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4625B1 - 타액 중량 측정법 - Google Patents

타액 중량 측정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4625B1
KR101164625B1 KR20100131410A KR20100131410A KR101164625B1 KR 101164625 B1 KR101164625 B1 KR 101164625B1 KR 20100131410 A KR20100131410 A KR 20100131410A KR 20100131410 A KR20100131410 A KR 20100131410A KR 101164625 B1 KR101164625 B1 KR 101164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iva
sneezing
sample bag
filt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31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0024A (ko
Inventor
권순박
조영민
박덕신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100131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625B1/ko
Publication of KR20120070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625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샘플백과 필터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 1 중량 측정 단계; 샘플백의 내부로 재채기를 실시하는 재채기 실시 단계; 샘플백의 내부 공기를 필터를 통해 여과시키는 필터 포집 단계; 재채기 후의 샘플백 무게와 샘플백의 내부 공기를 여과시킨 후의 필터 무게를 각각 측정하는 제 2 중량 측정 단계; 및 재채기 전, 후의 샘플백, 필터의 무게로부터 재채기시 분출된 타액의 총중량을 산정하는 타액 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타액 중량 측정법이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재채기시의 타액 입자 중 수십 마이크론 이상의 입자와 부유하는 특성을 가진 수 마이크론 이하의 입자를 모두 포집함으로써 타액의 총 질량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타액 중량 측정법 {SALIVA WEIGHT MEASUREMENT METHOD}
본 발명은 재채기시에 공기중으로 분출되는 타액의 총 중량을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한 타액 중량 측정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과 같은 밀폐된 실내공간에서 재채기에 의해 공기중으로 부유되는 타액(침)은 많은 승객에게 공기감염을 유발시킬 수 있다.
타액에 포함되어 있는 감염성 물질(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등)은 상대방의 호흡기에 직접 분무되거나, 공기중에서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부유하면서 상대방에게 유입될 수 있다.
최근 연구결과(Morawska et al., 2009; Chao et al., 2009)에 따르면, 재채기를 통해 배출되는 타액의 크기분포, 배출속도, 총 질량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감염예방기술 개발을 위해 가장 기본적인 사항이다.
타액의 크기분포는 직경 0.1마이크론에서 수백마이크론까지 다양한 크기로 존재하며, 입에서 바로 배출되는 속도는 최대 20m/s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총 질량의 경우 기존 연구에서는 유리판이나 필터를 이용하여 재채기시 발생되는 타액입자를 포집하여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유리판에 부착된 타액만을 측정할 경우, 수 마이크론 이내에 존재하는 입자는 계속 공기 중에 부유 상태로 있기 때문에 측정이 될 수 없으며, 필터(혹은 마스크)를 이용할 경우엔 재채기 속도가 워낙 빠르기 때문에 특정 크기의 입자는 통과되어 무게 측정에서 제외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재채기시 배출되는 타액의 총 중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타액 중량 측정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액 중량 측정법은
샘플백과 필터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 1 중량 측정 단계(S1);
샘플백의 내부로 재채기를 실시하는 재채기 실시 단계(S2);
샘플백의 내부 공기를 필터를 통해 여과시키는 필터 포집 단계(S3);
재채기 후의 샘플백 무게와 샘플백의 내부 공기를 여과시킨 후의 필터 무게를 각각 측정하는 제 2 중량 측정 단계(S4); 및
재채기 전, 후의 샘플백, 필터의 무게로부터 재채기시 분출된 타액의 총중량을 산정하는 타액 산출 단계(S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액 중량 측정법에 의하면, 재채기시의 타액 입자 중 수십 마이크론 이상의 입자와 부유하는 특성을 가진 수 마이크론 이하의 입자를 모두 포집함으로써 타액의 총 질량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액 중량 측정장치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액 중량 측정법을 보인 순서도,
도 3은 도 2의 재채기 실시 단계를 보인 도면 및
도 4는 도 2의 필터 포집 단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액 중량 측정법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액 중량 측정장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액 중량 측정장치는 무게가 가벼운 샘플백(110)과, 필터(120)와, 중량측정장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샘플백(110)은 내부가 완전히 밀폐되어 내, 외부의 공기가 서로 소통될 수 없도록 제작된다.
또한, 상기 필터(120)는 수 마이크론 이내의 미세입자를 포집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알려진 타액의 최소 직경인 0.1마이크론 보다 작은 크기의 기공이 복수로 형성된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중량측정장치(130)는 매스 밸런스(Mass Balance)를 이용하여 샘플백(110)과 필터(120)의 미세한 중량변화를 정밀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미세 중량의 측정에 오차가 발생될 수 있는 요소는 배제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샘플백(110)의 입구부에 고정되어 실험시 사용자의 안면 상의 유분이 묻지 않도록 안면가이드(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샘플백(110)의 취급시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유분이나 이물질 등이 묻는 것을 방지하도록 피실험자는 장갑을 항시 착용함이 바람직하다.
또, 실험 즉시 상기 샘플백(110) 내부에 부유 중인 타액이 임의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샘플백(110)의 입구부를 폐쇄시키기 위한 커버(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 타액 중량 측정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액 중량 측정법을 보인 순서도, 도 3은 도 2의 재채기 실시 단계를 보인 도면 및 도 4는 도 2의 필터 포집 단계를 보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액 중량 측정법은 제 1 중량 측정 단계(S1), 재채기 실시 단계(S2), 필터 포집 단계(S3), 제 2 중량 측정 단계(S4) 및 타액 산출 단계(S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제 1 중량 측정 단계(S1)는 샘플백과 필터의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로서 재치기 실시 전의 샘플백과 필터의 순수한 중량을 측정해 둔다.
다음으로, 재채기 실시 단계(S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백의 내부로 재채기를 실시하는 단계로 중량이 상대적으로 큰 입자는 샘플백의 내벽에 침착이 되며,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은 것은 내부 공간 상에 부유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샘플백 내부에 재채기가 실시된 직후, 증발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터 포집 단계(S3) 및 제 2 중량 측정 단계(S4)가 신속히 실시가 된다.
본 필터 포집 단계(S3)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백의 일측으로 화살표 방향의 압력이 가해지면 샘플백의 내부 체적이 줄어들면서 샘플백의 내부 공기가 외부(도면에 도시된 좌에서 우 방향)로 분출되면서 분출 측에 배치된 필터에 미세 입자를 갖는 타액의 포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제 2 중량 측정 단계(S4)에서 재채기 후의 샘플백 무게와 샘플백의 내부 공기를 여과시킨 후의 필터 무게를 각각 측정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타액 산출 단계(S5)는 재채기 전, 후의 샘플백 및 필터의 무게로부터 재채기시 분출된 타액의 총중량을 정밀 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타액 산출 단계(S5)에서는 제 1 중량 측정 단계(S1)에서 측정된 샘플백과 필터의 무게가 기초 자료로 이용되어 제 2 중량 측정 단계(S4)에서 증가된 샘플백과 필터 무게에 의해 재채기시 분출된 타액의 총 중량을 정밀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타액 중량 측정법에 의하면, 재채기시의 타액 입자 중 수십 마이크론 이상의 입자와 부유하는 특성을 가진 수 마이크론 이하의 입자를 모두 포집함으로써 타액의 총 질량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

  1. 샘플백과 필터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 1 중량 측정 단계(S1);
    샘플백의 내부로 재채기를 실시하는 재채기 실시 단계(S2);
    샘플백의 내부 공기를 필터를 통해 여과시키는 필터 포집 단계(S3);
    재채기 후의 샘플백 무게와 샘플백의 내부 공기를 여과시킨 후의 필터 무게를 각각 측정하는 제 2 중량 측정 단계(S4); 및
    재채기 전, 후의 샘플백, 필터의 무게로부터 재채기시 분출된 타액의 총중량을 산정하는 타액 산출 단계(S5);
    를 포함하는 타액 중량 측정법.
KR20100131410A 2010-12-21 2010-12-21 타액 중량 측정법 KR101164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1410A KR101164625B1 (ko) 2010-12-21 2010-12-21 타액 중량 측정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1410A KR101164625B1 (ko) 2010-12-21 2010-12-21 타액 중량 측정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024A KR20120070024A (ko) 2012-06-29
KR101164625B1 true KR101164625B1 (ko) 2012-07-11

Family

ID=46687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31410A KR101164625B1 (ko) 2010-12-21 2010-12-21 타액 중량 측정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46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7777A (ja) 1997-02-12 1998-08-25 Suzuki Motor Corp 呼気分析装置
JP2006275809A (ja) 2005-03-29 2006-10-12 Tama Tlo Kk 唾液採取器具および唾液採取装置
JP2007248267A (ja) 2006-03-16 2007-09-27 Tama Tlo Kk 唾液採取器具
US20090133513A1 (en) 2007-11-26 2009-05-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pturing Air Samples for Forensic Investig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7777A (ja) 1997-02-12 1998-08-25 Suzuki Motor Corp 呼気分析装置
JP2006275809A (ja) 2005-03-29 2006-10-12 Tama Tlo Kk 唾液採取器具および唾液採取装置
JP2007248267A (ja) 2006-03-16 2007-09-27 Tama Tlo Kk 唾液採取器具
US20090133513A1 (en) 2007-11-26 2009-05-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pturing Air Samples for Forensic Investig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024A (ko) 201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Haan et al. In vitro monodisperse aerosol deposition in a mouth and throat with six different inhalation devices
EP2771664B1 (en) Aerosol exposure monitoring
TW201621294A (zh) 用於細小微粒物質之基於微流體的即時偵測器
CN105339775B (zh) 用于便携式pm2.5监控装置的方法和设备
CN103792171B (zh) 一种实际大气环境中评价pm2.5口罩过滤效率的装置
Zhou et al. Nasal deposition in infants and children
CN113995441A (zh) 用于收集呼出气流中的颗粒的装置
US20160109349A1 (en) Portable particle spectometer
TW200946894A (en) Nanometer particle sampling device for an individual
CN106501150A (zh) 一种口罩过滤性能测试器
CN107808703B (zh) 一种破损燃料组件鉴定方法
KR101164625B1 (ko) 타액 중량 측정법
CN103018765B (zh) 利用低压单闪烁室对222Rn、220Rn浓度同步测量的方法
CN104502551B (zh) 测量空气中可吸入颗粒物的在线监测系统
CN108982310A (zh) 一种降低人工放射性气溶胶监测仪虚警率的方法
US11740161B2 (en) Filters for mimicking regional lung deposition
SPERTELL et al. Airborne density of ferric oxide aggregate microspheres
CN103759980B (zh) 一种双级虚拟撞击pm10/pm2.5采样器
CN103293547B (zh) 便携式仿生α内污染剂量监测装置
CN108896426B (zh) 敷料止血性能体外评价系统和方法
CN105148422B (zh) 滤毒罐口颈排灰标准级差比色板的制作方法
JPH01267439A (ja) エアロゾルの粒度分布測定方法及び装置
KR20040064501A (ko) 호흡성 분진 포집장치
JP2017102008A (ja) 微小粒子状物質分析装置
TW201403043A (zh) 可攜式奈米微粒採樣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