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185B1 -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185B1
KR101163185B1 KR1020060024286A KR20060024286A KR101163185B1 KR 101163185 B1 KR101163185 B1 KR 101163185B1 KR 1020060024286 A KR1020060024286 A KR 1020060024286A KR 20060024286 A KR20060024286 A KR 20060024286A KR 101163185 B1 KR101163185 B1 KR 101163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ower
level
heat generat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4088A (ko
Inventor
김세중
권중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4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3185B1/ko
Publication of KR20070094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4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01D34/6806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4Cutting-height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제어 방법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소스 전력의 최대 레벨을 소정의 최대공급레벨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상기 소스 전력을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제1 발열 저항에 공급하는 (a) 단계와, 상기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표면 온도가 소정의 정착 준비 온도가 될 때까지 상기 최대공급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상기 소스 전력을 상기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상기 제1 발열 저항에 공급하는 (b) 단계와, 상기 가열 롤러 또는 상기 가압 롤러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표면 온도가 소정의 정착 목표 온도가 될 때까지 제1 소정 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상기 소스 전력을 상기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상기 제1 발열 저항에 공급하고 제2 소정 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상기 소스 전력을 제2 롤러 전력으로서 제2 발열 저항에 공급하는 (c) 단계 및 주어진 인쇄 데이터의 토너 화상을 마련된 인쇄매체상에 상기 가열 롤러 및 상기 가압 롤러를 이용하여 정착하는 (d)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소정 레벨은 상기 최대공급레벨로부터 상기 제2 소정 레벨을 감산한 결과이고, 상기 (c) 및 (d) 단계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가열 롤러는 상기 가압 롤러와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for Heating Roller and Pressure Roller}
도 1의 (a) ~ (b) 각각은 종래의 전력 제어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의 (a) ~ (b) 각각은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제어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420 단계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430 단계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440 단계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4에 도시된 제44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전원 공급부 220 : 온도 측정부
230 : 토너 정착부 240 : 제1 비교부
250 : 제2 비교부
본 발명은 토너 화상 정착을 위해 사용되는 가열 롤러(HR : Heating Roll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열 롤러가 갖는 발열 저항에 외부의 소스 전력을 공급하는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어진 인쇄 데이터의 화상을 인쇄매체상에 토너와 같은 현상제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프린터나 복사기 등과 같은 프린팅 장치는 인쇄 데이터에 상응하는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상에 정착하고 정착된 인쇄매체를 프린팅 장치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인쇄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프린팅 장치는 발열 저항이 포함된 가열 롤러(Heating Roller)를 채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착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가 정착 목표 온도, 예를 들어 섭씨 180도 근처의 온도로 유지되어야 한다.
프린팅 장치는 전원이 켜지고 나서 인쇄 지시를 최초로 받거나 대기 모드에서 동작하는 도중 인쇄 지시를 받는 경우, 인쇄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이 때, 인쇄 지시를 받은 시점부터 최초의 인쇄물이 배출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이하, 인쇄대기시간(FPOT : First Print Out Time)이라 명명한다. 결국, 가열 롤러를 채택한 프린팅 장치의 인쇄대기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를 보다 신속히 정착 목표 온도에 도달시켜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전력 제어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발열 저항의 저항치가 임계온도 이하의 발열 저항의 온도에 비례하여 결정된다면, 발열 저항에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압(Vin)(110)이 인가되는 경우, 발열 저항에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류(Ir)(120)가 흐르게 된다.
이처럼, 발열 저항에 흐르는 전류(Ir)가 발열 저항의 온도가 임계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점차 감소한다면, 종래의 전력 제어 원리는, 발열 저항에 전력이 공급되기 시작하는 시점에 발열 저항에 과잉 전류가 흘러 전기적인 충격으로 회로를 파괴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게다가, 이 경우 가열 롤러로 교류(Alternating Current) 형태의 높은 전류가 흘러 플리커(flicker) 특성이 심화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여기서, 플리커 특성이란, 주변 회로에 공급되는 전력을 일시적으로 미약하게 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한편, 발열 저항이 임계온도일 때의 발열 저항의 저항치인 임계저항치는 발열 저항마다 고유하게 결정되며, 임계저항치가 낮은 발열 저항을 사용할수록 발열 저항에는 많은 양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를 보다 신속히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임계저항치가 낮은 발열 저항을 사용할수록, 발열 저항에 전력이 공급되기 시작하는 시점에, 발열 저항에 보다 큰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술한 문제점들이 두드러지게 된다. 결국, 종래의 전력 제어 원리는, 적당히 낮은 임계저항치를 갖는 발열 저항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고, 그에 따라,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를 정착 목표 온도까지 증가시키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함에 있어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프린팅 장치의 전원이 켜지거나 프린팅 장치가 대기 모드에서 인쇄 모드로 진입한 경우, 가열 롤러에 초반에는 전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공급하다가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공급 가능한 최대의 전력을 공급하고 그에 따라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가 어느 일정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의 표면 온도 모두가 정착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그 공급 가능한 최대의 전력을 연동하는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에 나누어 공급할 수 있어, 플리커(flicker) 특성을 개선하면서도 가열 롤러 및 가압 롤러의 표면 온도 모두가 빠른 시간내에 정착 목표 온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전력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가열 롤러 및 가압 롤러를 채택한 토너 화상 정착을 위한 프린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 롤러를 가열하는 제1 발열 저항에 공급되는 제1 롤러 전력과 상기 가압 롤러를 가열하는 제2 발열 저항에 공급되는 제2 롤러 전력을 제어하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제어 방법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소스 전력의 최대 레벨을 소정의 최대공급레벨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상 기 소스 전력을 상기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상기 제1 발열 저항에 공급하는 (a) 단계와, 상기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표면 온도가 소정의 정착 준비 온도가 될 때까지 상기 최대공급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상기 소스 전력을 상기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상기 제1 발열 저항에 공급하는 (b) 단계와, 상기 가열 롤러 또는 상기 가압 롤러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표면 온도가 소정의 정착 목표 온도가 될 때까지 제1 소정 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상기 소스 전력을 상기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상기 제1 발열 저항에 공급하고 제2 소정 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상기 소스 전력을 상기 제2 롤러 전력으로서 상기 제2 발열 저항에 공급하는 (c) 단계 및 주어진 인쇄 데이터의 토너 화상을 마련된 인쇄매체상에 상기 가열 롤러 및 상기 가압 롤러를 이용하여 정착하는 (d)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소정 레벨은 상기 최대공급레벨로부터 상기 제2 소정 레벨을 감산한 결과이고, 상기 (c) 및 (d) 단계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가열 롤러와 상기 가압 롤러는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상기 전력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제어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하는 상기 소스 전력의 최대 레벨을 제1 또는 제2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상기 소스 전력을 상기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상기 제1 발열 저항으로 출력하고, 상기 최대공급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상기 소스 전력을 제3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상기 제1 발열 저항으로 출력하고, 제4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소정 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상기 소스 전력을 상기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상기 제1 발열 저항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소정 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상기 소스 전력을 상기 제2 롤러 전력으로서 상기 제2 발열 저항으로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3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4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가열 롤러 또는 상기 가압 롤러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와, 상기 제4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가열 롤러와 상기 가압 롤러를 연동시키고, 정착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토너 화상을 상기 가열 롤러 및 상기 가압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매체상에 정착하는 토너 정착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입력한 증가된 최대 레벨을 상기 최대공급레벨과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제2 또는 상기 제3 웜업지시신호를 생성하는 제1 비교부 및 상기 제3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측정된 표면 온도를 상기 정착 준비 온도와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제3 또는 상기 제4 웜업지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4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측정된 표면 온도를 상기 정착 목표 온도와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제4 웜업지시신호 또는 상기 정착지시신호를 생성하는 제2 비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웜업지시신호는 상기 프린팅 장치의 전원이 켜진 직후 또는 상기 프린팅 장치가 대기 모드에서 인쇄 모드로 진입한 직후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그 첨부 도면을 설명하는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전원 공급부(210), 온도 측정부(220), 토너 정착부(230), 제1 비교부(240) 및 제2 비교부(250)로 이루어진다.
전원 공급부(210) 내지 제2 비교부(250) 모두 토너 화상 정착을 위한 프린팅 장치 예를 들면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의 정착 시스템에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 상에서, 프린팅 장치는 가열 롤러(Heating Roller) 및 가압 롤러(Pressure Roller)를 구비한다.
여기서, 가열 롤러는 램프(lamp)를 하나 이상 내장한다. 한편, 가압 롤러는 램프를 내장하지 않을 수도 있고, 내장할 수도 있다. 램프가 가압 롤러에 내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가압 롤러는, 가열 롤러와 연동하며 가열 롤러가 갖는 열을 빼앗아 옴으로써 가열될 수도 있고, 가압 롤러의 외부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램프에 의해 가열될 수도 있다. 여기서, 연동이란 가열 롤러(또는 가압 롤러)가 회전 운동하면, 가압 롤러(또는 가열 롤러)도 가열 롤러(또는 가압 롤러)와 함께 회전 운동하게 됨을 의미한다.
각 램프는 발열 저항을 구비하므로 발열체로서 기능한다. 이 때, 발열 저항은 텅스텐 등으로 이루어지며, 저항치가 임계온도 이하의 발열 저항의 온도에 비례하여(또는 반비례하여) 결정되는 가변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저항치가 임계온도 이하의 발열 저항의 온도에 비례하여 결정되는 경우, 발열 저항은 비례온도(P.T.C :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특성을 갖는다고 표현할 수 있다. 설명의 편 의상, 이하, 발열 저항은 비례온도특성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가열 롤러를 가열하는 발열 저항은 제1 발열 저항이라 명명하고, 제1 발열 저항에 공급되는 전력은 제1 롤러 전력이라 명명한다. 마찬가지로, 가압 롤러를 가열하는 발열 저항은 제2 발열 저항이라 명명하고, 제2 발열 저항에 공급되는 전력은 제2 롤러 전력이라 명명한다. 이미 전술했듯이, 이러한 제1 발열 저항은 가열 롤러에 포함됨이 일반적이며, 제2 발열 저항은 가압 롤러에 포함될 수도 있고 가압 롤러의 외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제1 발열 저항(또는 제2 발열 저항)은 병렬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롤러 전력(또는 제2 롤러 전력)은 각 발열 저항마다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롤러 전력(또는 제2 롤러 전력)은 제1 롤러 전압(또는 제2 롤러 전압) 및 제1 롤러 전류(또는 제2 롤러 전류)가 교류 형태이므로, 교류 형태로 제1 발열 저항(또는 제2 발열 저항)에 공급된다. 여기서, 제1 롤러 전압(또는 제2 롤러 전압)은 제1 발열 저항(또는 제2 발열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의미하고, 제1 롤러 전류(또는 제2 롤러 전류)는 제1 발열 저항(또는 제2 발열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의미한다.
전원 공급부(210)는 제1 또는 제2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최대 레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며 입력되는 소스 전력을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제1 발열 저항으로 출력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210)는 제3 웜업지시신호 또는 정착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최대 레벨이 변경되지 않으며 입력되는 소스 전력을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제1 발열 저항으로 출력한다. 이와 비슷하게, 전원 공급부(210)는 제4 웜업지시신호 에 응답하여, 최대 레벨이 변경되지 않으며 입력되는 소스 전력을 제2 롤러 전력으로서 제2 발열 저항으로 출력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외부란 제1 발열 저항 및 제2 발열 저항의 외부 특히, 전원 공급부(210)의 외부를 의미하며, 소스 전력은 전원 공급부(210)가 외부로부터 입력하는 전력 즉, 전원 공급부(210)에 입력되는 전력을 의미하고, 제1 롤러 전력(또는 제2 롤러 전력)은 전원 공급부(210)를 거쳐 제1 발열 저항(또는 제2 발열 저항)에 공급되는 전력을 의미한다. 여기서, 소스 전력은 입력단자 IN 6을 통해 입력된다.
온도 측정부(220)는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를 제3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측정하고, 측정된 표면 온도를 제1 측정 온도로서 출력한다. 이와 비슷하게, 온도 측정부(220)는 가열 롤러 또는 가압 롤러의 표면 온도를 제4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측정하고, 측정된 표면 온도를 제2 측정 온도로서 출력한다.
토너 정착부(230)는 정착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인쇄매체를 급지하고 프린팅 장치에 주어진 인쇄 데이터의 토너 화상을 그 급지된 인쇄매체에 정착한다. 여기서, 인쇄매체의 급지란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의 사이에 인쇄매체가 공급됨을 의미하며, 인쇄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페이지로 이루어지고, 토너 화상은 인쇄매체상에 페이지별로 정착된다. 한편, 토너 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는 프린팅 장치의 외부에 인쇄물로서 배출된다.
이하, 전술한 제1, 제2, 제3, 제4 웜업지시신호, 정착지시신호에 대해 상술한다.
제1 웜업지시신호는 입력단자 IN 1을 통해 입력되고, '전원 공급부(210)가 그 입력되는 소스 전력의 최대 레벨을 증가시키고 그 최대 레벨이 증가된 소스 전력을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제1 발열 저항에 공급하도록 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여기서, 제1 웜업지시신호는 프린팅 장치의 전원(power)이 켜진 직후 또는 프린팅 장치가 대기(stand-by) 모드(mode)에서 인쇄 모드로 진입한 직후 발생된다. 이를 위해, 프린팅 장치에는 그 프린팅 장치의 가열관련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부(미 도시)(이하, '가열 제어부'라 명명함)와 그 프린팅 장치에서 수행 가능한 모든 작업들 중 가열관련 작업 이외의 작업(이하, '비가열관련 작업'이라 명명함)을 제어하는 제어부(미 도시)(이하, '비가열 제어부'라 명명함)가 서로 구별되어 마련된다. 여기서, 가열관련 작업이란 가열 작업과 소정 관련도 이상의 관련도를 갖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 때, 소정 관련도는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가열 제어부(미 도시)는 가열 롤러를 가열 롤러로서 인식하거나, 가열 롤러의 가열을 제어한다. 제1 웜업지시신호는 이러한 가열 제어부(미 도시)에 의해 발생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는 가압 롤러를 가압 롤러로서 인식하거나, 가열 롤러 및 가압 롤러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거나, 프린팅 장치에 구비된 광주사 장치(LSU : Laser Scanning Unit)를 제어한다.
한편,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는 프린팅 장치의 중앙처리장치(CPU : Central Processing Unit)에 해당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중앙처리장치는 가열관련 작업을 제외한 프린팅 장치가 수행 가능한 모든 작업들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프린팅 장치가 수행 가능한 작업들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프린팅 장치에 가열 제어부(미 도시)와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로서 구별되어 마련됨으로 써, 프린팅 장치의 전원이 켜질 경우, 프린팅 장치의 초기화 특히, 중앙처리장치(CPU : Central Processing Unit)의 초기화가 완료된 후에야 가열관련 작업이 수행될 수 있었던 종래의 전력 제어 원리와 달리, 중앙처리장치의 초기화가 완료되기 전이라도, 프린팅 장치는 가열 롤러의 가열을 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가열 제어부와 비가열 제어부는 하드웨어적으로 구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적으로 구별될 수도 있다.
제2 웜업지시신호는 입력단자 IN 2를 통해 입력되고, '전원 공급부(210)가 그 입력되는 소스 전력의 최대 레벨을 증가시키고 그 최대 레벨이 증가된 소스 전력을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제1 발열 저항에 공급하도록 하는' 신호를 의미하며, 제1 비교부(240)를 통해 생성된다.
제3 웜업지시신호는 입력단자 IN 3을 통해 입력되고, '전원 공급부(210)가 최대공급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제1 발열 저항에 공급하도록 하는' 신호를 의미하며, 제1 비교부(240) 또는 제2 비교부(250)를 통해 생성된다.
제4 웜업지시신호는 입력단자 IN 4를 통해 입력되고, '전원 공급부(210)가 제1 소정 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제1 발열 저항에 공급하도록 하는' 신호임과 동시에, '전원 공급부(210)가 제2 소정 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제2 롤러 전력으로서 제2 발열 저항에 공급하도록 하는' 신호이다. 여기서, 제1 소정 레벨은 최대공급레벨로부터 제2 소정 레벨을 감산한 결과임이 바람직하다.
정착지시신호는 입력단자 IN 5를 통해 입력되고, '전원 공급부(210)가 온도유지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제1 롤러 전력(또는 제2 롤러 전력)으로서 제1 발열 저항(또는 제2 발열 저항)에 공급하도록 하는' 신호를 의미하며, 제2 비교부(250)를 통해 생성되거나 정착이 수행되는 도중 가열 제어부(미 도시)에 의해 발생된다.
이하, 제2, 제3, 및 제4 웜업지시신호와 정착지시신호가 생성되는 원리를 제1 비교부(240) 및 제2 비교부(250)의 동작 설명과 함께 개시한다.
제1 비교부(240)는 전원 공급부(210)로부터 입력한 증가된 최대 레벨을 소정의 최대공급레벨과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에 상응하여 제2 웜업지시신호 또는 제3 웜업지시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최대공급레벨은 제1 발열 저항에 최대로 공급 가능한 제1 롤러 전력의 최대 레벨임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210)로부터 입력한 증가된 최대 레벨이 최대공급레벨보다 작다고 비교되면, 제1 비교부(240)는 제2 웜업지시신호를 생성한다. 그에 반해, 전원 공급부(210)로부터 입력한 증가된 최대 레벨이 최대공급레벨에 도달했다고 비교되면, 제1 비교부(240)는 제3 웜업지시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제2 비교부(250)는 제1 측정 온도를 정착 준비 온도 예를 들면 섭씨 170도와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에 상응하여 제3 웜업지시신호 또는 제4 웜업지시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정착 준비 온도는 정착 목표 온도와 가깝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정착 목표 온도로 설정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때, 정착 목표 온도란, 토너 화상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는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 예를 들어 섭씨 180도를 의미하며, 정착가능최저 온도와 정착가능최고 온도 사이에서 미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 측정 온도가 정착 준비 온도보다 작다고 비교되면, 제2 비교부(250)는 제3 웜업지시신호를 생성한다. 그에 반해, 제1 측정 온도가 정착 준비 온도에 도달했다고 비교되면, 제2 비교부(250)는 제4 웜업지시신호를 생성한다.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는 제4 웜업지시신호 또는 정착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연동한다. 이러한 제4 웜업지시신호는 정착지시신호보다 먼저 발생되므로,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는 인쇄매체가 급지되기 이전부터 연동한다. 제4 웜업지시신호는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가 정착 준비 온도에 도달하면 생성되므로, 결국,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는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가 정착 준비 온도에 도달한 후부터 연동하기 시작한다.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가 연동하기 시작한 직후,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는 정착 준비 온도 미만으로 떨어질 수 있고, 설령 떨어지지 않고 상승한다 할지라도 표면 온도의 상승 기울기가 이전에 비해 둔화될 수 있다.
인쇄매체가 급지되기 직전에,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와 가압 롤러의 표면 온도 모두는 정착 목표 온도임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와 가압 롤러의 표면 온도 모두가 함께 정착 목표 온도에 신속하게 도달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단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부터 신속히 정착 준비 온도 바람직하게는, 정착 목표 온도에 도달시키고, 그 후,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를 연동시키며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의 표면 온도 모두를 정 착 목표 온도에 도달시킨다.
제2 비교부(250)는 제2 측정 온도를 정착 목표 온도와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에 상응하여 제4 웜업지시신호 또는 정착지시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2 측정 온도가 정착 목표 온도가 아니라고 비교되면, 제2 비교부(250)는 제4 웜업지시신호를 생성한다. 그에 반해, 제2 측정 온도가 정착 목표 온도라고 비교되면, 제2 비교부(250)는 정착지시신호를 생성한다.
이상에서 언급된 전원 공급부(210), 온도 측정부(220), 제1 비교부(240) 및 제2 비교부(250)의 동작은 가열 제어부(미 도시)의 제어를 받으며, 토너 정착부(230)의 동작은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의 제어를 받음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제어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소스전압 생성부(미 도시)에서 생성된 정현파 형태의 소스 전압(Vin)(300)의 일부 혹은 전부가, 비례온도특성을 갖는 제1 발열 저항에 제1 롤러 전압으로서 인가되고, 그에 따라 제1 발열 저항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롤러 전류(Ir)(320)가 흐르게 된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210)는 소스전압 생성부(미 도시)로부터 소스 전압(300)의 일부 혹은 전부를 입력하고, 입력한 소스 전압(300)을 제1 롤러 전압으로서 제1 발열 저항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소스 전압(300), 제1 롤러 전압 및 제1 롤러 전류(320)는 모두 교류 형태의 파형을 갖는다. 그에 따라, 소스 전력 및 제1 롤러 전력 모두, 전술한 바와 같이, 교류 형태의 파형을 갖게 된다. 구체적으로, 소스 전력 및 제1 롤러 전력의 포락선(envelope)은 제1 롤러 전류(320)의 포락선(332 및 334) 중 양의 포락선 (332)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제1 발열 저항에 흐르는 제1 롤러 전류(320)의 파형도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리커특성개선구간(310), 최대전력공급구간(312), 정착성개선구간(314) 및 정착구간(316)의 세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플리커특성개선구간(310)은 전원 공급부(210)가 제1 또는 제2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리커특성개선구간(310)에서, 전원 공급부(210)는 소스 전력의 최대 레벨을 최대공급레벨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소스 전력을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제1 발열 저항에 공급한다. 한편, 소스 전력의 최대 레벨이 최대공급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제1 발열 저항에 인가되는 제1 롤러 전압은 소스 전압(300)의 일부이다.
최대전력공급구간(312)은 전원 공급부(210)가 제3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최대전력공급구간(312)에서, 전원 공급부(210)는 최대공급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롤러 전력으로서 발열 저항에 공급한다. 한편, 최대전력공급구간(312)에서, 소스 전압(300)은 모두 제1 롤러 전압으로서 제1 발열 저항에 인가된다.
정착성개선구간(314)는 전원 공급부(210) 및 토너 정착부(230)가 제4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착성개선구간(314)에서, 토너 정착부(230)는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를 연동시키고, 전원 공급부(210)는 제1 소정 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제1 발열 저항에 공급하고, 제2 소정 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제2 롤 러 전력으로서 제2 발열 저항에 공급한다. 한편, 정착성개선구간(314)에서, 제1 발열 저항(또는 제2 발열 저항)에 인가되는 제1 롤러 전압(또는 제2 롤러 전압)은 소스 전압(300)의 일부이다. 여기서, 제2 롤러 전압은 제2 발열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의미한다.
정착구간(314)은 전원 공급부(210) 및 토너 정착부(230)가 정착지시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착구간(314)에서, 전원 공급부(210)는 온도유지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제1 롤러 전력(또는 제2 롤러 전력)으로서 제1 발열 저항(또는 제2 발열 저항)에 공급하고, 토너 정착부(230)는 그 온도유지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이 제1 롤러 전력(또는 제2 롤러 전력)으로서 공급되는 가열 롤러(또는 가압 롤러)를 가압 롤러(또는 가열 롤러)와 함께 이용하여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상에 정착한다. 한편, 정착구간(314)에서, 제1 발열 저항(또는 제2 발열 저항)에 인가되는 제1 롤러 전압(또는 제2 롤러 전압)은 소스 전압(300)의 일부이다.
온도유지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이 공급되는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는 정착 목표 온도와 소정 근사도를 갖는다. 예를 들어, 온도유지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이 공급되는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는 정착 목표 온도의 95% ~ 105%에 속한다. 이 때, 온도유지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이 공급되는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는 정착가능최저 온도와 정착가능최고 온도 사이의 온도이어야 한다.
만일, 인쇄 데이터가 적은 페이지 예를 들어 두 페이지로 이루어졌다면, 표 면 온도가 정착 목표 온도에 도달한 가열 롤러에 더 이상 제1 롤러 전력이 공급되지 않아도, 그 인쇄 데이터의 토너 화상 모두에 대해 정착이 완료되기 까지 표면 온도가 정착가능최저 온도 미만으로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공급부(210)는 전술한 바와 달리, 온도유지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제1 발열 저항에 공급하지 않을 수 있고, 이처럼 정착구간(314)에서 제1 롤러 전력이 추가적으로 공급되지 않더라도 토너 정착부(230)는 토너 화상을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다.
그러나, 인쇄 데이터가 많은 페이지 예를 들어 수 십 페이지로 이루어졌다면, 표면 온도가 정착 목표 온도에 도달한 가열 롤러에 더 이상 제1 롤러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그 인쇄 데이터의 토너 화상 모두에 대해 정착이 완료되기 전에 표면 온도가 정착가능최저 온도 미만으로 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공급부(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유지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제1 발열 저항에 공급하여야 한다.
한편, 플리커특성개선구간(310) 및 최대전력공급구간(312)에서는 가열 롤러에 포함된 모든 제1 발열 저항들 각각마다 제1 롤러 전력이 공급되고, 정착성개선구간(314)에서는 가열 롤러(또는 가압 롤러)에 포함된 모든 제1 발열 저항(또는 제2 발열 저항)들 각각마다 제1 롤러 전력(또는 제2 롤러 전력)이 공급된다. 그에 반해, 정착구간(316)에서는, 그 모든 제1 발열 저항(또는 제2 발열 저항)들 중 선택된 제1 발열 저항(또는 제2 발열 저항)에만 제1 롤러 전력(또는 제2 롤러 전력)이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선택은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에 의해 수행되며, 비가열 제어부는 그 선택되는 제1 발열 저항(또는 제2 발열 저항)을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변경한다. 즉, 정착 구간(316)에서, 제1 롤러 전류(320)(또는, 제2 롤러 전류)가 흐르는 시간 영역은 제1 발열 저항(또는 제2 발열 저항) 자신이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에 의해 선택된 시간 영역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발열 저항에 롤러 전력이 공급되는 모습을 플리커특성개선구간(310), 최대전력공급구간(312), 정착성개선구간(314) 및 정착구간(316) 각각마다 달리 제어함으로써, 플리커 특성을 개선하면서도 가열 롤러 및 가압 롤러의 표면 온도 모두가 빠른 시간내에 정착 목표 온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들(제410~ 440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전원 공급부(210)는 소스 전력의 최대 레벨을 소정의 최대공급레벨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소스 전력을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제1 발열 저항에 공급한다(제410 단계). 이 때, 제410 단계는 프린팅 장치의 전원이 켜진 직후 수행될 수도 있고, 프린팅 장치가 대기 모드에서 인쇄 모드로 진입한 직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제410 단계 후에, 온도 측정부(220)는 제1 측정 온도를 출력하고, 전원 공급부(210)는, 제1 측정 온도가 소정의 정착 준비 온도가 될 때까지, 최대공급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제1 발열 저항에 공급한다(제420 단계).
제420 단계 후에,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는 연동하고, 온도 측정부(220)는 제2 측정 온도를 출력하고, 전원 공급부(210)는, 제2 측정 온도가 소정의 정착 목표 온도가 될 때까지, 제1 소정 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제1 발열 저항에 공급하며 제2 소정 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제2 롤러 전력으로서 제2 발열 저항에 공급한다(제430 단계).
제430 단계 후에, 전원 공급부(210)는 온도유지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제1 롤러 전력(또는 제2 롤러 전력)으로서 제1 발열 저항(또는 제2 발열 저항)에 공급하고, 토너 정착부(230)는 주어진 인쇄 데이터의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상에 가열 롤러(또는 가압 롤러)를 가압 롤러(또는 가열 롤러)와 함께 이용하여 정착한다(제440 단계).
이상에서 언급된 제410 단계 및 제430 단계의 수행은 가열 제어부(미 도시)의 제어를 받으며, 제440 단계의 수행은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의 제어를 받음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410, 제420, 제430 및 제440 단계들 각각은 플리커특성개선구간(310), 최대전력공급구간(312), 정착성개선구간(314) 및 정착구간(316) 각각에 해당한다.
한편, 제440 단계 후에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는, 제440 단계 후 소정의 대기모드진입결정시간이 경과하는 도중 인쇄 데이터가 주어졌는지 판단하고, 제440 단계 후 대기모드진입결정시간이 경과하는 도중 인쇄 데이터가 주어지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프린팅 장치를 대기 모드로 진입시킨다.
이 경우,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는, 프린팅 장치가 대기 모드로 진입된 후 인쇄 데이터가 주어졌는지 판단하고, 프린팅 장치가 대기 모드로 진입된 후 인쇄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판단되면, 프린팅 장치를 인쇄 모드로 진입시키고, 전원 공급부(210)가 제410 단계를 수행할 것을 지시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420 단계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420A)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가 정착 목표 온도가 될 때까지, 최대공급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제1 발열 저항에 공급하는 단계들(제510~ 530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우선, 온도 측정부(220)는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고(제510 단계), 제2 비교부(250)는 제510 단계에서 측정된 표면 온도가 정착 준비 온도인지 판단한다(제520 단계).
제510 단계에서 측정된 표면 온도가 정착 준비 온도가 아니라고 판단되면(제520 단계), 전원 공급부(210)는 최대공급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제1 발열 저항에 공급한다(제530 단계).
그에 반해, 제510 단계에서 측정된 표면 온도가 정착 준비 온도라고 판단되면(제520 단계), 제430 단계로 진행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430 단계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430A)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가열 롤러 또는 가압 롤러의 표면 온도가 정착 목표 온도가 될 때까지, 제1 소정 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제1 발열 저항에 공급하고 제2 소정 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제2 롤러 전력으로서 제2 발열 저항에 공급하는 단계들(제610~ 650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우선,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는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의 연동을 지시하고(제610 단계), 온도 측정부(220)는 연동하는 가열 롤러 또는 가압 롤러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고(제620 단계), 제2 비교부(250)는 제620 단계에서 측정된 표면 온도가 정착 목표 온도인지 판단한다(제630 단계).
제630 단계에서 정착 목표 온도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전원 공급부(210)는 제1 소정 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제1 발열 저항에 공급한다(제640 단계).
제640 단계 후에, 전원 공급부(210)는 제2 소정 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제2 롤러 전력으로서 제2 발열 저항에 공급한다(제650 단계). 이 때, 제650 단계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640 단계가 수행된 뒤에 수행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달리 제640 단계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고 제640 단계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제630 단계에서 정착 목표 온도라고 판단되면, 제440 단계로 진행한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440 단계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440A)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온도유지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제1 롤러 전력(또는 제2 롤러 전력)으로서 제1 발열 저항(또는 제2 발열 저항)에 공급하며 토너 화상을 정착하는 단계들(제710~ 730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는 가열 롤러(또는 가압 롤러)에 포함된 복수의 제1 발열 저항(또는 제2 발열 저항)들 중 하나 이상의 제1 발열 저항(또는 제2 발열 저 항)을 선택한다(제710 단계).
제710 단계 후에, 전원 공급부(210)는 제710 단계에서 선택된 제1 발열 저항(또는 제2 발열 저항)에 온도유지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제1 롤러 전력(또는 제2 롤러 전력)으로서 공급한다(제720 단계).
제720 단계 후에, 토너 정착부(230)는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상에 가열 롤러 및 가압 롤러를 이용하여 정착한다(제730 단계).
도 8a 내지 도 8c는 도 4에 도시된 제44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들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토너 화상(802)이 전사된 인쇄매체(800)는 가열 롤러(810)와 가압 롤러(812)에 급지되고, 가열 롤러(810)와 가압 롤러(812)는 그 토너 화상(802)을 인쇄매체(800)상에 정착 및 배출함으로써 인쇄물(804)을 생성한다.
한편, 제1 발열 저항(814)은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롤러(810)에 내장됨이 일반적이다. 그에 반해, 제2 발열 저항(816)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롤러(812)에 내장될 수도 있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롤러(812)와 외접하는 소정 롤러(813)에 내장될 수도 있고,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롤러(812)와 직접 외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는, 프린팅 장치의 전원이 켜지거나 프린팅 장치가 대기 모드에서 인쇄 모드로 진입한 경우, 가열 롤러에 초반에는 전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공급하다가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공급 가능한 최대의 전력을 공급하고 그에 따라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가 어느 일정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의 표면 온도 모두가 정착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그 공급 가능한 최대의 전력을 연동하는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에 나누어 공급할 수 있어, 플리커(flicker) 특성을 개선하면서도 가열 롤러 및 가압 롤러의 표면 온도 모두가 빠른 시간내에 정착 목표 온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가열 롤러 및 가압 롤러를 채택한 토너 화상 정착을 위한 프린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 롤러를 가열하는 제1 발열 저항에 공급되는 제1 롤러 전력과 상기 가압 롤러를 가열하는 제2 발열 저항에 공급되는 제2 롤러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소스 전력의 최대 레벨을 소정의 최대공급레벨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상기 소스 전력을 상기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상기 제1 발열 저항에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표면 온도가 소정의 정착 준비 온도가 될 때까지 상기 최대공급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상기 소스 전력을 상기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상기 제1 발열 저항에 공급하는 단계;
    (c) 상기 가열 롤러 또는 상기 가압 롤러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표면 온도가 소정의 정착 목표 온도가 될 때까지, 제1 소정 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상기 소스 전력을 상기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상기 제1 발열 저항에 공급하고 제2 소정 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상기 소스 전력을 상기 제2 롤러 전력으로서 상기 제2 발열 저항에 공급하는 단계; 및
    (d) 주어진 인쇄 데이터의 토너 화상을 마련된 인쇄매체상에 상기 가열 롤러 및 상기 가압 롤러를 이용하여 정착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소정 레벨은 상기 최대공급레벨로부터 상기 제2 소정 레벨을 감산 한 결과이고, 상기 (c) 및 (d) 단계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가열 롤러는 상기 가압 롤러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정 레벨은 상기 제2 발열 저항에 최대로 공급 가능한 상기 제2 롤러 전력의 최대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준비 온도는 상기 정착 목표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프린팅 장치의 전원이 켜진 직후 또는 상기 프린팅 장치가 대기 모드에서 인쇄 모드로 진입한 직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전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하는 상기 소스 전력의 최대 레벨을 제1 또는 제2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상기 소스 전력을 상기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상기 제1 발열 저항으로 출력하고, 상기 최대공급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상기 소스 전력을 제3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상기 제1 발열 저항으로 출력하고, 제4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소정 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상기 소스 전력을 상기 제1 롤러 전력으로서 상기 제1 발열 저항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소정 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상기 소스 전력을 상기 제2 롤러 전력으로서 상기 제2 발열 저항으로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제3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4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가열 롤러 또는 상기 가압 롤러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상기 제4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가열 롤러와 상기 가압 롤러를 연동시키고, 정착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토너 화상을 상기 가열 롤러 및 상기 가압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매체상에 정착하는 토너 정착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입력한 증가된 최대 레벨을 상기 최대공급레벨과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제2 또는 상기 제3 웜업지시신호를 생성하는 제1 비교부; 및
    상기 제3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측정된 표면 온도를 상기 정착 준비 온도와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제3 또는 상기 제4 웜업지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4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측정된 표면 온도를 상기 정착 목표 온도와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제4 웜업지시신호 또는 상기 정착지시신호를 생성하는 제2 비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웜업지시신호는 상기 프린팅 장치의 전원이 켜진 직후 또는 상기 프린팅 장치가 대기 모드에서 인쇄 모드로 진입한 직후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장치.
KR1020060024286A 2006-03-16 2006-03-16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163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286A KR101163185B1 (ko) 2006-03-16 2006-03-16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286A KR101163185B1 (ko) 2006-03-16 2006-03-16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088A KR20070094088A (ko) 2007-09-20
KR101163185B1 true KR101163185B1 (ko) 2012-07-06

Family

ID=38688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286A KR101163185B1 (ko) 2006-03-16 2006-03-16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31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2183A (ja) 2001-10-11 2003-04-25 Konica Corp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2183A (ja) 2001-10-11 2003-04-25 Konica Corp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088A (ko) 200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796B1 (ko)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EP1811345B1 (en) Power control for a heating roller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6308771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80086301A (ko)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7286780B2 (en) Image formation apparatus with temperature controller
KR100846785B1 (ko)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위상 제어 회로
KR101163185B1 (ko)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863125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fixing unit
KR100754206B1 (ko)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677631B1 (ko) 정착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788679B1 (ko) 정착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329735B1 (ko) 정착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788680B1 (ko)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방법과 장치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214158B1 (ko)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846784B1 (ko)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0008060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to control noise and method thereof
JP202106170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133438A (ja) 画像形成装置
JP2010152014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定着温度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