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4343B1 -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 및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 및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4343B1
KR101164343B1 KR1020077000426A KR20077000426A KR101164343B1 KR 101164343 B1 KR101164343 B1 KR 101164343B1 KR 1020077000426 A KR1020077000426 A KR 1020077000426A KR 20077000426 A KR20077000426 A KR 20077000426A KR 101164343 B1 KR101164343 B1 KR 101164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ignal
contact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0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2142A (ko
Inventor
니시끼 미즈사와
도모노리 나가노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05/011252 external-priority patent/WO2006006347A1/ja
Publication of KR20070022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06K19/072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the arrangement being a circuit facilitating integration of the record carrier with a hand-held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f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0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user and terminal device

Abstract

휴대 전화 단말기에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또는 비접촉 IC 카드를 탑재한 경우에, 카드 리더 라이터로부터 발생하는 불필요 복사파에 의해 생기는 무선 통신 시의 수신 감도 열화를 개선한다.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를 구비한 휴대 전화 단말기는, 수신 시의 무선 상태의 측정(스텝 S1)과 송신 전력의 설정(스텝 S2)을 행하고 있고,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가 유저로부터 입력된(스텝 S3) 경우, 리더 라이터의 불필요 복사에 의한 무선 상태의 악화를 예상(스텝 S4)하고, 그 악화 예상한 무선 상태의 값에 기초하여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가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5), 필요하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전송 속도를 내린다(스텝 S6).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지국

Description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 및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 또는 비접촉 IC 카드 기능과 같은 비접촉 통신 기능을 탑재한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와, 그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와 기지국으로 이루어지는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위 비접촉 IC 카드는, 이용자의 사용성이 좋은 것, 내구성이 우수한 것, 복수 카드에의 동시 액세스가 가능한 것, 메인터넌스성이 좋은 것, 등의 이점을 살려서, 예를 들면 전철의 승차권이나 프리페이드 카드로서 보급되고 있다.
이들 비접촉 IC 카드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전용의 리더 라이터(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에 근접했을 때에, 내부에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의 기입이나 소거, 갱신 등이 해당 리더 라이터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최근에는,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의 일례인 휴대 전화 단말기에 비접촉 IC 카드 기능을 탑재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으며, 그 비접촉 IC 카드 기능을 휴대 전화 단말기에 탑재함으로써, 전자 결제 등의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 11-213111호의 공개 특허 공보에는, 휴대 전화 단말기에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를 탑재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비접촉 IC 카드는, 리더 라이터가 발생하는 13.56㎒ 등의 반송파의 교류 자계에 의해 에너지가 공급되는 것이기 때문에, IC 카드용 안테나에는 다이오드 등의 비선형 소자가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IC 카드용 안테나에 비선형 소자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비접촉 IC 카드와 리더 라이터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질 때에, 13.56㎒ 등의 반송파에서의 고차 고조파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근접형의 비접촉 IC 카드에서의 통신 거리는 10㎝ 정도의 매우 가까운 거리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휴대 전화 단말기에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를 탑재하고, 그 휴대 전화 단말기에 탑재되어 있는 리더 라이터와 비접촉 IC 카드가 통신을 행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리더 라이터가 발생하는 반송파의 고차 고조파나, 그 반송파의 고차 고조파와 휴대 전화 단말기 송신파의 혼합파(불필요 복사파)가, 휴대 전화 단말기의 수신 대역의 방해파로 되고, 그 결과, 휴대 전화 단말기의 수신 성능이 열화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휴대 전화 단말기에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를 탑재한 경우, 그 휴대 전화 단말기는, 외부의 비접촉 카드에 과금 정보 등의 기입 시에, 그 과금 정보 등을 관리하는 서버와의 사이의 통신 수단으로서 사용되게 된다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을 사용하고 있을 때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통신 품질은, 고품질인 것이 요구된다.
이하, 휴대 전화 단말기의 수신 대역에 방해파가 발생하는 예로서, 일본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W-CDMA(Wideban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휴대 전화 시스템과, cdma2000 방식의 휴대 전화 시스템을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또한, 이들 2개의 방식은,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전이중 통신 방식으로 되어 있고, 통신 시에 어느 무선 채널을 선택하더라도 수신 대역에 방해파를 발생하는 메카니즘을 갖고 있다.
우선, W-CDMA 방식의 휴대 전화 시스템부터 설명한다.
W-CDMA 방식의 휴대 전화 시스템은, 기지국 송신 주파수(즉 휴대 전화 단말기 수신 주파수)가 2130㎒~2170㎒, 휴대 전화 단말기 송신 주파수(즉 기지국 수신 주파수)가 1940㎒~1980㎒, 송수신 주파수 간격이 190㎒, 대역폭이 3.84㎒인 시스템으로서, 송수신은 기본적으로 전이중 통신으로 이루어져 있다.
휴대 전화 단말기 수신 주파수와 휴대 전화 단말기 송신 주파수는, 하기 수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수학식 1에서, Fwdc는 휴대 전화 단말기 수신 캐리어 주파수, Fwtc는 휴대 전화 단말기 송신 캐리어 주파수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7001632788-pct00001
휴대 전화 단말기 송신파가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에 입력된 경우,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가 구비하는 회로 소자의 비선형 특성으로부터,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송신파와 휴대 전화 단말기 송신파는 믹싱되고, 그 결과, 하기 수학식 2의 주파수 범위에 불필요 복사파가 발생한다. 또한, 수학식 2에서, Ficn은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불필요 복사파 주파수 범위, Fwtc는 휴대 전화 단말기 송신 캐리어 주파수, Fwtd는 휴대 전화 단말기 송신 주파수 폭, Fict는 비 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송신 주파수를 나타내고 있고, p는 양의 정수이다.
Figure 112007001632788-pct00002
또한,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송신 주파수가 13.56㎒이고, 또한, 수학식 2의 p가 14인 경우를 고려하면,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불필요 복사파 주파수 범위 Ficn는,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된다.
Figure 112007001632788-pct00003
여기서, 이 수학식 3으로 표현되는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불필요 복사파는, 수학식 1에서 설명한 W-CDMA 방식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수신 캐리어 주파수에 가깝고, W-CDMA 방식의 휴대 전화 단말기 수신 대역폭이 3.84㎒인 것을 고려한 경우, 상기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불필요 복사파는, W-CDMA 방식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수신 대역 내에 들어가게 된다. 즉, 예를 들면 W-CDMA 방식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송신 주파수가 1940㎒라고 가정하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의 반송파의 14차 고조파에 의해, 1940㎒±1.92㎒+14*13.56㎒=2129.84±1.92㎒(2127.92㎒~2131.76㎒)의 대역에 잡음이 나타나게 되고, 이 잡음 성분이 휴대 전화 단말기 수신 주파수인 2130㎒±1.92㎒의 수신 대역 내에 들어간다.
따라서,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에서 송신이 행해지고 있을 때에, W-CDMA 방식의 휴대 전화 단말기가 송신을 행하게 된 경우, 전체 무선 채널에서 그 휴대 전화 단말기의 수신 감도에 열화가 발생하고, 최악의 경우에는 호가 절단되게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cdma2000 방식의 휴대 전화 시스템의 경우를 설명한다.
cdma2000 방식의 휴대 전화 시스템은, 기지국 송신 주파수(즉 휴대 전화 단말기 수신 주파수)가 832㎒~870㎒, 휴대 전화 단말기 송신 주파수(즉 기지국 수신 주파수)가 887㎒~925㎒, 송수신 주파수 간격이 55㎒, 대역폭이 1.23㎒인 시스템으로서, 송수신은 기본적으로 전이중 통신으로 이루어져 있다.
휴대 전화 수신 주파수와 휴대 전화 송신 주파수는 하기 수학식 4로 나타난다. 또한, 수학식 4에서, Fcdc는 휴대 전화 수신 캐리어 주파수, Fctc는 휴대 전화 송신 캐리어 주파수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7001632788-pct00004
이 cdma2000 방식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 송신파가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에 입력된 경우,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의 회로 소자의 비선형 특성으로부터,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송신파와 휴대 전화 단말기 송신파는 믹싱되고, 그 결과, 하기 수학식 5의 주파수 범위에 불필요 복사파가 발생한다. 또한, 수학식 5에서, Ficn은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불필요 복사파 주파수 범위, Fctc는 휴대 전화 단말기 송신 캐리어 주파수, Fctd는 휴대 전화 단말기 송신 주파수 폭, Fict는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송신 주파수를 나타내고 있고, p는 양의 정수이다.
Figure 112007001632788-pct00005
또한,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송신 주파수가 13.56㎒이고, 또한, 수학식 5의 p가 4인 경우를 고려하면,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불필요 복사파 주파수 범위 Ficn는, 하기 수학식 6과 같이 된다.
Figure 112007001632788-pct00006
여기서, 이 수학식 6으로 표현되는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불필요 복사파는, 수학식 4에서 설명한 cdma2000 방식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수신 캐리어 주파수에 가깝고, cdma2000 방식의 휴대 전화 단말기 수신 대역폭이 1.23㎒인 것을 고려한 경우, 상기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불필요 복사파는, cdma2000 방식의 휴대 전화 단말기 수신 대역에 들어가게 된다. 즉, 예를 들면 cdma2000 방식의 휴대 전화 단말기 송신 주파수가 898㎒라고 가정하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의 반송파의 4차 고조파에 의해, 898㎒±0.615㎒-4*13.56㎒=843.76±0.615㎒(843.14㎒~844.38㎒)의 대역에 잡음이 나타나게 되고, 이 잡음성분이 휴대 전화 단말기 수신 주파수인 843㎒±0.615㎒의 수신 대역 내에 들어간다.
따라서,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에서 송신이 행해지고 있을 때에, cdma2000 방식의 휴대 전화 단말기가 송신을 행하게 된 경우, 전체 무선 채널에서 그 휴대 전화 단말기의 수신 감도에 열화가 발생하고, 최악의 경우에는 호가 절단되게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가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 또는 비접촉 IC 카드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경우에,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로부터 발생하는 불필요 복사파에 의해 생기는 무선 통신 시의 수신 감도 열화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와 그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는, 소정 주파수의 반송파를 사용한 비접촉 통신을 행하는 비접촉 통신 기능을 갖춘 단말기로서, 소정 주파수의 반송파에 기인하는 불필요 복사파 주파수 범위가 적어도 일부에 겹치는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수단과, 기지국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른 신호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송신 전력 설정 수단과, 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 시의 신호 수신 강도를 측정하는 수신 강도 측정 수단과, 신호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수신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수신 품질 정보 생성 수단과, 신호 송신 전력과 신호 수신 강도와 상기 단말기 고유의 계수에 기초하여 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불필요 복 사파의 잡음 전력을 예상하는 잡음 전력 예상 수단과, 비접촉 통신 기능이 적어도 기동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비접촉 통신 기능의 기동 검출이 이루어졌을 때, 예상된 불필요 복사파의 잡음 전력을 더한 후에서의 수신 품질과 소정 임계값을 비교하고, 수신 품질이 소정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전송 속도를 내리도록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가짐으로써, 전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는, 소정 주파수의 반송파를 사용한 비접촉 통신을 행하는 비접촉 통신 기능을 갖춘 단말기로서, 소정 주파수의 반송파에 기인하는 불필요 복사파 주파수 범위가 적어도 일부에 겹치는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수단과, 비접촉 통신 기능이 적어도 기동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비접촉 통신 기능의 기동 검출이 이루어졌을 때, 소정의 신호를 생성하고, 그 소정의 신호를 기지국에 송신한 후, 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속도를 내리는 지시 명령을 수취했을 때, 전송 속도를 내리도록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가짐으로써, 전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은, 소정 주파수의 반송파를 사용한 비접촉 통신을 행하는 비접촉 통신 기능을 갖춘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와,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을 갖고, 소정 주파수의 반송파에 기인하는 불필요 복사파 주파수 범위가 적어도 일부에 겹치는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시스템으로서,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는, 비접촉 통신 기능이 기동되는 것을 검출했을 때, 소정의 신호를 생성하여 기지국에 송신하고, 기지국은,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소 정의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전송 속도를 내릴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전송 속도를 내릴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전송 속도를 내리는 지시 명령을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에 송신하고,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는, 전송 속도를 내리는 지시 명령을 수신했을 때에 전송 속도를 내림으로써, 전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여기서, 전송 속도를 떨어뜨리면 송신 전력이 내려가게 되고, 송신 전력이 내려가면, 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불필요 복사파의 잡음 전력도 내려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접촉 통신 기능이 기동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전송 속도를 떨어뜨려서 송신 전력을 내림으로써, 비접촉 통신 기능의 사용에 의한 불필요 복사파가,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의 수신 감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접촉 통신 기능이 기동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전송 속도를 떨어뜨려서 송신 전력을 내림으로써, 예를 들면,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가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 또는 비접촉 IC 카드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경우에,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로부터 발생하는 불필요 복사파에 의해 생기는 무선 통신 시의 수신 감도 열화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에 대하여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가 입력되고 나서,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가 실행될 때까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은 제2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에 대하여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가 입력되고 나서,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가 실행될 때까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타임 에로우.
도 4는 제2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의 필요 여부 판정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5는 제3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에 대하여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가 입력되고 나서,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가 실행될 때까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타임 에로우.
도 6은 제4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에 대하여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가 입력되고 나서,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가 실행될 때까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타임 에로우.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제5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가 외부의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의 캐리어 신호를 검출하고 나서,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가 실행될 때까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9는 제6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가 외부의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의 캐리어 신호를 검출하고 나서, 전송 속도 를 내리는 제어가 실행될 때까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타임 에로우.
도 10은 제6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의 필요 여부 판정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제7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가 외부의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의 캐리어 신호를 검출하고 나서,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가 실행될 때까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타임 에로우.
도 12는 제8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가 외부의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의 캐리어 신호를 검출하고 나서,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가 실행될 때까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타임 에로우.
도 13은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의 반송파의 14차 고조파가, W-CDMA 방식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수신 주파수 대역에 잡음으로서 나타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도면.
도 14는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의 반송파의 4차 고조파가, cdma2000 방식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수신 주파수 대역에 잡음으로서 나타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와 그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W-CDMA 방식과 cdma2000 방식의 휴대 전화 시스템 및 휴대 전화 단말기를 예로 들고 있다. 물론, 여기서 설명하는 내용은 어디까지나 일례이 며,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는, W-CDMA 방식이나 cdma2000 방식에 의한 무선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 또는 비접촉 IC 카드 기능을 기동시킬 때에는, 휴대 전화 단말기가 측정하고 있는 수신 주파수 대역의 수신 강도(수신 전력)와, 기지국에 의한 제어 하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가 설정하고자 하는 신호 송신 전력으로부터, 상기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 또는 비접촉 IC 카드 기능이 사용됨으로써 휴대 전화 단말기의 수신 주파수 대역에 어느 정도의 감도 열화가 발생하는지를 예상하고, 예를 들면 호가 절단되게 될 우려가 있는 감도 열화의 발생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현재보다도 전송 속도를 떨어뜨리고, 그에 따라 송신 전력을 내리도록 함으로써, 불필요 복사파에 의한 수신 감도 열화를 방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는, W-CDMA 방식이나 cdma2000 방식에 의한 무선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을 기동시킬 때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여 송신 전력을 내림으로써,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의 불필요 복사파에 의한 휴대 전화 단말기의 수신 감도 열화를 없애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을 탑재한 휴대 전화 단말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단말기는, W-CDMA 방식이나 cdma2000 방식에 의한 무선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을 기동시킬 때에는, 그에 앞서, 상기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의 불필요 복사파에 의해 휴대 전화 단말기의 수신 주파수 대역에서 어느 정도의 감도 열화가 발생하는지를 예상한다. 즉, 휴대 전화 단말기는, 자신이 설정하는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의 불필요 복사파의 전력을 예상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그 불필요 복사파의 전력과 휴대 전화 단말기가 스스로 측정하고 있는 수신 전력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휴대 전화 단말기의 수신 주파수 대역에서 어느 정도의 감도 열화가 발생하는지를 예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불필요 복사파의 전력은, 예를 들면 다음 수학식 7과 같은 연산에 의해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7에서, Eicn은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불필요 복사파 전력, Et는 휴대 전화 단말기 송신 전력, n은 상수이다. 상수 n이란, 휴대 전화 단말기의 비접촉 IC 카드 안테나와 휴대 전화 단말기의 안테나의 아이솔레이션 등으로 결정되는 단말기 고유의 값이다.
Figure 112007001632788-pct00007
또한, 휴대 전화 단말기는, 기지국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무선 상태를 보고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고, 무선 채널의 수신 강도(수신 전력)를 측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상기 무선 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서는, 예를 들면 W-CDMA 방식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는, CPICH(Common Pilot Channel), RSCP(Received Signal Code Power), CPICH Ec/Io(근린 기지국의 파일럿 채널의 송신 레벨/현행 기지국과 이웃 기지국의 송신 레벨의 총합),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등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단말기는, 전술한 수학식 7의 연산에 의해 예상한 불필요 복사파의 전력과, 휴대 전화 단말기가 스스로 측정하고 있는 수신 전력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휴대 전화 단말기의 수신 주파수 대역에서 어느 정도의 감도 열화가 발생할지를 예상, 즉 불필요 복사파의 잡음에 의한 무선 상태의 악화를 예상한다.
그리고, 휴대 전화 단말기는, 예를 들면 호가 절단되게 될 우려가 있는 수신 감도 열화의 발생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현재보다도 전송 속도를 떨어뜨리고, 망 전체로부터 제어되는 파워 컨트롤에 의해 송신 전력을 내리도록 한다. 즉, 수학식 7로부터 알 수 있듯이, 불필요 복사파 전력은 휴대 전화 단말기의 송신 전력이 적을수록 내려가기 때문에, 수신 감도 열화의 발생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현재보다도 전송 속도를 떨어뜨려서 송신 전력이 내려가도록 함으로써, 불필요 복사파에 의한 수신 감도 열화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송신 전력을 내리기 위해서 이하와 같은 방법을 이용한다.
W-CDMA 방식이나 cdma2000 방식의 휴대 전화 시스템의 경우, 휴대 전화 단말기에 대한 전력 제어가 아주 세밀하게 행해지고 있다. 즉, 이들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유저의 이동에 의해 휴대 전화 단말기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전파 전파의 상태가 변하고, 그에 수반하여 수신 전계 강도가 시간적으로 변동하여 발생하는 페이딩(fading)에 의해 야기되는 전력 변동을 피하기 위해서, 휴대 전화 단말기에 대한 전력 제어가 아주 세밀하게 행해지고 있다. 또한, 이들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는, 많은 휴대 전화 단말기가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여 통신을 행하게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특정한 단말기로부터의 전파의 전력이 다른 단말기로부터의 전파의 전력보다도 강한 경우, 그 전력이 강한 쪽의 전파에 의해, 전력이 약한 쪽의 전파가 마스크되게 되어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휴대 전화 단말기에 대한 전력 제어가 아주 세밀하게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W-CDMA 방식 및 cdma2000 방식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휴대 전화 단말기에 대한 전력 제어는, 실제로는 기지국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지국은, 각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 보내져 온 신호를 역확산한 후의 신호 전력과 상기 페이딩이나 마스크 등에 의한 잡음 전력과의 비가 동등하게 되도록, 즉 신호 전력에 대한 잡음 전력의 비가 일정값 이상으로 되게 되지 않도록, 각 휴대 전화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그런데, 예를 들면 확산 레이트가 동일한 경우, 상기 역확산 후의 신호 전력이라고 하는 것은, 전송 속도를 내릴수록 커진다. 따라서, 전송 속도를 내릴수록, 휴대 전화 단말기의 송신 전력은 내려가도록 제어되게 된다.
이하, W-CDMA 방식 및 cdma2000 방식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파워 컨트롤에서의 송신 전력과 전송 속도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W-CDMA 방식이나 cdma2000 방식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소요의 수신 품질이 얻어지도록, 휴대 전화 단말기에 대하여 송신 전력의 업/다운 제어 신호를 보냄으로써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고 있다.
또한, 수신 품질 Eb/IO는, 이하의 수학식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수학식 8 중, Eb는 각 채널에서의 1비트당의 신호 전력, IO는 타 채널로부터의 간섭 전력 스펙트럼 밀도, SF는 확산율(희망파의 확산 신호 대역/희망파의 전송 신호 대역), K는 유저수, σn은 배경 열 잡음 분산, S는 신호 전력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7001632788-pct00008
기지국은, 이 수학식 8에서 구해지는 수신 품질 Eb/IO가 원하는 값으로 충족되지 않은 경우에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송신 신호 전력 S를 크게 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전송 속도를 낮게 하면(즉 전송 신호 대역을 좁게 하면), 수학식 8의 확산율 SF가 커지게 되고, 그 결과, 동일한 만큼의 수신 품질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송신 신호 전력 S는 작아진다. 즉, 휴대 전화 단말기의 전송 속도를 낮게 할수록, 그 단말기의 송신 전력은 작아지도록 전력 제어가 행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 W-CDMA 방식이나 cdma2000 방식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전송 속도 중으로부터, 필요에 따라 원하는 전송 속도를 선택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고, 예를 들면, cdma2000 1X Ev/Do 방식의 경우에는, 데이터 채널의 전송 속도로서, 153.6kbps, 38.4kbps, 19.2kbps, 9.6kbps가 준비되어 있고, 이들로부터 원하는 전송 속도가 선택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점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수학식 7의 연산에 의해 수신 감도 열화의 발생을 예상하고, 불필요 복 사파에 의해 예를 들면 호가 절단되게 될 우려가 있는 수신 감도 열화의 발생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전송 속도 중으로부터, 현재보다도 낮은 전송 속도를 선택하고, 망 전체로부터 제어되는 파워 컨트롤에 의해 송신 전력을 내리도록 하고, 그에 의해, 상기 불필요 복사파에 의한 수신 감도 열화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내부 구성]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개략적인 내부구성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안테나(11)는, 예를 들면 내장 안테나이고 통화나 패킷 통신을 위한 신호 전파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제1 통신 회로(21)는, 송수신 신호의 주파수 변환, 변조와 복조 등을 행한다.
상기 통신 회로(21)에서 수신된 예를 들면 통화 음성의 데이터는, 데이터 라인을 통하여 제어부(20)에 보내진다. 제어부(20)는, CPU(중앙 처리 장치)로 이루어지고, 통화 음성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그 복호화 후의 음성 데이터를 데이터 라인을 통하여 스피커(26)에 보낸다.
스피커(26)는, 수화용의 스피커나 링거용의 스피커에 상당하고,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와 증폭기를 포함하고, 통화 음성이나 링거음의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증폭한 후, 출력한다. 이에 의해, 통화 음성이나 링거 음이 얻어지게 된다.
마이크로 폰(27)은, 송화용의 마이크로폰이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와 증 폭기를 포함한다. 이 마이크로 폰(27)을 통하여 입력된 통화 음성 신호는, 증폭기에 의해 소정의 레벨로 증폭된 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의해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되고, 데이터 라인을 통하여 제어부(20)로 보내져서 부호화된 후, 통신 회로(21)로 보내진다.
표시부(23)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 위에 설치되어 있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와 그 액정 디스플레이 상에 화상 등을 표시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 등으로 이루어진다.
조작부(24)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 상에 설치되어 있는 텐키나 조그 다이얼, 그들의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를 발생하는 조작 신호 발생부 등을 갖고 있다.
메모리(25)는, ROM(Read Only Memory)과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한다. ROM은, 제어부(20)가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나 각종 초기 설정값, 폰트 데이터, 사전 데이터,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전술한 불필요 복사파의 잡음에 의한 무선 상태의 악화 예상을 행하기 위한 연산이나, 사용하는 전송 속도의 선택 설정 처리,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다양한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처리,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제어 등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전자 메일의 작성이나 편집 등을 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용의 프로그램 코드, 화상에 대하여 다양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용 프로그램 코드, 그 외, 휴대 전화 단말기에 탑재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용의 프로그램 코드, 상기 휴대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ID) 등을 기억하고 있다. 이 ROM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과 같은 재기입 가능한 ROM을 포함하고, 전자 메일 데이터, 유저에 의해 설정되는 전화 번호부나 전자 메일 어드레스, 다운로드 받은 사진 데이터나 착신 음 데이터, 문자 데이터나 예측 변환의 후보 단어의 등록 데이터나 예측 변환의 학습 데이터, 전술한 불필요 복사파의 잡음에 의한 무선 상태의 악화 예상을 행하기 위한 연산에 사용하는 계수나 상수의 정보, 그 외, 각종 유저 설정값 등을 보존하는 것도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RAM은, 제어부(20)가 각종 데이터 처리를 행할 때의 작업 영역으로서, 수시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부(28)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외부의 비접촉 IC 카드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안테나(31) 및 송수신부(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송수신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20)는, 전술한 통화 음성 데이터의 부호화나 복호화 외에, 제어 라인을 통하여 상기 휴대 전화 단말기의 각 구성 요소의 제어 등, 각종 연산 처리를 행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제어부(20)는, 전술한 불필요 복사파의 잡음에 의한 무선 상태의 악화 예상을 행하기 위한 연산이나, 사용하는 전송 속도의 선택 설정 처리,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다양한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처리,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부(28)의 동작 제어 등의 각종 처리를 행한다.
그 외, 도 1에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단말기는,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나, 음악이나 화상의 기록 재생을 행하기 위한 기록 재생부, 브라우저 기능, 외부 케이블용 커넥터, 외부 리모트 컨트롤러의 접속 커넥터, 휴대 전화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측위 디바이스인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통신부와 그 안테나, 렌즈계 및 그 렌즈계의 포커스 맞춤을 자동적으로 행하기 위한 오토 포커스 기구와 촬상 소자를 갖는 카메라부 등도 구비하고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전송 속도 설정 처리의 흐름]
이하, 제1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의 휴대 전화 단말기에서, 그 단말기가 예를 들면 통화나 데이터 통신 중 혹은 권내 대기 중일 때에, 휴대 전화 단말기에 대하여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가 입력되고 나서, 전송 속도가 변경될 때까지의 흐름을, 도 1의 구성을 참조하면서 도 2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가 통화나 데이터 통신 중 혹은 권내 대기 중일 때, 제어부(20)는, 스텝 S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11) 및 통신 회로(21)를 사용하여 측정한 수신 시의 무선 상태를 측정함과 함께, 그 무선 상태를 나타내는 값을 기지국에 정기적으로 송신하고 있다. 또한, 휴대 전화 단말기의 제어부(20)는, 스텝 S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회로(21)에 의한 통신 시의 송신 전력을,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 파워 컨트롤에 기초하여 설정하고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은 통화나 데이터 통신 중 혹은 권내 대기 중에, 스텝 S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조작부(24)를 통하여 유저에 의해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가 입력되었다고 하면, 휴대 전화 단말기의 제어부(20)는, 그것을 검출한다. 또한 이 때의 제어부(20)는, 스텝 S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11) 및 통신 회로(21)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있는 수신 시의 무선 상태와, 상기 제어부(20)가 통신 회로(21)를 통하여 설정하고 있는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학식 7의 연산을 행함으로써,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부(28)로부터의 불필요 복사파의 잡음에 의한 무선 상태의 악화를 예상한다. 즉, 제어부(20)는, 상기 무선 상태 및 송신 전력과, 메모리(25)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수학식 7의 단말기 고유의 상수 n을 이용하여, 상기 수학식 7의 연산을 행함으로써, 무선 상태의 악화를 예상한다.
그리고, 휴대 전화 단말기의 제어부(20)는, 스텝 S5에서, 상기 무선 상태를 나타내는 값은,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20)는, 상기당 스텝 S5에서, 무선 상태를 나타내는 값이 소정 임계값 이하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 이 도 2의 플로우차트의 처리를 종료하고, 한편, 무선 상태를 나타내는 값이 소정 임계값 이하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6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6의 처리로 진행하면, 제어부(20)는, 현재의 전송 속도보다도 낮은 전송 속도를 선택하여 전송 속도를 떨어뜨린다. 이에 의해, 망 전체로부터 제어되는 파워 컨트롤에 의해 송신 전력을 내릴 수 있게 되어,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실행 시의 불필요 복사파에 의한 수신 감도 열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제어부(20)는,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부(28)를 기동시키고, 그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부(28)에 대하여 외부의 비접촉 IC 카드와의 사이의 통신을 실행시킨다
[제1 실시 형태의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 따 르면, 불필요 복사파에 의해 수신 감도 열화의 발생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전송 속도를 내려서 송신 전력을 내림으로써,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사용 시의 불필요 복사파에 의한 수신 감도 열화의 발생이 방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불필요 복사파에 의해 수신 감도 열화의 발생이 예상된 경우에, 휴대 전화 단말기 스스로가 전송 속도를 내리도록 하였지만, 이하의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전송 속도를 내리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내부 구성은, 도 1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가 통화 중 혹은 권내 대기 중일 때에, 휴대 전화 단말기에 대하여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가 입력되고 나서, 전송 속도가 내려갈 때까지의 흐름을, 도 1을 참조하면서 도 3의 타임 에로우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서, 통화 중 혹은 권내 대기 중에, 휴대 전화 단말기의 제어부(20)는, 스텝 S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11) 및 통신 회로(21)를 사용하여 측정한 수신 주파수 대역의 무선 상태를 측정함과 함께, 그 무선 상태를 나타내는 값을 기지국에 정기적으로 송신하고 있다. 또한, 휴대 전화 단말기의 제어부(20)는, 스텝 S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회로(21)에 의한 통신 시의 송신 전력을,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 파워 컨트롤에 기초하여 설정하고 있다. 한편, 이 때의 기지국은, 스텝 S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SIR(희망파 수신 전력 대 간섭 신호 전력 비)을 측정함과 함께, 그 SIR 값을 바탕으로 기지국의 송신 파워 컨트롤을 행하고 있다.
여기서, 통화중 혹은 권내 대기 중에, 스텝 S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조작부(24)를 통하여 유저에 의해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가 입력되었다고 하면, 휴대 전화 단말기의 제어부(20)는, 그것을 검출하고, 상기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 입력이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또한 이 때의 제어부(20)는, 스텝 S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S11에서 측정하고 있는 수신 주파수 대역에서의 무선 상태와, 스텝 S12에서 설정하고 있는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학식 7의 연산을 행함으로써,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부(28)로부터의 불필요 복사파의 잡음에 의한 무선 상태의 악화를 예상한다. 즉, 제어부(20)는, 상기 무선 상태 및 송신 전력과, 메모리(25)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수학식 7의 단말기 고유의 상수 n을 이용하여, 상기 수학식 7의 연산을 행함으로써, 무선 상태의 악화를 예상한다. 그리고, 휴대 전화 단말기의 제어부(20)는, 스텝 S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무선 상태를 나타내는 값을, 통신 회로(21) 및 안테나(11)를 통하여 기지국에 보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가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무선 상태를 나타내는 값을 수취한 기지국은, 스텝 S22에서,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가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전송 속도를 내리지 않으면,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을 사용했을 때에 그 불필요 복사파에 의한 수신 감도 열화가 발생하고, 양호한 통신을 행할 수 없게 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휴대 전화 단말기에 대하여 전송 속도를 내리도록 지시한다.
휴대 전화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속도를 내리도록 지시받으면, 스텝 S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 속도를 내리는 처리를 실행한다. 그 후, 휴대 전화 단말기는,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부(28)를 기동시키고, 그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부(28)에 대하여 외부의 비접촉 IC 카드와의 사이의 통신을 실행시킨다.
[기지국에서의 전송 속도 제어를 위한 판정 처리의 상세]
도 4에는, 기지국에서 행해지는 처리 중, 상기 도 3의 스텝 S21, S22에서의 처리의 상세한 흐름을 설명한다.
도 4에서, 기지국은, 스텝 S31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 무선 상태를 나타내는 값의 보고를 받고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상태를 나타내는 값은, 휴대 전화 단말기에서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 입력이 이루어졌을 때에는, 전술한 수학식 7의 연산을 이용한 악화 예상에 의해 얻어지는 값으로 되고, 한편, 그 이외일 때에는 통상 보고되는 값으로 된다.
스텝 S31에서 상기 무선 상태를 나타내는 값을 수신하면, 기지국은, 스텝 S32의 처리로서,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 보내져 온 무선 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부터 휴대 전화 단말기의 SIR 값은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임계값은, 전송 속도를 내리는 것을 휴대 전화 단말기에 지시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값으로서 미리 정해져 있는 값으로, 상기 소정 임계값보다도 상기 SIR 값 쪽이 좋은(값이 높은) 경우, 기지국은, 전송 속도 를 내리는 제어는 필요 없다고 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32에서 SIR 값이 소정 임계값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 기지국은, 스텝 S33에서,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가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상기 스텝 S33에서,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36으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34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33에서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스텝 S36의 처리로 진행한 경우, 기지국은, 전송 속도를 내리는 것의 지시를 휴대 전화 단말기로 보낸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지국은,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 보내져 온 무선 상태의 값에 기초하는 SIR 값이 소정 임계값 이하이다라고 판정한 경우에, SIR 값이 소정 임계값 이하로 된 이유 즉 휴대 전화 단말기에서의 무선 상태의 악화가 비접촉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에 의한 것임을 인식했을 때에는, 그 휴대 전화 단말기에 대하여 전송 속도를 내리도록 지시를 보낸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 기지국은, 스텝 S32에서 SIR 값이 소정 임계값 이하라고 판정하지 않는 한, 스텝 S33으로 처리를 진행시키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기지국은, 예를 들면,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SIR 값이 소정 임계값 이하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단말기측에서 무선 상태가 악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송 속도를 내리는 것의 지시를 휴대 전화 단말기로 보내는 일은 없다.
한편, 스텝 S33에서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하고, 스텝 S34의 처리로 진행한 경우, 기지국은, 예를 들면 송신 전력을 올린다.
다음으로, 기지국은, 스텝 S35에서, 상기 스텝 S34의 지시에 따라서 상기 휴대 전화 단말기가 새롭게 보내 온 무선 상태로부터 구한 SIR 값이 상기 소정 임계값보다 높아졌는지의 여부, 즉, 상기 송신 전력을 올리고, 휴대 전화 단말기의 수신 전력을 올림으로써 무선 상태는 개선되었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그리고, 상기 스텝 S35에서, 무선 상태가 개선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기지국은,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는 필요 없다고 하여 처리를 종료하고, 한편, 무선 상태가 개선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36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에 전송 속도를 내리는 것을 지시한다.
[제2 실시 형태의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 따르면, 무선 상태의 값이 나빠지는 원인이, 비접촉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사용 시의 불필요 복사파에 의한 수신 감도 열화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이 제2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 따르면, 가령 휴대 전화 단말기에서 비접촉 카드 리더 라이터가 사용되는 경우이더라도, 무선 상태의 값이 나빠 지지 않는 한,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가 실행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송 속도 변경의 실행에 의한 휴대 전화 시스템에의 부하의 증가를 억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 정보와 무선 상태의 값을 보내고, 기지국측에서는 이들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 속도를 내릴 것인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하는 예를 들었지만,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와 같이,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에 대해서는 상기 비접촉 IC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 정보만을 보내고, 기지국측에서는 그 정보를 수취했을 때에, 반드시 전송 속도를 내리도록 지시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가 통화 중 혹은 권내 대기 중일 때에,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가 입력되고 나서,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가 실행될 때까지의 흐름을, 도 5의 타임 에로우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내부 구성은 도 1과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5에서, 도 3과 동일한 처리 스텝에 대해서는 도 3과 동일한 지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 5에서, 통화 중 혹은 권내 대기 중에, 스텝 S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 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가 조작부(24)로부터 입력되면, 휴대 전화 단말기의 제어부(20)는,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가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또한, 그 제3 실시 형태의 경우, 휴대 전화 단말기는,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무선 상태의 악화 예상과 그 악화 예상에 의한 무선 상태를 나타내는 값의 송신은 행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 상기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의 정보를 수취한 기지국은, 스텝 S23에서,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를 행한다고 판정하고, 휴대 전화 단말기에 대하여 전송 속도를 내리는 지시를 송신한다.
[제3 실시 형태의 정리]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 입력의 유무에만 기초하여 전송 속도 변경의 필요 여부 판정이 행해지고 있고,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 입력이 있었던 경우에는, 반드시 전송 속도를 내리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불필요 복사파에 의한 수신 감도 열화를 확실하게 없앨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 따르면, 휴대 전화 단말기측에서, 무선 상태의 악화 예상을 위한 연산을 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어부(20)의 처리 부담이 감소하고, 한편, 기지국측에서도 전송 속도를 내리는 것에 관한 판정을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 입력의 유무에만 기초하여 행 하면 되기 때문에 처리 부담이 감소한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에 대하여, 악화 예상의 연산에 의해 얻어진 무선 상태의 값만을 보내고, 기지국측에서는 그 무선 상태의 값에 기초하여, 전송 속도를 내릴 것인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가 통화 중 혹은 권내 대기 중일 때에,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가 입력되고 나서,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가 실행될 때까지의 흐름을, 도 6의 타임 에로우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4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내부 구성은 도 1과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6에서, 도 3과 동일한 처리 스텝에 대해서는 도 3과 동일한 지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 6에서, 통화 중 혹은 권내 대기 중에, 스텝 S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가 조작부(24)로부터 입력된 경우, 휴대 전화 단말기의 제어부(20)는, 그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하지 않고, 즉시 스텝 S14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그 후, 휴대 전화 단말기의 제어부(20)는, 스텝 S15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악화 예상의 연산에 의해 얻어진 무선 상태의 값을 기지국에 보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상태의 값을 수취한 기지국은, 스텝 S22에서, 상기 무선 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부터 구한 SIR 값과 소정의 임계값을 바탕으로,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이 제4 실시 형태의 경우의 기지국은, 전술한 도 4의 스텝 S32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SIR 값이 소정 임계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SIR 값이 소정 임계값보다 높은(무선 상태의 값이 좋은) 경우에는,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는 필요 없다고 하여 처리를 종료하고, 한편, SIR 값이 소정 임계값 이하로 되어 무선 상태가 나빠지는 경우에는, 전송 속도를 내리도록 하는 지시를 휴대 전화 단말기로 보낸다
[제4 실시 형태의 정리]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 따르면, 악화 예상에 의한 무선 상태의 값이 나빠지는 경우에는,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사용 시의 불필요 복사파에 의한 수신 감도 열화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이 제4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 따르면, 휴대 전화 단말기측은,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 정보를 기지국에 보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어부(20)의 처리 부담이 감소하고, 한편, 기지국측에서는,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 지시 정보를 이용한 전송 속도 변경 제어의 필요 여부 판정을 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처리 부담이 감소한다.
[제5 실시 형태]
전술한 제1~제4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는, 휴대 전화 단말기가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예를 들었지만, 제5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전화 단말기가 비접촉 IC 카드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예를 든다.
이하,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7에서, 도 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지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이 도 7에 도시한 휴대 전화 단말기에서, 메모리(51)는, 도 1의 메모리(25)와 마찬가지로, ROM과 RAM을 포함한다. ROM은, 제어부(50)가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나 각종 초기 설정값, 폰트 데이터, 사전 데이터, 본 실시 형태에서의 불필요 복사파의 잡음에 의한 무선 상태의 악화 예상을 행하기 위한 연산이나,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다양한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처리, 사용하는 전송 속도의 선택 설정 처리, 비접촉 IC 카드 기능의 제어 등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그 밖의 각종 어플리케이션용 프로그램 코드, 식별 정보(ID), 전술한 불필요 복사파의 잡음에 의한 무선 상태의 악화 예상을 행하기 위한 연산에 사용하는 계수나 상수의 정보, 각종 유저 설정값 등을 보존하고 있다
비접촉 IC 카드부(30)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외부의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안테나(41) 및, 그 비접촉 카드에의 과금 데이터 등의 써넣기나 읽어내기를 행하는 제어부(비접촉 IC 카드 제어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캐리어 검출부(29)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의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로부터 발해지는 캐리어 신호를 검출한다.
제어부(50)는, 통화 음성 데이터의 부호화나 복호화, 상기 휴대 전화 단말기의 각 구성 요소의 제어 등, 각종 연산 처리 외에, 비접촉 IC 카드 기능 사용 시의 불필요 복사파의 잡음에 의한 무선 상태의 악화 예상을 행하기 위한 연산이나,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다양한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처리, 비접촉 IC 카드부(30)의 제어, 사용하는 전송 속도의 선택 설정 처리 등의 각종 처리를 행한다.
[제5 실시 형태에서의 전송 속도 설정 처리의 흐름]
이하, 제5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의 휴대 전화 단말기에서, 그 단말기가 예를 들면 통화나 데이터 통신 중 혹은 권내 대기 중일 때에, 외부의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의 기동에 의한 캐리어 신호가 휴대 전화 단말기에서 검출되고 나서, 전송 속도가 변경될 때까지의 흐름을, 도 7의 구성을 참조하면서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8에서, 전술한 도 2와 동일한 처리 스텝에 대해서는 도 2와 동일한 지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가 통화나 데이터 통신 중 혹은 권내 대기 중일 때, 제어부(20)는, 스텝 S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어 검출부(29)에서 외부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로부터의 캐리어 신호를 검출하면, 스텝 S4의 처리로 진행하고, 상기 수학식 7의 연산을 행함으로써 무선 상태의 악화를 예상한다.
[제5 실시 형태의 정리]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 따르면, 외부의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로부터의 캐리어 신호를 검출한 경우에,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무선 상태의 악화 예상의 연산 처리를 개시하기 때문에, 내부의 비접촉 IC 카드 기능 사용 시의 불필요 복사파에 의한 수신 감도 열화를 없앨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전송 속도를 내리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6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내부 구성은, 도 7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가 통화 중 혹은 권내 대기 중일 때에, 외부의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의 기동에 의한 캐리어 신호를 휴대 전화 단말기가 검출하고 나서, 실제로 전송 속도가 내려갈 때까지의 흐름을, 도 7을 참조하면서 도 9의 타임 에로우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9에서, 도 3과 동일한 처리 스텝에 대해서는 도 3과 동일한 지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 7 및 도 9에서, 통화 중 혹은 권내 대기 중에, 스텝 S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어 검출부(29)가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로부터의 캐리어 신호를 검출하면, 휴대 전화 단말기의 제어부(50)는, 그 캐리어 신호를 검출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또한, 캐리어 신호의 검출 정보와 무선 상태를 나타내는 값을 수취한 기지국은, 스텝 S22에서, SIR 값에 기초하여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를 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전송 속도를 내리지 않으면, 휴대 전화 단말 기에서 비접촉 IC 카드 기능을 사용했을 때에 그 불필요 복사파에 의한 수신 감도 열화가 발생하게 되고, 양호한 통신을 행할 수 없게 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22에서 전송 속도를 내리도록 하는 지시를 휴대 전화 단말기에 송신한다.
[제6 실시 형태에서의 기지국에서의 전송 속도 제어를 위한 판정 처리의 상세]
도 10에는, 기지국에서 행해지는 처리 중, 상기 도 9의 스텝 S51, 22에서의 처리의 상세한 흐름을 설명한다. 또한, 도 10에서, 도 4와 동일한 처리 스텝에 대해서는 도 4와 동일한 지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 10에서, 기지국은, 스텝 S32에서 SIR 값이 소정 임계값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 스텝 S60에서, 캐리어 신호의 검출 정보를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상기 스텝 S60에서, 캐리어 신호 검출 정보를 수신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36으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캐리어 신호 검출 정보를 수신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34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즉 이 제6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지국은, SIR값이 소정 임계값 이하로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즉 무선 상태가 악화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그 무선 상태의 값의 악화가 비접촉 카드 리더 라이터로부터의 캐리어 신호에 의한 것임을 인식했을 때에는, 그 휴대 전화 단말기에 대하여 전송 속도를 내리는 것을 지시한다. 이 제6 실시 형태의 경우도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기지국은, 스텝 S32에서 SIR 값이 소정 임계값 이하라고 판정하지 않는 한, 스텝 S60으로 처리를 진행 시키는 일은 없기 때문에, 예를 들면,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 캐리어 신호 검출 정보를 수신하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무선 상태가 악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송 속도를 내리는 것의 지시를 휴대 전화 단말기로 보내는 일은 없다.
[제6 실시 형태의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 따르면, 무선 상태가 악화되는 원인이, 비접촉 카드 리더 라이터로부터의 캐리어 신호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비접촉 IC 카드 기능 사용 시의 불필요 복사파에 의한 수신 감도 열화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이 제6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 따르면, 가령 휴대 전화 단말기에서 비접촉 카드 기능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이더라도, 무선 상태가 나빠지지 않는 한,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가 실행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송 속도 변경 처리의 실행에 의한 휴대 전화 시스템에의 부하의 증가를 억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7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는,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에 대해서는 상기 캐리어 신호 검출 정보만을 보내고, 기지국측에서는 그 정보를 수취했을 때에, 반드시 전송 속도를 내리는 것의 지시를 휴대 전화 단말기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가 통화 중 혹은 권내 대기 중일 때에, 캐리어 검출부(29)가 캐리어 신호를 검출하고 나서,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가 실행될 때까지의 흐름을, 도 11의 타임 에로우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1에서, 도 5와 동일한 처리 스텝에 대해서는 도 5와 동일한 지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 11에서, 통화 중 혹은 권내 대기 중에, 스텝 S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어 검출부(29)가 캐리어 신호를 검출하면, 휴대 전화 단말기의 제어부(50)는, 캐리어 신호 검출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하고, 제6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무선 상태의 악화 예상과 그 악화 예상에 의한 무선 상태를 나타내는 값의 송신은 행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 상기 캐리어 신호 검출 정보를 수취한 기지국은, 스텝 S23에서,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를 행한다고 판정하고, 전송 속도를 내리는 것의 지시를 휴대 전화 단말기에 송신한다.
[제7 실시 형태의 정리]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캐리어 신호의 검출의 유무에만 기초하여 전송 속도를 내릴 것인지의 여부의 판정이 행해지고 있고, 캐리어 신호가 검출된 경우에는, 반드시 전송 속도를 내리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비접촉 IC 카드 기능 사용 시의 불필요 복사파에 의한 수신 감도 열화를 확실하게 없앨 수 있다.
또한, 제7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 따르면, 휴대 전화 단말기측에서, 무선 상태의 악화 예상을 위한 연산을 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어부(50)의 처리 부담이 감소하고, 한편, 기지국측에서도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의 필요 여부 판정을 캐리어 신호 검출 정보의 유무에만 기초하여 행하면 되기 때문에 처리 부담이 감소한다.
[제8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전화 단말기는 캐리어 신호의 검출을 행하지만, 기지국에 대해서는, 악화 예상의 연산에 의해 얻어진 무선 상태의 값만을 보내고, 기지국측에서는 그 무선 상태의 값에 기초하여,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의 필요 여부를 판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가 통화 중 혹은 권내 대기 중일 때에, 캐리어 신호를 검출하고 나서,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가 실행될 때까지의 흐름을, 도 12의 타임 에로우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2에서, 도 6과 동일한 처리 스텝에 대해서는 도 6과 동일한 지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 12에서, 통화 중 혹은 권내 대기 중에, 스텝 S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어 신호를 검출한 경우, 휴대 전화 단말기의 제어부(50)는, 그 캐리어 신호의 검출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하지 않고, 즉시 스텝 S14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그 후, 휴대 전화 단말기의 제어부(20)는, 스텝 S15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악화 예상의 연산에 의해 얻어진 무선 상태의 값을 기지국에 보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상태의 값을 수취한 기지국은, 전술한 스텝 S2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상태를 나타내는 값 에 기초하여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가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8 실시 형태의 정리]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 따르면, 악화 예상에 의한 무선 상태의 값으로부터 구한 SIR 값이 소정 임계값 이하로 된 경우에는,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의 사용 시의 불필요 복사파에 의한 수신 감도 열화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이 제8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시스템에 따르면, 휴대 전화 단말기측은, 캐리어 신호 검출 정보를 기지국으로 보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어부(50)의 처리 부담이 감소하고, 한편, 기지국측에서는, 캐리어 신호 검출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 속도를 내리는 제어의 필요 여부 판정을 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처리 부담이 감소한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 형태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례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이면, 설계 등에 따라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비접촉 통신 기능의 일례로서,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와 비접촉 IC 카드를 예로 들고 있지만, 소위 무선 태그와 그 판독 장치 등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전화 단말기와 그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나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등의 각종 휴대 단말기에서,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 기능 이나 비접촉 IC 카드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Claims (16)

  1. 소정 주파수의 반송파를 사용한 비접촉 통신을 행하는 비접촉 통신 기능을 갖춘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소정 주파수의 반송파에 기인하는 불필요 복사파 주파수 범위와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수단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신호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송신 전력 설정 수단과,
    상기 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서의 신호 수신 강도를 측정하는 수신 강도 측정 수단과,
    상기 수신 강도 측정 수단이 측정한 신호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수신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수신 품질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송신 전력 설정 수단이 설정하는 신호 송신 전력과 상기 수신 강도 측정 수단이 측정한 신호 수신 강도와 상기 단말기 고유의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상기 불필요 복사파의 잡음 전력을 예상하는 잡음 전력 예상 수단과,
    상기 비접촉 통신 기능이 적어도 기동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서 상기 비접촉 통신 기능의 기동 검출이 이루어졌을 때, 상기 잡음 전력 예상 수단에서 예상된 상기 불필요 복사파의 잡음 전력을 더한 후 에서의 상기 수신 품질과 소정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수신 품질이 소정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 시의 전송 속도를 내리도록 상기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 시의 전송 속도를 내린 후, 상기 비접촉 통신 기능에 대하여 비접촉 통신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
  3. 소정 주파수의 반송파를 사용한 비접촉 통신을 행하는 비접촉 통신 기능을 갖춘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소정 주파수의 반송파에 기인하는 불필요 복사파의 주파수 범위와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수단과,
    상기 비접촉 통신 기능이 적어도 기동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서 상기 비접촉 통신 기능의 기동 검출이 이루어졌을 때, 소정의 신호를 생성하고, 그 소정의 신호를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송신시키고, 상기 소정의 신호를 기지국에 송신한 후, 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속도를 내리는 지시 명령을 수취했을 때, 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 시의 전송 속 도를 내리도록 상기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신호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송신 전력 설정 수단과,
    상기 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서의 신호 수신 강도를 측정하는 수신 강도 측정 수단과,
    상기 수신 강도 측정 수단이 측정한 신호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수신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수신 품질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송신 전력 설정 수단이 설정하는 신호 송신 전력과 상기 수신 강도 측정 수단이 측정한 신호 수신 강도와 상기 단말기 고유의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상기 불필요 복사파의 잡음 전력을 예상하는 잡음 전력 예상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서 상기 비접촉 통신 기능의 기동 검출이 이루어졌을 때,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잡음 전력 예상 수단에서 예상된 상기 잡음 전력을 더한 후에서의 수신 품질의 정보를 상기 수신 품질 정보 생성 수단에 생성시키고, 그 수신 품질 정보와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정보를, 상기 소정의 신호로서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에서 상기 비접촉 통신 기능의 기동 검출이 이루어졌을 때,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정보를, 상기 소정의 신호로서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신호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송신 전력 설정 수단과,
    상기 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서의 신호 수신 강도를 측정하는 수신 강도 측정 수단과,
    상기 수신 강도 측정 수단이 측정한 신호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수신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수신 품질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송신 전력 설정 수단이 설정하는 신호 송신 전력과 상기 수신 강도 측정 수단이 측정한 신호 수신 강도와 상기 단말기 고유의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상기 불필요 복사파의 잡음 전력을 예상하는 잡음 전력 예상 수단을 갖고,
    상기 검출 수단에서 상기 비접촉 통신 기능의 기동 검출이 이루어졌을 때,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잡음 전력 예상 수단에서 예상된 잡음 전력을 더한 후에서 의 수신 품질의 정보를 상기 수신 품질 정보 생성 수단에 생성시키고, 그 수신 품질 정보를 상기 소정의 신호로서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
  7.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지시 입력을 취득 가능한 지시 입력 취득 수단을 갖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지시 입력 수단을 통한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지시 입력에 따라서, 상기 비접촉 통신 기능이 기동되는 것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소정 주파수의 반송파를 검출했을 때, 상기 비접촉 통신 기능이 기동된 것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소정의 신호를 기지국에 송신하고, 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속도를 내리는 지시 명령을 수취하고, 상기 통신 수단을 제어하여, 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 시의 전송 속도를 내린 후, 상기 비접촉 통신 기능에 대하여 비접촉 통신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
  10. 소정 주파수의 반송파를 사용한 비접촉 통신을 행하는 비접촉 통신 기능을 갖춘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와,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을 갖고, 상기 소정 주파수의 반송파에 기인하는 불필요 복사파의 주파수 범위와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기 비접촉 통신 기능이 기동되는 것을 검출했을 때, 소정의 신호를 생성하여, 그 소정의 신호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소정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전송 속도를 내릴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송 속도를 내릴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전송 속도를 내리는 지시 명령을 상기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상기 전송 속도를 내리는 지시 명령을 수신했을 때, 그 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전송 속도를 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신호 송신 전력을 지시하고,
    상기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기 비접촉 통신 기능이 기동되는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서의 신호 수신 강도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시된 신호 송신 전력과 상기 단말기 고유의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상기 불필요 복사파의 잡음 전력을 예상하고, 그 예상한 잡음 전력을 더한 후에서의 수신 품질의 정보를 생성하고, 그 수신 품질 정보와 상기 비접촉 통신 기능의 기동의 검출 정보를, 상기 소정의 신호로서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수신 품질의 정보와 상기 검출 정보를 수신했을 때, 상기 수신 품질과 소정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수신 품질이 소정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전송 속도를 내릴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기 비접촉 통신 기능이 기동되는 것을 검출했을 때, 그 비접촉 통신 기능의 기동의 검출 정보를, 상기 소정의 신호로서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검출 정보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전송 속도를 내릴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신호 송신 전력을 지시하고,
    상기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기 비접촉 통신 기능이 기동되는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서의 신호 수신 강도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시된 신호 송신 전력과 상기 단말기 고유의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상기 불필요 복사파의 잡음 전력을 예상하고, 그 예상한 잡음 전력을 더한 후에서의 수신 품질의 정보를 생성하고, 그 수신 품질 정보를 상기 소정의 신호로서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수신 품질과 소정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수신 품질이 소정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전송 속도를 내릴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의 소정의 지시 입력에 따라서, 상기 비접촉 통신 기능이 기동되는 것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기 소정 주파수의 반송파를 검출했을 때, 상기 비접촉 통신 기능이 기동된 것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기 소정의 신호를 기지국에 송신하고, 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속도를 내리는 지시 명령을 수취하고, 상기 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 시의 전송 속도를 내린 후, 상기 비접촉 통신 기능에 대하여 비접촉 통신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077000426A 2004-07-09 2005-06-20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 및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KR101164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03033 2004-07-09
PCT/JP2005/011252 WO2006006347A1 (ja) 2004-07-09 2005-06-20 移動無線通信端末及び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142A KR20070022142A (ko) 2007-02-23
KR101164343B1 true KR101164343B1 (ko) 2012-07-09

Family

ID=43653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0426A KR101164343B1 (ko) 2004-07-09 2005-06-20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 및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43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3917A (ja) 2002-02-15 2003-08-29 Toshiba Corp 移動体通信端末
US20040087327A1 (en) 2000-05-19 2004-05-06 Guo Yingjie Jay Transmission rate changes in communications network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7327A1 (en) 2000-05-19 2004-05-06 Guo Yingjie Jay Transmission rate changes in communications networks
JP2003243917A (ja) 2002-02-15 2003-08-29 Toshiba Corp 移動体通信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142A (ko) 200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7898B2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048137B2 (ja) デュアルバンド携帯電話機及び移動電話システム切替方法
US9622169B2 (en) Power-save operation supporting apparatus, power-save operation supporting method, storage medium and base station
JP2008011452A (ja)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RU229888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контроля в сжатом режиме восходящего канала связи в устройстве связи
EP0812122B1 (en) Cell selection scheme for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perch channel transmission attenuation
KR20060048564A (ko)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및 휴대 통신단말장치
JP5057108B2 (ja) 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100352559B1 (ko) 이동정보장치및그제어방법
KR101164343B1 (ko)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 및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US8855097B2 (en) Method using a blanking signal to reduce the leakage transmitter-receiver
JP4173405B2 (ja) 通信端末の圏外判定方法、通信端末
JP2008131587A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2006025083A (ja) 移動無線通信端末及び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
JPH08167872A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電力制御方法
JP2009021744A (ja) 携帯端末、消費電力管理方法、消費電力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4479360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携帯電話機及びそれに用いる受信電力制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EP184455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accomplishing tpc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1436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JP2009231868A (ja) 携帯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の制御方法
JP2007110210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装置
JP2007110520A (ja) 移動通信端末、及び電波干渉回避方法
US2023023174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JP2005159685A (ja) 送信電力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KR100315546B1 (ko) 이동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잔류용량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