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493B1 -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493B1
KR101160493B1 KR1020090073368A KR20090073368A KR101160493B1 KR 101160493 B1 KR101160493 B1 KR 101160493B1 KR 1020090073368 A KR1020090073368 A KR 1020090073368A KR 20090073368 A KR20090073368 A KR 20090073368A KR 101160493 B1 KR101160493 B1 KR 101160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propulsion
unit
user
sho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5918A (ko
Inventor
고국주
Original Assignee
고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국주 filed Critical 고국주
Priority to KR1020090073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493B1/ko
Priority to PCT/KR2010/005224 priority patent/WO2011019181A2/ko
Publication of KR20110015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1/00Swimming aids
    • A63B31/08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 A63B31/10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or feet
    • A63B31/11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or feet attachable only to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1/00Swimming ai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1/00Swimming aids
    • A63B31/08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 A63B31/10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or feet
    • A63B31/11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or feet attachable only to the feet
    • A63B2031/112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or feet attachable only to the feet with means facilitating walking, e.g. rectractable, detachable or pivotable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1/00Swimming aids
    • A63B31/08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 A63B31/14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with valve-fl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Toy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는 사용자의 발을 전체적으로 지탱하면서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탈착홈이 형성된 지탱부와 탈착홈과 결합되거나 탈착홈과 분리되며, 탈착홈과 결합되는 경우 수중에서 움직이는 사용자의 발 동작에 따라 제1 각도와 제1 각도와 다른 제2 각도 사이를 동작하여 사용자를 앞으로 진행시키는 추진부를 포함한다.
오리발, 물갈퀴, 추진

Description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Unit of Multifunctional Flippers}
본 발명은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물갈퀴 또는 오리발 등은 사용자가 수중에서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전진 및 방향 전환을 도와주는 것으로서, 수영하거나 잠수 활동을 할 때 발에 착용하여 발 동작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수영 보조 장비의 하나이다.
이러한 물갈퀴 또는 오리발 등은 수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각도로 변화되지 않아 다양한 기능으로 사용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수중에서 사용자의 발 동작에 따라 추진부의 각도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하여 수중에서 빠르면서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는 사용자의 발을 전체적으로 지탱하면서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탈착홈이 형성된 지탱부와 탈착홈과 결합되거나 탈착홈과 분리되며, 탈착홈과 결합되는 경우 수중에서 움직이는 사용자의 발 동작에 따라 제1 각도와 제1 각도와 다른 제2 각도 사이를 동작하여 사용자를 앞으로 진행시키는 추진부를 포함한다.
또한, 추진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형성하고, 홀은 추진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용 홀과 추진부를 고정하는 고정용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진부는 추진부의 일측에 탈착홈에 삽입하여 결합되면서 추진부가 제1 각도와 제2 각도 사이를 동작하도록 하는 추진 탈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진부의 너비는 지탱부의 너비보다 넓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탱부와 추진부를 서로 연결하여 추진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탱부는 각도 조절 밴드를 고정하는 밴드 고정홈을 포함하고, 각도 조절 밴드는 밴드 고정홈과 각도 조절용 홀을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각도와 제2 각도의 차이는 50도 이상 150도 이하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탱부는 지탱부의 사이드 측면에 밴드 고정홈을 관통하는 고정 홀과 지탱부의 사이드 측면에 탈착홈을 관통하는 탈착 홀을 형성하고, 고정 홀에 삽입되는 고정 핀과 탈착 홀에 삽입되는 탈착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홀 또는 탈착 홀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진부는 지탱부와 중첩되어 위치하지 않는 양 측면에 추진부의 각도를 제한하는 각도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진부와 추진 탈착부 간의 간격이 변화함에 따라 추진부가 동작할 수 있는 각도가 변화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진부는 지탱부와 맞닿는 부분인 추진 접촉부를 포함하고, 추진 접촉부와 지탱부가 접촉하여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는 수중에서 사용자의 발동작에 따라 추진부의 각도가 변화함에 따라 사용자가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는 추진부의 각도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하여 물을 박차고 나가게 함으로서 추진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탈착핀을 통해 추진부를 용이하게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탈착홈을 형성함에 따라,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를 분해하여 설명한 것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지탱부와 추진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100)는 지탱부(110)와 추진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탱부(110)는 사용자의 발을 전체적으로 지탱하면서 일면(110a)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탈착홈(11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지탱부(11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100)를 동작하면서도 사용자의 발 또는 사용자가 신는 신발을 견고하게 지탱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탱부(110)의 일면(110a)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다. 지탱부(110)에 형성된 홈은 밴드 고정홈(112)과 탈착홈(1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밴드 고정홈(112)은 후술할 각도 조절 밴드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고, 탈착홈(111) 후술할 추진부(120)와 체결되어 추진부(120)를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탱부(110)는 탈착홈(111)이 형성된 반대 면인 타면에는 착용부(11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착용부(110b)는 사용자의 발 또는 사용자가 신는 신발 등을 둘러싸면서 착용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지탱부(110)는 사용자가 신는 신발과 직접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지탱부(110)는 고정홀(114a)과 탈착홀(113a)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지탱부(110)는 지탱부(110)의 사이드 측면에 밴드 고정홈(112)을 관통하는 고정홀(114a)을 형성하고 고정홀(114a)에 삽입되는 고정핀(114)을 포함하고, 지탱부(110)의 사이드 측면에 탈착홈(111)을 관통하는 탈착홀(113a)을 형성하고 탈착홀(113a)에 삽입되는 탈착핀(113)을 포함하는 것이다.
추진부(120)는 탈착홈(111)과 결합되거나 탈착홈(111)과 분리되며, 탈착홈(111)과 결합되는 경우 수중에서 움직이는 사용자의 발 동작에 따라 제1 각도와 제1 각도와 다른 제2 각도 사이를 동작하여 사용자를 앞으로 진행시키는 것이다. 즉, 사용자는 평소에는 추진부(120)를 탈착홈(111)에서 분리시켜 신발 또는 샌들 등으로 사용하고, 바닷가 또는 강가 등에서 물놀이 등을 할 경우에는 추진부(120)를 탈착홈(111)에 결합하여 수중 신발 등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추진부(120) 는 수중에서 움직이는 사용자의 발 동작에 따라 추진부(120)의 동작 각도를 달리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추진부(120)는 추진부(120)의 일측에 탈착홈(111)에 삽입하여 결합되면서 추진부(120)가 제1 각도와 제2 각도 사이를 동작하도록 하는 추진 탈착부(121)를 형성하는 것이다. 즉, 추진부(120)는 추진 탈착부(121)를 형성하여 지탱부(110)에 형성된 탈착홈(111)에 삽입함으로써, 지탱부(110)에 추진부(120)를 용이하게 체결시킬 뿐만 아니라 수중에서 추진부(120)가 소정의 각도로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추진부(120)는 추진 탈착부(121)가 형성된 추진부의 일측 중 추진 탈착부(121)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추진 접촉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추진 접촉부(124)는 지탱부(110)와 접촉되어 추진부(120)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추진부(120)에 형성된 추진 탈착부(121)와 추진 접촉부(124)를 통해 사용자는 추진부(120)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추진 탈착부(121)는 추진부(120)와의 간격(A)을 다르게 함으로써, 지탱부(110)와 추진부(1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추진 탈착부(121)를 관통하여 탈착핀(113)이 배치됨으로써, 추진부(120)와 지탱부(110)를 더욱 견고하게 체결하는 동시에 수중에서 사용자의 발 동작에 따라 더욱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추진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형성하고, 추진부(120)에 형성된 홀은 추진부(12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용 홀(122)과 추진부(120)를 고정하는 고정용 홀(123)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추진부(120)에 형성된 각도 조절용 홀(122)은 밴드 고정홈(112)에 고정된 각도 조절 밴드와 연결되어 수중에서 움직이는 사용자의 발동작에 따라 지탱부(110)와 추진부(120) 간의 각도를 각도 조절 밴드의 길이 및 탄성에 의해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고정용 홀(123)은 밴드 고정홈(112) 또는 지탱부(110)와 추진부(120)를 체결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오리발의 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다.
게다가 사용자가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100)를 동작시키는 동안 추진부(120)에 형성된 고정용 홀(123) 또는 각도 조절용 홀(122)을 통해 수중 압력을 받은 물 일부가 통과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종래의 수중 신발 장치를 사용할 때 보다 힘을 덜 사용하면서도 원활하게 앞으로 나갈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추진부(120)의 너비는 지탱부(110)의 너비보다 넓을 수 있다. 또한, 추진부(120)의 길이는 지탱부(11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진부(120)를 지탱부(110)보다 더 넓고 길게 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수중 신발 장치를 동작할 때 추진부(120)의 추진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즉, 추진부(120)가 물과 닿는 면적이 증가할수록 추진력도 증가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지탱부(110)보다 넓고 길게 형성된다면 추진부(120)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100)는 사용자의 발 동작에 따라 제1 각도와 제1 각도와 다른 제2 각도 사이를 동작하여 사용자를 앞으로 진행시킨다. 여기 도 5에서 a는 추진부(120)의 동작 전이고, b에서 d는 추진부(120)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즉, 추진 탈착부(121)와 추진부(120) 간의 간격(A)이 다르면 지탱부(110)와 추진부(120) 사이의 각도가 바뀔 수 있다.
다시 말해, 추진 탈착부(121)와 추진부(120) 간의 간격(A)이 짧으면 지탱부(110)와 추진부(120) 사이의 각도가 작아지고, 추진 탈착부(121)와 추진부(120) 간의 간격(A)이 길어지면 지탱부(110)와 추진부(120) 사이의 각도가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d 에 도시된 지탱부(110)와 추진부(120)의 사이의 각도는 b 에 도시된 지탱부(110)와 추진부(120)의 사이의 각도보다 크며, 추진 탈착부(121)와 추진부(120) 간의 간격(A)이 긴 것이다. 이에 따라, 추진 탈착부(121)와 추진부(120) 간의 간격(A)에 따라 지탱부(110)와 추진부(120)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최대 각이 바뀔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운동량 또는 주변의 환경에 따라 추진 탈착부(121)와 추진부(120) 간의 간격(A)이 다른 추진부(120)를 지탱부(110)에 장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수중에서 발목을 펴서 사용자의 종아리와 실질적으로 평행을 유지하면서 동작할 경우와 사용자가 수중에서 발목을 펴지 않고 사용자의 종아리와 실질적으로 직각을 유지하면서 동작할 경우에 따라 추진 탈착부(121)와 추진부(120) 간의 간격(A)이 다른 추진부(120)를 지탱부(110)에 장착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추진 탈착부와 추진부(120) 간의 간격을 통해 형성된 지탱부(110)와 추진부(120)의 사이의 각도인 제1 각도와 제2 각도의 차이는 50도 이상 150도 이하인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각도와 제2 각도의 차이를 50도 이상 150도 이하로 함으로써, 수중에서 사용자의 발 동작에 따라 추진부(120)와 물이 접하는 면적을 최대로 하거나 최소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더욱 빠르고 추진력 있게 나아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탱부(110)와 추진부(120)의 사이의 각도인 제1 각도와 제2 각도의 차이를 a와 같이 0도로 하면, 종래의 오리발과 같은 동작 기능을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지탱부(110)와 추진부(120)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수중에서 빠르게 앞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각도 조절 밴드가 장착되어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a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각도 조절 밴드(130)가 지탱 부(110)와 추진부(120) 사이에 배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지탱부(110)는 지탱부(110)의 사이드 측면에 밴드 고정홈(112)을 관통하는 고정홀(114a)을 형성하고 고정홀(114a)에 삽입되는 고정핀(11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추진부(120)는 각도 조절용 홀(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각도 조절 밴드(130)의 일단은 고정홀(114a)에 삽입된 고정핀(114)과 체결되어 고정되고, 각도 조절 밴드(130)의 타단은 추진부(120)의 각도 조절용 홀(122)과 체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탱부(110)와 추진부(120) 사이에 각도 조절 밴드(130)를 배치함으로써, 추진부(120)의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6b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각도 조절 밴드(130)가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a)는 지탱부(110)와 추진부(120)의 각도가 실질적으로 0도 또는 물의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추진부의 각도가 스스로 변하며 형성하고 있는 것이고, 이는 수중에서 사용자의 발 동작이 아래에서 위로 물을 차 미는 동작할 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탱부(110)와 추진부(120)가 서로 밀착 또는 물의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추진부의 각도가 스스로 변하기 때문에 물을 차 밀고 되돌아 올 때는 수중에서 물의 저항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b)는 지탱부(110)와 추진부(120)의 각도가 각도 조절 밴드(130)에 의해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고, 이는 수중에서 사용자의 발 동작이 진행 방향의 반대쪽으로 차 밀 때에 위에서 아래로 동작할 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중에서 물을 아래로 밀어낼 때, 지탱부(110)와 추진부(120)가 각도 조절 밴 드(130)의 길이 및 탄성에 의해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발 동작보다 더 크게 추진부(120)를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중에서 물을 더 많이 밀어낼 수 있는 것이다.즉, 사용자의 발 동작을 하는 각도보다 각도 조절 밴드(130)의 탄성에 의해 추진부(120)가 동작하는 각도가 더 커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커진 각도만큼 추진부(120)는 물을 더 많이 밀어낼 수 있기 때문에 추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추진부(120)가 장착되어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a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추진부(120)는 각도 제한부(13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도 제한부(130a)는 지탱부(110)와 중첩되어 위치하지 않는 양 측면에 배치되어 추진부(120)의 각도를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지탱부(110)는 지탱부(110)의 사이드 측면에 밴드 고정홈(112)을 관통하는 고정홀(114a)을 형성하고 고정홀(114a)에 삽입되는 고정핀(11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추진부(120)는 추진부(120)의 양 측면에 각도 제한부(13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각도 제한부(130a)는 고정홀(114a)에 삽입된 고정핀(114)과 체결되어 추진부(120)의 각도를 제한하는 것이다.
도 7b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각도 제한부(130a)가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a)는 지탱부(110)와 추진부(120)의 각도가 실질적으로 0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고, 이는 수중에서 사용자의 발 동작이 아래에서 위로 동작할 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탱부(110)와 추진부(120)가 서로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수중에서 물을 용이하게 밀어낼 수 있다.
(b)는 지탱부(110)와 추진부(120)의 각도가 각도 제한부(130a)에 의해서 소정의 각도로 제한된 것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고, 이는 수중에서 사용자의 발 동작이 위에서 아래로 동작할 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중에서 물을 아래로 밀어낼 때, 지탱부(110)와 추진부(120)가 각도 제한부(130a)에 의해서 각도가 제한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발 동작보다 더 크게 추진부(120)를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중에서 물을 더 많이 밀어낼 수 있는 것이다.
즉, 사용자의 발 동작을 하는 각도보다 각도 제한부(130a)에 의해서 제한된 추진부(120)가 동작하는 각도가 더 커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커진 각도만큼 추진부(120)는 물을 더 많이 밀어낼 수 있기 때문에 추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탱부의 일면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지탱부의 일면(210a, 310a, 410a)을 다양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에서는 지탱부(110)의 일면(110a)에 탈착홈(111)과 밴드 고정홈(112)이 각각 한 개씩 형성된 것을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탈착홈(211a 내지 211e)과 밴드 고정홈(212a 내지 212e)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탈착홈(211a 내지 211e)이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면 탈착홈(211a 내지 211e)에 삽입되는 추진 탈착부(121)도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지탱부(110)에 형성된 탈착홈(211a 내지 211e)의 개수와 추진부(120)에 형성되는 추진 탈착부(121)의 개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다.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탈착홈(211a 내지 211e)과 밴드 고정홈(211a 내지 211e)에 대한 기능 및 효과는 앞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도 8에 도시된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100)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탱부의 일면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에서는 지탱부(110)의 일면(110a)에 탈착홈(111)과 밴드 고정홈(112)이 각각 한 개씩 형성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살펴보면,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탱부(510,610)의 일면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지탱부(510)의 일부에 탈착홈(511)을 하나만 형성하는 것이다. 즉, 지탱부(510)에 하나의 탈착홈(511)이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탈착홈(511)이라 표현했으나 밴드 고정홈일 수도 있는 것이다. 도 9의 (a)는 지탱부(510)의 일부에 탈착홈(511)이 하나만 길게 형성된 것이고, 도 9의 (b)는 지탱부(610)의 일부에 탈착홈(611,612) 두 개가 나란하게 길게 형성된 것이다.
또한, 지탱부(510,610)는 지탱부(510,610)의 사이드 측면에 탈착홈(511,611,612)을 관통하는 탈착홀(512,613)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았지만 탈착홀(512,613)에 삽입되는 탈착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탈착홀(512,613)은 고정홀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지탱부(510,610)의 일면에 탈착홈(511,611,612)을 길게 형성하면서 지탱부(110)의 사이드 측면에 탈착홀(512,613)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 따라 추진부를 체결하는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추진력을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사용자에 따라 추진부를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서로 다른 운동 신경을 가진 사용자에게 맞게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운동 신경과 실질적으로 맞게 체결된 추진부를 통해 추진력이 효율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추진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추진부를 다양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지탱부(710)에는 추진 탈착부(721)가 형성된 추진부(720)의 일측과 반대 측인 추진부(720)의 타측에 고리형상(722)이 형성되고, 추진부(720)가 아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물속에서 사용자가 추진부(720)를 사용할 때 물의 저항을 효율적으로 컨트롤 할 수 있다. 즉, 추진부(720)가 아치 형상이기 때문에 물의 저항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진부(720)의 타측에 형성된 고리형상(722)에 의해 사용자가 진행하려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물을 밀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진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0의 (b) 에 도시된 지탱부(810)에는 추진 탈착부(821)가 형성된 추진부(820)의 일측과 반대 측인 추진부(820)의 타측에 고리형상(822)이 형성되고, 추진부(820)의 일부가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물속에서 사용자가 추진부(820)를 사용할 때 물과 접하는 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즉, 추진부(820)의 일부가 구부러진 형상이기 때문에 물과 접하는 면적이 넓을 뿐만 아니라 구부러진 형상으로 물의 저항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효율적으로 추진부(8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속 또는 물에서 자기가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는 추진부의 각도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하여 물을 박차고 나가게 함으로서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수중에서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는 지탱부 제작 시 바닥에 쿠션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착핀을 통해 추진부를 용이하게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탈착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오리 발보다 성능은 다양하면서 신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를 분해하여 설명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지탱부와 추진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각도 조절 밴드가 장착되어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추진부가 장착되어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탱부의 일면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탱부의 일면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추진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 110: 지탱부
111: 탈착홈 112: 밴드 고정홈
120: 추진부 121: 추진 탈착부
122: 각도 조절용 홀 123: 고정용 홀
130: 각도 조절 밴드 130a: 각도 제한부

Claims (12)

  1. 사용자의 발을 전체적으로 지탱하면서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탈착홈이 형성된 지탱부;와
    상기 탈착홈과 결합되거나 상기 탈착홈과 분리되며, 상기 탈착홈과 결합되는 경우 수중에서 움직이는 상기 사용자의 발 동작에 따라 제1 각도와 상기 제1 각도와 다른 제2 각도 사이를 동작하여 상기 사용자를 앞으로 진행시키는 추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진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은 상기 추진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용 홀과 상기 추진부를 고정하는 고정용 홀을 포함하는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는 상기 추진부의 일측에 상기 탈착홈에 삽입하여 결합되면서 상기 추진부가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 사이를 동작하도록 하는 추진 탈착부를 형성하는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의 너비는 상기 지탱부의 너비보다 넓은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탱부와 상기 추진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추진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밴드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지탱부는 상기 각도 조절 밴드를 고정하는 밴드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 밴드는 상기 밴드 고정홈과 상기 각도 조절용 홀을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
  7. 삭제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지탱부는 상기 지탱부의 사이드 측면에 상기 밴드 고정홈을 관통하는 고정 홀과 상기 지탱부의 사이드 측면에 상기 탈착홈을 관통하는 탈착 홀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 홀에 삽입되는 고정 핀과 상기 탈착 홀에 삽입되는 탈착 핀을 포 함하는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홀 또는 탈착 홀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는 상기 지탱부와 중첩되어 위치하지 않는 양 측면에 상기 추진부의 각도를 제한하는 각도 제한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
  11.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와 상기 추진 탈착부 간의 간격이 변화함에 따라 상기 추진부가 동작할 수 있는 각도가 변화되는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는 상기 지탱부와 맞닿는 부분인 추진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진 접촉부와 상기 지탱부가 접촉하여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는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
KR1020090073368A 2009-08-10 2009-08-10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 KR101160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368A KR101160493B1 (ko) 2009-08-10 2009-08-10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
PCT/KR2010/005224 WO2011019181A2 (ko) 2009-08-10 2010-08-10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368A KR101160493B1 (ko) 2009-08-10 2009-08-10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918A KR20110015918A (ko) 2011-02-17
KR101160493B1 true KR101160493B1 (ko) 2012-06-28

Family

ID=43586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368A KR101160493B1 (ko) 2009-08-10 2009-08-10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60493B1 (ko)
WO (1) WO201101918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736B1 (ko) * 2018-12-10 2020-03-04 (주)동진포리텍 기능성 신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4986A (en) * 1988-09-19 1989-12-05 Yoram Gil Swimmer's propulsion aid
KR19980054589U (ko) * 1996-12-31 1998-10-07 최한수 발에 착용하는 수영 추진기
US6227923B1 (en) * 1999-02-19 2001-05-08 Carroll L. Johnson Foot propulsion device for float tube users
JP2009148526A (ja) * 2007-12-21 2009-07-09 Akito Nagayama 腓返り防止足ひ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1621A (en) * 1994-02-23 1996-07-02 Johnson; Carroll L. Forward propelling, retractable float tube fin, with automatic propulsion vanes
HRP20060199A2 (en) * 2006-05-31 2008-02-29 Maksan Zoran Foldable divers flipp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4986A (en) * 1988-09-19 1989-12-05 Yoram Gil Swimmer's propulsion aid
KR19980054589U (ko) * 1996-12-31 1998-10-07 최한수 발에 착용하는 수영 추진기
US6227923B1 (en) * 1999-02-19 2001-05-08 Carroll L. Johnson Foot propulsion device for float tube users
JP2009148526A (ja) * 2007-12-21 2009-07-09 Akito Nagayama 腓返り防止足ひ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918A (ko) 2011-02-17
WO2011019181A3 (ko) 2011-06-16
WO2011019181A2 (ko)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6538B2 (en) Beach sandal
US10709198B2 (en) Sole structure and shoe including same
US20100075554A1 (en) Swim fins
KR101121540B1 (ko)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
JP2001259078A (ja) 水泳用フリッパー
WO2018116874A1 (ja) シューズ
CN112888334B (zh) 与鞋同穿的脚蹼
KR101160493B1 (ko) 다기능 수중 신발 장치
US7287776B2 (en) Snowboard binding
KR20070021354A (ko)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
US20110014830A1 (en) Swimming shoe
JP6263158B2 (ja) 水泳用足ひれ
KR102058653B1 (ko) 헬멧용 피팅 시스템
KR20220122014A (ko) 기능성 헬쓰 슈즈
TW202003074A (zh) 具有次葉片組之蛙鞋
JP6439264B2 (ja) 歩行補助装置
CN210901592U (zh) 一种可调节鞋面长度的拖鞋
KR101730540B1 (ko) 신발 체결용 오리발
KR20070009277A (ko)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
CN219206068U (zh) 鞋底结构和使用该鞋底结构的鞋
KR102528084B1 (ko) 기능성 신발
JP2005137580A (ja) スノーボード用ビンディング
KR20030009647A (ko) 수영 보조용 신발
JP3104020U (ja) 水泳用ゴーグル
EP3574961A1 (en) Fin with secondary blade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