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914B1 -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914B1
KR101159914B1 KR20090057905A KR20090057905A KR101159914B1 KR 101159914 B1 KR101159914 B1 KR 101159914B1 KR 20090057905 A KR20090057905 A KR 20090057905A KR 20090057905 A KR20090057905 A KR 20090057905A KR 101159914 B1 KR101159914 B1 KR 101159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aggregate
concrete composition
coarse aggregate
particl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57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436A (ko
Inventor
서홍규
박병철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90057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914B1/ko
Publication of KR20110000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9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61Ashes from fluidised bed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76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grain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4Underwat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로 제강공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인 산화 슬래그를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의 잔골재 및 굵은골재로 활용하여 강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은 1) 물, 2) 시멘트, 3) 입도가 각각 5mm 미만인 슬래그(slag) 및 바텀애쉬(bottom ash)를 포함하는 잔골재, 4) 입도가 5 내지 20mm인 슬래그를 포함하는 굵은골재, 및 5) 슬래그 및 바텀애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석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기로 산화 슬래그를 포함하는 잔골재, 굵은골재, 석분 등을 이용함으로써, 강도 향상 및 원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CONCRETE COMPOSITION COMPRISING SLAG}
본 발명은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로 제강공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인 산화 슬래그를 콘크리트 조성물의 잔골재, 굵은골재 및 석분으로 활용하여 강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래그(slag)는 용광로, 전기로, 큐폴라 등에서 철광석이나 스크랩을 녹일 때 쇳물 위에 뜨거나 찌꺼기로 남는 용제, 비금속 물질, 금속 산화물 등을 지칭한다.
상기 슬래그는 원료 용융시 용강의 표면 위에 떠서 용강 표면이 공기에 의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표면을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수거된 슬래그는 도로 노반재, 시멘트 혼화제, 토목용 재료 및 콘크리트용 골재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골재는 모르타르(mortar) 또는 콘크리트(concrete)를 만들기 위하여 시멘트 및 물과 함께 일체로 굳어지는 불활성의 입상재료인 모래, 자갈, 쇄석 등을 말한다. 즉, 결합제(접착제)에 의하여 뭉쳐져서 한 덩어리를 이룰 수 있는 건설용 광물질 재료를 말한다. 상기 골재의 용적은 콘크리트의 65 ~ 80%를 차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골재 품질의 양부는 콘크리트의 중요한 성질인 강도, 내구성, 수밀성, 워커빌리티(workability) 등에 대단히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자갈, 쇄석, 부순돌, 부순모래, 천연모래 등과 같은 콘크리트용 천연골재가 고갈, 부족할 뿐만 아니라, 향후에는 하천 유지관리, 환경보존 및 군사보호구역 설정에 따른 하천골재 채취 및 석산개발 제한조치 등 엄격한 규제가 잇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제조시 주요 구성성분으로 사용되는 골재에 대한 대체재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의 전기로 산화 슬래그를 경계석용 콘크리트의 천연골재의 대체재로서 적용시키는 기술에 대해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인 바,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로 제강공정에서 부산물로 배출된 산화 슬래그를 콘크리트의 천연골재에 대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강도 향상 및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물, 2) 시멘트, 3) 입도가 각각 5mm 미만인 슬래그(slag) 및 바텀애쉬(bottom ash)를 포함하는 잔골재, 4) 입도가 5 내지 20mm인 슬래그를 포함하는 굵은골재, 및 5) 슬래그 및 바텀애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석분을 포함하는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호안블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기로의 조업시 발생된 부산물인 산화 슬래그를 콘크리트용 잔골재, 굵은골재, 석분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콘크리트 조성물을 구성하는 잔골재, 굵은골재, 석분 등을 전기로 산화 슬래그로 대체함으로써, 호안블럭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품질을 높일 수 있으며, 기존의 천연골재 대체제로서 슬래그와 같은 철강 부산물을 재활용하므로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에 따라 천연골재 수입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원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도가 큰 굵은골재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슬래그를 골재로서의 적용을 위한 슬래그 파쇄/선별공정 등을 줄일 수 있으므로,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해안이나 하천, 호수, 수로변 등에는 제방이 구축되고, 상기 제방에는 파도나 유속에 의한 제방 유실의 방지를 위해 여러 가지 형태와 크기의 호안용 블록이 설치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호안블럭은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제조되어 왔다.
특히, 본 발명은 전기로의 조업시 발생된 부산물인 산화 슬래그를 콘크리트용 잔골재, 굵은골재, 석분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인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은 1) 물, 2) 시멘트, 3) 입도가 각각 5mm 미만인 슬래그(slag) 및 바텀애쉬(bottom ash)를 포함하는 잔골재, 4) 입도가 5 내지 20mm인 슬래그를 포함하는 굵은골재, 및 5) 슬래그 및 바텀애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석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1) 물 및 2) 시멘트에 대한 내용은 당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내용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종래의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어서, 천연골재의 대체재로서 석탄연소 후 발생되는 부산물인 바텀애쉬를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바텀애쉬를 이용한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은 강도 등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부순골재, 석분 등이 추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콘크리트 조성물의 배합비는 하기 표 1과 같다.
Figure 112009039128950-pat00001
그러나, 상기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어서, 천연골재의 대체재로서 상기 바텀애쉬만을 이용한 경우에는 강도가 평균 26 내지 27MPa 정도에 불과한 실정이다. 또한, 상기 바텀애쉬만을 이용한 경계석용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어서, 시멘트 양을 추가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강도를 높일 수는 있으나, 이는 경제성 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slag)는 용광로, 전기로, 큐폴라 등에서 철광석이나 스크랩을 녹일 때 쇳물 위에 뜨거나 찌꺼기로 남는 용제, 비금속 물질, 금속 산화물 등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전기로 산화 슬래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슬래그가 콘크리트 조성물 내에 잔골재 및 굵은골재로서 포함되는 경우에는 슬래그 내에 함유된 함철의 영향으로 인해 콘크리트 제품의 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1) 물의 함량은 2 내지 20 중량%, 2) 시멘트의 함량은 5 내지 30 중량%, 3) 잔골재의 함량은 30 내지 60 중량%, 4) 굵은골재의 함량은 10 내지 40 중량% 및 5) 석분의 함량은 5 내지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3) 잔골재의 슬래그 및 바텀애쉬는 입도가 각각 5mm 미만일 수 있고, 1 내지 5mm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3) 잔골재 내 슬래그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3) 잔골재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99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 잔골재 내 슬래그의 함량은 상기 3) 잔골재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80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슬래그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KS 규격을 근거로 측정한 값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39128950-pat00002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상기 슬래그는 콘크리트의 골재로서의 권장 기준치를 모든 항목에서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래그는 콘크리트의 골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4) 굵은골재는 입도가 5 내지 20mm인 슬래그 1종을 포함할 수 있고, 입도가 5mm 이상 13mm 미만인 슬래그 1종과 입도가 13mm 이상 20mm 이하인 슬래그 1종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5) 석분의 슬래그 및 바텀애쉬는 입도가 각각 1mm 미만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호안블럭을 제공한다.
상기 호안블럭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될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 2>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으로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39128950-pat00003
< 실험예 1 ~ 2>
상기 실시예 1 ~ 2의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호안블럭을 제조하였다. 각각 3개의 시편을 제조하여 호안블럭의 압축강도 및 휨강도를 시험하였고, 이를 하기 표 4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39128950-pat00004
기준치: 호안블럭 GR F 4004(재령 28일, 21.6MPa)
Figure 112009039128950-pat00005
상기 표 4 및 표 5의 결과로부터, 잔골재, 굵은골재 및 석분으로서 전기로 산화 슬래그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블럭은 기존의 권장 기준치보다 우수한 압축강도 및 휨강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호안블럭은, 잔골재 및 굵은골재로서 바텀애쉬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투입되는 시멘트 양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원가 절감효과 및 자원 재활용의 이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콘크리트 조성물을 구성하는 잔골재, 굵은골재, 석분 등을 전기로 산화 슬래그로 대체함으로써, 호안블럭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품질을 높일 수 있으며, 기존의 천연골재 대체제로서 슬래그와 같은 철강 부산물을 재활용하므로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에 따라 천연골재 수입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원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도가 큰 굵은골재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슬래그를 골재로서의 적용을 위한 슬래그 파쇄/선별공정 등을 줄일 수 있으므로,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6)

  1. 삭제
  2. 1) 물, 2) 시멘트, 3) 입도가 각각 5mm 미만인 슬래그(slag) 및 바텀애쉬(bottom ash)를 포함하는 잔골재, 4) 입도가 5 내지 20mm인 슬래그, 및 5) 슬래그 및 바텀애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석분을 포함하는 굵은골재를 포함하며,
    상기 3) 잔골재 및 4) 굵은골재의 슬래그는 전기로 산화 슬래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 총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1) 물의 함량은 2 내지 20 중량%, 2) 시멘트의 함량은 5 내지 30 중량%, 3) 잔골재의 함량은 30 내지 60 중량%, 4) 굵은골재의 함량은 10 내지 40 중량%, 및 5) 석분의 함량은 5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3) 잔골재 내 슬래그의 함량은 1 내지 99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4) 굵은골재는 입도가 5mm 이상 13mm 미만인 슬래그 1종과 입도가 13mm 이상 20mm 이하인 슬래그 1종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
  6. 삭제
KR20090057905A 2009-06-26 2009-06-26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 KR101159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57905A KR101159914B1 (ko) 2009-06-26 2009-06-26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57905A KR101159914B1 (ko) 2009-06-26 2009-06-26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436A KR20110000436A (ko) 2011-01-03
KR101159914B1 true KR101159914B1 (ko) 2012-06-25

Family

ID=43609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57905A KR101159914B1 (ko) 2009-06-26 2009-06-26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9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616B1 (ko) 2020-06-10 2020-10-07 주식회사 상원그린콘 숯분말을 포함하는 친환경 호안블럭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숯분말을 포함하는 친환경 호안블럭
KR102237759B1 (ko) 2020-08-31 2021-04-07 주식회사에코블럭 페로니켈 슬래그를 함유하는 호안블록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591B1 (ko) * 2011-09-27 2013-11-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기로 산화슬래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2차 제품
KR102610972B1 (ko) * 2023-01-09 2023-12-08 구춘원 페로니켈 슬래그를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옹벽블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0942A (ja) * 1999-11-02 2001-05-15 Engan Kankyo Kaihatsu Shigen Riyou Center:Kk コンクリート組成物
KR100526037B1 (ko) * 2003-06-28 2005-11-08 한국후라이애쉬시멘트공업(주) 바텀 애쉬를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0942A (ja) * 1999-11-02 2001-05-15 Engan Kankyo Kaihatsu Shigen Riyou Center:Kk コンクリート組成物
KR100526037B1 (ko) * 2003-06-28 2005-11-08 한국후라이애쉬시멘트공업(주) 바텀 애쉬를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616B1 (ko) 2020-06-10 2020-10-07 주식회사 상원그린콘 숯분말을 포함하는 친환경 호안블럭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숯분말을 포함하는 친환경 호안블럭
KR102237759B1 (ko) 2020-08-31 2021-04-07 주식회사에코블럭 페로니켈 슬래그를 함유하는 호안블록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436A (ko) 2011-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anzadi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strength concrete incorporating copper slag as coarse aggregate
Shi et al. Utilization of copper slag in cement and concrete
Oluwasola et al.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steel slag in road construction
CN105645895A (zh) 一种镍铁渣超高强混凝土及其制备方法
Sudarvizhi et al. Performance of Copper slag and ferrous slag as partial replacement of sand in Concrete
KR101051097B1 (ko) 슬래그를 이용한 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
KR101839661B1 (ko) 수화 고화체의 제조 방법 및 수화 고화체
KR101159914B1 (ko) 호안블럭용 콘크리트 조성물
CN104261733A (zh) 一种高强度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12225511A (zh) 一种用工程泥土生产的道路基层材料及其制备方法
Cwirzen Properties of SCC with industrial by-products as aggregates
Papayianni et al. Utilization of electric arc furnace steel slags in concrete products
AU2021104088A4 (en) Method for preparing porous lightweight fine aggregate and micropowder from manganese-silicon slag and applications thereof
Singh et al. Investigating the fresh state performance of concrete containing iron slag and recycled concrete aggregates
Pajgade et al. Utilisation of waste product of steel industry
Zhang et al. Use of industrial waste in construction and a cost analysis
Raja et al. Exploring the performance of Fe-Al rich sand in fly ash-based cementitious system in the context of a sustainable built environment
CN105601205A (zh) 一种铸造废砂自密实混凝土
KR101225419B1 (ko) 슬래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Bhardwaj et al. Comprehensive review on utilization of waste foundry sand in concrete
KR101570192B1 (ko) 연속로 공법에 의해 제련된 동제련슬래그를 이용한 phc 파일용 그라우트 조성물
KR20180134505A (ko) 섬유보강 투수블록
Dawood et al. Properties of binary blended cement mortars containing glass powder and steel slag powder
JP4485136B2 (ja) 港湾用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
Ghailan Modified concrete by using a waste material as a coarse aggreg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