을 억제하고 위장관의 운동을 촉진해 가스를 배출하고 흡수를 좋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계피를 이용하여, 수퇘지를 거세하지 않고도 웅취가 제거된 돈육을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계피를 함유한 돼지 사육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돈육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사료 조성물을 일반 사료에 섞어 돼지에게 먹이로 제공할 수 있는바, 계피를 포함한 배합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배합사료”는 가축의 사육목적에 맞는 영양소를 고르게 공급할 수 있도록 배합하여 만든 사료를 총칭한다. 배합사료를 만들 때는 가축의 식욕을 증진시키고 소화기관의 정상적인 작용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적정량의 고형물이 반드시 필요하고 가축의 생산활동을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서 적당한 양의 단백질도 넣어 주어야하고, 가축의 체온유지와 생산활동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열량이 들어가야 하며, 기타 칼슘, 인과 같은 무기물과 비타민도 충분히 함유되어야 한다. 또한 경제적인 면에서 볼 때 동일한 영양가를 가지는 배합사료라도 배합하는 원료사료의 종류에 따라 1kg당 가격에 차이가 있으므로 가능하면 기능성이 우수하면서도 값싼 배합사료를 생산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 사료 조성물은 계피분말을 통상의 사료 조성물 총 중량의 7~9 중량%로 함유 또는 계피 열수 추출물의 가공 분말을 4~6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계피는 계피 분말 또는 계피 열수추출물의 가공한 분말 또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계피 정유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비타민 E를 사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0.03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일실시예에 따르면, 계피분말이 사료 조성물 총 중량의 8중량% 또는 계피 열수 추출물의 가공 분말을 5중량%로 함유될 때 그 효과가 가장 극대화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8 참조). 계피분말의 첨가 중량이 7중량% 또는 계피 열수 추출물의 가공 분말화 제품을 4중량% 이하일 경우에는 무엇보다 웅취제거 효과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계피분말의 첨가 중량이 10중량% 이상의 경우에는 계피 특유의 향내로 인해 돼지들이 사료 섭취를 거부하기 시작하여, 결과적으로 본 사료 조성물의 효과(웅취 냄새제거)나 돈육 생산성이 감소하였으며, 계피 열수 추출물의 가공 분말이 6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효과적인 웅취 제거가 유도되지 않을뿐더러 전체적인 사료 가격 또한 상승되어 경제성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상기 배합사료는 일반 수컷 돼지의 사육에 쓰이는 돼지 영양소 요구량을 충족시킨 일반 사료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옥수수 및 대두박 위주로 배합한 통상의 돼지 사료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계피는 계피껍질을 사료분쇄기로써 100 메쉬(Mesh)로 분쇄한 계피분말을 사용하거나, 계피:물을 1:2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00℃에서 1시간 동안 열수 추출해서 얻어진 추출물을 1차 흡착제로써 규산염(SiO2)으로 계피:규산염을 1:100의 중량비로 사용하여 계피열수추출물에 대한 흡착제품을 제조하였다. 이것을 다시 2차 부형제로써 맥강을 이용하여 계피열수추출물에 대한 흡착제품:맥강을 1:5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건조시켜 분말화한 계피 열수추출물의 분말화 가공품, 즉 계피 열수추출물 가공 분말을 얻을 수 있었다.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계피정유는 계피를 세척한 후 냉압침법에 의하여 추출 또는 유기용매추출하고 원심분리 후 수득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계피 성분이 첨가된 사료 조성물에 비타민 E를 0.01~0.03중량%으로 더 첨가한 사료 조성물은 제공하는 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타민 E 첨가 사료는 돼지의 생체 항산화능력을 높여서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돈육의 품질 및 저장성 연장효과까지 높일 수 있다(실시예 9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사료 조성물은 생체중 100~120kg 도달 시까지 돼지에게급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을 섭취한 돼지들의 돈육이 실제로 웅취가 제거되는지 여부와 콜레스테롤, 포화지방산 등이 낮아지는 기능성이 있는 지를 확인하였다.
우선, 계피 분말이 혼합된 사료 조성물을 섭취한 돼지의 혈액면역물질 변화를 확인한 결과 일반돼지의 혈액 면역물질 IgG가 78.5/mL인 반면 계피분말 혼합 사료를 먹은 돼지는 168.9/mL로 월등히 높았고(표 1 참조), 동물의 건강에 유해한 총호기성균, 대장균 및 살모넬라의 검출은 대조군인 일반돼지와 비교했을 때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건강에 유익한 락토바실러스와 비피도박테리아의 성장은 모두 크게 증가하였다(표 2 참조). 즉,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돼지 자체의 건강 증진에 매우 도움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계피분말 사료를 먹이지 않은 군과 비교하여 계피분말 사료를 먹인 군은 콜레스테롤 수치가 월등히 낮아졌고 포화지방산의 경우 삼겹살에서는 유의차는 없었으나, 등심의 경우 유의하게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몸에 좋은 불포화지방산은 삼겹살의 경우 유의차는 없었으나 등심의 경우 계피분말 혼합사료를 섭취한 처리구에서 6.35% 유의하게 증가하였다(표 3 참조). 즉, 돈육의 종류에 따라 기능성 효과가 다르다는 것과 본 사료 조성물은 돼지 등심의 기능성을 더욱 좋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오메가6 와 3 지방산의 비율(n-6:n-3) 또한 계피분말 사료를 먹이지 않은 군인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은 그 비율이 월등히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표 3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웅취 제거 유무의 확인 방법으로 웅취를 유발하는 성분으로 알려진 안드로스테논, 스카톨 및 인돌 함량을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계피 포함 사료를 먹인 돈육에서 안드로스테논, 스카톨 및 인돌의 함량이 감소했다(표 4 참조).
또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계피 돈육은 관능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계피 함유 사료 조성물을 먹인 돈육 및 먹이지 않은 돈육을 대상으로 씹는 맛, 고기향, 웅취를 조사한 결과, 이들의 항목 모두에서 계피 함유 사료를 먹인 돈육이 대조군에 비해 높은 점수를 받았다(표 5 참조).
또한, 계피 함유 사료 조성물을 먹이지 않은 군과 계피 분말을 3%, 5%, 8%, 10%로 달리하여 먹인 군의 씹는 맛, 웅취 및 종합적인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계피분말 혼합 수준이 3%, 5% 인 경우, 대조구에 비해 수퇘지 냄새 감소로 기호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8% 혼합 수준에 이르러 기호도가 8점대 후반으로 탁월한 웅취제거 효과가 있음이 드러났다. 그러나 10% 혼합 수준에서는 도리어 기호도가 감소하였는데, 이는 계피 냄새로 인해 돼지들이 사료 섭취를 거부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본 사료 조성물의 효과가 발휘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8% 계피 분말 첨가량이 돈육에서의 관능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표 6 참조).
또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계피 및 비타민 E 함유 사료조성물을 섭취한 돼지의 돈육은 저장성 또한 크게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아무것도 포함 시키지 않은 일반 사료군과 계피 함유 사료 조성물을 먹인 군, 계피 및 비타민E 함유 사료 조성물을 먹인 군을 대상으로 미생물 함량, 지방산패도, 염기태 질소함량(VBN)을 측정한 결과 계피 및 비타민E 함유 사료 조성물을 먹인 군에서 미생물 함량이 감소하며, 지방산패도가 억제되고, 염기태 질소 함량이 낮아 저장성이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표 7 내지 9 참조).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관능검사를 한 실험자를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한 결과, 계피분말 사료를 먹인 돈육 삼겹살을 먹은 실험자들은 혈액 내 LDL 콜레스테롤의 감소율이 일반 돈육 삼겹살을 먹은 실험자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도 1 참조). 즉, 본 발명에 따른 계피 돈육은 섭취자의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계피 함유 사료를 이용한 돼지의 사육
계피가 함유된 사료 조성물을 만들기 위하여, 당업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육성비육돈사료(흥성사료주식회사)에 계피 껍질을 100 Mesh 이하로써 분쇄기를 이용하여 직접 분쇄하여 분말을 8중량% 배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돼지로는 랜드레이스 3원 교잡종 수퇘지 80두를 2처리구, 4반복으로 반복 돈방 당 10마리씩 완전 임의 배치한 후 115kg(시판체중) 도달 시까지 약 60일간 무제한 급여시험을 실시하였다. 2개의 처리구는 T1(계피분말 무첨가군), T2(계피분말 8 중량% 첨가군)으로 구분하였으며 시험사료는 미국의 NRC 사양표준(1994)을 참고하여 옥수수와 대두박을 배합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사료내 조단백질과 대사에너지 함량을 동일한 수준으로 조절하여 배합하였다.
< 실시예 2>
계피 함유 사료로 사육한 돼지의 면역력 효과 분석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계피 함유 사료로 사육한 돼지의 면역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사육 돼지들의 혈액 내 면역물질인 IgG를 측정하였으며 면역비탁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계피 함유 사료를 먹이지 않은 대조군은 78.5/mL으로 측정된 반면, 계피분말 혼합사료를 섭취한 돼지는 168.9/mL로 1.15배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표 1 참조).
Figure 112011101169363-pat00001
< 실시예 3>
계피 함유 사료로 사육한 돼지분변의 미생물 함량 분석
본 발명에 따른 계피 함유 사료로 사육한 돼지의 사육돈방으로부터 분변을 채취하여 미생물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과 비교할 때 계피분말이 혼합된 사료를 섭취한 돼지의 분변에서 동물의 건강에 유해한 총호기성균, 대장균 및 살모넬라의 검출은 각각 58.47%, 91.98%, 91.22%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건강에 유익한 락토바실러스와 비피도박테리아의 성장은 각각 205.4%, 123.4%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표 2 참조).
Figure 112011101169363-pat00002
< 실시예 4>
계피 함유 사료로 사육한 돼지의 콜레스테롤과 지방산 분석
돼지고기의 지방산 조성과 콜레스테롤을 분석하기 위해서 실험에 사용한 각 돼지를 도축 후 처리군 당 10마리의 돼지로부터 각각 1kg의 삼겹살과 등심을 얻어서 Folch 등(1957)의 방법에 따라서 돼지고기의 지질을 추출하였다. Morrison과 Smith의 방법(1967)을 변형하여 메칠화를 실시한 후 상동액을 1~2를 취하여 GLC[SPTM-2560 Capillary GC column(LI.D. 100m0.25mm, df 0.20) Omegawax 320 Capillary column. USA]을 이용하여 지방산과 콜레스테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과 비교할 때 계피분말이 혼합된 사료를 섭취한 삼겹살과 등심에서 콜레스테롤은 각각 17.84%, 20.87%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포화지방산은 삼겹살의 경우 유의차는 없었으나 등심의 경우 계피분말 혼합사료를 섭취한 처리구에서 8.84% 유의하게 낮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불포화지방산은 삼겹살의 경우 유의차는 없었으나 등심의 경우 계피분말 혼합사료를 섭취한 처리구에서 6.35%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심혈관 질환의 원인이 되는 오메가6와 3 지방산의 비율(n-6:n-3)은 계피분말 혼합사료를 섭취한 처리구의 삼겹살과 등심이 일반 삼겹살 및 등심에 비해서 각각 91.27%, 85.78%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표 3 참조).
Figure 112011101169363-pat00003
< 실시예 5>
계피 함유 사료로 사육한 돼지의 웅취제거 효과 분석
계피 함유 사료로 사육한 돼지의 웅취제거 효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웅취성분인 안드로스테논, 스카톨 및 인돌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스카톨과 인돌의 함량은 HPLC(Varian 3400, Californi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웅취 관련 스테로이드 물질의 함량은 G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과 비교할 때 계피분말이 혼합된 사료를 섭취한 삼겹살에서 웅취를 유발하는 성분으로 알려진 안드로스테논, 스카톨 및 인돌 함량은 각각 62.85%, 87.23%, 97.29% 유의하게 감소하였다(표 4 참조).
Figure 112011101169363-pat00004
< 실시예 6>
계피 함유 사료로 사육한 돼지의 관능 평가
일반삼겹살과 계피 함유 사료로 사육한 돼지를 사용한 삼겹살을 후라이팬에 구워 소비자 검사를 실시하였고 10명의 성인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항목은 수퇘지 냄새, 씹는 맛, 고기향으로 하였고, 평가 점수는 9점에 가까울수록 고기 맛이 우수한 것이며 1점에 가까울수록 고기 맛이 나쁜 것을 나타낸다.
또한, 시료의 준비 및 제시는 1인분(200g)으로 정하여 흰 플라스틱 접시에 담아서 제공하였다. 패널은 나이와 성별 등을 기록하고 각 시료는 물 컵, 시료를 뱉는 컵과 정수기에서 받은 물을 시료 사이에 제공하였다.
계피 함유 사료로 사육한 돼지삼겹살의 소비자 검사는 표 5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대조군과 비교할 때 계피분말이 혼합된 사료를 섭취한 삼겹살에서 관능평가의 결과가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수퇘지 냄새가 현저히 제거되어 좋은 맛을 내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5 참조).
Figure 112011101169363-pat00005
< 실시예 7>
임상실험을 통한 LDL 콜레스테롤 측정
또한 본 발명자들은 계피가 혼합된 사료를 섭취한 돼지에 몸에 유해한 LDL콜레스테롤을 낮출 수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6의 관능평가 과정에서 삼겹살 섭취 전에 혈액을 LDX-Cholestec system(USA)를 측정하였고 삼겹살 섭취 후(대조군인 일반삼겹살 또는 계피 혼합 사료 섭취한 돼지의 삼겹살) 측정하여 LDL콜레스테롤를 측정한 결과 혈액 내 나쁜 LDL콜레스테롤은 일반삼겹살을 섭취하였을 때 31% 증가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계피삼겹살을 섭취하였을 때 18% 감소하였다.
< 실시예 8>
계피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돼지의 관능평가 측정
일반삼겹살과 계피사료 내 계피분말의 첨가량을 3, 5, 8, 10 중량%로 각각 달리 첨가하여 사육한 돼지를 사용한 삼겹살을 후라이팬에 구워 소비자 검사를 실시하였고 상기 관능평가를 하였던 1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항목은 수퇘지 냄새, 씹는 맛, 종합 기호도로 하였고, 평가 점수는 9점에 가까울수록 고기 맛이 우수한 것이며 1점에 가까울수록 고기 맛이 나쁜 것을 나타낸다.
Figure 112011101169363-pat00006
그 결과 대조구와 비교할 때 3~5% 함량까지는 계피분말의 혼합 수준이 증가할수록 삼겹살에서 관능평가의 결과가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계피 중량8% 처리군의 수퇘지 냄새가 현저히 제거되어 가장 좋은 맛을 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계피 중량 10% 처리군에서는 관능성이 8% 처리군보다 오히려 관능성이 낮게 나타났다(표 6 참조). 이는 돼지들이 계피 냄새로 인한 사료 섭취 거부로 인한 결과로 판단되었다.
< 실시예 9>
계피분말 및 비타민E 함유 사료로 사육한 돈육의 저장성 측정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계피분말 사료에 비타민 E를 0.02 중량% 추가로 넣어 계피분말 및 비타민E 함유 사료로 사육한 돼지의 삼겹살 부위를 냉장보관하여 계피분말 및 비타민E함유 돈육이 돼지고기의 저장에 도움이 되는지를 확인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삼겹살을 4℃에서 21일간 저장하면서 미생물 변화, 지방산패도(TBARS) 및 휘발성 염기태 질소(VBN)를 측정하였다.
<9-1> 계피분말 및 비타민E 함유 사료로 사육한 돈육의 미생물 측정
일반삼겹살, 계피분말삼겹살, 계피분말 및 비타민E 함유 삼겹살 각각 10g에 멸균증류수 90 ㎖를 첨가하여 stomcher(LB W400, TMC, seoul, Korea)를 이용하여 1분 동안 균질화한 후 1 ㎖를 채취하여 멸균증류수를 사용하여 각각의 삼겹살을 적정 희석하고 plate count agar(Difco Laboratories, Detroit, MI, USA)를 이용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나타나는 총균수를 계수하였다.
Figure 112011101169363-pat00007
그 결과, 총 균수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특히 아무 것도 처리하지 않은 일반삼겹살에서 가장 큰 총세균수의 증가를 보였으며, 계피분말 8중량%에 비타민E를 0.02중량% 첨가한 삼겹살 군에서 미생물 총세균이 가장 크게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표 7 참조).
<9-2> 계피분말 및 비타민E 함유 사료로 사육한 돈육의 지방산패도 함량
일반삼겹살, 계피분말삼겹살, 계피분말 및 비타민E 함유 삼겹살 각각 5g에 증류수 15㎖를 첨가하여 균질화시킨 후 균질액 5㎖를 시험관에 취해 7.2% BHA용액 50㎕를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 TBA/TCA 혼합용액을 5㎖ 첨가한 다음 90℃의 항온수조에서 15분간 가열하였다. 열처리 후 냉각시켜 3,0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해 532㎚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Figure 112011101169363-pat00008
저장초기의 일반삼겹살, 계피분말삼겹살, 계피분말 및 비타민E 함유 삼겹살 모두 지방산패도는 별로 차이없이 0.11~0.12 ㎎/㎏이었다가 저장 7일째 일반삼겹살은 0.31 ㎎/㎏으로 급격한 증가를 보이는데 반해 계피분말삼겹살 및 계피분말 및 비타민E 함유 삼겹살의 경우 일반삼겹살에 비해 지방산패가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저장 14일 이후에서 계피분말 및 비타민E 함유 삼겹살군에서 가장 높은 지방산패 억제능을 보였고, 그에 비해 다른 일반삼겹살군 및 계피분말삼겹살군에서 지방산패가 억제 정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표 8 참조).
<9-3> 계피분말 및 비타민E 함유 사료로 사육한 돈육의 염기태 질소 함량
휘발성 염기질소인 VBN은 Takasaka법에 의하여 일반삼겹살, 계피분말삼겹살, 계피분말 및 비타민E 함유 삼겹살 각각 10 g에 7% 트라이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용액 90 ㎖를 넣고 균질화시켜 그 여액의 1 ㎖를 취하여 conway unit에 넣어 휘발되는 염기태 질소의 양을 0.01N HCl 용액으로 적정하여 아래 식에 의하여 휘발성 염기태 질소화합물의 양을 구하였다.
Figure 112011101169363-pat00009
Figure 112011101169363-pat00010
육제품은 저장기간 중 변패가 진행됨에 따라서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아미노산이 저분자의 염기태 질소로 분해된다. 그러므로 염기태 질소의 함량은 육 및 육제품의 신선도를 평가하는데 중요하다. 특히 휘발성 염기태 질소(VBN)의 경우 관능적 특성에 크게 관여한다. VBN값의 증가는 저장기간 동안 화학적인 변화와 단백분해성 미생물의 증가에 기인하고, 일반적으로 식품의 VBN 함량이 5~10 ㎎%일 때는 신선한 상태이고, 30~40 ㎎%일 때는 부패 초기 상태이며, 식육제품의 우리나라 VBN 허용한계는 20 ㎎%이다.
계피분말 및 비타민E 함유 삼겹살군의 신선도 및 저장성 평가를 위하여 4℃에서 21일 동안 저장하면서 VBN값을 측정한 결과, VBN 함량은 계피분말 및 비타민E 함유 삼겹살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여 일반삼겹살군 및 계피분말삼겹살군 보다 단백질 변패가 늦게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표 9 참조).
이는 계피분말 및 비타민E함유 돈육에서 다른 처리군보다 미생물 총세균이 감소하고 지방산패 및 단백질 변패 억제활성을 가지고 있어 돼지고기의 저장에 기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돼지 사육용 사료 조성물로서,
    상기 돼지 사육용 사료 조성물은 사료 총 중량에 대해 계피를 7~9 중량% 또는 계피 열수 추출물의 가공 분말을 4~6 중량%로 함유하고,
    상기 계피 열수 추출물의 가공 분말은
    계피:물을 1:2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00℃에서 1시간 동안 열수 추출해서 계피열수추출물을 얻은 단계;
    상기 계피열수추출물에 흡착제로서 규산염(SiO2)을 사용하되 계피:규산염의 중량비를 1:100으로 사용하여 계피열수추출물을 흡착하여 계피흡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계피흡착물에 부형제로서 맥강을 사용하되 계피흡착물:맥강의 중량비를 1:500으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건조 및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사육용 사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피는 계피분말 또는 계피정유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사육용 사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피정유는 계피를 세척한 후 냉압침법에 의한 추출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한 추출을 한 후 원심분리하여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사육용 사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조성물은 비타민 E를 0.01~0.03중량%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사육용 사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조성물은 돼지의 면역력 증가효과, 유해 미생물 성장억제 효과, 유산균 성장촉진효과, 콜레스테롤 감소효과, 오메가 6:3 지방산의 비율감소 효과, 웅취제거 효과 및 돼지고기의 저장 연장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사육용 사료 조성물.
  6. 제1항의 사료 조성물을 돼지에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웅취가 제거된 돈육의 생산방법.
KR1020110137942A 2011-12-20 2011-12-20 계피를 포함하는 돼지 사육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돈육의 생산 방법 KR101165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942A KR101165933B1 (ko) 2011-12-20 2011-12-20 계피를 포함하는 돼지 사육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돈육의 생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942A KR101165933B1 (ko) 2011-12-20 2011-12-20 계피를 포함하는 돼지 사육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돈육의 생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933B1 true KR101165933B1 (ko) 2012-07-19

Family

ID=46716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942A KR101165933B1 (ko) 2011-12-20 2011-12-20 계피를 포함하는 돼지 사육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돈육의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9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435B1 (ko) * 2016-04-18 2018-01-16 주식회사 미싹바이오 맥강을 이용한 콜라겐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873988A (zh) * 2017-11-22 2018-04-06 赤峰家育种猪生态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应用于种猪繁殖不同生长阶段的饲料配方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0178A (ja) 2002-04-22 2003-11-05 Kanebo Ltd 動物用飼料添加物
JP3923603B2 (ja) 1996-07-17 2007-06-06 日清丸紅飼料株式会社 養豚飼料
KR100983791B1 (ko) 2010-06-11 2010-09-28 (주)바이오스톤나노 가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3603B2 (ja) 1996-07-17 2007-06-06 日清丸紅飼料株式会社 養豚飼料
JP2003310178A (ja) 2002-04-22 2003-11-05 Kanebo Ltd 動物用飼料添加物
KR100983791B1 (ko) 2010-06-11 2010-09-28 (주)바이오스톤나노 가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435B1 (ko) * 2016-04-18 2018-01-16 주식회사 미싹바이오 맥강을 이용한 콜라겐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873988A (zh) * 2017-11-22 2018-04-06 赤峰家育种猪生态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应用于种猪繁殖不同生长阶段的饲料配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hmed et al. Effects of dietary natural and fermented herb combination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in grower-finisher pigs
Hanczakowska et al. Effect of dietary inclusion of a herbal extract mixture and different oils on pig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KR101727112B1 (ko) 한약재박과 식이유황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CN105265811B (zh) 一种增加猪肉瘦肉率及风味的添加剂
Liu et al. Effects of chlorogenic acids-enriched extract from Eucommia ulmoides leaves on growth performance, stress response, antioxidant status and meat quality of lambs subjected or not to transport stress
Nalunga et al. Growth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ens fed earthworm meal from Eudrilus eugeniae as a protein source
Cullere et al. Effect of Silybum marianum herb on the productive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of growing rabbits
Celia et al. Effect of pre-and post-weaning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Digestarom® herbal formulation on rabbit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Ao et al. Effects of fermented red ginseng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pparent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hematology and meat quality in finishing pigs
Bayomy et al. Nutritional composition of quail meatballs and quail pickled eggs
JP2016008180A (ja) 筋肉持久力向上剤
Hanczakowska et al. Effect of dietary supplement of herbal extract from hop (Humulus lupulus) on pig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mojola et al. Development and quality evaluation of danbunama (meat floss)-a Nigerian shredded meat product
KR101165933B1 (ko) 계피를 포함하는 돼지 사육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돈육의 생산 방법
Oanh et al.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meat quality and composition in pigs fed diets supplemented with medicinal plants (Bindens pilosa L., Urena lobata L. and Ramulus cinnamomi) powder
Yu et al. Effects of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rmula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meat quality and fatty acid profiles of finishing pigs
Mushi et al. Suitability of Norwegian short-tail lambs, Norwegian dairy goats and Cashmere goats for meat production–Carcass, meat, 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Partovi et al. Breast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and its oxidative status during storage at refrigerator temperature and growth capabilities of Japanese quail fed by Echinacea purpurea extract.
Abzhanova et al. Development of meat products for the nutrition of the elderly
Rembiałkowska et al. Organic food quality and impact on human health
Dhiab et al. Effect of adding artichoke (Cynara scolymus L.) extract to the water or the diet on the production performance and physiological traits of broilers
KR20120108821A (ko) 발효 대두펩타이드와 풀빅산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한 산란율을 증가 및 저 콜레스테롤 계란 생산 효능을 가진 조성물
Campagnol et al. The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health-oriented advances of meat and meat products
TW200812569A (en) Bone density increasing agent
JPWO2008123417A1 (ja) 抗疲労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