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929B1 - 도어클로저 - Google Patents

도어클로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929B1
KR101165929B1 KR1020110114802A KR20110114802A KR101165929B1 KR 101165929 B1 KR101165929 B1 KR 101165929B1 KR 1020110114802 A KR1020110114802 A KR 1020110114802A KR 20110114802 A KR20110114802 A KR 20110114802A KR 101165929 B1 KR101165929 B1 KR 101165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link
bracket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환
Original Assignee
김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환 filed Critical 김지환
Priority to KR1020110114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4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double-acting springs, e.g. for closing and opening or checking and closing no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counteractin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와 문틀 사이에 설치되는 도어클로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문틀에 설치되는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와 일체로 형성된 장착부로 이루어진 문틀설치부와; 일단이 상기 문틀설치부의 장착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볼록부와 오목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일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부가 연이어 형성되며, 타측에 가이드홀이 형성된 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문틀설치부의 장착부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타단이 상기 프레임의 가이드홀을 관통하고, 타단에 상기 가이드홀 주변의 프레임 상에서 운동하는 제1회전롤러가 설치되는 회동링크와; 중앙부분이 상기 회동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단에 상기 프레임의 볼록부와 오목부 및 경사부를 따라 운동하는 제2회전롤러가 설치된 연결링크와; 상기 회동링크와 상기 연결링크의 타단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문틀설치부의 장착부와 상기 프레임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프레임의 타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작동암;으로 구성되어, 고장 발생빈도가 적어 사후관리비용이 절감되고 기름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친환경적이며, 도어의 개방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클로저{Door Closer}
본 발명은 도어클로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작비나 사후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고 기름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환경 친화적이고, 도어의 개방상태를 다양한 각도로 유지할 수 있는 도어클로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관문 등에 설치되는 기존의 도어클로저(door closer)는 출입자가 도어를 열고 들어오거나 나간 후 도어에서 손을 놓으면 도어클로저 내에 설치된 유압시스템에 의해 유압의 힘으로 도어가 서서히 닫히다가 마지막에 빨리 닫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도어클로저는 대부분 유압식으로 구성되어 유압유가 누설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제작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도어클로저 대부분은 2005년 07월 07일에 출원된 도어클로저(출원번호:10-2005-0019748, 등록번호:20-0397651)와 같이 출입자가 잡고 있던 도어를 놓으면 저절로 닫히기 때문에 도어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토퍼와 같은 보조기구를 도어의 하측에 설치함으로써 건물 바닥면과의 마찰에 의해서 도어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개방된 도어를 폐쇄시키기 위해서는 출입자가 상체를 숙여 도어의 하측에 설치된 스토퍼를 바닥면으로부터 이탈시켜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구조를 기계식 구조로 단순화시켜 제작비나 사후관리비를 감소시킴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기름을 사용하지 않아서 환경 친화적인 도어클로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도어의 개방상태를 다양한 각도로 유지할 수 있는 도어클로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는 도어와 문틀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문틀에 설치되는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와 일체로 형성된 장착부로 이루어진 문틀설치부와; 일단이 상기 문틀설치부의 장착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볼록부와 오목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일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부가 연이어 형성되며, 타측에 가이드홀이 형성된 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문틀설치부의 장착부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타단이 상기 프레임의 가이드홀을 관통하고, 타단에 상기 가이드홀 주변의 프레임 상에서 운동하는 제1회전롤러가 설치되는 회동링크와; 중앙부분이 상기 회동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단에 상기 프레임의 볼록부와 오목부 및 경사부를 따라 운동하는 제2회전롤러가 설치된 연결링크와; 상기 회동링크와 상기 연결링크의 타단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문틀설치부의 장착부와 상기 프레임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프레임의 타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작동암;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암은 도어에 고정되고, 일측에 핀설치부가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핀설치부에 끝단이 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브라켓과; 상기 회동브라켓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로드와; 상기 고정브라켓의 끝단에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나선결합되는 관통고리와, 상기 관통고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브라켓에 연결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몸체의 끝단에 나선결합되어 도어의 폐쇄시 상기 회동로드와 접촉되는 조절볼트로 이루어진 압력조절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도어클로저는 그 구조가 기계식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기존의 유압식 도어클로저에 비하여 고장 발생빈도가 적음과 아울러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그 수리가 용이하고, 이로 인해 사후관리비용이 절감되며, 기름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친환경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도어가 개방될 때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개의 오목부 중에서 특정 오목부에 연결링크의 제2회전롤러가 삽입되면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도어의 개방상태를 다양한 각도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어가 폐쇄될 때 프레임에 형성된 경사부를 연결링크의 제2회전롤러가 타고 운동하면서 경사부의 경사에 의하여 도어의 폐쇄속도가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몸체에 나선결합된 관통고리를 조절하여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함으로써 도어의 폐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의 설치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작동암을 제외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클로저의 분해사시도.
도 4a 내지 도 4b는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와 개방되었을 때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의 모습을 본 도.
도 5a 내지 도 5b는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와 개방되었을 때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의 모습을 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의 설치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작동암을 제외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클로저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a 내지 도 4b는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와 개방되었을 때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의 모습을 본 도이며, 도 5a 내지 도 5b는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와 개방되었을 때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의 모습을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는 도어(D)와 문틀(F) 사이에 설치되어 건물출입자가 도어(D)를 열고 지나갈 때 도어(D)가 자동적으로 폐쇄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문틀설치부(100)와, 상기 문틀설치부(100)에 연결되는 프레임(200)과, 상기 문틀설치부(100)에 연결되는 회동링크(300)와, 상기 회동링크(300)에 연결되는 연결링크(400)와, 상기 회동링크(300)와 연결링크(400)에 양단이 연결되는 코일스프링(500)과, 상기 문틀설치부(100)와 프레임(200)에 양단이 연결되는 탄성스프링(600)과, 상기 프레임(200)에 연결되는 작동암(7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문틀설치부(100)는 부착부(110)와 장착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부착부(110)는 문틀(F)의 상면에 볼트와 같은 수단으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장착부(120)는 상기 부착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전체적인 형태가 'ㄷ'자와 유사한 형태를 취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120)의 끝부분에는 장착부(120)를 관통하는 제1연결핀(121)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200)은 그 전체적인 단면 형태가 'ㄷ'자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일단이 상기 문틀설치부(100)의 장착부(120) 일측에 볼트나 핀과 같은 수단 또는 리베팅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프레임(200)은 끝단에 상기 탄성스프링(600)과 연결되는 스프링 연결부(210)가 일체로 구비되고, 스프링 연결부(210)의 바로 옆에 상기 문틀설치부(100)의 장착부(120)와 연결되는 장착부 연결부(22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연결부(210)가 형성된 끝단의 반대편 끝단에 후술할 회동로드(730)와 연결하기 위한 회동로드 연결부(2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연결부(210)에는 제2연결핀(211)이 설치된다.
상기 장착부 연결부(220)는 상기 프레임(200)의 끝부분에서 반원형 형태로 돌출 형성된 것이고, 상기 회동로드 연결부(230)는 상기 장착부 연결부(220)가 형성된 프레임(200)의 끝단 반대쪽에 반원형 형태로 돌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프레임(200)의 일측에는 볼록부(240)와 오목부(250)가 연속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일정각도(θ)로 경사진 경사부(260)가 연이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200)의 타측에는 가이드홀(270)이 프레임(2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볼록부(240)와 오목부(250), 경사부(260) 및 가이드홀(270)은 프레임(200)에 형성되되, 장착부 연결부(220)와 회동로드 연결부(230)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회동링크(300)는 일단이 문틀설치부(100)의 장착부(120)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회동링크(300)의 타단은 상기 프레임(200)의 가이드홀(270)을 관통하고, 이렇게 가이드홀(270)을 관통한 회동링크(300)의 타단에는 제1회전롤러(310)가 설치된다.
상기 제1회전롤러(310)는 도어(D)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 상기 가이드홀(270) 주변의 프레임(200) 상에서 회전을 하면서 직선운동을 한다.
상기 연결링크(400)는 중앙부분이 상기 회동링크(300)에 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링크(400)의 일단에는 제2회전롤러(410)가 설치된다.
상기 제2회전롤러(410)는 도어(D)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 상기 프레임(200)의 볼록부(240)와 오목부(250) 및 경사부(260)를 타고 운동한다. 따라서, 상기 제2회전롤러(410)가 복수개의 오목부(250) 중 어느 특정한 오목부(250)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큰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오목부(250)에서 제2회전롤러(410)가 빠져 나오지 않아서 도어(D)의 개방상태가 유지되고, 오목부(250)와 볼록부(240)를 지나서 경사부(260)를 타고 지나갈 때는 경사부(260)의 각도에 의하여 도어(D)의 폐쇄속도가 감소된다. 이렇게 도어(D)의 폐쇄속도를 감소시키는 이유는 도어(D)가 빠르게 닫혀서 건물출입자가 당할 수 있는 부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좀 더 부연하면, 도어(D)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 상기 회동링크(300)의 제1회전롤러(310)는 가이드홀(270) 주변의 프레임(200) 상에서 운동하고, 상기 연결링크(400)의 제2회전롤러(410)는 볼록부(240)와 오목부(250) 및 경사부(260)를 타고 운동한다.
상기 코일스프링(500)은 양단이 상기 회동링크(300)와 상기 연결링크(400)의 타단에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코일스프링(500)은 상기 연결링크(400)의 타단을 회동링크(300) 쪽으로 잡아당겨서 연결링크(400)의 일단에 설치된 제2회전롤러(410)가 프레임(200)의 볼록부(240)와 오목부(250) 및 경사부(26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스프링(600)은 코일스프링 형태를 갖는 스프링으로서, 상기 문틀설치부(100)의 장착부(120)와 상기 프레임(200)에 양단이 각각 연결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탄성스프링(600)의 일단은 상기 문틀설치부(100)의 장착부(120)에 고정된 제1연결핀(12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200)의 스프링 연결부(210)에 고정된 제2연결핀(211)에 고정된다.
상기 작동암(700)은 일측이 상기 도어(D)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200)의 타단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고정브라켓(710)과, 상기 고정브라켓(710)에 결합되는 회동브라켓(720)과, 상기 회동브라켓(720)에 설치되는 회동로드(730)와, 상기 고정브라켓(710)에 설치되는 압력조절수단(74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710)은 양단이 평평하게 이루어져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도어(D)에 고정되고, 양단 사이의 중앙부분은 그 전체적인 형태가 'ㄷ'자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정브라켓(710)의 일측에 핀설치부(711)가 반원형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회동브라켓(720)은 상기 고정브라켓(710)의 핀설치부(711)에 끝단이 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회동브라켓(720)은 그 전체적인 형태가 'ㄷ'자와 유사한 형태를 갖고, 하나 이상의 삽입홈(721), 좀 더 자세히는 2개의 삽입홈(721)이 일정간격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회동로드(730)는 상기 회동브라켓(720)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프레임(200)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외주면 일측에 나선홈이 형성된다. 한편, 앞서 말한 것처럼 상기 회동브라켓(720)에는 삽입홈(721)이 형성되는데, 이 삽입홈(721)에는 고정너트(722)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너트(722)에 회동로드(730)가 나선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로드(730)는 상기 회동브라켓(720)의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회동로드(73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는 이유는 문틀(F)에 도어(D)가 밀착되는 정도나 도어(D)의 폐쇄속도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상기 압력조절수단(740)은 몸체(741)와, 상기 몸체(741)를 관통하는 관통고리(742)와, 상기 관통고리(742)에 연결되는 코일스프링(743)과, 상기 몸체(741)에 나선결합되는 조절볼트(744)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741)는 상기 고정브라켓(710)의 평평하게 형성된 끝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고리(742)는 상기 몸체(741)를 관통하고, 동시에 몸체(741)의 관통된 부분과 나선결합된다. 이렇게 관통고리(742)와 몸체(741)를 나선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관통고리(742)의 외측면 일측에만 나선을 형성시키고 몸체(741)에는 나선을 형성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몸체(741)를 관통한 관통고리(742)에 너트를 체결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743)은 일단이 상기 관통고리(74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브라켓(72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고리(742)를 몸체(741)로부터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코일스프링(743)의 탄성력을 조절하면 도어(D)의 폐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절볼트(744)는 상기 몸체(741)의 끝단에 나선결합,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74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에 결합됨으로써 몸체(741)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한다. 이러한 조절볼트(744)는 도어(D)가 폐쇄될 때 상기 회동로드(730)와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일종의 완충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요소들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면 미관상 좋지 않으므로 적절하게 커버(미도시)를 만들어 각 구성요소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의 작동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어(D)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어(D)를 개방하기 위하여 건물출입자가 도어(D)를 밀거나 잡아당기면 문틀설치부(100)의 장착부(120)에 연결되어 있던 프레임(200)이 장착부(120)로부터 회동하고 동시에 탄성스프링(600)의 길이가 팽창된다.
그리고, 작동암(700)의 회동브라켓(720)이 고정브라켓(710)으로부터 회동하여 조절볼트(744)에 접촉되어 있던 회동로드(730)가 조절볼트(744)로부터 이격되고 압력조절수단(740)의 코일스프링(743) 길이가 팽창된다.
또한, 연결링크(400) 끝단에 설치되어 도어(D)가 폐쇄된 상태에서 프레임(200)의 경사부(260)에 접해 있던 제2회전롤러(410)가 프레임(200)의 경사부(260), 볼록부(240), 오목부(250)를 타고 이동하면서 회전한다. 이때, 회동링크(300)의 제1회전롤러(310) 역시 가이드홀(270) 주변의 프레임(200) 상에서 이동하면서 회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건물출입자가 도어(D)에 작용하고 있던 힘을 빼면 연결링크(400)의 제2회전롤러(410)는 복수개의 오목부(250) 중에서 특정 오목부(250)에 삽입된다. 이렇게 오목부(250)에 제2회전롤러(410)가 삽입되면 도어(D)의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다.
100: 문틀설치부 110: 부착부
120: 장착부 121: 제1연결핀
200: 프레임 210: 스프링 연결부
211: 제2연결핀 220: 장착부 연결부
230: 회동로드 연결부 240: 볼록부
250: 오목부 260: 경사부
270: 가이드홀 300: 회동링크
310: 제1회전롤러 400: 연결링크
410: 제2회전롤러 500: 코일스프링
600: 탄성스프링 700: 작동암
710: 고정브라켓 711: 핀설치부
720: 회동브라켓 721: 삽입홈
722: 고정너트 730: 회동로드
740: 압력조절수단 741; 몸체
742: 관통고리 743: 코일스프링
744: 조절볼트 D: 도어
F: 문틀

Claims (2)

  1. 도어(D)와 문틀(F) 사이에 설치되는 도어클로저에 있어서,
    상기 문틀(F)에 설치되는 부착부(110)와, 상기 부착부(110)와 일체로 형성된 장착부(120)로 이루어진 문틀설치부(100)와;
    일단이 상기 문틀설치부(100)의 장착부(120)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볼록부(240)와 오목부(250)가 연속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일정각도(θ)로 경사진 경사부(260)가 연이어 형성되며, 타측에 가이드홀(270)이 형성된 프레임(200)과;
    일단이 상기 문틀설치부(100)의 장착부(120)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타단이 상기 프레임(200)의 가이드홀(270)을 관통하고, 타단에 상기 가이드홀(270) 주변의 프레임(200) 상에서 운동하는 제1회전롤러(310)가 설치되는 회동링크(300)와;
    중앙부분이 상기 회동링크(30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단에 상기 프레임(200)의 볼록부(240)와 오목부(250) 및 경사부(260)를 따라 운동하는 제2회전롤러(410)가 설치된 연결링크(400)와;
    상기 회동링크(300)와 상기 연결링크(400)의 타단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코일스프링(500)과;
    상기 문틀설치부(100)의 장착부(120)와 상기 프레임(200)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탄성스프링(600)과;
    상기 프레임(200)의 타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도어(D)에 설치되는 작동암(7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클로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암(700)은 도어(D)에 고정되고, 일측에 핀설치부(711)가 형성된 고정브라켓(710)과;
    상기 고정브라켓(710)의 핀설치부(711)에 끝단이 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브라켓(720)과;
    상기 회동브라켓(720)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프레임(200)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로드(730)와;
    상기 고정브라켓(710)의 끝단에 설치되는 몸체(741)와, 상기 몸체(741)를 관통하여 나선결합되는 관통고리(742)와, 상기 관통고리(74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브라켓(720)에 연결되는 코일스프링(743)과, 상기 몸체(741)의 끝단에 나선결합되어 도어(D)의 폐쇄시 상기 회동로드(730)와 접촉되는 조절볼트(744)로 이루어진 압력조절수단(7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클로저.
KR1020110114802A 2011-11-04 2011-11-04 도어클로저 KR101165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802A KR101165929B1 (ko) 2011-11-04 2011-11-04 도어클로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802A KR101165929B1 (ko) 2011-11-04 2011-11-04 도어클로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929B1 true KR101165929B1 (ko) 2012-07-19

Family

ID=46716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802A KR101165929B1 (ko) 2011-11-04 2011-11-04 도어클로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9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522B1 (ko) * 2013-12-13 2015-01-30 김지환 도어클로저
KR101532130B1 (ko) * 2013-03-13 2015-06-29 김지환 도어클로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132B1 (ko) 2009-10-16 2010-01-22 김지환 도어클로저 어셈블리
KR101015637B1 (ko) 2010-04-19 2011-02-22 김지환 도어클로저
KR101072085B1 (ko) 2011-07-13 2011-10-10 김지환 도어클로저용 작동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132B1 (ko) 2009-10-16 2010-01-22 김지환 도어클로저 어셈블리
KR101015637B1 (ko) 2010-04-19 2011-02-22 김지환 도어클로저
KR101072085B1 (ko) 2011-07-13 2011-10-10 김지환 도어클로저용 작동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130B1 (ko) * 2013-03-13 2015-06-29 김지환 도어클로저
KR101488522B1 (ko) * 2013-12-13 2015-01-30 김지환 도어클로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10376A1 (en) Hinge
KR101950877B1 (ko) 핀롤러가 구비된 도어용 플로어 힌지 장치
KR100938132B1 (ko) 도어클로저 어셈블리
KR101539347B1 (ko) 캠을 이용한 도어용 경첩
CN102472071A (zh) 门窗开闭系统和门窗开闭系统用承座
US20160160545A1 (en) Adjustable swing-controlled hinge
KR101165929B1 (ko) 도어클로저
TWI237085B (en) Two-way door closer
KR101207763B1 (ko) 도어클로저
US20110271484A1 (en) Control motion hinge
ITUD20130043A1 (it) Cerniera a scomparsa con dispositivo automatico di ritorno verso una posizione di chiusura
KR101164376B1 (ko) 도어클로저
JP2008163715A5 (ko)
KR102116350B1 (ko) 여닫이 도어의 내장형 양방향 힌지구조
KR101207737B1 (ko) 도어클로저
KR101207748B1 (ko) 도어클로저
KR102428942B1 (ko) 도어 개폐장치
JP5358042B2 (ja) 隠し丁番
CA3039757A1 (en) Door driving mechanism for a swing door
KR101164386B1 (ko) 도어클로저
KR101488522B1 (ko) 도어클로저
KR101450508B1 (ko) 도어클로저
KR101094100B1 (ko) 도어 클로저 일체형 도어스톱퍼
KR101555255B1 (ko)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US3828393A (en) Door return and closure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