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821B1 - 벼를 이용한 액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벼를 이용한 액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821B1
KR101157821B1 KR20100057147A KR20100057147A KR101157821B1 KR 101157821 B1 KR101157821 B1 KR 101157821B1 KR 20100057147 A KR20100057147 A KR 20100057147A KR 20100057147 A KR20100057147 A KR 20100057147A KR 101157821 B1 KR101157821 B1 KR 101157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liquid fertilizer
fermentation
bacteria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57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7110A (ko
Inventor
조승현
Original Assignee
조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승현 filed Critical 조승현
Priority to KR20100057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821B1/ko
Publication of KR20110137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벼를 이용한 액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아된 벼를 이용하여 액비를 제조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 유기농에 적합하고, 사용하기에 편하고 경제적으로도 저렴하면서 농산물의 상품성을 좋게 하는 벼를 이용한 액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액비의 원료를 벼와 미생물 외에 다른 첨가물을 사용하지 아니하므로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벼를 이용한 액비 및 그 제조방법 {liquid fertilizer using rice of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벼를 이용한 액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아된 벼를 이용하여 액비를 제조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 유기농에 적합하고, 적은 양을 사용하여도 농산물의 상품성을 좋게 하는 벼를 이용한 액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업(農業)은 오래전부터 인간이 정착 생활을 하면서 가장 먼저 시작한 원시산업으로서, 예로부터 농작물의 품질 개량과 생산량 증대를 위해 시비(施肥), 잡초 제거 및 병충해 방지 등에 큰 관심을 가져왔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과거 1980년대까지만 해도 주식량(主食糧)인 벼의 자급자족이 지상과제였기에, 화학비료와 농약을 사용하여 생산량을 증대시키는 문제가 농업 문제에 있어서 가장 큰 관심사였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에 식문화의 서구화로 인하여 벼의 소비가 감소하고, 또한 지구 환경에 대한 범세계적인 관심과 함께, 친환경 먹거리에 대한 관심 등을 포함하는 웰빙문화의 확산으로 인하여 종래의 생산량 증대에 초점이 맞추어진 농법에서 벗어나 친환경적인 유기농법을 농업에 적용하려는 많은 시도들이 이어져 왔다.
유기농업의 개념에 대해서 그 경계를 분명히 하기는 어려우나, 농촌진흥청에서는 비료, 농약 등 합성된 화학자재를 일체 사용하지 않고 유기물, 미생물 등 천연자원을 사용하여 안전한 농산물 생산과 농업생태계를 유지 보전하는 농업을 유기농업의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개념이라 판단된다.
국제기준(Codex)에 따르면 유기농업은 농업생태계의 건강, 생물의 다양성, 생물순환 및 토양 생물활동 증진을 위한 총체적 체계농업으로 정의되고 있다.
최근들어 선진국 및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유기농업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것은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식량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면서 환경 및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유기농업은 크게 두 가지 분야로 나누어볼 수 있을 것이다.
첫째는, 생물학적 방제 기술분야이다. 종래에는 식물 생장을 위한 잡초제거 및 병해충 방제를 위해 화학물질인 농약을 사용하는 화학적 방제법을 사용하여 왔으나, 농약의 사용으로 인하여 생태계 파괴 및 건강에 대한 위험 요인 등이 증가하면서, 화학적 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생물학적 제초 기술 및 생물학적 살충 기술들이 개발되어 오고 있다. 우리 주변에서도 많이 알려진 오리농법이나 우렁이 농법 등이 이러한 생물학적 방제의 예라 할 것이다.
유기농법의 두번째 분야로는 토양의 비옥도를 관리하고 기존의 화학비료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적 작물양분 공급과 관련된 기술이라 할 것이다.
화학비료가 개발되지 않았던 과거에는 인위적으로 작물생장을 위한 영양분을 공급하지 않고 자연 그대로 작물을 재배하거나, 친환경적인 유기물(퇴비, 분뇨 등)을 작물의 생장을 위한 영양분으로 공급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산업사회로 이행되면서 식량의 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작물생장을 위한 영양제, 즉 화학비료를 논밭에 투여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여왔다.
한편, 이러한 유기성 영양분의 공급을 통한 유기농업은 크게 다음의 두 가지 필요성에 의해서 이루어져 왔다.
첫째는 화학비료의 사용으로 인한 지력저하 등을 막고 농업생태계를 건강하게 하고자 하는 농업자체적인 필요성이다.
화학비료의 사용으로 인하여 벼 등을 포함한 식량자원의 생산성을 급격하게 증대할 수는 있었으나, 화학비료의 과다한 사용은 토양의 산성화 등과 같은 지력 저하의 문제로 나타났고, 이는 농업의 지속가능성에 중대한 위협이 될 수 있다. 아울러 화학비료의 사용은 농약과 함께 농업 생태계에 커다란 교란을 일으킬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과거와 같이 화학비료 대신 유기질 영양분이라 할 수 있는 퇴비를 사용하여 작물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려는 유기농법이 시도되어 왔다.
두 번째 필요성은 농업 외적인 부분에서 비롯된 것인데, 이는 생활 수준 향상과 도시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각종 음식물쓰레기나 축산업 현장에서 어쩔 수 없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축산분뇨 등의 처리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의 활용 필요성이다. 특히, 2013년부터는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나오는 침출수의 해양투기가 국제적으로 금지되게 됨에 따라서, 음식물쓰레기나 축산분뇨 등의 퇴비화 및 액비화를 통한 활용기술의 개발이 필연적으로 요구되게 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고형화된 퇴비의 시비와 같은 토양을 통한 간접시비보다 식물체에 직접시비하는 양액비료 사용방법이 농작물의 생산성 증대에 더욱더 효과적이므로 양액비료, 즉 액비 제조기술의 개발이 더욱더 요구된다 할 것이다.
유기농 재배에서 사용되어 온 통상적인 액비는 가축의 분뇨, 각종 축산 폐수, 벼겨 등과 같은 폐기물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는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농업 외적인 필요성에 의해서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두고자 하는 필요에 의해서였다.
그러나, 최근의 소비자 경향은 값이 다소 비싸더라도 고품질의 농산물을 구입하려는 경향이 있고, 또한 기존의 폐기물로부터 제조되는 액비의 경우에는 농업 자체적인 측면에서만 본다면 액비로부터 발생하는 악취 등의 문제점이 있기에, 실제 현장에서 사용하는데 문제점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또한, 액비를 실제 구입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요구되는 문제도 있다. 가장 큰 문제점은 축산 분뇨나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제조되는 액비의 경우에는 인이나 나트륨과 같은 성분이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으므로 인해서, 식물 성장에 오히려 해를 끼칠 수 있는 부작용도 있을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최근에는 많은 종류의 미생물 제제가 시판되고 있는데, 이러한 미생물 제제의 경우에 장기간 사용시 토양을 산성화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그 사용에 많은 주의가 요구되는 것도 문제점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이 편하고, 경제적이며, 무엇보다도 고품질의 농작물을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액비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반드시 분뇨나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액비를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액비 원재료의 가격은 다소 비싸더라도 고품질의 액비를 통해서 원재료의 높은 비용을 상쇄하면서, 사용에도 편하면서 동시에 고품질의 농작물을 생산할 수 있게 하는 액비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친환경적이면서 유기농업에 적합한 액비로서, 사용하기에 편하면서 고품질의 농작물 생산을 가능케 하는 벼를 이용한 액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벼를 발아시키는 발아단계(제1단계); 발아된 벼를 물 800ℓ 당 40~80㎏의 비율로 발효탱크에 넣고 섞는 혼합단계(제2단계); 및 발아된 벼와 물이 혼합된 발효탱크에 미생물을 넣은 후 호기발효시키는 발효단계(제3단계)를 포함하는 벼를 이용한 액비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액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벼를 20~40℃의 온도에서 싹의 길이가 0.2 내지 2㎝가 될 때까지 발아시키는 발아단계(제1단계); 상기 발아단계를 거친 발아된 벼를 물 800ℓ 당 40~80㎏의 비율로 발효탱크에 넣고 섞는 혼합단계(제2단계); 및 상기 혼합단계를 거친 벼와 물이 혼합된 발효탱크에 미생물을 넣은 후 호기발효시키는 발효단계(제3단계)를 포함하는 벼를 이용한 액비의 제조방법 및 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액비를 제공한다.
상기 호기발효의 기간은 발효 온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벼 내의 벼이 완전히 발효될 수 있으면 족하다. 겨울철과 같이 외기온도가 영하 이하로 내려가는 겨울철에는 15~25일, 외기온도가 30℃가 넘게 되는 여름철에는 10~15일이면 충분히 발효가 이루어진다. 한편, 온도조절 기능이 있는 발효탱크에서 내부의 온도를 60℃로 유지하는 경우에는 5~9일이면 발효가 완성된다.
상기 호기발효단계의 미생물은 효모, 유산균, 방선균, 누룩균, 광합성균, 갈항균, 납두균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액비는 기존의 화학비료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유기질 비료이며, 생산성 증대 및 비료 등 투입 에너지 절감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본 발명은 발아된 벼에 함유된 각종 영양 성분에 의해 기존 액비 사용 양에 대비하여 8 내지 10배 정도 적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 구입 액비에 비해서 저렴하기 때문에 농가의 부담을 경감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액비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상당수의 미생물 제제 액비가 토양을 산성화시키는 문제가 있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액비는 장기간 사용 후에도 이러한 문제점을 발생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액비는 벼, 즉 쌀 자체를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축산분뇨나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제조되는 액비가 갖게 될 수 있는 악취의 문제나, 액비 내 인이나 나트륨과 같은 성분이 고농도로 함유됨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으로부터도 자유로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액비를 이용하여 재배하는 경우, 고품질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고, 또한 브랜드화에도 유리하므로, 농가 소득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액비의 성분분석 결과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액비를 사용한 후에 토양 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포함하여 하동군 농업기술센터에서 발행한 시설 토양관리 처방서이다.
본 출원의 발명인은 2년이 넘는 기간 동안 유기농으로 딸기, 감자, 수박, 치커리, 무, 배추, 열무, 호박, 당근 및 얼갈이 등을 재배하고 있으며, 친환경적이면서, 기존 액비 사용 양보다 적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액비의 주재료로서 벼를 주목하게 되었고, 벼를 주재료로서 발효하여 액비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직접 현장에서 농작물 재배에 사용하는 과정을 통하여 벼를 주재료로 한 액비의 효능을 확인하게 되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액비는 질소, 인산, 칼륨 또는 칼슘 등의 영양소를 보강하기 위하여 다른 친환경 재료를 추가로 포함시켜 벼와 함께 발효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는 농작물의 생육 과정에 따라 특정 영양소가 보통보다 더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벼"은 통상적인 의미의 벼, 즉 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벼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벼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액비를 실시예로 제시하고 있으나, 다만, 껍질이 벗겨진 통상의 쌀 자체를 사용하는 것까지도 본 발명의 범위로 한다. 껍질이 벗겨진 쌀의 경우에도 먹기 위하여 쌀의 씨눈을 제거하지 않은 경우에는 발아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벼의 발아를 통한 발효를 전제로 하고 있으나, 발아할 수 없는 쌀을 발효과정을 통해서 제조한 액비 및 그 제조방법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벼를 이용한 액비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준비단계 : 벼를 발아시키는 단계
먼저, 재배한 벼를 수확하거나 시중에서 구입하여 벼를 준비한다. 이때, 상기 벼은 싹이 날 수 있는 벼이면,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벼알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보관기간이 길어서 상품성이 떨어지는 벼를 낮은 가격으로 구매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벼를 물로 씻어준다. 벼를 물에 담근 후 막대기 등을 이용하여 저어주어 불순물을 제거한다. 이때, 물을 갈아주어 1 내지 2번 반복하여 씻어주고, 마지막으로 1일 정도 물에 담가놓았다가 한 번 더 씻어준다. 한편, 본 세척과정은 생략 가능하다.
이어서, 벼를 발아시킨다. 벼를 물에 잠기도록 담가 발아시킨다. 이때, 벼를 발아시키는 조건은 20 내지 40℃의 물에서 1 내지 2일 동안 발아시킨다. 온도는 30~35℃가 더욱 적당하다. 벼가 발아되기 시작하고, 싹의 길이가 0.2 내지 2㎝가 될 때까지 발아시킨다.
다만, 본 단계는 생략 가능하다. 별도의 발아 과정 없이 벼 자체를 호기 발효시킴으로써 액비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당연하지만, 상기 발아시의 온도 및 시간, 그리고 싹의 길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단계는 벼를 적당히 발아시킴으로써, 다음 단계의 발효 과정을 원활하게 하고자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2. 혼합단계 : 벼와 물을 적절한 비율로 섞는 단계
본 단계에서는 발아단계를 거친 벼를 물 80ℓ 당 4~8㎏의 비율로 발효탱크에 넣고 막대기 등으로 저어서 섞어 준다.
물 800ℓ에 대해서 벼의 양이 40kg 미만이면 액비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80kg 초과이면 액비 내 영양성분의 농도가 너무 높아서 직접 식물체에 시비하는 경우에 작물 생장에 오히려 부작용을 일으키므로, 희석해서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발효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4. 발효단계 : 발효탱크에 미생물을 넣어 호기발효시키는 단계
본 단계는 발아된 벼를 미생물이 발효를 통해서 분해하는 과정이다. 액비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고형분의 벼가 최대한 물속에 균일하게 분해되어 성분으로서 용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미생물의 발효과정을 통해 유용한 대사산물이 액비 내에 존재하게 된다.
본 발효 단계는 특별히 그 온도나 시간이 특정되지 않는다. 외기와 같은 온도에서 그대로 발효시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원활한 발효를 위해서는 5℃ 이상에서 70℃ 이하의 온도 범위에서 발효를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미생물체에 의한 발효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게 된다. 발효 기간은 발효 온도에 따라서 달라지게 된다. 다만, 쌀 고형분이 완전히 분해될 때까지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기 온도가 30℃ 정도 되는 여름에는 12~18일, 외기 온도가 약 5℃ 정도되는 겨울에는 16일 내지 24일 정도 발효시키면 적당하다. 발효탱크에 온도조절기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60℃ 정도에서는 약 6~8일 정도 발효시키면 적당하다.
이때, 첨가되는 미생물은 효모, 유산균, 방선균, 누룩균, 광합성균, 갈항균, 납두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이 혼합된 미생물 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효단계는 발효탱크 내에 외부 공기를 강제적으로 주입하면서 실시하는 경우 효과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비는 필요에 따라서, 특정 성분을 강화한 액비로 변형 가능하다. 농작물은 생육시점에 따라서 특정 영양성분을 더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작물의 생육 초기에는 질소 성분이 과량으로 필요하며, 생육중기 또는 열매가 열리는 초기에는 인산 성분, 그리고 생육 말기 또는 열매가 익어가는 시점에서는 칼륨 또는 칼슘이 과량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요구를 맞추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액비의 제조시, 벼와 함께 질소 성분을 위해서는 깻묵, 인산, 칼륨 및 칼슘 등을 위해서는 동물 또는 어류의 골분 등을 함께 발효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깻묵 또는 골분의 양은 적절한 범위내에서 선택할 수 있다. 벼 중량의 1~100% 범위내에서 적정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러나 반드시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탈피되지 아니한 벼를 10kg을 물에 담가 1 내지 2번 반복하여 씻어주고, 1일 물에 담가놓았다가 다시 한 번 씻어주었다.
그리고, 벼를 넓은 통에 물에 잠기도록 담았다. 물의 온도는 32℃로 맞추고, 24시간 동안 담가 발아시켰다.
다음으로 발아된 벼를 발효탱크에 넣고, 물을 130ℓ물을 넣어주었다.
그리고, 효모균을 첨가하고, 발효탱크 내부 온도를 60℃로 7일 동안 유지하면서 발효시켰다. 발효탱크 내부로는 외부에서 공기를 하루 8차례씩 공급하여 주었다. 상기 효모균은 밀겨를 물에 반죽하여 걸죽하게 한 후 두툼하게 모양을 만들어 그늘에서 건조하여 만들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된 액비의 성분분석을 의뢰한 결과는 도 1에 제시된 바와 같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액비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딸기의 재배를 위해서 딸기 재배기간인 약 6개월 동안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액비 5ℓ를 물 500ℓ에 희석하여 약 950평에 걸쳐서 점적방식으로 관수하였다. 한편, 이러한 관수를 이틀에 한번 꼴로 실시하였다. 딸기는 모두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액비를 같은 양 사용하여 재배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재배된 딸기를 생산하였다.
<비교예 1> 종래의 친환경 액비
시중에서 다농에서 출시된 '유기액비'라는 액비(토양미생물제재와 유기물) 20ℓ를 3만원에 구매하여 준비하였다. 그리고, 이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사용방법과 동일한 비율로 하여 약 50평에 사용하여 딸기를 재배하였다. 액비의 종류만 다를 뿐, 다른 모든 조건은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였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액비를 사용하여 재배한 딸기와의 성장속도를 비교하였을 때 거의 비슷한 성장속도를 보였다.
<비교예 2> 보통 딸기
본 발명에서 사용한 액비가 아닌 일반 비료를 사용하여 재배된 딸기를 실시예에서의 딸기 수확시점에 맞추어 시중에서 구입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1, 비교예1 및 비교예2를 이용하여 재배한 농작물을 대상으로 한 관능평가
본 관능평가는 딸기를 각각의 액비를 사용하여 재배한 후 맛, 색상, 향기 및 질감이 어떻게 되는지를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관능평가에 사용된 시료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액비를 이용하여 재배된 딸기를 사용하였다.
관능평가는 잘 훈련된 패널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색상, 향기, 맛, 질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가장 높은 점수는 5점 그리고, 가장 낮은 점수는 1점으로 하여 p<0.0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test에 따라 분석하였다.
아래 표 1의 결과는 딸기의 1차 및 2차 관능평가를 평균하여 얻은 것이다.
사용 액비별 딸기에 대한 색상, 향기, 맛 및 질감 평가결과
구 분 색상 향기 질감 전체
실시예 4.3 4.5 4.4 4.4 4.5
비교예 1 4.1 4.2 4.0 4.1 4.2
비교예 2 3.8 3.7 3.7 3.6 3.8
*5점채점법 : 5(아주좋음), 3(보통), 1(아주나쁨)
각각의 액비를 사용하여 재배한 딸기의 색상, 향기, 맛, 질감 및 전체기호도를 조사한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색상, 향기, 맛 및 질감에서 시중의 액비 및 일반 비료를 이용하여 재배한 딸기에 비하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기호도에서도 일반 친환경 액비와 일반 비료를 이용하여 재배한 딸기에 비해 좋은 결과가 나왔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액비를 이용하여 시설재배한 농작물의 경우, 관능평가에서 색상, 향기, 맛, 질감 및 전체기호도의 관능 평가 결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실시예에 따른 액비 사용 후 토양 검사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액비를 장기간 사용 후에 토양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도 2에 제시하였다.
본 검사는 2009년도의 딸기 재배후에 다음해의 딸기 재배를 위해서 미리 하동군 농업기술센터에 의뢰한 토양검사 실시 결과이며, 약 알칼리성을 띠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액비를 사용시 토양을 산성화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약 알칼리성을 유지시킴으로써 토양의 산성화로 인한 지력 저하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비 사용 후의 토양 분석 결과
구분 산도
(1:5)
유기물
(g/kg)
유효인산(mg/kg) 치환성양이온(cmol+/kg) 전기전도도(dS/m)
칼륨 칼슘 마그네슘
적정범위 6.0~6.5 20~30 350~450 0.60~0.70 5.0~6.0 1.5~2.0 0.0~2.0
분석치 6.5 31 667 0.73 8.9 1.9 0.3
상기 표를 보면, 분석치가 모두 딸기 재배를 위한 적정 범위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토양의 산도가 중성 범위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되는 액비를 사용하여 시설재배로 감자를 재배하였다. 감자재배는 2009년 12월 중에 파종하여 2010년 3월에 수확하였다. 액비의 시비방법은 실시예 1과 유사한 비율로 하여 재배 기간 동안 실시하였다.
한편, 재배 말기에 토양을 채취하여 성분분석 등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도3과 같다.
토양 상태가 중성(pH 7.1)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비는 상기 관능 평가 결과에서 뒷받침하듯이 종래의 친환경 액비나 일반 비료에 비해서 좋은 품질의 농작물을 생산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경제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액비의 제조원가에 대해서 정확히 뽑을 수는 없으나, 다만, 가장 큰 비용을 차지하는 벼라는 원재료의 비용을 10kg 당 10,000원으로 가정하여 벼에 대한 비용만 감안한다면, 10ℓ당 약 500원에서 1,000원 정도에 불과하다. 시중에 유통되는 친환경 액비의 가격이 10ℓ당 10,000원 이상인 것을 감안한다면 부대 생산비용을 감안하더라도 결코 비용적으로 높은 수준은 아니라는 점이 명확하다.
비용적으로는 저렴하면서, 전혀 외부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면서, 동시에 악취가 전혀 나지 않아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또한 실제 사용하여 재배하여본 결과, 농작물의 상품성을 높여줌으로 인해서 고부가가치의 농작물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바, 본 발명에 따른 벼를 이용한 액비의 기술적 및 시장적 가치가 상당히 높다 할 것이다.

Claims (5)

  1. 벼를 발아시키는 발아단계(제1단계);
    발아된 벼를 물 800ℓ 당 40~80㎏의 비율로 발효탱크에 넣고 섞는 혼합단계(제2단계); 및
    발아된 벼와 물이 혼합된 발효탱크에 미생물을 넣은 후 호기발효시키는 발효단계(제3단계)를 포함하는 벼를 주재료로 하는 액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벼를 20~40℃의 온도에서 싹의 길이가 0.2 내지 2㎝가 될 때까지 발아시키는 발아단계(제1단계); 상기 발아단계를 거친 발아된 벼를 물 800ℓ 당 40~80㎏의 비율로 발효탱크에 넣고 섞는 혼합단계(제2단계); 및 상기 혼합단계를 거친 벼와 물이 혼합된 발효탱크에 미생물을 넣은 후 호기발효시키는 발효단계(제3단계)를 포함하는 벼를 주재료로 하는 액비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단계의 미생물은 효모, 유산균, 방선균, 누룩균, 광합성균, 갈항균, 납두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를 주재료로 하는 액비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혼합단계에 벼와 함께 깻묵 또는 골분을 추가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를 주재료로 하는 액비의 제조방법.
  5. 20~40℃의 온도에서 싹의 길이가 0.2 내지 2㎝가 될 때까지 발아시켜서 수득한 발아된 벼 40~80㎏과 물 800ℓ을 효모, 유산균, 방선균, 누룩균, 광합성균, 갈항균 및 납두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미생물로 호기발효시킨 벼를 주재료로 하는 액비.
KR20100057147A 2010-06-16 2010-06-16 벼를 이용한 액비 및 그 제조방법 KR101157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7147A KR101157821B1 (ko) 2010-06-16 2010-06-16 벼를 이용한 액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7147A KR101157821B1 (ko) 2010-06-16 2010-06-16 벼를 이용한 액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110A KR20110137110A (ko) 2011-12-22
KR101157821B1 true KR101157821B1 (ko) 2012-06-22

Family

ID=45503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57147A KR101157821B1 (ko) 2010-06-16 2010-06-16 벼를 이용한 액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8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8855A (zh) * 2013-12-27 2014-04-09 云南中电新能源有限公司 微生物肥料或农药的制备方法及制得的微生物肥料或农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670A (ja) * 1992-04-08 1995-01-13 Nakagawa Sakae アミノ酸を利用するようにした肥効が反復継続する有機質液体肥料の製法及びその製品
KR20020066436A (ko) * 2001-02-10 2002-08-17 남윤구 액상비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33655B1 (ko) 2007-07-31 2008-05-29 주식회사 제이케이 그린 천연 액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연 액비 살포 농법
JP2009126776A (ja) * 2007-11-26 2009-06-11 Hiromichi Hara 発酵肥料の製造方法および発酵肥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670A (ja) * 1992-04-08 1995-01-13 Nakagawa Sakae アミノ酸を利用するようにした肥効が反復継続する有機質液体肥料の製法及びその製品
KR20020066436A (ko) * 2001-02-10 2002-08-17 남윤구 액상비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33655B1 (ko) 2007-07-31 2008-05-29 주식회사 제이케이 그린 천연 액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연 액비 살포 농법
JP2009126776A (ja) * 2007-11-26 2009-06-11 Hiromichi Hara 発酵肥料の製造方法および発酵肥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8855A (zh) * 2013-12-27 2014-04-09 云南中电新能源有限公司 微生物肥料或农药的制备方法及制得的微生物肥料或农药
CN103708855B (zh) * 2013-12-27 2016-03-23 云南中电新能源有限公司 微生物肥料或农药的制备方法及制得的微生物肥料或农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110A (ko)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0461B2 (en) Bioorganic agent for treating plants (variants)
Verma et al. Effect of sowing dates in relation to integrated nitrogen management on growth, yield and quality of rabi maize (Zea mays L.).
KR101075877B1 (ko) 자연농법
Kumar et al. Organic production of strawberry: A review
RU2710319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урожайности картофеля
JP2006169043A (ja) 微生物による土壌菌土こうじ、土壌菌米こうじ、土壌菌有機質肥料並びに土壌菌肥料及び該土壌菌有機質肥料等による栽培方法
Markham Mini Farming: Self-Sufficiency on 1/4 Acre
Ram Panchagavya is a bio–fertilizer in organic farming
Ravisankar et al. Organic Farming in India
Abraham et al. The system of crop intensification: Agroecological innovations for improving agricultural production, food security, and resilience to climate change
KR101157821B1 (ko) 벼를 이용한 액비 및 그 제조방법
KR100833655B1 (ko) 천연 액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연 액비 살포 농법
Moursy et al. Study the effect of two organic fertilizers, methods of fertilization on productivity, pests and predatory insects associated with eggplant under modified climatic condition
Julius et al. Effect of Different Poultry Manure on the Performance of Tomatoes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Patidar et al. Effect of micronutrients on yield and economics of gynoecious cucumber (Cucumis sativus L) var Kian under naturally-ventilated polyhouse
Ellis et al. Composting and using backyard poultry waste in the home garden
Math et al. Sustainable agriculture with low cost technologies (SALoCT)
Alfiah et al. Increasing the growth and yield of tomato plants (Lycopersicum Esculentum Mill) by Applying Palm Oil Compost
Joo et al. Effect of EM on the production of crops and waste treatment in Korea
Sudeepa et al. Commercialization of fish processing wastes on various ways
Anjali A Review-Cowpathy and vedic krishi to improve soil health
CN107148849A (zh) 一种自然农作方法和应用
Kumar et al. Role of Organic Liquid Formulations in Agriculture: A Review
Singh et al. Zero-Budget Natural Farming: Way to Sustainable Future
Ram Approaches for organic production of horticultural crops in In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