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931B1 -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엠피피티 인버터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엠피피티 인버터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931B1
KR101157931B1 KR1020100074949A KR20100074949A KR101157931B1 KR 101157931 B1 KR101157931 B1 KR 101157931B1 KR 1020100074949 A KR1020100074949 A KR 1020100074949A KR 20100074949 A KR20100074949 A KR 20100074949A KR 101157931 B1 KR101157931 B1 KR 101157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inverter
photovoltaic
wired
mpp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2724A (ko
Inventor
유상필
Original Assignee
(주)하이레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레벤 filed Critical (주)하이레벤
Priority to KR1020100074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931B1/ko
Priority to PCT/KR2010/006433 priority patent/WO2012018155A1/ko
Publication of KR20120012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66Regulating electric power
    • G05F1/67Regulating electric power to the maximum power available from a generator, e.g. from solar ce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H02J2300/26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involving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control for photovoltaic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엠피피티(Maximum Power Point Tracking) 기능을 갖는 인버터가 냉각수가 분사된 섹터와 분사되지 않은 섹터 간에 발생되는 온도차에 대한 보정이 가능하도록 개선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엠피피티 인버터의 제어 장치를 개시하며,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엠피피티 인버터의 제어 장치는 태양광 발전 어레이를 영역 별로 분할한 다수의 태양광 발전 어레이 섹터에 각각 설치되어서 냉각수 분사에 대응하여 자신에 해당하는 상기 태양광 발전 어레이 섹터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온도 보정 센서들; 상기 온도 보정 센서들로부터 전송되는 온도 신호로써 보정된 온도 값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온도보정회로; 및 상기 온도보정회로의 보정된 온도값을 참조하여 현재 실행 중인 최대 전력점 추적 동작에 대하여 온도인지 오류 보정을 수행하는 엠피피티 인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엠피피티 인버터의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ING MPPT INVERTOR IN A PHOTOVOLTAIC SYSTEM}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엠피피티(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이하, 'MPPT'라 함) 기능을 갖는 인버터가 냉각수가 분사된 섹터와 분사되지 않은 섹터 간에 발생되는 온도차에 대한 보정이 가능하도록 개선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엠피피티 인버터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은 크게 태양열을 이용하는 방법과 태양광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분된다. 태양열을 이용하는 방법은 태양에 의해 데워진 물 등을 이용하여 난방 및 발전을 하는 방법이며, 태양광을 이용하는 방법은 태양의 빛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킴으로써 이 전기로 각종 기계 및 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태양광 발전이라고 한다.
상술한 방법 중 태양광 발전은 실리콘 결정 위에 n형 도핑을 하여 p-n접합을 한 태양광 전지판에 태양광을 조사하면 광 에너지에 의해 전자-정공에 의한 기전력이 발생하게 되는 광기전력 효과(Photovoltaic Effect)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하여 태양광을 집광하기 위한 태양전지(Solar Cell), 태양전지의 집합체인 태양광 발전 패널(photovoltaic Pannel) 및 태양광 발전 패널을 집합한 태양광 발전 어레이(solar array) 등이 요구된다.
일례로, 외부에서 빛이 태양 전지에 입사되면 p형 반도체의 전도대(conduction band)의 전자(electron)가 입사된 광에너지에 의해 가전자대(valance band)로 여기되고, 이렇기 여기된 전자는 p형 반도체 내부에 한 개의 전자-정공쌍(electron hole pair; EHP)을 형성하게 되며, 이렇게 발생된 전자-정공쌍 중 전자는 p-n 접합 사이에 존재하는 전기장(electron field)에 의해 n형 반도체로 넘어가게 되어 외부에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태양광은 화석원료 등의 기존 에너지원과는 달리 지구 온난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 배출, 소음, 환경파괴 등의 위험성이 없는 청정 에너지원이며 고갈의 염려도 없다. 또한 여타 풍력이나 해수력과 달리 태양광 발전 설비는 설치가 자유롭고 유지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 설비에 있어서, 태양 전지가 최고의 전력을 생성할 때의 전류 및 전압을 최고 전력점이라 하는데, 최고 전력점은 도 1과 같이 전류 및 전압을 센싱하여 체크할 수 있으며, 온도에 따른 최고 전력점을 추적하여 태양광 발전 설비가 최고 전력량을 생성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술이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기술이다. 상기한 MPPT 기술을 이용하면 태양광 발전 설비의 전기 효율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온도에 따른 출력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태양광 발전 설비에 많이 도입되고 있다.
태양광 발전 설비에 도입되는 MPPT 기술에 의하여 최대의 전력량을 얻어내기 위하여 추적하는 커브는 도 2를 참조할 수 있으며, 도 2에서 'MPP'는 최대 전력점을 의미하며 'CV MPPT'는 MPPT 커브를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온도에 따라서 전력 생산량이 달라짐을 알 수 있으며, 온도에 따른 커브가 추적에 적용됨을 알 수 있다.
한편, 태양과 발전 설비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리콘 태양전지의 경우 온도가 올라갈 경우 1℃ 당 0.5%의 출력 감소가 발생한다. 이러한 온도 상승은 태양광 발전 설비의 발전 효율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온도 상승에 의한 효율 저하를 막기 위하여 태양광 발전 설비에는 냉각 장치가 채용되고 있으며, 냉각 장치는 냉각수를 가압하여 태양광 발전 어레이에 분사함으로써 태양광 발전 어레이의 온도 상승을 막는다.
이러한 냉각 장치에 있어서, 태양광 발전 설비의 전체 태양광 발전 어레이들에 대하여 한꺼번에 냉각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면 펌프 설비가 과대하게 요구되고 그에 맞는 냉각수의 공급도 어려우므로, 태양광 발전 어레이를 다수의 섹터로 분할하고 섹터 별로 순차적인 냉각을 수행하도록 냉각 장치가 운영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섹터 별 순차적인 냉각은 냉각수가 분사된 섹터와 냉각수가 아직 분사되지 않은 섹터 간의 온도 차를 발생한다. 이러한 온도차는 인버터가 MPPT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태양광 발전 어레이 섹터의 온도 인지 오류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인버터의 MPPT 기능의 효과를 저감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냉각 장치를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 어레이를 섹터 별로 순차적으로 냉각함에 따라, 냉각수가 분사된 섹터와 냉각수가 아직 분사되지 않은 섹터 간에 발생하는 온도 차에 의해 MPPT 기능이 저하되거나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개선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엠피피티 인버터의 제어 장치는, 태양광 발전 어레이를 영역 별로 분할한 다수의 태양광 발전 어레이 섹터에 각각 설치되어서 냉각수 분사에 대응하여 자신에 해당하는 상기 태양광 발전 어레이 섹터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온도 보정 센서들; 상기 온도 보정 센서들로부터 전송되는 온도 신호로써 보정된 온도 값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온도보정회로; 및 상기 온도보정회로의 보정된 온도값을 참조하여 현재 실행 중인 최대 전력점 추적 동작에 대하여 온도인지 오류 보정을 수행하는 엠피피티 인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온도보정회로는 상기 온도 신호의 평균값을 상기 보정된 온도 값으로 생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값은 산술평균, 기하평균, 조화평균 및 근제곱평균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엠피피티 인버터의 제어 장치는, 유무선 모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무선 모뎀은 상기 온도보정회로의 보정된 온도값을 원거리의 상기 엠피피티 인버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유무선 모뎀은 유선 모뎀 또는 전력선 통신을 포함하는 유선 통신을 위한 유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무선 모뎀은 무선 통신을 위하여 지그비 통신 모뎀 또는 와이파이 통신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광 발전 어레이의 각 섹터들을 순차적으로 냉각함에 따라 발생하는 섹터 간의 온도 차에 의한 MPPT 기능 오류를 개선함으로써 정확한 MPPT 기능을 보장할 수 있다. 그러므로 MPPT 인버터의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최대 전력점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2는 일반적인 MPPT 커브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MPPT 인버터의 제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MPPT 인버터의 제어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참조로 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MPPT 인버터 제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실시예는 MPPT 인버터(10), 태양광 발전 어레이 섹터들(12), MPPT 센서부(14), MPPT 센서회로(16), 냉각수 펌프(20), 냉각수 분사장치(22), 태양광 발전 어레이 섹터들(12) 별로 각각 채용되는 온도보정센서(24) 및 온도보정회로(26)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MPPT 인버터(10)는 MPPT 기능을 갖는 인버터이며, MPPT 기능은 인버터가 최고 전력량을 생성할 수 있도록 전기 작동 지점(최대 전력점)을 조절하는 기능이며, MPPT 인버터(10)는 MPPT 기능에 의하여 최고 전력량을 생성할 수 있는 전기 작동 지점에 대응하여 태양광 발전 어레이 섹터(12)들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구성되는 태양광 발전 어레이는 많은 수의 태양광 발전 패널이 집합되어 어레이를 이루는 것을 의미하며, 태양광 발전 어레이 섹터(12)는 태양광 발전 어레이를 순차적으로 냉각할 단위 면적으로 분할한 영역을 의미하고, 태양광 발전 어레이 섹터는 복수의 태양광 발전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MPPT 센서부(14)는 태양광 발전 어레이 섹터들(12) 전체의 전류 및 전압을 센싱한다. MPPT 센서부(14)는 MPPT 센서 회로(16)를 경유하여 MPPT 인버터(10)로 센싱정보를 제공하고, 센싱정보는 MPPT 인버터(10)의 MPP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그리고, MPPT 센서회로(16)는 MPPT 센서부(14)와 MPPT 인버터(10) 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회로이다.
그리고, 태양광 발전 어레이 섹터들(12)을 냉각하기 위하여 냉각수 펌프(20)와 냉각수 분사 장치(22)가 구성된다.
냉각수 펌프(20)는 각 태양광 발전 어레이 섹터(12) 별로 장치된 냉각수 분사 장치(22)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핑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냉각수 분사 장치(22)는 냉각수 펌프(20)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태양광 발전 어레이 섹터(12) 별로 순차적으로 분사하도록 동작하는 장치이다.
하나의 태양광 발전 어레이에 포함되는 태양광 발전 어레이 섹터들(12)은 순차적으로 냉각수가 분사됨에 의하여 냉각된다. 그러므로 태양광 발전 어레이는 냉각수가 분사되는 섹터 영역 별로 온도 변화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이 온도 변화를 센싱하기 위하여 태양광 발전 어레이 섹터(12) 별로 온도 보정 센서(24)가 구성된다.
즉, 온도 보정 센서(24)는 태양광 발전 어레이의 영역 별 즉 태양광 발전 어레이 섹터(12) 별로 온도를 센싱하여 출력하는 센싱 소자이며, 각 태양광 발전 어레이 섹터(12)의 온도 보정 센서(24)의 출력 신호는 온도 보정 회로(26)에 전달된다.
온도 보정 회로(26)는 각 온도 보정 센서(24)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신호를 취합하여 태양광 발전 어레이 섹터들(12)의 평균 온도값을 구하여 MPPT 인버터(1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평균 온도값은 각 섹터들(12)의 온도값의 산술평균, 기하평균, 조화평균, 근제곱평균 등 다양한 평균값들이 선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MPPT 인버터(10)는 온도 보정 회로(26)로부터 제공되는 평균 온도값을 참조하여 냉각수 분사에 의하여 일부 섹터에서 발생한 온도차를 감안한 최대 전력점을 추적하는 보상 동작을 하는 MPPT 기능을 수행한다. 즉, MPPT 인버터(10)는 냉각수가 분사된 태양광 발전 섹터(12)의 온도 변화만큼 변화된 전체 태양광 발전 어레이의 출력을 온도 보정 회로(26)로부터 제공되는 평균 온도값으로 최대 전력점을 추적하여 인버팅을 수행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순차적인 냉각수 분사가 냉각수 분사 장치(22)에 의하여 태양광 발전 어레이 섹터(12) 별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면, 태양광 발전 어레이 섹터(12) 별로 발생되는 온도차가 MPPT 인버터(10)로 피드백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하여 온도차가 평균 온도값으로 MPPT 기능에 반영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냉각수가 분사된 태양광 발전 어레이 섹터(12)의 온도 인지 오류에 기인한 MPPT 기능 저하 또는 오류가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인버터의 MPPT 기능이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MPPT 인버터의 제어 장치에서 온도 보정 회로(26)에서 처리된 데이터가 도 4와 같이 유무선 모뎀(28)을 경유하여 MPPT 인버터(10)로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상 MPPT 인버터(10)가 모든 태양광 발전 어레이 섹터(12) 별로 근거리에 구성하기는 설계상 어려운 점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원격지 전송을 위한 유선 송신 또는 무선 송신이 온도 보정 회로(26)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전송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무선 모뎀(28)은 유선 모뎀 또는 전력선 통신을 포함하는 유선 통신을 위한 유아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아트(UART :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는 비동기 방식으로 시리얼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통신용 프로토콜을 갖는 인터페이스로서 RS-232 프로토콜 및 RS-485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으며, RS-232 프로토콜은 1:1 데이터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이고 RS-485 프로토콜은 1:N 데이터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이다. 그리고, 유무선 모뎀(376)은 무선 통신을 위하여 지그비 통신 모뎀 또는 와이파이 통신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지그비(Zigbee) 통신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에 기반한 무선 네트워킹 기술을 의미하며 지그비 통신은 10 내지 20M 정도의 근거리 통신과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기술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ty)는 무선접속장치(Access Point)가 설치된 곳의 일정 거리안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통신망(LAN)으로서 무선랜을 의미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MPPT 인버터 12 : 태양광 발전 어레이 섹터
14 : MPPT 센서부 16 : MPPT 센서회로
20 : 냉각수 펌프 22 : 냉각수 분사 장치
24 : 온도 보정 센서 26 : 온도 보정 회로
28 : 유무선 모뎀

Claims (6)

  1. 태양광 발전 어레이를 영역 별로 분할한 다수의 태양광 발전 어레이 섹터에 각각 설치되어서 냉각수 분사에 대응하여 자신에 해당하는 상기 태양광 발전 어레이 섹터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온도 보정 센서들;
    상기 온도 보정 센서들로부터 전송되는 온도 신호들을 이용하여 보정된 온도 값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온도보정회로; 및
    상기 온도보정회로의 보정된 온도 값을 참조하여 현재 실행 중인 최대 전력점 추적 동작을 수행하는 엠피피티 인버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보정회로는 상기 온도 신호의 평균값을 상기 보정된 온도 값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값은 산술평균, 기하평균, 조화평균 및 근제곱평균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유무선 모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무선 모뎀은 상기 온도보정회로의 보정된 온도값을 원거리의 상기 엠피피티 인버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모뎀은 유선 모뎀 또는 전력선 통신을 포함하는 유선 통신을 위한 유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모뎀은 무선 통신을 위하여 지그비 통신 모뎀 또는 와이파이 통신 모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0100074949A 2010-08-03 2010-08-03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엠피피티 인버터의 제어 장치 KR101157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949A KR101157931B1 (ko) 2010-08-03 2010-08-03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엠피피티 인버터의 제어 장치
PCT/KR2010/006433 WO2012018155A1 (ko) 2010-08-03 2010-09-17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엠피피티 인버터의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949A KR101157931B1 (ko) 2010-08-03 2010-08-03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엠피피티 인버터의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724A KR20120012724A (ko) 2012-02-10
KR101157931B1 true KR101157931B1 (ko) 2012-06-22

Family

ID=45559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949A KR101157931B1 (ko) 2010-08-03 2010-08-03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엠피피티 인버터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57931B1 (ko)
WO (1) WO20120181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81589B (zh) * 2012-05-31 2014-05-07 浙江大学 一种光伏发电中追踪最大功率点的装置和方法
KR20130141266A (ko) * 2012-06-15 2013-12-26 커넥스일렉트로닉스(주) 태양전지 모듈의 mept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N103075329B (zh) * 2012-10-29 2016-06-15 云南卓业能源有限公司 一种光伏水泵控制系统
CN103034278A (zh) * 2012-12-11 2013-04-10 易霸科技(威海)股份有限公司 基于双重线性近似值的mppt算法的模拟电路实现方法
CN107204731B (zh) * 2017-06-08 2018-11-23 兰州理工大学 基于几何平均数的风光互补发电系统mppt控制方法
KR102474284B1 (ko) 2021-08-31 2022-12-06 (주)솔라앤시스 멀티스트링 인버터의 발전효율 향상 장치 및 방법
WO2024094274A1 (en) * 2022-10-31 2024-05-10 Huawei Digital Power Technologies Co., Ltd. A photovoltaic power system with average voltage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1870A (ko) * 2002-12-31 2004-07-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적외선 온도 측정 장치
KR20090061284A (ko) * 2007-12-11 2009-06-16 (주)알티아이엔지니어링 원격 저장을 위한 무선 전송 장치,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3569A (ja) * 2001-10-30 2003-05-09 Atsushi Iga フィールドにおける太陽電池の出力評価方法・装置
JP2004166404A (ja) * 2002-11-13 2004-06-10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太陽電池電源装置
JP2006032612A (ja) * 2004-07-15 2006-02-02 Msk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出力制御方法
JP2007058845A (ja) * 2005-07-27 2007-03-08 Gunma Prefecture 太陽光発電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1870A (ko) * 2002-12-31 2004-07-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적외선 온도 측정 장치
KR20090061284A (ko) * 2007-12-11 2009-06-16 (주)알티아이엔지니어링 원격 저장을 위한 무선 전송 장치,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724A (ko) 2012-02-10
WO2012018155A1 (ko) 201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931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엠피피티 인버터의 제어 장치
Famoso et al.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micro-inverter and string-inverter photovoltaic systems
Baci et al. A new configuration of vertically connecting solar cells: solar tree
Dabou et al. Impact of partial shading and PV array power on the performance of grid connected PV station
Weliwaththage et al. Solar energy technology
KR101541488B1 (ko) 태양광 발전소 효율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43008B1 (ko) 태양광 발전 제어 장치
Zidane et al. Cost-effective topology for photovoltaic power plants using optimization design
KR101370856B1 (ko) 환경 조건변화에 따른 과부하 방지를 위한 태양광 최대전력 추종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Srivastava et al. Critical Factors Affecting Efficiency of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in Solar Cells
Lin et al. Study of Constructions for the Photovoltaic System to Increase the Economic Efficiency of Energy Generation
Voskanyan et al. Studies of the operation of a solar power plant
CN205212776U (zh) 光电转换系统
CN211552071U (zh) 光伏光热一体化系统
Lin et al. Study of the efficiency improvement in power generation from Photovoltaic
CN103516304A (zh) 一种光伏电源优化器及其优化方法
Ya’acob et al. Field Measurement of PV Array Temperature for Tracking and Concentrating 1 k Wp Generators Installed in Malaysia
CN203193546U (zh) 新型光伏建筑一体化太阳能光伏电站系统
Akhtar et al. Degradation of PhotoVoltaic (PV) panel performance due to shading effect-case of Pakistan
Malik et al. IoT‐Based Monitoring and Management for Photovoltaic System
Park et al. The monitoring system of photovoltaic module using fault diagnosis sensor
MX2022012550A (es) Metodo para optimizar la produccion de energia en modulos fotovoltaicos.
Maurya et al. Performance Study of Grid Connected Solar-PV System
CN205212765U (zh) 光电转换系统
CN205282487U (zh) 光电转换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