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667B1 - 전등용 행거 - Google Patents

전등용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667B1
KR101160667B1 KR1020100051769A KR20100051769A KR101160667B1 KR 101160667 B1 KR101160667 B1 KR 101160667B1 KR 1020100051769 A KR1020100051769 A KR 1020100051769A KR 20100051769 A KR20100051769 A KR 20100051769A KR 101160667 B1 KR101160667 B1 KR 101160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ceiling
wire
conductor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1999A (ko
Inventor
이동석
Original Assignee
이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석 filed Critical 이동석
Priority to KR1020100051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667B1/ko
Publication of KR20110131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8Suspending from a cable or suspension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21S8/061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with a non-rigid pendant, i.e. a cable, wire or ch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21V23/002Arrangements of cables or conductors inside a lighting device, e.g. means for guiding along parts of the housing or in a pivot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등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의 전극터미널에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조명을 제공하는 전등을 통전가능한 상태로 천장에 현수하는 전등용 행거에 있어서, 상기 전등이 결합되는 소켓; 상기 소켓에 일측이 연결되고, 천장에 타측이 고정되어 소켓을 천장에 현수시키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와 동축을 이루면서 와이어에 동일체로 마련되고, 천장의 상기 전극터미널에서 인가되는 양전류 및 음전류를 절연상태로 상기 소켓에 제각기 공급하는 전도체; 및 상기 전도체가 마련된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를 천장 및 상기 소켓에 제각기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는 전등용 행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등이 연결되는 소켓이 와이어와 전도체가 일체화된 단일부재에 의해 천장에 통전가능하게 현수되므로, 구성부품이 단순화되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시 미관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등용 행거{HANGER FOR LAMP}
본 발명은 전등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등을 천장에 매달린 상태로 통전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전등용 행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주택의 거실이나 주방의 천장 또는 사무실 등의 천장에는 실내를 밝게 비추기 위한 전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전등은 천장에 매입되거나 천장에 밀착설치되어 조명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근래에 들어서는 전등이 조명을 제공하는 역할에 더하여 실내인테리어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전등은 천장에 매입되지 않고 천장에 매달리게 연결되어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도 1은 상기와 같이 천장에 매달려서 조명을 제공하는 전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등(1)은 천장에 고정되는 연결대(2)에 결합되어 천장으로부터 현수되고, 천장에 매립된 전극터미널(3)에 연결되는 별도의 전기배선(4)으로부터 전기를 인가받아서 조명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의 전등(1)은 전등(1)을 지지하기 위한 연결대(2)와 전기를 인가하는 전기배선(4)이 분리되어 전등(1)에 연결되므로 미관을 해치게 되며, 설치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411243호 '천정매다는등의 소켓 결합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이러한 종래기술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소켓 결합구조는, 전등(1)이 결합되고 전기배선(4)이 연결되는 소켓(5)과, 소켓(5)의 상부에 결합되어 전기배선(4)이 관통되는 브라켓(6)과, 브라켓(6)의 내부에 결합되어 관통된 전기배선(4)을 고정하는 스토퍼(8)가 마련된다.
여기서, 스토퍼(8)는 단부가 하향으로 꺽이게 형성된 다수의 걸림턱을 갖는 걸림부재로 형성되어 브라켓(6)으로 삽입되는 전기배선(4)의 외측을 고정한다. 따라서, 전등(1)이 결합되는 소켓(5)은 전기배선(4)에 의해 천장에 지지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소켓의 결합구조는 전기배선(4)의 외부피복선을 고정하여 소켓을 지지하기 때문에, 지지력에 한계가 있어서 무거운 하중에는 견디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결합구조는 백열전구와 같이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벼운 전등에는 효과가 있다 하겠으나, 다수의 램프와 장식구로 구성되는 인테리어 전등과 같이 무거운 전등에 적용될 경우 전기배선 또는 걸림부재가 파손되어 전등이 낙하하는 대형사고를 초래할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단일체의 부재에 의해 소켓에 전기를 인가하는 동시에 소켓을 천장에 고정함으로써, 전등을 통전가능한 상태로 천장에 현수시킬 수 있는 전등용 행거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소켓을 고정하는 와이어에 양전류 및 음전류가 인가되는 전극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되, 전극층간에 단락 및 누전이 방지될 수 있는 전등용 행거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 와이어에 적층된 전극층을 소켓 및 전극터미널에 안정적으로 연결하여 통전시킬 수 있는 전등용 행거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이에 더하여, 와이어가 소켓에 용이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천장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전등용 행거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천장의 전극터미널에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조명을 제공하는 전등을 통전가능한 상태로 천장에 현수하는 전등용 행거에 있어서, 상기 전등이 결합되는 소켓; 상기 소켓에 일측이 연결되고, 천장에 타측이 고정되어 소켓을 천장에 현수시키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와 동축을 이루면서 와이어에 동일체로 마련되고, 천장의 상기 전극터미널에서 인가되는 양전류 및 음전류를 절연상태로 상기 소켓에 제각기 공급하는 전도체; 및 상기 전도체가 마련된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를 천장 및 상기 소켓에 제각기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체는 예컨대, 상기 와이어를 따라서 와이어의 외주면에 적층되고, 상기 전극터미널에서 인가되는 전류를 상기 소켓에 공급하며, 양단부가 전극터미널 및 소켓에 통전가능하게 제각기 연결되는 메인도체; 상기 메인도체의 표면을 차폐하여 절연하는 메인피복; 상기 메인피복을 따라서 메인피복의 외주면에 적층되고, 상기 전극터미널에서 인가되는 전류를 상기 소켓에 공급하며, 양단부가 전극터미널 및 소켓에 통전가능하게 제각기 연결되는 서브도체; 및 상기 서브도체의 표면을 차폐하여 절연하는 서브피복;을 포함하는 전등용 행거에 관계한다.
삭제
또한, 상기 메인도체 및 서브도체는 양단부에 제각기 마련된 터미널을 통해 상기 전극터미널 및 소켓에 통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스너는 예컨대,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소켓을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소켓고정부재;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소켓고정부재와 대향하고, 천장에 부착되어 와이어의 타단부를 천장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천장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소켓고정부재는 예컨대, 상기 소켓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가 관통되는 소켓고정판; 및 상기 소켓고정판의 일측에 마련되고, 블록형태로 형성되어 소켓고정판을 관통한 상기 와이어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며, 소켓고정판에 걸려서 소켓고정판으로부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소켓고정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천장고정부재는 예컨대, 천장에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가 관통되어 현수되는 현수판; 및 상기 현수판의 일측에 마련되고 블록형태로 형성되어 현수판을 관통한 상기 와이어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며, 현수판에 걸려서 와이어를 현수판에 현수시키는 현수블록;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등용 행거는, 전등이 연결되는 소켓이 와이어와 전도체가 일체화된 단일부재에 의해 천장에 통전가능하게 현수되므로, 구성부품이 단순화되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시 미관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류를 통전시키는 전도체가 메인피복 및 서브도체와 서브피복으로 구성되어 순차적으로 적층되므로 전도체 내부의 단락이 방지되고 외부로의 누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 전도체의 양단부에 터미널이 제각기 마련되므로 전극터미널의 전류를 안정적으로 소켓에 통전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소켓고정부재에 의해 와이어가 소켓에 체결되며, 천장고정부재에 의해 와이어가 천장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소켓에 결합된 전등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소켓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등용 행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등용 행거의 전도체 및 터미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등용 행거의 소켓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등용 행거의 천장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등용 행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등용 행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등용 행거의 전도체 및 터미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등용 행거의 소켓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등용 행거의 천장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등용 행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등용 행거(100)는 소켓(10)과 와이어(20), 전도체(30) 및 패스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소켓(10)은 전기를 인가받아 조명을 제공하는 전등(LP)이 결합된다. 이러한 소켓(10)은 하부내측에 전등(LP)이 접속되는 접속구가 마련되며, 상부에 전기가 인가되는 접속단자(13)가 마련된다.
와이어(20)는 소켓(10)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천장에 타단부가 고정되어 전등(LP)이 천장에 매달려 지지되는 지지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와이어(20)는 피아노선과 같은 고탄소강의 금속강선으로 구성된다. 또한, 와이어(20)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복수의 금속강선이 서로 꼬여서 형성할 수도 있다.
전도체(30)는 와이어(20)와 동축을 이루면서 와이어(20)와 동일체로 마련되고, 천장의 전극터미널(TM)에서 인가되는 양전류 및 음전류를 절연상태로 소켓(10)에 인가한다.
이러한 전도체(30)는 양전류를 인가하는 메인도체(31) 및 음전류를 인가하는 서브도체(33)로 구성되며, 메인도체(31) 및 서브도체(33)에 제각기 마련되어 절연하는 메인피복(31a) 및 서브피복(33a)으로 구성된다.
메인도체(31)는 와이어(20)를 따라서 와이어(20)의 외주면에 코팅상태로 적층되며, 양단부가 전극터미널(TM) 및 소켓(10)의 접속단자(13)에 제각기 연결된다.
메인피복(31a)은 메인도체(31)에 피복되어 메인도체(31)의 전류를 절연한다.
서브도체(33)는 메인피복(31a)을 따라서 메인피복(20)의 외주면에 코팅상태로 적층된다. 여기서 메인도체(31) 및 서브도체(33)는 전기전도성이 높은 구리나 주석으로 형성된다.
서브피복(33a)은 서브도체(33)의 외주면에 피복되어 서브도체(33)의 전류를 절연한다. 여기서, 메인피복(31a) 및 서브피복(33a)은 절연성이 높은 고무나 플라스틱소재로 형성된다.
이러한 와이어(20)와 전도체(30)의 메인도체(31), 메인피복(31a), 서브도체(33) 및 서브피복(33a)은 동축을 이루면서 단일체의 통전와이어(15)를 형성한다.
따라서, 전등(LP)은 단일체의 통전와이어(15)에 의해 천장에 매달려 지지되는 동시에 전류를 인가받는다.
한편, 메인도체(31) 및 서브도체(33)는 양단부에 전극터미널(TM) 및 소켓(10)의 접속단자(13)를 연결시키는 터미널(35)이 제각기 마련된다.
패스너는 와이어(20)의 양단부를 천장 및 소켓(10)에 제각기 고정시키는 것으로, 와이어(20)의 일단부를 소켓(10)에 고정시키는 소켓고정부재(40) 및 와이어(20)의 타단부를 천장에 고정시키는 천정고정부재(50)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터미널(35)은 메인도체(31) 및 서브도체(33)의 양단부에 제각기 결합된다. 이러한, 터미널(35)은 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며, 클립(35a) 및 클립(35a)에 연장되는 연결관(35b)으로 구성된다.
터미널(35)은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35a)에 의해 메인도체(31) 및 서브도체(33)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연결관(35b)에 의해 전극터미널(TM) 및 소켓(10)의 접속단자에 연결되는 리드선(LD)에 연결된다. 이때, 클립(35a)은 메인도체(31) 및 서브도체(31)의 양단부 각각을 외부로 노출시킨 부위에 결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소켓연결부재(40)는 와이어(20)의 일단부를 소켓(10)에 일체적으로 고정한다. 이러한 소켓연결부재(40)는 소켓고정판(41) 및 소켓고정블록(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소켓고정판(41)은 소켓(10)의 상부에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소켓고정판(41)은 고정볼트(BT)에 의해 소켓(10)에 결합되며 이와 달리, 외주면에 나사부를 두어 소켓(10)에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소켓고정판(41)은 중앙에 관통공(41a)이 마련되어 관통공(41a)을 통해 와이어(20)가 관통된다.
소켓고정블록(43)은 소켓고정판(41)의 하부에 마련되고, 소켓고정판(41)을 관통한 와이어(20)에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와이어(20)가 소켓고정판(4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소켓고정블록(43)은 소켓절연블록(43a) 및 소켓체결블록(43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소켓절연블록(43a)은 소켓고정판(41)의 하부에 마련되고 와이어(20)가 관통된다. 소켓절연블록(43a)은 절연재로 구성되고, 와이어(20)가 관통되는 부위에 요홈(43c)이 형성된다. 요홈(43c)은 전술한 터미널(35)이 매입된다.
소켓체결블록(43b)은 소켓절연블록(43a)의 하부에 마련되며 분할형성되어 고정볼트(BT)에 의해 상호결합된다. 이러한 소켓체결블록(43b)은 소켓고정판(41) 및 소켓절연블록(43a)을 관통한 와이어(20)의 양측에서 상호결합되어 와이어(20)를 압착하면서 고정된다.
즉, 소켓체결블록(43b)은 와이어(20)에 일체적으로 체결되어 소켓고정판(41) 및 소켓절연블록(43a)을 지지한다. 따라서, 소켓고정판(41)에 결합된 소켓(10)은 소켓체결블록(43b)에 의해 지지되어 낙하하지 않는다.
한편, 소켓체결블록(43b)은 하부에 전술한 터미널(35)이 위치한다. 즉, 서브도체(33)의 전류는 소켓절연블록(43a)의 요홈(43c)에 위치하는 터미널(35)에 의해 소켓(10)의 접속단자(13)로 연결된다. 또한, 메인도체(31)의 전류는 소켓체결블록(43b)의 하부에 위치하는 또 다른 터미널(35)에 의해 소켓(10)의 또 다른 접속단자(13)로 연결된다.
따라서, 메인도체(31) 및 서브도체(33)의 전류는 소켓절연블록(43a) 및 소켓체결블록(43b)에 의해 단락되지않고 각각의 접속단자(13)에 연결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천장고정부재(50)는 와이어(20)의 타단부를 천장에 고정하는 것으로, 현수판(51) 및 현수블록(5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현수판(51)은 고정볼트(BT)에 의해 천장에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현수판(51)은 천장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으며, 천장에 마련되는 베이스부재나 골조에 결합될 수도 있다.
현수판(51)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하방으로 함몰되어 홈형태를 이루며, 와이어(20)가 관통되는 관통홀(52)을 갖는다.
또한, 현수판(51)은 관통홀(52)을 보강하는 동시에 관통홀(52)에 와이어(20)를 센터링시키는 센터링부재가 마련된다. 센터링부재는 관통홀(52)에 삽입되고 내부가 중공된 중공볼트(52a) 및 중공볼트(52a)를 현수판(51)에 고정하는 고정너트(52b)로 구성되며, 중공볼트(52a)의 내부를 통해 와이어(20)가 관통된다.
현수블록(53)은 현수판(51)의 일측에 마련되고, 현수판(51)을 관통한 와이어(20)에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와이어(20)를 현수판(51)에 현수시킨다. 이러한 현수블록(53)은 천장절연블록(53a) 및 천장체결블록(53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천장절연블록(53a)은 절연재로 형성되어 현수판(51)의 상부 중앙에 안착되며, 와이어(20)가 관통된다. 또한, 천장절연블록(53a)은 와이어(20)가 관통되는 부위에 절취홈(53c)이 형성되고, 절취홈(53c)에 전술한 터미널(35)이 매입된다.
천장체결블록(53b)은 천장절연블록(53a)의 상부에 마련되어 와이어(20)를 천장절연블록(53a)의 상면에 압착하여 체결한다. 즉, 와이어(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절연블록(53a)을 관통하여 절곡되며, 천장체결블록(53b)은 고정볼트(BT)에 의해 천장절연블록(53a)의 상면에 체결되어, 천장절연블록(53a)의 상면에서 절곡된 와이어(20)를 압착고정한다.
따라서, 와이어(20)는 천장절연블록(53a) 및 천장체결블록(53b)에 의해 낙하하지 않으며 천장에 고정된 현수판(51)에 현수된다.
한편, 천장체결블록(53b)에 고정된 와이어(20)는 단부에 전술한 터미널(35)이 결합된다. 따라서, 전극터미널(TM)의 전류는 천장절연블록(53a)의 절취홈(53c)에서 서브도체(33)에 결합되는 터미널(35)로 인가되며, 또 다른 전극터미널(TM)의 전류는 천장체결블록(53b)의 측방에서 메인도체(31)에 결합되는 또 다른 터미널(35)로 인가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부위를 포함하는 본 발명 전등용 행거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등용 행거(100)는 전등(LP)을 천장에 고정시키고, 전극터미널에 연결되어 전등(LP)에 전류를 인가한다.
와이어(20)는 패스너의 소켓고정부재(40)에 의해 소켓(10)에 고정된다. 이때, 소켓고정판(41)은 소켓(10)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며, 와이어(20)는 소켓고정블록(43)에 체결된 상태로 소켓고정판(41)에 걸려서 소켓(10)에 고정된다.
소켓(10)은 전등(LP)이 결합되어 조명을 발산한다. 여기서, 소켓(10)은 별도로 마련되는 커버부재(10')가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재(10')는 소켓(10) 및 전등(LP)를 보호하고 전등(LP)의 조명을 미려하게 발산시킨다.
또한, 와이어(20)는 패스너의 천장고정부재(50)에 의해 천장에 고정된다. 이때, 현수판(51)은 천장에 고정되며, 와이어(20)는 현수블록(53)에 고정되어 현수판(51)에 현수된다. 한편, 천장고정부재(50)는 외측에 별개로 마련되는 캡부재(70')에 의해 차폐되면서 보호된다.
전도체(30)는 터미널(35)에 의해 양단부가 천장의 전극터미널(TM) 및 소켓(10)의 접속단자(13)에 제각기 연결되어 전등(LP)으로 전류를 통전시킨다.
종합하면, 와이어(20)는 패스너의 천장고정부재(50)에 의해 일단부가 천장에 고정되고, 패스너의 소켓고정부재(40)에 의해 타단부가 소켓(10)에 일체적으로 체결됨으로써, 소켓(10)에 결합되는 전등(LP)에 전기를 인가하는 동시에 전등(LP)이 천장에 매달려 지지되는 지지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전등(LP)은 단일화된 와이어(20) 및 전도체(30) 및 패스너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전등용 행거(100)에 의해 천장에 매달려 고정되는 동시에 전기를 인가받아 조명을 발산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 소켓 13 : 접속단자 15 : 통전와이어부재
20 : 고정와이어 30 : 전도체 31 : 메인도체
31a : 메인피복 33 : 서브도체 33a : 서브피복
35 : 터미널 40 : 소켓고정부재 41 : 소켓고정판
43 : 소켓고정블록 43a : 소켓절연블록 43b : 소켓체결블록
50 : 천장고정부재 51 : 현수판 53 : 현수블록
53a : 천장절연블록 53b : 천장체결블록

Claims (6)

  1. 삭제
  2. 천장의 전극터미널에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조명을 제공하는 전등을 통전가능한 상태로 천장에 현수하는 전등용 행거에 있어서,
    상기 전등이 결합되는 소켓;
    상기 소켓에 일측이 연결되고, 천장에 타측이 고정되어 소켓을 천장에 현수시키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와 동축을 이루면서 와이어에 동일체로 마련되고, 천장의 상기 전극터미널에서 인가되는 양전류 및 음전류를 절연상태로 상기 소켓에 제각기 공급하는 전도체; 및
    상기 전도체가 마련된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를 천장 및 상기 소켓에 제각기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체는,
    상기 와이어를 따라서 와이어의 외주면에 적층되고, 상기 전극터미널에서 인가되는 전류를 상기 소켓에 공급하며, 양단부가 전극터미널 및 소켓에 통전가능하게 제각기 연결되는 메인도체;
    상기 메인도체의 표면을 차폐하여 절연하는 메인피복;
    상기 메인피복을 따라서 메인피복의 외주면에 적층되고, 상기 전극터미널에서 인가되는 전류를 상기 소켓에 공급하며, 양단부가 전극터미널 및 소켓에 통전가능하게 제각기 연결되는 서브도체; 및
    상기 서브도체의 표면을 차폐하여 절연하는 서브피복;을 포함하는 전등용 행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체 및 서브도체는, 양단부에 제각기 마련된 터미널을 통해 상기 전극터미널 및 소켓에 통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용 행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소켓을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소켓고정부재;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소켓고정부재와 대향하고, 천장에 부착되어 와이어의 타단부를 천장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천장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전등용 행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고정부재는,
    상기 소켓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가 관통되는 소켓고정판; 및
    상기 소켓고정판의 일측에 마련되고, 블록형태로 형성되어 소켓고정판을 관통한 상기 와이어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며, 소켓고정판에 걸려서 소켓고정판으로부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소켓고정블록;을 포함하는 전등용 행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고정부재는,
    천장에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가 관통되어 현수되는 현수판; 및
    상기 현수판의 일측에 마련되고 블록형태로 형성되어 현수판을 관통한 상기 와이어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며, 현수판에 걸려서 와이어를 현수판에 현수시키는 현수블록;을 포함하는 전등용 행거.
KR1020100051769A 2010-06-01 2010-06-01 전등용 행거 KR101160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769A KR101160667B1 (ko) 2010-06-01 2010-06-01 전등용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769A KR101160667B1 (ko) 2010-06-01 2010-06-01 전등용 행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999A KR20110131999A (ko) 2011-12-07
KR101160667B1 true KR101160667B1 (ko) 2012-06-28

Family

ID=45500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769A KR101160667B1 (ko) 2010-06-01 2010-06-01 전등용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6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3981B2 (en) 2013-04-15 2015-09-15 Pendant Systems Manufacturing Co. Hanger system for suspendible illuminated fixtures
CN107477435A (zh) * 2017-08-16 2017-12-15 易丽娟 一种无导线连接的新型灯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660Y1 (ko) * 2003-05-03 2003-08-14 김종열 천정설치용 등기구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660Y1 (ko) * 2003-05-03 2003-08-14 김종열 천정설치용 등기구 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999A (ko)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7780B2 (en) Conductive cable system for suspending a low voltage luminaire assembly
US8246204B2 (en) Cover assembly for light emitting diodes
KR101520730B1 (ko) 조명 결합장치
KR101160667B1 (ko) 전등용 행거
JP6772149B2 (ja) 電気装置のための二重導体懸架システム
JP2013045546A (ja) 照明器具
CN209245733U (zh) 一种led灯具结构
JPS628082Y2 (ko)
KR100825987B1 (ko) 펜던트형 조명기구 및 이에 적용되는 천정 부착형 브라켓
CN204829406U (zh) 照明装置
CN203309599U (zh) 一种照明灯具
JP2018101611A (ja) 照明器具
CN104456340B (zh) 一种照明灯具
CN207865315U (zh) 一种可承重吊装的透明组合导线
CN221122058U (zh) 一种无线灯杆吊灯结构
CN209782440U (zh) 一种带有支撑底座的竖纹球灯
JP2005346960A (ja) 電線コード及びそれを用いた吊り下げ式照明装置
CN206846656U (zh) 新型灯具导电连接结构及灯具
RU138940U1 (ru) Система внутриклеточного освещения для птицеводства
CN206072897U (zh) 一种新型云梯类固定供电结构
JP2011146186A (ja) ライティングダクト
KR200392952Y1 (ko)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수족관 수중조명 장치
CN109282254A (zh) 一种灯具用内部电气元件安装架
JP2024071289A (ja) 照明器具
KR20130011106A (ko) 현수선과 전선이 일체로 된 현수 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