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165B1 -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165B1
KR101157165B1 KR1020110102404A KR20110102404A KR101157165B1 KR 101157165 B1 KR101157165 B1 KR 101157165B1 KR 1020110102404 A KR1020110102404 A KR 1020110102404A KR 20110102404 A KR20110102404 A KR 20110102404A KR 101157165 B1 KR101157165 B1 KR 101157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ction
shaft
link
main
comp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진
Original Assignee
이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진 filed Critical 이호진
Priority to KR1020110102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18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both rotating and non-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3/00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 A01B13/02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for making or working ridges, e.g. with symmetrically arranged mouldboards, e.g. ridging ploug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가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며 견인차량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메인 회전축;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측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의 회전날; 및 상기 복수의 회전날 후방의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두둑을 형성함과 더불어 압력을 가하여 두둑을 다지는 복수의 두둑 성형 및 다짐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회전날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적어도 2열 이상으로 설치되며, 상대적으로 후방에 설치되는 회전날은 상대적으로 전방에 설치되는 회전날에 비해 더 깊이 있는 고랑을 성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고랑 형성작업 및 두둑 형성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둑의 상부 및 하부 측벽을 모두 견고하게 다질 수 있다.

Description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APPARATUS FOR FORMING AND COMPACTING COMLEVEE FOR AGRICLTURE}
본 발명은,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랑 및 두둑 형성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둑의 상부 및 하부 측벽을 모두 견고하게 다질 수 있는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 밭 등지에서 농작물의 재배시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랑을 구획하여 두둑을 성형하는 배토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농작물이 용이하게 성장할 수 있으며,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두둑을 형성한 후에는 노지나 비닐피복 재배시 분포에 이식한 후 15~30일 사이에 도복 방지와 작물 생육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배토 작업을 실시하여 이랑 사이의 토양을 작물의 포기 밑에 모아주어 농작물의 뿌리 내림을 깊게 하는 동시에 뿌리줄기를 고정함으로써 풍우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배토 작업을 사람이 호미나 괭이 등을 이용하여 인력에 의존하여 실시함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농작물의 원가상승 요인으로 작용함으로써 이를 배제하고 있는 실정이며, 근자에 들어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배토기를 이용하여 배토 작업을 기계적으로 실시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이러한 배토 작업을 기계적으로 실시하는 기술의 일 예로는 아래의 특허문헌 한국 등록특허 제10-1017064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고 있다.
첫째, 메인 회전축과 종동 회전축이 제1 체인을 통해 연결되되, 제1 체인이 메인 회전축과 종동 회전축의 길이 방향에 대해 일측으로 치우쳐서 설치됨으로써, 이랑 성형작업을 위해 이랑 성형기가 고르지 못한 농경지 바닥을 주행하는 경우 상하 및 좌우 진동에 의해 동력전달부품 및 이에 관련된 부품의 파손이 발생하기 쉽다.
둘째, 로터리 회전날이 1열로 설치됨으로써 일정 이상의 깊이를 갖는 고랑 성형작업시 로터리 회전날에 상당한 부하가 가해지게 되며, 이에 따라 로터리 회전랑의 교체 주기가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셋째, 수축팽창유도연결로드가 좌우 두둑다짐부의 중앙 영역 이상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두둑 다짐 작업시 두둑 측벽의 상부 영역을 다질 수는 있어도 상대적으로 하부 영역을 다지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즉, 두둑의 하부가 견고하게 다져지지 못하므로 특히 우천시 두둑이 쉽게 무너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017064호 (2011. 02. 16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고랑 형성작업 및 두둑 형성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둑의 상부 및 하부 측벽을 모두 견고하게 다질 수 있는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랑 형성시 발생하는 부하를 분산하여 보다 깊은 고랑을 쉽게 형성할 수 있는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견인차량의 동력을 복수의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전달받음으로써, 주행 중 상하 및 좌우 진동발생시에도 동력 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며 견인차량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메인 회전축;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측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의 회전날; 및 상기 복수의 회전날 후방의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두둑을 형성함과 더불어 압력을 가하여 두둑을 다지는 복수의 두둑 성형 및 다짐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회전날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적어도 2열 이상으로 설치되며, 상대적으로 후방에 설치되는 회전날은 상대적으로 전방에 설치되는 회전날에 비해 더 깊이 있는 고랑을 성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상기 견인차량의 동력 전달축과 연결되며 양측으로 회전축이 형성되는 기어박스가 설치되며, 상기 기어박스의 양측 회전축에는 각각, 상기 메인 회전축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두둑 성형 및 다짐 모듈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두둑을 형성하는 배토부; 및 상기 배토부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후 복수 링크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두둑의 측벽 상측 영역 및 측벽 하측 영역에 모두 다짐 압력을 가하는 두둑 다짐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둑 다짐유닛은, 상기 배토부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다짐판; 및 상기 한 쌍의 다짐판 사이에 대칭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메인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다짐판으로 전달하여 상기 다짐판을 회전시키는 회전력 전달 링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력 전달 링크부는, 상기 메인 회전축과 벨트 또는 체인을 통해 연결되며 일측에 편심된 출력축이 구비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의 출력축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하 왕복 이동하는 크랭크 로드; 상기 다짐판의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에 각각 상기 크랭크 로드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고정 설치되며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고정축 및 하부 고정축; 상기 배토부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지지축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부는 상기 크랭크 로드에 연결링크를 통해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다짐판의 상부 영역에 고정된 상부 고정축에 연결되는 절곡된 형상의 상부 링크연결부; 및 상기 상부 링크연결부와 상기 하부 고정축을 연결하며, 상기 상부 링크연결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하부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크랭크 로드, 상기 상부 링크연결부 및 상기 하부 연결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다짐판의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은 교대로 틸팅될 수 있다.
상기 연결링크의 하단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연장링크가 더 연결되고, 상기 배토판의 후면에는 상기 연장링크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장링크의 상하 이동을 지지하는 연장링크 지지바가 구비되되, 상기 크랭크 로드의 하방 이동시 상기 연장링크의 하단부는 상기 다짐판의 내측면부를 가압하여 상기 한 쌍의 다짐판 하부 영역의 사이 거리를 증가시키며, 상기 배토부의 후면에는, 두둑 형성 작업시 흙이 주변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는 흙 튐 방지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고랑 형성작업 및 두둑 형성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둑의 상부 및 하부 측벽을 모두 견고하게 다질 수 있다.
둘째, 회전날을 2열 이상으로 설치함으로써, 고랑 형성시 발생하는 부하를 분산하여 보다 깊은 고랑을 쉽게 형성할 수 있다.
셋째, 견인차량의 동력은 기어박스의 양측 회전축에 설치된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메인 회전축으로 전달됨으로써, 견인차량의 주행에 의해 상하 및 좌우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메인 회전축을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넷째, 두둑 다짐 유닛의 연장 링크 및 연장링크 지지바를 통해 두둑 측벽의 하부 영역을 보다 강하게 다짐으로써 우천시 두둑이 무너지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의 동력 전달 부위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를 나타내는 측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의 두둑 성형 및 다짐 모듈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를 이용하여 두둑을 다진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의 동력 전달 부위를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를 나타내는 측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의 두둑 성형 및 다짐 모듈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를 이용하여 두둑을 다진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이하, '성형 및 다짐장치'라 한다)는, 트랙터, 경운기 등과 같은 견인차량의 후방에 연결되어 농경지에 고랑과 두둑을 형성함과 더불어 실질적으로 동시에 두둑 다짐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성형 및 다짐장치는, 메인 프레임(100), 메인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견인차량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메인 회전축(200), 메인 프레임(100)의 전방측에 설치되며 메인 회전축(2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의 회전날(300) 및 복수의 회전날(300) 후방의 메인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견인차량의 이동에 따라 두둑을 형성함과 더불어 압력을 가하여 두둑을 다지는 복수의 두둑 성형 및 다짐 모듈(400)을 포함한다.
먼저, 메인 프레임(10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성형 및 다짐장치의 베이스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갖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회전축(200)은, 실질적으로 후술하는 회전날(300), 두둑 성형 및 다짐 모듈(400)을 구동시키는 것으로서, 메인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게 설치되며 견인차량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성형 및 다짐장치는 자체적으로 별도의 구동원을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견인차량에 연결되어 견인차량의 구동력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에는 견인차량의 동력 전달축과 구조적으로 연결되는 기어박스(110)가 설치된다. 이러한 기어박스(110)는 내부에 토오크 조절을 위한 복수의 기어 열이 구비되어 있으며, 따라서 견인차량 동력 전달축의 회전력은 기어박스(110)를 통해 적절하게 토오크가 조절된 상태로 출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견인차량의 구동력이 기어박스(110)를 통과하면서 양측으로 분기되도록, 기어박스(110)의 양측으로 회전축이 형성된다. 이러한 기어박스(110)의 양측 회전축에는 각각, 메인 회전축(200)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수단(120)이 설치된다. 한편, 도 2에서 동력전달수단(120)으로 체인 및 스프라킷 휠 구조를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벨트 및 풀리, 기어 모듈 등으로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기어박스(110)의 양측 회전축으로 출력된 동력이 각각 동력전달수단(120)을 통해 메인 회전축(200)으로 전달됨으로써, 메인 회전축(200)이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상기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기술은 동력전달을 위한 체인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어느 일측으로 치우쳐서 설치되어 있는바,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의 메인 회전축(200)에 대응하는 회전축의 회전 부하가 일측에 더 크게 작용하므로 회전축의 회전이 불안정하게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두둑 성형 및 다짐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는, 메인 프레임(100)에 상당한 상하 및 좌우방향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기술과 같이 치우쳐서 설치된 구조는 이러한 진동에 취약한 구조일 수 밖에 없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어박스(110)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회전축이 형성됨으로써, 종래에 비해 메인 회전축(200)이 보다 밸런스를 가지면서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의 전방측에는 메인 회전축(2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도록 복수의 회전날(300)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회전날(300)은, 후술하는 두둑 성형 및 다짐 모듈(400)에 의한 고랑 및 두둑 성형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즉 밭 등의 농경지 흙을 일부 파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및 이하 설명하는 본 출원명세서에서, '전방'이라 함은 견인차량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이라 함은 그 반대 방향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회전날(300)은 메인 프레임(100)의 전후 방향에 대해 적어도 2열 이상으로 설치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의 전방 측에는 복수의 회전날(300)이 1열을 이루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그 후방에는 복수의 회전날(300)이 마찬가지로 1열을 이루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회전날(300)은 3열 이상으로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대적으로 후방에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날(300)은 상대적으로 전방에 설치되는 회전날(300)에 비해 더 깊이 있는 고랑을 형성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설치되는 회전날(300)은 전방에 설치되는 회전날(300)에 비해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회전 중심축이 전방에 설치되는 회전날에 비해 더욱 하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덧붙여, 회전날(300)이 1열로 설치되어 그 회전력에 의해 설정된 깊이의 고랑을 형성하는 경우, 요구되는 고랑 깊이가 증가할수록 회전날(300)에 작용하는 부하가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날(300) 및 회전날(300)과 연결되는 동력전달부 등에 무리가 가해져서 쉽게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회전날(300)을 메인 프레임(100)의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2열 이상 설치함으로써, 깊은 고랑을 더욱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덧붙여, 종래에 비해 회전날(300)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켜 마모를 감소함으로써 교체 주기를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둑 성형 및 다짐 모듈(400)은, 실질적으로 농경지에 두둑 및 고랑을 형성함과 더불어 두둑의 측벽을 견고하게 다지는 것으로서, 복수의 회전날(300) 후방의 메인 프레임(100)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설치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둑 성형 및 다짐 모듈(400)은, 메인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두둑을 형성하는 배토부(410), 배토부(410)의 후방에 설치되며 메인 회전축(20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후 복수 링크의 회전 동작에 의해 두둑의 측벽 상측 영역 및 측벽 하측 영역에 모두 다짐 압력을 가하는 두둑 다짐유닛(420)을 포함한다. 여기서, 두둑 성형 및 다짐 모듈(400)은, 전술한 복수의 회전날(300)에 각각 대응하도록 회전날(300)의 후방에 복수로 설치된다.
먼저, 배토부(410)는, 대략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배토판(411)과, 배토판(411)의 후방에 연결되는 후면부(412)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토부(410)는 회전날(300)에 의해 형성된 경작지의 파헤쳐진 부분을 좌우 방향으로 확장하여 일정 이상 넓힘으로써 고랑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토부(410)의 후면에는, 고랑 형성 작업시 흙이 주변, 특히 후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도록 흙 튐 방지판(413)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흙 튐 방지판(413)은 주변으로 튀어나가는 흙을 일정 이상 차단함과 더불어 표면 세척이 용이하도록 일정 이상의 연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둑 다짐유닛(420)은, 메인 프레임(100)에서 배토부(410)의 후방에 설치되되 배토부(410)가 설치된 위치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로 설치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둑 다짐유닛(420)은, 배토부(410)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다짐판(421), 한 쌍의 다짐판(421) 사이에 대칭 구조로 설치되어 메인 회전축(200)의 회전력을 다짐판(421)으로 전달하여 다짐판(421)을 좌우 틸팅시키는 회전력 전달 링크부(4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한 쌍의 다짐판(421)은 후술하는 크랭크 로드(431)의 상하 왕복 이동에 연동하여 좌우 측 방향으로 왕복 이동함으로써, 고랑의 측벽을 견고하게 다지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다짐판(421)은 후술하는 상부 링크연결부(437)의 회전 중심축부(438)에 연결되어 상부 링크연결부(437)의 좌우 틸팅에 연동하여 좌우 방향으로 틸팅하게 된다. 이상 간략하게 설명한 측벽 다짐 과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력 전달 링크부(430)는, 메인 회전축(200)과 벨트 또는 체인을 통해 연결되며 일측에 편심된 출력축이 구비되는 동력전달부(432), 동력전달부(432)의 출력축에 장착되어 메인 회전축(200)의 회전에 따라 상하 왕복 이동하는 크랭크 로드(431), 다짐판(421)의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에 각각 크랭크 로드(431)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고정 설치되며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고정축 및 하부 고정축(433,434), 배토부(410)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지지축(435)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부는 크랭크 로드(431)에 연결링크(436)를 통해 연결되며 타단부는 다짐판(421)의 상부 영역에 고정된 상부 고정축(433)에 연결되는 절곡된 형상의 상부 링크연결부(437), 상부 링크연결부(437)와 하부 고정축(434)을 연결하며, 상부 링크연결부(437)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하부 연결부(441)를 포함한다.
먼저, 동력전달부(432)는 전술한 기어박스(110)와 유사하게 내부에 복수의 기어열이 구비되며 일측에는 동력 전달을 위해 편심된 출력축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메인 회전축(200)으로부터 회전력이 동력전달부(432)로 전달되면 출력축은 편심되게 회전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 로드(431)는, 동력전달부(432)의 출력축에 장착되어 메인 회전축(200)의 회전에 따라 상하 왕복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크랭크 로드(431)의 상단부는 출력축에 고정되며, 그 하단부는 후술하는 연결링크(43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연결 구조에 의해, 메인 회전축(200)이 회전하는 경우, 크랭크 로드(431)의 상부 영역은 편심되게 회전을 하지만 크랭크 로드(431)의 하부 영역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전체적으로 상하 왕복 이동을 하게 된다.
다음, 상부 고정축(433)은, 다짐판(421)의 상부 영역에 크랭크 로드(431)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한 쌍이 고정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고정축(433)은 배토부(410)의 후면과 대략 평행한 상태로 절곡되는 다짐판(421)의 상부 영역에 고정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하부 고정축(434)은, 배토부(410)의 후면과 대략 평행한 상태로 절곡되는 다짐판(421)의 하부 영역에 고정 설치된다.
상부 링크연결부(437)는 크랭크 로드(431)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설치되며, 배토부(410)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지지축(435)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부는 크랭크 로드(431)에 연결링크(436)를 통해 연결되며 타단부는 다짐판(421)의 상부 영역에 고정된 상부 고정축(433)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링크연결부(437)는 사이 각이 둔각을 갖는 대략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의 회전 중심축부(438)는 배토부(410)의 후면에 고정된 회전지지축(43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일 예로, 회전지지축(435)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베어링이 구비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연결부(441)는 상부 링크연결부(437)와 하부 고정축(434)을 연결하며, 상부 링크연결부(437)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하부 연결부(441)는 중앙부의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 링크연결부(437)의 회전 중심축부(438)에 용접 등을 통해 일체로 고정되며, 상부 링크연결부(437)의 틸팅 회전시 이와 동시에 좌우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짐판(421)이 두둑의 측벽 하부 영역에 보다 큰 다짐 압력을 가하도록, 연결링크(436)의 하단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연장링크(443)가 더 연결되고, 배토판(411)의 후면에는 연장링크(443)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연장링크(443)의 상하 이동을 지지하는 연장링크 지지바(445)가 구비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 로드(431)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연장링크(443)가 마찬가지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연장링크(443)의 하단부는 다짐판(421)의 내측면부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다짐판(421)의 하부 영역은 전술한 연장링크(443)로부터 가압되는 가압력에 의해 보다 증가된 속도로 두둑의 측벽 하부영역을 가압하여 다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상부 고정축(433)과 상부 링크연결부(437)의 연결부위, 하부 고정축(434)과 하부 연결부(441)의 연결부위, 회전지지축(435)과 상부 링크연결부(437)의 연결부위 등 회전 가능한 링크의 연결부위에는 각각 베어링이 설치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의 작동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가 견인차량의 작동 스위치를 ON하여 구동시키면 견인차량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메인 회전축(200)이 회전하게 된다. 메인 회전축(200)의 회전력은, 2열의 회전날(300) 및 두둑 다짐유닛(420)으로 각각 전달되어 구동시킨다. 부연하자면, 견인차량의 설정된 출력이 전술한 바와 같이 3군데 이상으로 전달되려면 일정 이상으로 토오크의 증가를 필요로 하므로 기어박스(110) 및 동력전달부(432)가 구비된다. 다음, 견인차량의 이동에 의해 2열의 회전날(300)은 농경지의 흙을 파는 작업을 한다.
이어서, 작업자가 견인차량을 계속 이동시키면 순차적으로 배토부(410)는 경작지에 고랑을 형성시키며 두둑 다짐유닛(420)은 고랑에 의해 형성되는 두둑의 측벽을 견고하게 다지게 된다.
이하, 두둑 다짐유닛(420)의 작동 관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회전축(200)의 회전력은 동력전달부(432)를 경유한 후 일정 이상 토오크가 증가한 상태로 출력된다. 동력전달부(432)의 편심된 출력축에 의해 크랭크 로드(431)는 상부 영역이 편심 회전하면서 상하 왕복 이동하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 로드(431)가 상측으로 상승 이동한 경우, 연결링크(436)는 동시에 상승 이동하며, 상부 링크연결부(437)는 연결링크(436)의 이동에 연동하여 연결링크(436)와 연결되는 단부가 상측으로 이동하며, 타단부는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다짐판(421)의 상부 영역을 두둑을 향하는 외측으로 밀게 된다.
이때, 하부 연결부(441)는, 상부 링크연결부(437)의 회전 중심축부(438)가 도면상 시계 반대방향(우측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마찬가지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며, 다짐판(421)의 하부 영역에 고정된 하부 고정축(434)이 하부 연결부(441)에 연결되므로 다짐판(421)의 하부 영역은 두둑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된다. 즉, 이 순간 한 쌍의 다짐판(421) 하부 영역 사이의 거리는 최소화된다.
다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 로드(431)가 하측으로 하강 이동한 경우, 연결링크(436)는 동시에 하강하며, 상부 링크연결부(437)는 연결링크(436)의 이동에 연동하여 연결링크(436)와 연결되는 일단부가 하측으로 이동한다. 덧붙여, 다짐판(421)의 상부 영역에 고정된 상부 고정축(433)이 상부 링크연결부(437)의 타단부에 연결되므로, 상부 링크연결부(437)의 타단부는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다짐판(421)의 상부 영역을 두둑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된다.
이때, 하부 연결부(441)는, 상부 링크연결부(437)의 회전 중심축부(438)가 도면상 시계 방향(좌측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마찬가지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며, 다짐판(421)의 하부 영역에 고정된 하부 고정축(434)이 하부 연결부(441)에 연결되므로 다짐판(421)의 하부 영역은 두둑의 측벽을 가압하게 된다. 즉, 이 순간 한 쌍의 다짐판(421) 하부 영역 사이의 거리는 최대화된다.
즉,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크랭크 로드(431), 상부 링크연결부(437) 및 하부 연결부(441)의 반복적인 승강 및 회전 동작에 의해 다짐판(421)의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은 교대로 틸팅되며,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둑의 측벽의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을 모두 견고하게 다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메인 프레임 200: 메인 회전축
300: 회전날 400: 두둑 성형 및 다짐 모듈
410: 배토부 413: 흙 튐 방지판
420: 두둑 다짐유닛 421: 다짐판
430: 회전력 전달 링크부 431: 크랭크 로드
433: 상부 고정축 434: 하부 고정축
435: 회전지지축 436: 연결링크
437: 상부 링크연결부 438: 회전중심축부
441: 하부 연결부 443: 연장링크
445: 연장링크 지지바

Claims (5)

  1.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며 견인차량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메인 회전축;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측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의 회전날; 및
    상기 복수의 회전날 후방의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두둑을 형성함과 더불어 압력을 가하여 두둑을 다지는 복수의 두둑 성형 및 다짐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회전날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적어도 2열 이상으로 설치되며, 상대적으로 후방에 설치되는 회전날은 상대적으로 전방에 설치되는 회전날에 비해 더 깊이 있는 고랑을 성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상기 견인차량의 동력 전달축과 연결되며 양측으로 회전축이 형성되는 기어박스가 설치되며,
    상기 기어박스의 양측 회전축에는 각각, 상기 메인 회전축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수단이 설치되는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둑 성형 및 다짐 모듈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두둑을 형성하는 배토부; 및
    상기 배토부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후 복수 링크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두둑의 측벽 상측 영역 및 측벽 하측 영역에 모두 다짐 압력을 가하는 두둑 다짐유닛을 포함하는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두둑 다짐유닛은,
    상기 배토부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다짐판; 및
    상기 한 쌍의 다짐판 사이에 대칭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메인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다짐판으로 전달하여 상기 다짐판을 회전시키는 회전력 전달 링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력 전달 링크부는,
    상기 메인 회전축과 벨트 또는 체인을 통해 연결되며 일측에 편심된 출력축이 구비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의 출력축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하 왕복 이동하는 크랭크 로드;
    상기 다짐판의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에 각각 상기 크랭크 로드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고정 설치되며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고정축 및 하부 고정축;
    상기 배토부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지지축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부는 상기 크랭크 로드에 연결링크를 통해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다짐판의 상부 영역에 고정된 상부 고정축에 연결되는 절곡된 형상의 상부 링크연결부; 및
    상기 상부 링크연결부와 상기 하부 고정축을 연결하며, 상기 상부 링크연결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하부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크랭크 로드, 상기 상부 링크연결부 및 상기 하부 연결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다짐판의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은 교대로 틸팅되는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토부는, 배토판과, 상기 배토판의 후방에 연결되는 후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링크의 하단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연장링크가 더 연결되고,
    상기 배토판의 후면에는 상기 연장링크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장링크의 상하 이동을 지지하는 연장링크 지지바가 구비되되,
    상기 크랭크 로드의 하방 이동시 상기 연장링크의 하단부는 상기 다짐판의 내측면부를 가압하여 상기 한 쌍의 다짐판 하부 영역의 사이 거리를 증가시키며,
    상기 배토부의 후면에는, 두둑 형성 작업시 흙이 주변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는 흙 튐 방지판이 더 구비되는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
KR1020110102404A 2011-10-07 2011-10-07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 KR101157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404A KR101157165B1 (ko) 2011-10-07 2011-10-07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404A KR101157165B1 (ko) 2011-10-07 2011-10-07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7165B1 true KR101157165B1 (ko) 2012-06-20

Family

ID=46689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404A KR101157165B1 (ko) 2011-10-07 2011-10-07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1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745B1 (ko) * 2013-10-23 2014-08-01 이호진 경운기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290B1 (ko) * 2001-03-26 2004-12-03 간토 노키 가부시키가이샤 높은 이랑 성형용 버터플라이형 이랑기기
JP2006191804A (ja) * 2005-01-11 2006-07-27 Sasaki Corporation 畝立て同時局所混合施用機
KR101017064B1 (ko) * 2010-08-16 2011-02-25 헌 호 임 농업용 이랑 성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290B1 (ko) * 2001-03-26 2004-12-03 간토 노키 가부시키가이샤 높은 이랑 성형용 버터플라이형 이랑기기
JP2006191804A (ja) * 2005-01-11 2006-07-27 Sasaki Corporation 畝立て同時局所混合施用機
KR101017064B1 (ko) * 2010-08-16 2011-02-25 헌 호 임 농업용 이랑 성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745B1 (ko) * 2013-10-23 2014-08-01 이호진 경운기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509407U (zh) 振动深松施肥机
AU2008258168A1 (en) Subsoil Tool
KR20110101950A (ko) 로터리용 배토기
KR20200044657A (ko)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CN102124830A (zh) 手扶拖拉机配套使用的深松机
KR101157165B1 (ko)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
CN105874944A (zh) 开沟仿形气力式蔬菜精量播种机
CN210725921U (zh) 大葱开沟起垄机
CN103749008B (zh) 开沟专用立式旋转耕耘机
JP3878031B2 (ja) ロータリ耕耘装置
JP2000060215A (ja) 複合作業機
KR100873651B1 (ko) 잔디 식재기
KR102205203B1 (ko) 경반층을 없애주는 쟁기-로터리 장치
KR100633990B1 (ko) 논두렁 조성기
AU7189200A (en) Combination rotary & ripper cultivator
CN202005140U (zh) 双排链刀式果园施肥开沟机
JP6566475B2 (ja) 畦成形機
KR101424745B1 (ko) 경운기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
CN219961328U (zh) 一种盐碱地小麦播种装置
KR20090122624A (ko) 인삼밭 두둑 성형장치
JP4031224B2 (ja) 高畝形成作業機ならびにこれに用いる高畝形成板
JP2013153724A (ja) 作業装置
CN217337165U (zh) 一种用于水田平整装置
CN220733412U (zh) 一种具备可调式开沟器的旋耕机
KR20140013511A (ko) 잔고랑을 형성하는 이랑 성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