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299B1 - 친환경 컨테이너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컨테이너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299B1
KR101162299B1 KR1020110131434A KR20110131434A KR101162299B1 KR 101162299 B1 KR101162299 B1 KR 101162299B1 KR 1020110131434 A KR1020110131434 A KR 1020110131434A KR 20110131434 A KR20110131434 A KR 20110131434A KR 101162299 B1 KR101162299 B1 KR 101162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rame portion
panel
urethane foam
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성
Original Assignee
진우건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우건철(주) filed Critical 진우건철(주)
Priority to KR1020110131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2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83Small buildings of the ISO container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하부프레임부 조립단계, 측면프레임부 조립단계, 상부프레임부 조립단계 후 하부프레임부 하부, 장식외장판넬 내부, 루프판넬의 하부에 우레탄폼을 포밍하여서 단열을 위한 측면우레탄폼, 하부우레탄폼 및 상부우레탄폼을 형성하는 포밍단계; 측면우레탄폼 및 상부우레탄폼이 포밍된 측면프레임부 및 상부프레임부에 모듈화된 측면외부판넬, 측면난연스티로폼, 측면내부판넬 어셈블리 및 모듈화된 상부외부판넬, 상부난연스티로폼, 상부내부판넬 어셈블리를 부착시키는 어셈블리 조립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장식외장판넬의 내부, 루프판넬의 하부에 우레탄폼을 포밍하여서 단열을 위한 측면우레탄폼, 상부우레탄폼을 형성하고 측면우레탄폼, 상부우레탄폼에 측면외부판넬, 상부외부판넬을 부착시키므로, 장식외장판넬 및 측면외부판넬과, 루프판넬 및 상부외부판넬 사이가 빈공간없이 완전히 밀착되어 기밀성 및 단열성이 향상되며, 모듈화된 측면외부판넬, 측면난연스티로폼, 측면내부판넬 어셈블리 및 모듈화된 상부외부판넬, 상부난연스티로폼, 상부내부판넬 어셈블리를 컨테이너의 측면 내부 및 상면 하부에 고정시키는 작업으로 2차 단열 작업 및 마감작업이 동시에 마무리되므로 컨테이너의 조립성이 크게 향상된다.

Description

친환경 컨테이너 및 그 조립방법{eco-friendly container and the assembly method}
본 발명은 친환경 컨테이너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단열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는 친환경 컨테이너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건물은 화물 운송을 위해 사용되는 컨테이너에 소정의 설비가 구비되어 건설 공사의 현장 사무소 등으로 사용되는 임시 건물이다. 최근에는 컨테이너 건물의 용도가 더욱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컨테이너 건물의 장점은, 건물의 단가가 저렴하고, 시공기간이 매우 짧으며, 필요시 이동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컨테이너들은 보통 외부철판과, 외부철판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격자형태의 각재와, 격자형 각재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티로폼판넬과, 각재에 고정되고 컨테이너의 내부면을 이루는 합판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컨테이너는 각재를 절단하여서 격자형태로 짜고 각재의 내부공간에 맞게 스티로폼판넬을 제단한 후 그 내부공간에 끼워 넣어야 하는데, 수작업으로 짜여진 격자형태의 각재 내부공간이 균일하지 못하고 스티로폼판넬도 이러한 내부공간에 정확히 일치하도록 재단하여 삽입시킬 수 없으므로 격자형 각재와 스티로폼판넬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되며 이러한 틈새로 외부의 열기 및 냉기가 유입되므로 단열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조금이라도 감소시키려면 각재를 짜는 작업, 스티로폼판넬을 각재의 내부공간에 맞게 재단하여 삽입시키는 작업을 보다 신중하고 정밀하게 해야 하며, 이러한 작업들은 작업자의 피로를 가중시키고 작업시간을 지연시키는 등 작업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성 및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한 친환경 컨테이너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테이너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컨테이너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친환경 컨테이너는, 컨테이너의 하부를 이루는 하부프레임부와, 하부프레임부의 둘레에 수직으로 결합되어서 컨테이너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프레임부와, 측면프레임부의 상단에 설치되어서 컨테이너의 상부를 이루는 상부프레임부로 이루어진 컨테이어에 있어서, 하부프레임부는, 평행하게 배열된 한쌍의 하부가로대와, 양단이 하부가로대에 고정되고 하부가로대 사이에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되어 있는 하부세로대와, 양단이 하부가로대에 고정되고 하부세로대 사이에 구비되며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포켓과, 하부세로대들의 상부에 안착되는 하판과, 하판의 상부에 부착되어서 하부프레임부의 상부면을 마감하는 하부마감재와, 하부프레임부의 하부공간에 포밍되어서 하부프레임부를 단열시키는 하부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지고; 측면프레임부는, 하부프레임부의 사방 코너에 각각 결합되는 코너포스트들과, 하부가로대 상부에 등간격으로 고정되고 코너포스트들 사이의 공간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대들과, 코너포스트들 및 수직대들에 고정되어서 컨테이너의 측면 외부를 마감하는 장식외장판넬과, 장식외장판넬의 내부면에 포밍되어서 컨테이너의 측면을 1차로 단열시키는 측면우레탄폼과, 측면우레탄폼에 부착되는 측면외부판넬과, 측면외부판넬에 부착되어서 컨테이너의 측면을 2차로 단열시키는 측면난연스티로폼과, 측면난연스티로폼에 부착되어서 측면프레임부의 내부를 마감하는 측면내부판넬로 이루어지며; 상부프레임부는, 코너포스트들 및 수직대들의 상단에 고정되는 탑레일들과, 탑레일들에 안착되는 루프판넬과, 루프판넬의 하부에 포밍되어서 컨테이너의 상부를 1차로 단열시키는 상부우레탄폼과, 상부우레탄폼에 부착되는 상부외부판넬과, 상부외부판넬에 부착되어서 컨테이너의 상부를 2차로 단열시키는 상부난연스티로폼과, 상부난연스티로폼에 부착되어서 상부프레임부의 하부면을 마감하는 상부내부판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컨테이너의 다른 특징은, 하부프레임부에는, 컨테이너의 전체 높낮이를 조절하고 수평도를 맞추기 위해 높낮이조절부가 구비되며; 이 높낮이조절부는, 하부프레임부의 네 모서리부 하부에 고정되는 너트와, 너트에 체결되고 회전시 승강되면서 컨테이너의 전체 높낮이 및 수평도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볼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친환경 컨테이너의 또 다른 특징은, 측면프레임부의 측면외부판넬, 측면난연스티로폼, 측면내부판넬 및 상부프레임부의 상부외부판넬, 상부난연스티로폼, 상부내부판넬은 각각 모듈화되어 있으며; 측면프레임부의 장식외장판넬 및 상부프레임부의 루프판넬에 측면우레탄폼 및 상부우레탄폼이 포밍되면 모듈화된 측면외부판넬, 측면난연스티로폼, 측면내부판넬 어셈블리 및 모듈화된 상부외부판넬, 상부난연스티로폼, 상부내부판넬 어셈블리가 각각 부착된다.
상술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친환경 컨테이너 조립방법은, 하부가로대를 평행하게 배열하고 하부가로대 사이에 하부세로대, 포크포켓을 배열시킨 후 하부세로대, 포크포켓의 양단을 하부가로대에 고정시키며 하부세로대 상부에 하판을 안착시켜서 고정하는 하부프레임부 조립단계; 하부프레임부의 사방 코너에 코너포스트들을 설치하고 하부가로대의 상부에 수직대들을 배열하여 고정시키며 코너포스트들 및 수직대들에 장식외장판넬을 고정시켜서 컨테이너의 측면 외부를 마감하는 측면프레임부 조립단계; 코너포스트들 및 수직대들의 상단에 탑레일들을 고정하고 탑레일들에 루프판넬을 안착시켜서 고정하는 상부프레임부 조립단계; 하부프레임부 조립단계, 측면프레임부 조립단계, 상부프레임부 조립단계 후 하부프레임부 하부, 장식외장판넬 내부, 루프판넬의 하부에 우레탄폼을 포밍하여서 단열을 위한 측면우레탄폼, 하부우레탄폼 및 상부우레탄폼을 형성하는 포밍단계; 측면우레탄폼 및 상부우레탄폼이 포밍된 측면프레임부 및 상부프레임부에 모듈화된 측면외부판넬, 측면난연스티로폼, 측면내부판넬 어셈블리 및 모듈화된 상부외부판넬, 상부난연스티로폼, 상부내부판넬 어셈블리를 부착시키는 어셈블리 조립단계; 하판의 상부면에 장판 등의 하부마감재를 시공하여 마감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장식외장판넬의 내부, 루프판넬의 하부에 우레탄폼을 포밍하여서 단열을 위한 측면우레탄폼, 상부우레탄폼을 형성하고 측면우레탄폼, 상부우레탄폼에 측면외부판넬, 상부외부판넬을 부착시키므로, 장식외장판넬 및 측면외부판넬과, 루프판넬 및 상부외부판넬 사이가 빈공간없이 완전히 밀착되어 기밀성 및 단열성이 향상된다. 또한 컨테이너의 측면프레임부 및 상부프레임부에는 측면우레탄폼 및 상부우레탄폼 외에 측면난연스티로폼 및 상부난연스티로폼이 더 내장되므로 차음성, 단열성 등이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친환경 컨테이너는 장식외장판넬 내부, 루프판넬의 하부에 우레탄폼을 포밍하여서 단열을 위한 측면우레탄폼 및 상부우레탄폼을 형성하고, 포밍된 측면우레탄폼 및 상부우레탄폼에 모듈화된 측면외부판넬, 측면난연스티로폼, 측면내부판넬 어셈블리 및 모듈화된 상부외부판넬, 상부난연스티로폼, 상부내부판넬 어셈블리를 고정시켜서 컨테이너의 둘레 및 상부를 마감한다. 따라서 장식외장판넬의 내부 및 루프판넬의 하부에 우레탄폼을 포밍하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1차 단열작업이 수행되고, 모듈화된 측면외부판넬, 측면난연스티로폼, 측면내부판넬 어셈블리 및 모듈화된 상부외부판넬, 상부난연스티로폼, 상부내부판넬 어셈블리를 컨테이너의 측면 내부 및 상면 하부에 고정시키는 작업으로 2차 단열 작업 및 마감작업이 동시에 마무리되므로 컨테이너의 조립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친환경 컨테이너에는, 컨테이너의 전체 높낮이를 조절하고 수평도를 맞추도록 컨테이너의 하부 네 모서리부에는 각각 높낮이조절부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높낮이조절부의 높낮이조절볼트를 회전시키면 컨테이너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컨테이너의 전체 높낮이 및 기울기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컨테이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를 보인 개략적 절개 사시도
도 3은 하부프레임부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
도 4는 측면프레임부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
도 5는 상부프레임부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친환경 컨테이너의 조립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컨테이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를 보인 개략적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하부프레임부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측면프레임부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상부프레임부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친환경 컨테이너는, 컨테이너의 하부를 이루는 하부프레임부(10)와, 하부프레임부(10)의 둘레에 수직으로 결합되어서 컨테이너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프레임부(20)와, 측면프레임부(20)의 상단에 설치되어서 컨테이너의 상부를 이루는 상부프레임부(30)로 이루어진다.
하부프레임부(10)는, 평행하게 배열된 한쌍의 하부가로대(11)와, 양단이 하부가로대(11)에 고정되고 하부가로대(11) 사이에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되어 있는 하부세로대(12)와, 양단이 하부가로대(11)에 고정되고 하부세로대(12) 사이에 구비되며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포켓(13)과, 하부세로대(12)들의 상부에 안착되는 하판(14)과, 하판(14)의 상부에 부착되어서 하부프레임부(10)의 상부면을 마감하는 하부마감재(15)와, 하부프레임부(10)의 하부공간에 포밍되어서 하부프레임부(10)를 단열시키는 하부우레탄폼(16)으로 이루어진다.
하부프레임부(10)에는, 컨테이너의 전체 높낮이를 조절하고 수평도를 맞추기 위해 높낮이조절부(40)가 구비된다.
이 높낮이조절부(40)는, 하부프레임부(10)의 네 모서리부 하부에 고정되는 너트(41)와, 너트(41)에 체결되고 회전시 승강되면서 컨테이너의 전체 높낮이 및 수평도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볼트(42)로 이루어진다.
측면프레임부(20)는, 하부프레임부(10)의 사방 코너에 각각 결합되는 코너포스트(21)들과, 하부가로대(11) 상부에 등간격으로 고정되고 코너포스트(21)들 사이의 공간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대(22)들과, 코너포스트(21)들 및 수직대(22)들에 고정되어서 컨테이너의 측면 외부를 마감하는 장식외장판넬(23)과, 장식외장판넬(23)의 내부면에 포밍되어서 컨테이너의 측면을 1차로 단열시키는 측면우레탄폼(24)과, 측면우레탄폼(24)에 부착되는 측면외부판넬(25)과, 측면외부판넬(25)에 부착되어서 컨테이너의 측면을 2차로 단열시키는 측면난연스티로폼(26)과, 측면난연스티로폼(26)에 부착되어서 측면프레임부(20)의 내부를 마감하는 측면내부판넬(27)로 이루어진다.
상부프레임부(30)는, 코너포스트(21)들 및 수직대(22)들의 상단에 고정되는 탑레일(31)들과, 탑레일(31)들에 안착되는 루프판넬(32)과, 루프판넬(32)의 하부에 포밍되어서 컨테이너의 상부를 1차로 단열시키는 상부우레탄폼(33)과, 상부우레탄폼(33)에 부착되는 상부외부판넬(34)과, 상부외부판넬(34)에 부착되어서 컨테이너의 상부를 2차로 단열시키는 상부난연스티로폼(35)과, 상부난연스티로폼(35)에 부착되어서 상부프레임부(30)의 하부면을 마감하는 상부내부판넬(3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측면프레임부(20)의 측면외부판넬(25), 측면난연스티로폼(26), 측면내부판넬(27) 및 상부프레임부(30)의 상부외부판넬(34), 상부난연스티로폼(35), 상부내부판넬(36)은 각각 모듈화되어 있다.
따라서, 측면프레임부(20)의 장식외장판넬(23) 및 상부프레임부(30)의 루프판넬(32)에 측면우레탄폼(24) 및 상부우레탄폼(33)이 포밍되면 모듈화된 측면외부판넬(25), 측면난연스티로폼(26), 측면내부판넬(27)의 어셈블리 및 모듈화된 상부외부판넬(34), 상부난연스티로폼(35), 상부내부판넬(36)의 어셈블리가 각각 부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친환경 컨테이너의 조립 순서도로써,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친환경 컨테이너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가로대(11)를 평행하게 배열하고 하부가로대(11) 사이에 하부세로대(12), 포크포켓(13)을 배열시킨 후 하부세로대(12), 포크포켓(13)의 양단을 하부가로대(11)에 고정시키며 하부세로대(12) 상부에 하판(14)을 안착시켜서 고정하는 하부프레임부 조립단계(S10)를 갖는다.
하부프레임부 조립단계(S10) 후, 하부프레임부(10)의 사방 코너에 코너포스트(21)들을 설치하고 하부가로대(11)의 상부에 수직대(22)들을 배열하여 고정시키며 코너포스트(21)들 및 수직대(22)들에 장식외장판넬(23)을 고정시켜서 컨테이너의 측면 외부를 마감하는 측면프레임부 조립단계(S20)를 갖는다.
측면프레임부 조립단계(S20) 후, 코너포스트(21)들 및 수직대(22)들의 상단에 탑레일(31)들을 고정하고 탑레일(31)들에 루프판넬(32)을 안착시켜서 고정하는 상부프레임부 조립단계(S30)를 갖는다.
하부프레임부 조립단계(S10), 측면프레임부 조립단계(S20), 상부프레임부 조립단계(S30) 후 하부프레임부(10)의 하부, 장식외장판넬(23)의 내부, 루프판넬(32)의 하부에 우레탄폼을 포밍하여서 단열을 위한 측면우레탄폼(24), 하부우레탄폼(16) 및 상부우레탄폼(33)을 형성하는 포밍단계(S40)를 갖는다.
포밍단계(S40) 후, 측면우레탄폼(24) 및 상부우레탄폼(33)이 포밍된 측면프레임부(20) 및 상부프레임부(30)에 모듈화된 측면외부판넬(25), 측면난연스티로폼(26), 측면내부판넬(27)의 어셈블리 및 모듈화된 상부외부판넬(34), 상부난연스티로폼(35), 상부내부판넬(36)의 어셈블리를 부착시키는 어셈블리 조립단계(S50)를 갖는다.
어셈블리 조립단계(S50) 후, 하판(14)의 상부면에 장판 등의 하부마감재(15)를 시공하여 마감하는 마감단계(S60)를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친환경 컨테이너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장식외장판넬(23)의 내부, 루프판넬(32)의 하부에 우레탄폼을 포밍하여서 단열을 위한 측면우레탄폼(24), 상부우레탄폼(33)을 형성하고 측면우레탄폼(24), 상부우레탄폼(33)에 측면외부판넬(25), 상부외부판넬(34)을 부착시킨다.
따라서, 장식외장판넬(23) 및 측면외부판넬(25)과, 루프판넬(32) 및 상부외부판넬(34) 사이가 빈공간없이 완전히 밀착되어 기밀성 및 단열성이 향상된다.
또한 컨테이너의 측면프레임부(20) 및 상부프레임부(30)에는 측면우레탄폼(24) 및 상부우레탄폼(33) 외에 측면난연스티로폼(26) 및 상부난연스티로폼(35)이 더 내장되므로 차음성, 단열성 등이 더욱 향상된다.
둘째, 본 발명의 친환경 컨테이너는 장식외장판넬(23) 내부, 루프판넬(32)의 하부에 우레탄폼을 포밍하여서 단열을 위한 측면우레탄폼(24) 및 상부우레탄폼(33)을 형성하고, 포밍된 측면우레탄폼(24) 및 상부우레탄폼(33)에 모듈화된 측면외부판넬(25), 측면난연스티로폼(26), 측면내부판넬(27) 어셈블리 및 모듈화된 상부외부판넬(34), 상부난연스티로폼(35), 상부내부판넬(36) 어셈블리를 고정시켜서 컨테이너의 둘레 및 상부를 마감한다.
따라서 장식외장판넬(23)의 내부 및 루프판넬(32)의 하부에 우레탄폼을 포밍하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1차 단열작업이 수행되고, 모듈화된 측면외부판넬(25), 측면난연스티로폼(26), 측면내부판넬(27) 어셈블리 및 모듈화된 상부외부판넬(34), 상부난연스티로폼(35), 상부내부판넬(36) 어셈블리를 컨테이너의 측면 내부 및 상면 하부에 고정시키는 작업으로 2차 단열 작업 및 마감작업이 동시에 마무리되므로 컨테이너의 조립성이 크게 향상된다.
셋째, 본 발명의 친환경 컨테이너에는 컨테이너의 전체 높낮이를 조절하고 수평도를 맞추도록 컨테이너의 하부 네 모서리부에는 각각 높낮이조절부(4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높낮이조절부(40)의 높낮이조절볼트(42)를 회전시키면 컨테이너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컨테이너의 전체 높낮이 및 기울기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친환경 컨테이너의 장식외장판넬(23)에는 친환경 컨테이너의 외관을 미려하기 위해 페인트가 도장되며, 장식외장판넬(23)에 도장된 페인트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장식외장판넬(23)의 외면에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44~57중량%과,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9~21중량%와, 스틸렌계 수첨 블록공중합체 7~25중량%와, 무기충전제 10~23중량%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도포된다.
여기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C2 내지 C20(C3는 제외)의 알파 올레핀을 포함하는 프로필렌-알파 올레핀 결정성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용융흐름지수(230℃, 2.16kg하중)는 20~60g/10분이고, 13C-NMR(핵자기 공명 스펙트럼)로 측정한 아이소탁틱 펩타드 분율이 0.80~0.99이다.
또한,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중합체에서 부틸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은 20~40중량%이고, 용융지수(190℃, 2.16kg하중)는 20~200g/10min이다.
그리고, 스틸렌계 수첨 블록공중합체에서 스틸렌 함량은 18중량% 이상이며, 스틸렌계 수첨 블록공중합체는 스틸렌-에틸렌-부텐-스틸렌 블록공중합체(SEBS), 스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틸렌 블록공중합체(SEPS),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 스틸렌-에틸렌-이소플렌-스틸렌 블록공중합체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틸렌-스틸렌 블록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스틸렌계 수첨 블록공중합체 및 무기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C2 내지 C20(C3 제외)의 알파-올레핀 단량체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알파 올레핀 결정성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파-올레핀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펜텐, 1-헵텐, 1-옥텐, 1-데센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일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알파 올레핀 결정성 공중합체는 블록공중합체 또는 랜덤공중합체 등 일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로필렌-알파 올레핀 결정성 공중합체에서 프로필렌 중합단위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공중합체 내에서 50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입체규칙성에 관련해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13C-NMR(핵자기 공명 스펙트럼)로 측정한 아이소탁틱 펩타드 분율이 0.80~0.99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85~0.99일 수 있다.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용융흐름지수(MFI, 230℃, 2.16kg 하중)는 20~60g/10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50g/10분일 수 있다.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상기 수지 조성물에 대해 44~57중량% 포함될 수 있다.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이 44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도장부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57중량%를 초과하면 굴곡탄성율 및 도장부착력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중합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중합체에서 부틸아크릴레이트는 중합단위 비율로 20~40중량%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40중량%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대해 9~21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중합체의 함량이 9중량% 미만이면 도장밀착성이 열세하고 21중량%를 초과하면 굴곡탄성율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용융지수(190℃, 2.16kg하중)는 5~250g/10min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200g/10min일 수 있다.
상기 스틸렌계 수첨 블록공중합체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도장 밀착성 및 내충격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스틸렌계 수첨 블록공중합체는 스틸렌-에틸렌-부텐-스틸렌 블록공중합체(SEBS), 스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틸렌 블록공중합체(SEPS),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 스틸렌-에틸렌-이소플렌-스틸렌 블록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틸렌-스틸렌 블록공중합체 등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틸렌-에틸렌-부텐-스틸렌 블록공중합체(SEBS) 및 스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틸렌 블록공중합체(SEPS)일 수 있다.
상기 스틸렌계 수첨 블록공중합체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대해 7 ~ 21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 18중량%일 수 있다. 상기 스틸렌계 수첨 블록공중합체의 함량이 7중량% 미만이면 도장밀착성이 저하되고, 21중량%를 초과하면 강성 등과 같은 기계적 물성 및 도장밀착성 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무기충전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무기충전제는 활석(Talc), 황산바륨 및 칼슘카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활석일 수 있다.
상기 활석의 입경은 레이저 회절법에 따라서 측정된 입자 누적 분포 곡선으로부터 판독한 누적 50중량%의 입경치로부터 구할 수 있으며, 상기 평균입경이 10㎛이하이고, 바람직한 것은 0.5~8㎛일 수 있다. 상기 활석의 입경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휨 탄성율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활석은 중합체와의 접착성 또는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각종의 유기 티타네이트(titanate)계 커플링(Coupling)제, 유기실란 커플링(Coupling)제, 불포화카르본산, 또는 그 무수물을 그라프트(graft)한 변성 폴리올레핀(Polyolefin), 지방산, 지방산 금속염, 지방산 에스테르(ester) 등으로 표면처리될 수 있다.
상기 무기충전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10~23중량%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21중량%일 수 있다. 상기 무기충전제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굴곡탄성율이 현저히 부족하거나 도장밀착성이 떨어지고, 23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도장성을 보다 개선시키거나 저온 내충격성을 보강하기 위해서 고무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무성분은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알파-올레핀 탄성중합체 고무(rubber)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알파-올레핀은 C2 내지 C20의 알파-올레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본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성성분들을 교반-혼합장치[예:Hensel 혼합기, 슈퍼 혼합기 또는 텀블러 혼합기]에 충전시키고, 상기 혼합물을 1~10분 동안 교반-혼합시키고, 180~230℃의 온도에서 압연기 또는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및 혼련시켜 펠렛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도장 부착력 및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및 스틸렌계 수첨 블록 공중합체가 본 발명에 따른 함량 범위를 벗어난 경우 도장부착력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기존에 사용되는 에틸렌-알파 올레핀계 고무성분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비하여 도장부착력 및 굴곡 탄성율면에서 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도장시 프라이머를 도포하지 않으면서도 도장밀착성과 굴곡탄성율 및 Izod 충격강도가 우수하여 장식외장판넬(23)에 도포시 파손을 방지시키고 장식외장판넬(23)에 도장된 페인트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시킨다.
10 : 하부프레임부 11 : 하부가로대
12 : 하부세로대 14 : 하판
15 : 하부마감재 16 : 하부우레탄폼
20 : 측면프레임부 21 : 코너포스트
22 : 수직대 23 : 장식외장판넬
24 : 측면우레탄폼 25 : 측면외부판넬
26 : 측면난연스티로폼 27 : 측면내부판넬
30 : 상부프레임부 31 : 탑레일
32 : 루프판넬 33 : 상부우레탄폼
34 : 상부외부판넬 35 : 상부난연스티로폼
36 : 상부내부판넬 40 : 높낮이조절부
41 : 너트 42 : 높낮이조절볼트

Claims (4)

  1. 컨테이너의 하부를 이루는 하부프레임부와, 하부프레임부의 둘레에 수직으로 결합되어서 컨테이너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프레임부와, 측면프레임부의 상단에 설치되어서 컨테이너의 상부를 이루는 상부프레임부로 이루어진 컨테이어에 있어서,
    하부프레임부(10)는, 평행하게 배열된 한쌍의 하부가로대(11)와, 양단이 하부가로대(11)에 고정되고 하부가로대(11) 사이에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되어 있는 하부세로대(12)와, 양단이 하부가로대(11)에 고정되고 하부세로대(12) 사이에 구비되며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포켓(13)과, 하부세로대(12)들의 상부에 안착되는 하판(14)과, 하판(14)의 상부에 부착되어서 하부프레임부(10)의 상부면을 마감하는 하부마감재(15)와, 하부프레임부(10)의 하부공간에 포밍되어서 하부프레임부(10)를 단열시키는 하부우레탄폼(16)으로 이루어지고;
    측면프레임부(20)는, 하부프레임부(10)의 사방 코너에 각각 결합되는 코너포스트(21)들과, 하부가로대(11) 상부에 등간격으로 고정되고 코너포스트(21)들 사이의 공간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대(22)들과, 코너포스트(21)들 및 수직대(22)들에 고정되어서 컨테이너의 측면 외부를 마감하는 장식외장판넬(23)과, 장식외장판넬(23)의 내부면에 포밍되어서 컨테이너의 측면을 1차로 단열시키는 측면우레탄폼(24)과, 측면우레탄폼(24)에 부착되는 측면외부판넬(25)과, 측면외부판넬(25)에 부착되어서 컨테이너의 측면을 2차로 단열시키는 측면난연스티로폼(26)과, 측면난연스티로폼(26)에 부착되어서 측면프레임부(20)의 내부를 마감하는 측면내부판넬(27)로 이루어지며;
    상부프레임부(30)는, 코너포스트(21)들 및 수직대(22)들의 상단에 고정되는 탑레일(31)들과, 탑레일(31)들에 안착되는 루프판넬(32)과, 루프판넬(32)의 하부에 포밍되어서 컨테이너의 상부를 1차로 단열시키는 상부우레탄폼(33)과, 상부우레탄폼(33)에 부착되는 상부외부판넬(34)과, 상부외부판넬(34)에 부착되어서 컨테이너의 상부를 2차로 단열시키는 상부난연스티로폼(35)과, 상부난연스티로폼(35)에 부착되어서 상부프레임부(30)의 하부면을 마감하는 상부내부판넬(36)로 이루어지고;
    하부프레임부(10)에는, 컨테이너의 전체 높낮이를 조절하고 수평도를 맞추기 위해 높낮이조절부(40)가 구비되고; 이 높낮이조절부(40)는, 하부프레임부(10)의 네 모서리부 하부에 고정되는 너트(41)와, 너트(41)에 체결되고 회전시 승강되면서 컨테이너의 전체 높낮이 및 수평도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볼트(42)로 이루어지며;
    측면프레임부(20)의 측면외부판넬(25), 측면난연스티로폼(26), 측면내부판넬(27) 및 상부프레임부(30)의 상부외부판넬(34), 상부난연스티로폼(35), 상부내부판넬(36)은 각각 모듈화되어 있고; 측면프레임부(20)의 장식외장판넬(23) 및 상부프레임부(30)의 루프판넬(32)에 측면우레탄폼(24) 및 상부우레탄폼(33)이 포밍되면 모듈화된 측면외부판넬(25), 측면난연스티로폼(26), 측면내부판넬(27)의 어셈블리 및 모듈화된 상부외부판넬(34), 상부난연스티로폼(35), 상부내부판넬(36)의 어셈블리가 각각 부착되고;
    장식외장판넬(23)에 도장된 페인트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장식외장판넬(23)의 외면에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44~57중량%과,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9~21중량%와, 스틸렌계 수첨 블록공중합체 7~25중량%와, 무기충전제 10~23중량%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도포되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C2 내지 C20(C3는 제외)의 알파 올레핀을 포함하는 프로필렌-알파 올레핀 결정성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용융흐름지수(230℃, 2.16kg하중)는 20~60g/10분이며, 13C-NMR(핵자기 공명 스펙트럼)로 측정한 아이소탁틱 펩타드 분율이 0.80~0.99이고;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중합체에서 부틸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은 20~40중량%이고, 용융지수(190℃, 2.16kg하중)는 20~200g/10min이며;
    스틸렌계 수첨 블록공중합체에서 스틸렌 함량은 18중량% 이상이고, 스틸렌계 수첨 블록공중합체는 스틸렌-에틸렌-부텐-스틸렌 블록공중합체(SEBS), 스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틸렌 블록공중합체(SEPS),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 스틸렌-에틸렌-이소플렌-스틸렌 블록공중합체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틸렌-스틸렌 블록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컨테이너.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131434A 2011-12-09 2011-12-09 친환경 컨테이너 및 그 조립방법 KR101162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434A KR101162299B1 (ko) 2011-12-09 2011-12-09 친환경 컨테이너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434A KR101162299B1 (ko) 2011-12-09 2011-12-09 친환경 컨테이너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2299B1 true KR101162299B1 (ko) 2012-07-04

Family

ID=46716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434A KR101162299B1 (ko) 2011-12-09 2011-12-09 친환경 컨테이너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2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728B1 (ko) 2016-05-04 2017-10-25 한국주택설계기술(주) 써클형 3d를 이용한 컨테이너 주택용 내력공간 구조체의 구축 장치, 그 장치를 이용한 내력공간 구조체의 구축방법
KR101840297B1 (ko) 2017-03-27 2018-03-20 주식회사 국민렌탈 컨테이너하우스의 수평조절장치
KR101865191B1 (ko) * 2016-12-12 2018-07-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에 대한 안정성을 구비한 이동주택
KR20190031625A (ko) * 2017-09-18 2019-03-27 송창일 부처조형상에 법당이 형성되는 구조물
KR20220028880A (ko) * 2020-08-31 2022-03-08 박기웅 컨테이너 전용 단열유닛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081Y1 (ko) 2003-08-27 2003-11-12 김성모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081Y1 (ko) 2003-08-27 2003-11-12 김성모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728B1 (ko) 2016-05-04 2017-10-25 한국주택설계기술(주) 써클형 3d를 이용한 컨테이너 주택용 내력공간 구조체의 구축 장치, 그 장치를 이용한 내력공간 구조체의 구축방법
KR101865191B1 (ko) * 2016-12-12 2018-07-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에 대한 안정성을 구비한 이동주택
KR101840297B1 (ko) 2017-03-27 2018-03-20 주식회사 국민렌탈 컨테이너하우스의 수평조절장치
KR20190031625A (ko) * 2017-09-18 2019-03-27 송창일 부처조형상에 법당이 형성되는 구조물
KR102120531B1 (ko) * 2017-09-18 2020-06-08 송창일 부처상에 법당이 형성되는 구조물
KR20220028880A (ko) * 2020-08-31 2022-03-08 박기웅 컨테이너 전용 단열유닛
KR102486336B1 (ko) * 2020-08-31 2023-01-06 박기웅 컨테이너 전용 단열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299B1 (ko) 친환경 컨테이너 및 그 조립방법
US20050281999A1 (en) Structural and other composite material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KR101395714B1 (ko) Pvc 대체용 폴리올레핀계 친환경 바닥재
CN101326235B (zh) 振动控制用材料、振动控制用成形体和振动控制用多层叠层体
WO2004081311A2 (en) Structural and other composite material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EP2231393B1 (en) Highly flame retardant panels
US20160312470A1 (en) Highly loaded thermoplastic membranes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WO2000030845A1 (en) Multilayer panel and use thereof as a formwork
JP2000314191A (ja) プラステイック材料を用いた改良した建築材料、前記材料から製造した改良した建築構成部分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EP2928658B1 (en) Rotomoulded articles
KR20100121356A (ko) 건축용 흡음패널
US20070245672A1 (en) Composite plug door for use on railcars
KR101185498B1 (ko) 한옥형 판기와
KR20190085023A (ko) 거주 블록 및 단열부 제조 방법
JP6709642B2 (ja) ソーラパネル用フロート及びその連結体
US20050275124A1 (en) Insulated concrete form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1626470B1 (ko) 비발포체형 소음 저감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구조
US20190013002A1 (en) Structural laminate sound barrier
EP2113619A2 (en) Flooring system
WO2019068003A1 (en) NATURAL FIBER COMPOSITE CONSTRUCTION MATERIALS
EP4079204A1 (de) Duschbodenelemen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3199447U (ja) パッキン付土台木
KR101428760B1 (ko) 층간소음 바닥재
KR20090089722A (ko) 건물 바닥용 완충층의 방수구조
US20130256317A1 (en) In-situ foam core therm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