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813B1 -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 - Google Patents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813B1
KR101165813B1 KR1020110141702A KR20110141702A KR101165813B1 KR 101165813 B1 KR101165813 B1 KR 101165813B1 KR 1020110141702 A KR1020110141702 A KR 1020110141702A KR 20110141702 A KR20110141702 A KR 20110141702A KR 101165813 B1 KR101165813 B1 KR 101165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perheated steam
wastewater
evaporator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110141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8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는, 폐수저장조로부터 유입된 폐수를 가열하여 증기와 농축폐수로 분리시키는 증발기에 장착되어 상기 폐수의 가열시 거품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에 있어서, 폐수가 가열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로 상기 과열증기를 공급하도록, 과열증기를 생성하는 과열증기생성부; 상기 과열증기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과열증기를 상기 본체에 공급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과열증기생성부를 연결하는 공급배관; 상기 폐수의 가열시 발생되는 거품을 함유한 습포화 수증기와 상기 과열증기가 혼합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에 의해 상기 습포화 수증기와 상기 과열증기가 혼합되면서 상기 거품이 제거되고, 상기 거품이 제거된 증기를 배출하는 배출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Evaporator for removing bubble}
본 발명은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수의 가열시 발생하는 거품을 제거하도록 한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에 관한 것이다.
폐수처리장치는 일반적으로, 폐수저장조, 증발기, 응축기, 농축액저장조 등을 포함한다. 상기 폐수저장조는 폐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공간으로 처리될 폐수가 저장된다. 상기 증발기는 상기 폐수저장조로부터 유입되는 폐수를 가열하여 증기와 농축폐수로 분리시킨다. 상기 응축기는 상기 증기를 응축시켜 응축수를 만들고, 상기 농축액저장조는 상기 증발기에서 농축된 농축액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폐수는 폐수저장조, 증발기, 및 응축기를 거치면서 처리되게 된다.
이러한 종래 폐수처리장치에 채용된 증발기에 의해 폐수가 가열될 때, 폐수에는 다량의 거품이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거품이 응축기를 거치면서 응축될 때 응축수의 수질이 상당히 떨어지고, 거품이 발생된 폐수가 순환하면서 폐수처리장치의 기기 손상을 가속화한다. 따라서, 폐수의 가열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여 기기 손상을 방지하여 기기의 수명을 연장하고, 응축수의 수질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폐수의 가열시 발생하는 거품을 제거하도록 한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는, 폐수저장조로부터 유입된 폐수를 가열하여 증기와 농축폐수로 분리시키는 증발기에 장착되어 상기 폐수의 가열시 거품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에 있어서, 폐수가 가열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로 상기 과열증기를 공급하도록, 과열증기를 생성하는 과열증기생성부; 상기 과열증기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과열증기를 상기 본체에 공급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과열증기생성부를 연결하는 공급배관; 상기 폐수의 가열시 발생되는 거품을 함유한 습포화 수증기와 상기 과열증기가 혼합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에 의해 상기 습포화 수증기와 상기 과열증기가 혼합되면서 상기 거품이 제거되고, 상기 거품이 제거된 증기를 배출하는 배출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부는 상기 본체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며, 상기 본체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부재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일측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상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배관은 상기 하부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배관은 상기 본체에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배관이 상기 본체에 연결된 제1 지점은 상기 공급배관이 상기 본체에 연결된 제2 지점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배관이 상기 본체에 연결된 제1 지점의 단면적은, 상기 공급배관이 상기 본체에 연결된 제2 지점의 단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배관이 상기 혼합부에 연결된 지점을 제1 지점이라 하고, 상기 공급배관이 상기 혼합부에 연결된 지점을 제2 지점이라 할 때, 상기 배출배관의 길이방향과 평형한 제1 가상선은 상기 제1 지점의 중심과 상기 혼합부의 중심을 잇는 제2 가상선과 서로 교차하고, 상기 공급배관의 길이방향과 평형한 제3 가상선은 상기 제2 지점의 중심과 상기 혼합부의 중심을 잇는 제4 가상선과 서로 교차하고, 상기 제2 가상선과 상기 제4 가상선은 서로 교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혼합부의 하측에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관통공을 구비한 구획판;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상단부가 상기 혼합부 내에 배치되는 가이드관; 상기 구획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돔형의 거품제거부재; 상기 거품제거부재와 상기 구획판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를 더 구비하여, 상기 습포화 수증기가 상기 거품제거부재에 부딪혀 거품이 제거되고, 상기 관통공을 경유하여 상기 혼합부로 이동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의 단면도,
도2는 도1의 혼합부의 정면도,
도3은 도2의 평면도,
도4는 도1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5는 도1의 Ⅴ-Ⅴ선 단면도,
도6은 도1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7은 도6의 Ⅶ-Ⅶ선 단면도,
도8은 도6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증발기를 사용하는 여러 설비에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폐수처리를 위한 폐수처리설비, 발전소의 폐수처리 설비, 탈질 탈황 설비, 해수담수화 설비 등에 채용되는 증발기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설비들에 채용되어 폐수 등의 가열시 발생하는 거품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도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의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혼합부의 정면도이고, 도3은 도2의 평면도이며, 도4는 도1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5는 도1의 Ⅵ-Ⅵ선 단면도이고, 도6은 도1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도6의 Ⅶ-Ⅶ선 단면도이고, 도8은 도6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는, 본체(10), 과열증기생성부(20), 공급배관(70), 혼합부(80), 배출배관(4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폐수를 가열하는 부분으로서, 폐수저장조(130)로부터 유입된 폐수를 가열하여 증기와 농축폐수로 분리시킨다. 폐수저장조(130)에 저장된 폐수는 유입배관(150)을 통하여 본체(10) 내부로 공급되고, 본체(10) 내에서 농축된 농축액은 유출배관(160)을 통하여 농축액저장조(140)로 배출된다(도9 참조).
상기 과열증기생성부(20)는 과열증기를 생성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상기 과열증기를 공급한다. 상기 과열증기는 상기 본체(10)에서 가열된 폐수가 증발할 때 다량의 수증기를 포함한 습포화 수증기와 구별되는 개념으로, 상기 습포화 수증기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며 수증기 함량이 낮은 건포화 수증기라 할 수 있다.
상기 과열증기생성부(20)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특징 중의 하나로서, 상기 과열증기생성부(20)에 의해 생성된 과열증기는 상기 습포화 수증기와 혼합되면서 습포화 수증기에 포함된 거품을 제거하고, 수증기에 불순물이 포함되는 것을 억제하여 궁극적으로 폐수로부터 깨끗한 증기를 분리해 내고, 아울러, 수증기에 포함된 불순물이 억제되어 본 증발기를 채용한 각종 설비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공급배관(70)은 상기 과열증기생성부(20)에 의해 생성된 과열증기를 상기 본체(10)에 공급하도록, 상기 본체(10)와 상기 과열증기생성부(20)를 연결한다.
상기 혼합부(80)는 상기 습포화 수증기와 상기 과열증기가 혼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본체(10) 내에서 폐수가 가열될 때 다량의 거품이 발생되고, 그 거품은 폐수의 증발시 상기 습포화 수증기에 함유되어 본체(10)의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혼합부(80)는 상기 본체(10)의 하부로부터 상승한 습포화 수증기와 상기 공급배관(70)을 통하여 유입되는 과열증기가 혼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상기 혼합부(80)는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마련된다.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증발이 일어난 습포화 수증기가 혼합부(80)까지 상부로 상승하고 상기 혼합부(80)로 들어온 상기 과열증기가 상호 혼합되면서 습포화 수증기가 건포화 수증기로 변하게 된다.
상기 혼합부(80)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혼합부(80)는 하부부재(81) 및 상부부재(82)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부재(81)는 상기 본체(10)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상기 상부부재(82)는 상기 하부부재(81)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부재(81)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일측이 상기 본체(1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채용된 혼합부(80)를 부연 설명한다. 도2을 참조하면, 상기 혼합부(80)의 하부부재(81)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부재(82)는 상기 하부부재(81)의 상단부로 연장되는데 그 내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부재(82)의 상단부는 상기 본체(10)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또한, 도2를 참조하면, 상기 공급배관(70)은 상기 혼합부(80)의 하부부재(81)에 연결되어 과열증기가 상기 혼합부(80)의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배출배관(40)은 상기 혼합부(80)에 의해 상기 습포화 수증기와 상기 과열증기가 혼합되면서 상기 거품이 제거되고, 상기 거품이 제거된 증기를 배출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배출배관(40)은 상기 본체(10)에 연결된다. 상기 배출배관(40)에는 통상의 폐수처리설비 등에서 채용되는 응축기, 응축수탱크 등의 부속설비가 결합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배관(40)이 상기 본체(10)에 연결된 제1 지점(P1)은 상기 공급배관(70)이 상기 혼합부(80)에 연결된 제2 지점(P2)보다 높게 배치된다.
상기 공급배관(70)은 혼합부(80)의 하부부재(81)에 연결됨으로써 혼합부(80) 내에 과열증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배출배관(40)은 상기 공급배관(70)보다 상측에 마련됨으로써 과열증기와 습포화 수증기가 혼합되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출배관(40)을 상측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과열증기와 습포화 수증기가 혼합되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측으로 상승하는 동안 충분히 상기 과열증기와 습포화 수증기가 혼합되는 시간이 확보되고, 또한 습포화 수증기와 과열증기가 혼합되는 공간이 넓게 확보된다.
도1,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배관(40)이 상기 본체(10)에 연결된 제1 지점의 단면적(R1)은 상기 공급배관(70)이 상기 혼합부(80)에 연결된 제2 지점의 단면적(R2)보다 크다. 상기 제1 지점의 단면적(R1)을 크게 형성함으로서 본체(10)로부터 다량의 증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상기 배출배관(40)의 길이방향과 평형한 제1 가상선(L1)은 상기 혼합부의 중심(M1)을 지나지 않으며, 상기 공급배관(70)의 길이방향과 평형한 제3 가상선(L3) 역시 상기 혼합부의 중심(M1)을 지나지 않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2 지점(P2)을 지나서 상기 본체(10) 내로 유입되는 과열증기는 상기 혼합부(80)의 내부에 회전하면서 유입되므로, 과열증기와 습포화 수증기의 혼합 효율이 향상된다. 마찬가지로, 혼합부(80) 내에서 회전하면서 혼합된 증기는 회전력을 충분히 유지하면서 제1 지점(P1)을 통하여 신속히 배출배관(40)을 통하여 배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는, 구획판(90), 가이드관(100), 거품제거부재(110), 및 연결바(120)를 구비한다.
상기 구획판(90), 가이드관(100), 거품제거부재(110) 및 복수의 연결바(120)는 본체(10) 내에서 폐수가 증발할 때 발생하는 거품을 제거한다. 즉,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는 과열증기에 의한 거품제거 효과 이외에 상기 구성에 의해 거품이 제거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면, 상기 구획판(90)은 상기 혼합부(80)의 하측에서 상기 본체(10)에 결합된다. 상기 구획판(90)은 중앙부가 관통된 관통공(91)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관(100)은 상기 관통공(91)에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관(100)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가 상기 혼합부(80) 내에 배치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거품제거부재(110)는 상기 구획판(9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측으로 오목한 돔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바(120)는 상기 거품제거부재(110)와 상기 구획판(90)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바(120)는 복수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연결바(120)가 서로 일정하게 이격되어 거품제거부재(110)와 구획판(90)을 서로 연결한다. 물론, 상기 연결바(12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본체(10)의 하부에서 증발이 이루어진 습포화 수증기는 상기 연결바(120) 사이의 공간을 경유하고, 상기 관통공(91)을 경유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91)에 삽입된 가이드관(100)을 경유하여 상기 혼합부(80)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습포화 수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다량의 거품이 거품제거부재(110)에 먼저 부딪혀 깨지면서 거품이 제거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품제거부재(110)의 하측으로는 폐수를 분사하는 폐수분사장치가 마련된다. 상기 폐수분사장치에 의해 폐수가 분사됨으로써 폐수의 증발효율을 향상시킨다.
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 실시예의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의 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처리될 필요가 있는 폐수는 폐수저장조(130)에 저장되어 있다(도9 참조). 펌프를 이용하여 폐수저장조(130)에 저장된 폐수가 유입배관(150)을 통하여 본체(10)로 공급된다. 상기 본체(10)에서는 유입된 폐수를 가열하여 증기와 농축폐수로 분리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수가 가열되면서 발생하는 습포화 수증기는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거품제거부재(110)와 충돌한다. 습포화 수증기에는 다량의 거품이 공존하고 있으며, 상기 거품제거부재(110)와 충돌시 상기 거품이 깨지면서 거품이 1차적으로 제거된다.
상기 습포화 수증기는 복수의 연결바(120)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 및 관통공(91)에 삽입된 가이드관(100)을 따라서 혼합부(80) 내로 유입된다.
한편, 과열증기생성부(20)는 본체(10)의 내부에 과열증기를 공급한다. 상기 과열증기는 공급배관(70)을 통하여 본체(10)의 내부로 이동하고, 본체(10)의 하부로부터 상승한 습포화 수증기와 상기 과열증기는 혼합부(80)에서 서로 혼합되면서 건포화 수증기로 변위한다. 즉, 다량의 수분을 포함한 습포화 수증기가 상기 과열증기와 혼합되면서 수분이 제거되어 건포화 수증기로 변위하게 된다.
습포화 수증기와 과열증기가 혼합부(80)에서 혼합되고, 혼합된 습포화 수증기와 과열증기는 상기 혼합부(80)의 하측의 개방된 부분으로 확산되어, 상기 혼합부(80)의 외주면와 본체(10)의 내주면 사이에 채워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습포화 수증기에 포함된 거품이 제거된다. 즉, 과열증기가 혼합부(80)로 유입되어 습포화 수증기와 충돌하면서 혼합되고, 습포화 수증기보다 높은 온도를 갖는 과열증기가 습포화 수증기에 포함된 거품의 증발을 유도하여 거품이 제거된다. 거품이 제거된 증기는 배출배관(40)을 통하여 배출된다.
배출배관(40)에는 후속적으로 응축기, 응축수탱크 등이 결합되어 증기를 처리하고, 본체(10) 내에서 농축된 농축폐수는 유출배관(160)을 통하여 농축액저장조(140)에 저장된다. 상기 농축액저장조(140)에는 농축액의 후속 처리를 위한 설비들이 부가될 수 있다. 상기 농축액저장조(140)에 연결되는 설비들은 폐수처리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이 채용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는, 폐수의 증발시 발생하는 거품을 제거하여,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여 기기 수명을 연장하고, 증기에 불순물이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저비용으로 본체(10) 내의 거품을 제거함으로써 폐수처리설비 등의 설치시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열증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폐수저장조(130)로부터 유입된 폐수를 가열하여 증기와 농축폐수로 분리시키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로부터 상기 증기를 고압으로 흡입하여 압축하여 상기 증기를 과열증기로 변위시키는 압축기(200)와, 상기 압축기를 경유한 상기 과열증기를 응축시키는 응축기(2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와 상기 압축기(20)를 연결하는 제1 배관(220)와, 상기 압축기(200)와 상기 응축기(210)를 연결하는 제2 배관(230)과, 상기 응축기(210)에서 열교환된 폐수가 상기 본체(10)로 유입되도록 상기 응축기(210)와 상기 본체(10)를 연결하는 제3 배관(240)과, 일단부가 상기 본체(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배관(230)에 연결되어 상기 과열증기를 상기 본체(10) 측으로 안내하는 제4 배관(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200)는 도1의 실시예에서 과열증기생성부(20)에 대응하고, 상기 제4 배관(250)은 도1의 실시예에서 공급배관(70)에 대응하며, 상기 제1 배관(220)은 배출배관(40)에 대응한다.
제2 배관(230)을 통하여 응축기(210)로 이동한 과열증기는 폐수와 열교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0)의 하단부에 설치된 제5 배관(170)을 통하여 폐수가 응축기(210) 측으로 유도되고, 상기 폐수는 응축기(210)에서 상기 과열증기와 열교환하여 온도가 상승된 상태로 본체(10)로 공급된다.
상기 응축기(210)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응축수탱크(180)로 이동하여 저장되고, 응축수탱크(180)에는 응축수의 후속 처리를 위한 설비들이 부가된다. 응축수탱크(180)에 연결되는 설비들은 폐수처리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이 채용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응축기(210)에서 열교환된 폐수는 본체(10) 내에 설치되는 폐수분사장치에 의해 본체(10) 내부로 분사된다. 상기 폐수분사장치에 의해 폐수가 분사됨으로써 폐수의 증발효율을 향상시킨다.
본체(10) 내에서 농축된 농축폐수는 유출배관(160)을 통하여 농축액저장조(140)에 저장되며, 상기 농축액저장조(140)에는 농축액의 후속 처리를 위한 설비들이 부가될 수 있다. 상기 농축액저장조(140)에 연결되는 설비들은 폐수처리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이 채용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 역시, 도1의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의 효과를 동일하게 가지며, 과열증기를 재순환함으로서 거품을 제거를 위해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아울러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 본체 20... 과열증기생성부
40... 배출배관 70... 공급배관
80... 혼합부 81... 하부부재
82... 상부부재 P1... 제1 지점
P2... 제2 지점 R1... 제1 지점의 단면적
R2... 제2 지점의 단면적 90... 구획판
91... 관통공 100... 가이드관
110... 거품제거부재 120... 연결바
130... 폐수저장조 140... 농축액저장조
150... 유입배관 160... 유출배관
170... 제5 배관 180... 응축수탱크
L1... 제1 가상선 L2... 제2 가상선
L3... 제3 가상선 L4... 제4 가상선

Claims (6)

  1. 폐수저장조로부터 유입된 폐수를 가열하여 증기와 농축폐수로 분리시키는 증발기에 장착되어 상기 폐수의 가열시 거품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에 있어서,
    폐수가 가열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 내부로 상기 과열증기를 공급하도록, 과열증기를 생성하는 과열증기생성부(20);
    상기 과열증기생성부(20)에 의해 생성된 과열증기를 상기 본체(10)에 공급하도록, 상기 본체(10)와 상기 과열증기생성부(20)를 연결하는 공급배관(70);
    상기 폐수의 가열시 발생되는 거품을 함유한 습포화 수증기와 상기 과열증기가 혼합되는 혼합부(80);
    상기 혼합부(80)에 의해 상기 습포화 수증기와 상기 과열증기가 혼합되면서 상기 거품이 제거되고, 상기 거품이 제거된 증기를 배출하는 배출배관(40);을 포함하고,
    상기 혼합부(80)는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며, 상기 본체(10)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하부부재(81)와, 상기 하부부재(81)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부재(81)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일측이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는 상부부재(82)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배관(70)은 상기 하부부재(81)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배관(40)은 상기 본체(10)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배관(40)이 상기 본체(10)에 연결된 제1 지점은 상기 공급배관(70)이 상기 본체(10)에 연결된 제2 지점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배관(40)이 상기 본체(10)에 연결된 제1 지점의 단면적(R1)은, 상기 공급배관(70)이 상기 본체(10)에 연결된 제2 지점의 단면적(R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
  5. 삭제
  6. 폐수저장조로부터 유입된 폐수를 가열하여 증기와 농축폐수로 분리시키는 증발기에 장착되어 상기 폐수의 가열시 거품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에 있어서,
    폐수가 가열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 내부로 상기 과열증기를 공급하도록, 과열증기를 생성하는 과열증기생성부(20);
    상기 과열증기생성부(20)에 의해 생성된 과열증기를 상기 본체(10)에 공급하도록, 상기 본체(10)와 상기 과열증기생성부(20)를 연결하는 공급배관(70);
    상기 폐수의 가열시 발생되는 거품을 함유한 습포화 수증기와 상기 과열증기가 혼합되는 혼합부(80);
    상기 혼합부(80)에 의해 상기 습포화 수증기와 상기 과열증기가 혼합되면서 상기 거품이 제거되고, 상기 거품이 제거된 증기를 배출하는 배출배관(40);을 포함하고,
    상기 혼합부(80)의 하측에서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관통공(91)을 구비한 구획판(90);
    상기 관통공(91)에 삽입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상단부가 상기 혼합부(80) 내에 배치되는 가이드관(100);
    상기 구획판(90)의 하측에 배치되는 돔형의 거품제거부재(110);
    상기 거품제거부재(110)와 상기 구획판(90)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120);를 더 구비하여, 상기 습포화 수증기가 상기 거품제거부재(110)에 부딪혀 거품이 제거되고, 상기 관통공(91)을 경유하여 상기 혼합부(80)로 이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
KR1020110141702A 2011-12-23 2011-12-23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 KR101165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702A KR101165813B1 (ko) 2011-12-23 2011-12-23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702A KR101165813B1 (ko) 2011-12-23 2011-12-23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813B1 true KR101165813B1 (ko) 2012-07-16

Family

ID=46716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702A KR101165813B1 (ko) 2011-12-23 2011-12-23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8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0316A (zh) * 2017-10-31 2018-02-09 江阴市九鑫节能设备科技有限公司 具有一体式气液分离结构的mvr蒸发器结构
KR101904156B1 (ko) * 2017-04-27 2018-10-04 주식회사 에어로워터스 스케일 및 거품 제거 기능이 구비된 진공 증발 농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8001A (ja) 1986-09-30 1988-04-19 Hitachi Ltd 液体濃縮装置
JP2004237233A (ja) * 2003-02-07 2004-08-26 Okawara Mfg Co Ltd 結晶分離機構を具えた濃縮装置
JP2005013879A (ja) 2003-06-26 2005-01-20 Toyo Giken Kk 廃液処理装置
JP2007167764A (ja) 2005-12-21 2007-07-05 Sasakura Engineering Co Ltd 発泡性液の濃縮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8001A (ja) 1986-09-30 1988-04-19 Hitachi Ltd 液体濃縮装置
JP2004237233A (ja) * 2003-02-07 2004-08-26 Okawara Mfg Co Ltd 結晶分離機構を具えた濃縮装置
JP2005013879A (ja) 2003-06-26 2005-01-20 Toyo Giken Kk 廃液処理装置
JP2007167764A (ja) 2005-12-21 2007-07-05 Sasakura Engineering Co Ltd 発泡性液の濃縮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156B1 (ko) * 2017-04-27 2018-10-04 주식회사 에어로워터스 스케일 및 거품 제거 기능이 구비된 진공 증발 농축장치
CN107670316A (zh) * 2017-10-31 2018-02-09 江阴市九鑫节能设备科技有限公司 具有一体式气液分离结构的mvr蒸发器结构
CN107670316B (zh) * 2017-10-31 2023-09-15 江阴市吉瑞机械制造有限公司 具有一体式气液分离结构的mvr蒸发器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03000B (zh) 热交换器
RU2015129480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циркуляции воды
JP6397300B2 (ja) 濃縮システム
KR101165813B1 (ko)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증발기
CN105879418A (zh) 一种卧式水力剪切薄膜喷淋mvr蒸发系统
SU1069602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ыпаривани растворов
US3977204A (en) Alcohol circulation system
KR20130058839A (ko) 증발 농축 폐수정화장치
EP3153792B1 (en) Deaerator
KR101165812B1 (ko) 과열증기 재순환 증발시스템
JP6289817B2 (ja) 直接接触式復水器
CN210736252U (zh) 用于垃圾渗滤液蒸发浓缩的蒸发系统
CN104724776A (zh) 压力蒸发二次蒸汽掺入压力水中的装置及其方法
JP2009090228A (ja) 濃縮装置および濃縮方法
JP2009189959A (ja) 浄水装置
JP4206949B2 (ja) 水溶性廃液処理装置の洗浄方法
CN212799710U (zh) 一种含油废水蒸发器
KR0117732Y1 (ko) 폐수처리용 농축기
JP2006334532A (ja) 濃縮装置
US20160236139A1 (en) Absorption tower having absorption separator
JP4138473B2 (ja) 発泡性液の蒸発濃縮方法及び装置
JP2011104478A (ja) 浄水装置
CN115784347B (zh) 高盐废水处理设备
JP2007175564A (ja) 廃液処理装置
KR101624914B1 (ko) 오염가스 흡수기능을 구비한 이젝터 진공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