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729B1 - 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자동이체 동의 신청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자동이체 동의 신청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6729B1
KR101156729B1 KR1020110045775A KR20110045775A KR101156729B1 KR 101156729 B1 KR101156729 B1 KR 101156729B1 KR 1020110045775 A KR1020110045775 A KR 1020110045775A KR 20110045775 A KR20110045775 A KR 20110045775A KR 101156729 B1 KR101156729 B1 KR 101156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agreement
debit
con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라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라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라패스
Priority to KR1020110045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06Q20/38215Use of certificates or encrypted proofs of transaction righ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의자 단말기를 통해서 입력한 자동이체 동의에 관한 정보 및 식별자를 통해서, 중계 서버가 해당 가맹점을 특정하고 통신사 서버와 연계하여 동의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본인임을 인증하고 금융기관 서버를 통해서 계좌를 조회하고 그 계좌에 자동이체 동의를 신청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이다.
본 발명은 동의자와 동의자 단말기의 명의자와 계좌 예금주가 모두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자동이체 동의 신청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서면 동의 방법에서 문제된 개인정보의 노출 및 명의 도용에 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단순히 서면 동의 방법을 통신 단말기를 통해서 구현화 시키는 방법에 비해 자동이체 동의를 신청하는 신청인과 결제 정보의 본인과의 불일치 및 명의 도용의 위험성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Description

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자동이체 동의 신청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SENTING AUTOMACIC TRANSFER USING TELE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자동이체 동의 신청에 있어서, 자동이체 동의자 명의의 통신 단말기를 통해서 통신사 서버와 연계하여 본인임을 인증을 받아 본인의 계좌에서 타 계좌로 자동이체되도록 금융기관 서버에 자동이체 동의를 신청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오프라인 상에서 지속적인 서비스나 재화를 제공하고 정기적으로 수납을 받아야 하는 업체와 후원금 모금을 위한 많은 기관이나 단체는 온라인에서 가능한 즉시성 결제 및 다양한 결제 서비스에 대한 효용성이 적기 때문에 지로, 무통장 입금, 서면동의를 통한 자동 결제 등을 통하여 수납을 받고 있다.
이 중에서 자동이체 동의는 서면작성을 통한 서면 동의, 즉 서명 및 인감 날인에 의한 동의를 통해서 이루어 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다수의 업체가 이러한 서면동의 접수 방식을 통하여 자동이체 동의를 접수 받고 있지만 이러한 서면동의 방식은 개인 정보의 노출, 불확실성 등의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해당 업체가 개인 신상 정보(주민등록 번호, 계좌 정보 등)가 적혀 있는 서면을 보관하고 이를 금융기관에 제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동의자는 개인정보의 노출에 대한 부담으로 결제를 위한 동의를 꺼리게 되며, 업체는 정보의 분실 및 도용, 결제 정보의 노출등의 서면에 대한 관리 감독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서면의 작성인과 결제 정보 본인과의 본인확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명의도용에 따른 민원발생의 소지가 많다은 결정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더 나아가 해지를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기존의 서면동의 방식은 동의자가 직접적으로 스스로 자동이체 동의를 해지하는 방법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가맹점에 전화로 연락하여 해지하는 것으로 해지자가 동의자 인지 여부, 담당자가 처리를 제대로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서면을 통한 동의 외에도 전자 서명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지만 이는 온라인상에서만 이루어 지며, IT기술환경에 따라 변경 가능성이 높으며, 전산환경이 구축된 일부의 업체에서만 한정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ARS 및 녹취의 자동이체 동의신청 방법은 그 시스템 구축 및 운영에 많은 돈이 들기 때문에 대형업체에서만 이용 가능한 방식으로 그 이용이 제한적이다.
한편, 이러한 서면동의 방식을 널리 보급된 통신 단말기 상에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존재하지만 이는 단순히 서면동의 방식의 기재 내용을 통신 단말기를 통해 송신하도록 구현한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서면동의 방식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여전히 가지고 있다. 특히, 자동이체 동의를 신청하는 자가 자신 명의의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거나 타인의 계좌에 대한 자동이체 동의를 신청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지적한 명의도용의 위험성 및 서면 작성인과 결제 정보의 본인과의 불일치에 대한 위험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자동이체 동의 신청 방식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인정보 및 결제정보의 분실, 도용, 노출 등 서면에 대한 관리감독의 부재, 서면의 전달 방식, 동의 정보의 정합성 체크 및 실시간 처리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자동이체 동의를 신청하는 신청인과 결제 정보의 본인과의 불일치 및 명의 도용의 위험성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이체 동의에 관한 정보 및 식별자를 중계 서버로 전송하고 처리 결과를 확인하는 동의자 단말기; 중계 서버로부터 식별자를 부여받고, 상기 자동이체 동의 신청에 관한 처리 결과를 확인하는 가맹점 단말기; 동의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정보를 통신사 서버를 통하여 본인 여부를 인증하고, 상기 본인 인증된 정보을 기초로 금융기관 서버에 자동이체 동의를 신청하는 중계 서버; 중계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본인 인증 정보를 통신사가 가지고 있는 통신사 가입자 정보와 비교하는 통신사 서버; 및 상기 본인 인증된 정보와 동의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계좌 정보를 기초로 해당 계좌 및 예금주를 조회하고, 자동이체 동의자의 계좌에 자동이체 동의 신청을 처리하는 금융기관 서버를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체 동의 시스템을 사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계 서버는, 가맹점 단말기에게 고유의 식별자를 부여하고, 동의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식별자를 전송받아 자동이체 동의의 대상인 가맹점을 특정시키는 가맹점 관리부; 동의자 단말기로부터 받아들인 개인 정보 및 동의자 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통신사 서버와 연계하여 통신사의 가입자 정보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의자 단말기를 통하여 자동이체 동의를 신청하는 자가 가입자 본인임을 인증하는 본인 인증부; 상기 본인 인증된 개인 정보 및 계좌 정보를 가지고 금융기관 서버에서 해당 계좌를 조회하는 계좌 조회부; 및 해당 계좌의 예금주가 상기 본인 인증된 동의자와 일치한다면 자동이체 동의를 상기 금융기관 서버에 신청하는 자동이체 동의 신청부를 포함하고, 더 바람직하게 상기 동의자 단말기는 동의자 명의의 단말기이며, 상기 중계 서버는 동의자 단말기의 명의자, 동의자 단말기를 통하여 자동이체 동의를 신청하는 동의자 및 상기 자동이체의 대상 계좌의 예금주가 모두 일치하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더 나아가 상기 동의자 단말기는 자동이체 설정 정보를 상기 중계 서버로 더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중계 서버는 발신자 번호 표시(CID)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체 동의 신청 방법으로서, 동의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중계 서버에 접속하고 식별자를 통해서 자동이체 동의 대상인 가맹점을 특정하는 가맹점 특정 단계; 동의자 단말기로부터 자동이체 동의에 관한 정보로서 개인 정보, 동의자 단말기 정보, 계좌 정보를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자동이체 동의 정보 입력 단계; 상기 동의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통신사 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동의자 단말기의 동의자가 통신사 가입자 본인임을 확인하는 본인 인증 단계; 및 상기 본인 인증 단계를 통해서 본인임이 확인된 동의자의 개인 정보와 계좌 정보 조합하여 금융기관 서버에 계좌 조회 및 자동이체 동의 신청 처리하고, 이러한 처리 결과를 동의자 단말기 및 가맹점 단말기에 전달하는 자동이체 동의 신청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이체 동의 방법을 통해서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맹점 특정 단계는 중계 서버가 가맹점 단말기에 해당 가맹점을 특정시킬 수 있는 고유의 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 동의자 단말기가 중계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식별자를 입력함으로써 중계 서버는 상기 가맹점을 이후 자동이체동의의 대상으로 특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된 가맹점을 동의자 단말기에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본인 인증 단계는 동의자 단말기로부터 개인 정보 및 단말기 정보를 전송받고 이를 통신사 서버로 전송하고, 통신사 서버는 이미 가지고 있는 당해 통신 서비스의 가입자 정보를 상기 개인 정보 및 상기 단말기 정보와 비교하고, 본인 인증부는 상기 전송된 개인 정보 및 단말기 정보가 통신사 서버의 가입자 정보와 동일하다면 상기 동의자 단말기를 통하여 자동이체 동의를 신청하는 자를 가입자 본인이라고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상세하게, 상기 자동이체 동의 정보 입력 단계는 동의자 명의의 단말기 상에서 행하여 지며, 상기 본인 인증 단계는 동의자 단말기의 명의자, 동의자 단말기를 통하여 자동이체 동의를 신청하는 동의자 및 상기 자동이체의 대상 계좌의 예금주가 모두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자동이체 동의 정보 입력 단계는 상기 자동이체 동의에 관한 정보 외에 자동이체 설정 정보를 상기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시스템 및 방법과 동일한 시스템 및 방법을 통해서 자동이체 동의 신청뿐 아니라 자동이체 동의 해지 신청을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체 동의 신청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체 동의 신청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인 인증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라 자동이체 동의 신청 방법의 진행 순서를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체 동의 신청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보면 본 시스템은 동의자 단말기(100), 가맹점 단말기(200), 중계 서버(300), 통신사 서버(400) 및 금융기관 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각의 단말기 및 서버들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계되어 있고 이를 표시하기 위하여 도 1에서는 화살표로 각 장치들을 연결하고 있다. 화살표의 방향은 데이터의 전송방향이다.
통신 네트워크로는 일반적으로 전화 네트워크가 사용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 통신 및 유선 통신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통신사 서버(400)를 운영하는 통신사에서 운영하는 통신 네트워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모든 운영주체의 통신 네트워크가 사용 가능하다. 단, 이하 기술되듯이 동의자 단말기(100)가 중계 서버(300)를 통해서 "본인"임을 인증받기 위해서는 동의자 단말기(100), 중계 서버(300) 및 통신사 서버(400) 사이에 있는 통신 네트워크가 동일한 통신사에 의한 것이여야만 한다. 이는 본 발명은 본인 인증에 통신사 서버(400)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동의자 단말기(100) 및 가맹점 단말기(200)는 이동이 가능한 단말기일 수 있기 때문에 이들과 상기 중계 서버(300)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도 있고, 무선으로 연결될 수 도 있다.
동의자 단말기(100)는 자동이체에 대하여 동의를 신청하는 자(이하 동의자)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동의를 신청하는 장치를 말한다. 본 단말기는 유선 또는 무선 단말기일 수 있고, 통신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받을 수 있는 모든 장치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전화기가 사용되지만 최근의 일명 스마트 폰(Smart Phone)등에 의하여 컴퓨터 단말기와 전화기의 결합이 진행되는 추세를 보아 전화-컴퓨터 단말기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그 종류로는 유무선 전화기, 테블릿PC, 노트북, 등이 있다.
상기 동의자 단말기(100)는 먼저 가맹점 단말기(200)를 통해서 노출된 "식별자"를 중계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식별자"란 중계 서버(300)가 가맹점, 정확하게는 해당 가맹점 단말기(200)에게 부여한 고유 식별자로서, 해당 식별자를 통해서 전산적으로 중계 서버(300)가 동의자가 신청하는 자동이체의 대상이 되는, 즉 금융기관의 계좌로부터 돈이 입금되는 대상 가맹점을 특정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각 가맹점 별로 고유번호가 쓰이지만 숫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식별방법을 통해서 식별될 수 있는 식별자가 사용될 수 있다. 그 예로 바코드, QR코드 등이 존재한다. 여기서 "가맹점"이란 중계 서버(300)에서 사전 결정된 가입절차를 통해서 본 시스템 및 방법에 포함되는 업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다수의 가맹점이 존재 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가맹점 중 상기 동의자 단말기(100)가 식별자를 통해서 하나의 목표 가맹점을 특정함으로서 이하의 자동이체 동의 신청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동의자 단말기(100)는 또한 자동이체 동의 신청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여 이를 중계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자동이체 동의 신청에 관한 정보"란 자동이체 동의 신청에 필요한 모든 필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하 기술할 "개인 정보", "동의자 단말기 정보" 및 "계좌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개인 정보"란, 동의자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로서 통신사의 가입여부를 확인하는 주민등록번호 및 이름 등을 포함한다. 상기 "동의자 단말기 정보"란 동의자 단말기(100)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로서 동의자 단말기(100)가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가입한 통신사 및 전화번호 등을 말한다. 상기 "계좌 정보"란, 금융기관에서 상기 동의자의 계좌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로서 계좌 번호, 은행명 등을 말한다. 상기 정보들은 다양한 입력 방법(숫자키, 음성인식, 터치 등)을 통해서 동의자 단말기(100)에서 중계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동의자 단말기(100)는, 자동이체 동의 신청에 관한 정보 외에 "자동이체 설정 정보"를 더 입력하여 이를 중계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이체 설정 정보"란, 상기 자동이체 동의 신청에 필요한 필수 정보 외에 가맹점 별로 선택적으로 입력된 자동이체기간, 금액, 이체일 등을 말한다.
이러한 동의 신청 및 설정 정보를 개인이 사용하는 단말기를 통해서 입력함으로써 타인은 입력되는 개인 신상 정보 및 각종 정보들이 누출되는 것을 막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는 기존의 서면 동의 상에서 발생된 개인 정보의 누출을 일차적으로 제거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하지만 단순히 기존의 오프라인 상의 서면 동의를 온라인 상에서(통신 단말기 상에서) 실행하는 것만으로는 본 발명의 목적인 자동이체 동의를 신청하는 신청인과 결제 정보의 본인과의 불일치 및 명의 도용의 위험성에 대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없다.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은 이하 기술될 것이다.
가맹점 단말기(200)는 중계 서버(300)로부터 식별자를 사전에 부여받게 된다. 이렇게 부여된 식별자를 이후 동의자에게 노출시킨다. 노출 방법으로는 일반적인 광고, 알림 등를 포함하는 모든 전달 방법을 포함한다. 동의자는 이렇게 노출된 여러 가맹점의 식별자들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가맹점을 선택하여 그 식별자를 중계 서버(300)에 전송하게 된다.
중계 서버(300)는 동의자 단말기(100)로부터 가맹점의 식별자 및 계좌이체 동의에 관한 정보를 수신받아 이를 통신사 서버(400) 및 금융기관 서버(500)와 연계하여 처리한다. 더 자세하게 중계 서버(300)는 동의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통신사 서버(400)를 통해서 본인 인증을 받고, 더 나아가 본인 인증 받은 정보를 통해서 금융기관 서버(500)에 자동이체 동의 신청을 한다 또한 가맹점 단말기(200)에 식별자를 부여하며 동의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식별자를 통해서 가맹점을 특정한다. 또한 중계 서버(300)는 동의자 단말기(100) 및 가맹점 단말기(200)에 자동이체 동의 신청의 결과를 알려준다.
중계 서버(300)는 식별자를 통해서 가맹점을 특정하는 가맹점 확인부(310), 통신사 서버(400)와 연계하여 동의자가 계좌 정보의 당사자와 동일인인지를 확인하는 본인 인증부(320), 금융기관 서버(500)에 상기 본인 인증된 정보를 통해서 자동이체 신청을 하는 자동이체 동의 신청부(340)를 포함한다.
가맹점 확인부(310)는 상기 동의자 단말기(100)를 통해서 수신한 식별자를 통해서 동의자 단말기(100)가 자동이체의 목표로 하는 가맹점을 특정한다. 가맹점 확인부(310)는 사전에 가맹점에 대한 분류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분류 정보는 가맹점 별로 고유번호 등의 상기 식별자에 대응되어 동의자 단말기(100)가 전송한 식별자를 통해서 이러한 분류 정보속에서 가맹점을 특정하게 된다. 이러한 가맹점 분류 정보에는 가맹점의 계좌번호 및 예금주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인 인증부(320)는 동의자 단말기(100)에 입력된 정보를 통신사 서버(400)와 연계하여 동의자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자(즉, 동의자)가 금융기관의 계좌 정보가 나타내는 자 인지, 즉 "본인"인지를 확인한다. 이러한 "본인" 확인(본인 인증)을 위하여 본인 인증부(320)는 동의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 중 개인정보 및 동의자 단말기 정보를 통신사 서버(400)로 전송한다. 이후 통신사 서버(400)에서 가입자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여부에 따라서 본인 인증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본인 인증을 받게 된 개인 정보는 이후 자동이체 동의 신청부(340)를 통해서 금융기관 서버(500)에 계좌 정보 조회 및 자동이체 동의 신청을 할 때 사용되게 된다.
상기 "본인" 인증을 받는다는 것은 동의자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동의 신청을 하는 자(동의자)와 통신사 가입자(해당 단말기의 명의자)가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동의자는 자신의 명의로 된 단말기 상에서만 자동이체 동의 신청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타인 또는 타인의 단말기에 의한 동의가 불가능하게 된다.
계좌 조회부(330)는 상기 본인 인증부(320)에 의하여 본인 인증된 개인정보 (본 실시예에서는 주민등록번호)와 계좌 정보를 조합하여 금융기관 서버(500)에 당해 계좌에 대한 확인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개인 정보 및 계좌 정보를 금융기관 서버가 전달받아 계좌의 유무, 자동이체가 가능한 계좌인지 여부 등을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만약 계좌 조회가 실폐한 경우(예를 들면, 개인 정보와 계좌 정보의 불일치, 자동 이체가 불가능한 계좌 등)에는 상기 동의자 단말기(100)로 이를 통지한다.
이러한 계좌 조회부(330)의 계좌 조회를 통해서, 기존의 서면에 의한 계좌 조회에 있어서 동의자는 자신의 계좌에 대한 조회를 직접 할 수 없었던 점을 개선하고, 이미 본인 인증된 개인 정보를 통해서 계좌 조회를 함으로써 계좌 오류를 줄이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조회된 계좌의 예금주와 상기 인증된 본인이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자동이체 동의 신청부(340)가 금융기관 서버(500)에 자동이체 동의 신청을 하기 때문이다.
자동이체 동의 신청부(340)는 상기 계좌 조회부(330)에 의해서 확인된 계좌에 대하여, 상기 본인 인증부(320)에 의하여 본인 인증이 된 개인정보(본 실시예에서는 주민등록번호) 및 계좌 정보를 조합하여 금융기관 서버(500)에 자동이체 동의를 신청하게 된다.
상기 본인 인증부(320)의 본인 인증 및 계좌 조회부(350)의 계좌 조회를 통해서 본 발명은 자동이체 동의를 신청하는 신청인과 결제 정보의 본인과의 불일치 및 명의 도용의 위험성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는 상기 본인 인증에 의하여 동의자 단말기의 명의자와 동의자가 일치하게 되고, 상기 계좌 조회에 의하여 동의자와 예금주까지 모두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자동이체 동의 신청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일차적으로 본인 인증을 통신사 서버(400)에 대하여 함으로써 본인 인증이 안된 경우 금융기관 서버(500)에 별도의 인증 절차를 밟을 필요 없이 본인 인증부(320)에서 이후 절차 진행이 차단되기 때문에 금융기관 서버(500)에 불필요한 접속을 통한 통신 회선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더욱이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 사용자는 모두 특정 통신사를 통해서 가입되어 있기 때문에 단말기를 소유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손쉽게 본인 인증이 가능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자동이체 동의 신청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중계 서버(300)는 발신자 정보 표시부(CID부, 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의자는 동의자 단말기(100)에 반드시 자신의 단말기 정보를 입력할 필요없이 중계 서버(300)는 상기 발신자 정보 표시부(350)를 통해서 자동으로 동의자 단말기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사 서버(400)는 통신사가 운영하는 장치로서 통신사의 가입자에 대한 정보 및 그 가입자가 소유한 단말기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이를 조회 및 대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계 서버(300)는 본인 인증부(320)를 통해서 통신사 서버(400)에 동의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개인정보 및 동의자 단말기 정보를 전송한다. 통신사 서버(400)는 이미 가지고 있는 가입자 정보 및 단말기 정보를 전송받은 개인 정보 및 동의자 단말기 정보와 비교하여 양쪽이 서로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이후 비교결과를 중계 서버(300)의 본인 인증부(320)에 전송하게 되고 비교결과가 양쪽이 서로 일치한다면 본인 인증부(320)는 이를 본인으로서 인증하고 불일치 한다면 본인 인증 실패로 판단한다.
금융기관 서버(500)는 중계 서버(300)로부터 개인 정보 및 계좌정보를 전송받고 이를 기초로 계좌 조회 및 자동이체 동의 신청을 한다. 상기 개인 정보는 이미 본인 인증이 된 개인 정보로서 이러한 개인 정보를 사용하여 계좌 조회를 하고 계좌 조회가 성공하면 본 계좌에 자동이체 동의 신청을 하게 된다. 여기서 자동이체 동의의 대상은 상기 가맹점이 될 것이며 자동이체 기간, 금액, 이체일등은 상기 자동이체 설정 정보를 따라 신청된다.
본원 발명은 자동이체 동의 신청 뿐만 아니라 자동이체 동의 해지 신청도 상기 설명한 장치들을 통해서 행하여 질 수 있다. 즉, 동의자는 동의자 단말기(100)를 통해서 상기 자동이체 동의 신청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식별자 및 관련 정보를 중계 서버(300)로 전송하고, 중계 서버(300)는 통신사 서버(400)와 연계하여 본인 인증하고, 이렇게 본인 인증된 정보를 통해서 금융기관 서버(500)의 해당 계좌에 기존에 설정한 자동이체 동의을 해지하는 신청을 할 수 있다. 이렇듯 자동이체 동의 신청 뿐 아니라 해지도 가능함에 따라, 기존의 서면에 의한 해지와 달리 동의자가 직접 해지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확실성이 보장된다. 무엇보다 해지자가 동의자와 동일인일 때 만 해지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해지에 대한 안전한 처리가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체 동의 신청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자동이체 동의 신청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제공하는 절차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자동이체 동의 신청 방법은 식별자를 통해서 가맹점을 특정하는 가맹점 특정 단계(S100), 자동이체 동의에 필요한 자동이체 동의 정보 입력 단계(S200), 동의자가 계좌 정보 상의 본인임을 확인하는 본인 인증 단계(S300) 및 중계 서버(300)가 금융기관 서버(500)에 자동이체 동의 신청을 하고 그 결과를 받는 자동이체 동의 신청 처리 단계(S400)를 포함한다.
가맹점 특정 단계(S100)는 중계 서버(300)가 가맹점 단말기(200)에 해당 가맹점을 특정시킬 수 있는 고유의 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 동의자 단말기(100)가 중계 서버(300)에 접속하고 상기 식별자를 입력함으로써 중계 서버(300)는 상기 가맹점을 이후 자동이체동의의 대상으로 특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된 가맹점을 동의자 단말기(100)에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자동이체 동의 정보 입력 단계(S200)는 동의자 단말기(100)로부터 개인 정보, 동의자 단말기 정보 및 계좌 정보를 자동이체 동의에 관한 정보로서 동의자 단말기(100)에 입력하여 중계 서버(300)에 전송하는 단계를 말한다. 또한, 본 단계는 상기 자동이체 동의에 관한 정보 외에 자동이체 설정 정보를 상기 중계 서버(300)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인 인증 단계(S300)는 동의자 단말기(100)로부터 개인 정보 및 단말기 정보를 전송받고 이를 통신사 서버(400)로 전송하고(S310), 통신사 서버(400)는 이미 가지고 있는 당해 통신 서비스의 가입자 정보를 상기 개인 정보 및 상기 단말기 정보와 비교하고(S320), 본인 인증부(320)는 상기 전송된 개인 정보 및 단말기 정보가 통신사 서버(400)의 가입자 정보와 동일하다면 상기 동의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자동이체 동의를 신청하는 자를 가입자 본인이라고 인증한다(S330).
자동이체 동의 신청 처리 단계(S400)는 상기 본인 인증 단계(S300)를 통해서 본인임이 확인된 동의자의 개인 정보와 계좌 정보를 조합하여 계좌를 조회하고, 이후 금융기관 서버(500)에 자동이체 동의 신청 처리하고, 이러한 처리 결과를 동의자 단말기(100) 및 가맹점 단말기(200)에 전달한다.
도 4는 상기 단계들의 전체적인 절차도를 나타낸다. 도 4의 본 절차도는 상기 도 2 및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한 본원 방법 발명의 순서도를 본원 장치 발명의 장치들 사이에서 어떻게 구동되는지 시간 순서에 따라서 그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중계 서버(300)는 가맹점 단말기(200)에 식별자를 부여하고 가맹점 단말기(200)은 부여된 식별자를 동의자 단말기(100)에 노출한다. 이렇게 동의자 단말기에 노출된 식별자를 중계 서버에 접속하여 입력함으로써 가맹점이 특정되게 된다. 이후 자동이체 동의 신청에 관한 정보를 중계 서버(300)에 입력하게 된고 이러한 정보를 통신사 서버(400)와 연계하여 본인 인증을 한다. 이후 본인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본인 인증된 정보를 사용하여 금융기관 서버(500)에 계좌 조회 및 자동이체 동의 신청을 처리한다. 그리고 나서 자동이체 동의 신청 처리 결과를 동의자 단말기(100) 및 가맹점 단말기(200)에 알린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0: 동의자 단말기 200: 가맹점 단말기
300: 중계 서버 310: 가맹점 확인부
320: 본인 인증부 330: 계좌 조회부
340: 자동이체 동의 신청부 350: 발신자 정보 표시부
400: 통신사 서버 500: 금융기관 서버
S100: 가맹점 특정 단계 S200: 자동이체 동의 정보 입력 단계
S300: 본인 인증 단계 S400: 자동이체 동의 신청 처리 단계

Claims (12)

  1.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자동이체를 동의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이체 동의에 관한 정보 및 식별자를 중계 서버(300)로 전송하고 처리 결과를 확인하는 동의자 단말기(100);
    중계 서버(300)로부터 식별자를 부여받고, 상기 자동이체 동의 신청에 관한 처리 결과를 확인하는 가맹점 단말기(200);
    동의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받은 정보를 통신사 서버(400)를 통하여 본인 여부를 인증하고, 상기 본인 인증된 정보를 기초로 금융기관 서버(500)에 계좌조회 및 자동이체 동의를 신청하는 중계 서버(300);
    중계 서버(300)로부터 전송받은 본인 인증 정보를 통신사가 가지고 있는 통신사 가입자 정보와 비교하는 통신사 서버(400); 및
    상기 본인 인증된 정보와 동의자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받은 계좌 정보를 기초로 해당 계좌 및 예금주를 조회하고, 자동이체 동의자의 계좌에 자동이체 동의 신청을 처리하는 금융기관 서버(500);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서버(300)는,
    동의자 단말기(100)로부터 받아들인 동의자의 개인 정보 및 동의자 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통신사 서버(400)와 연계하여 통신사의 가입자 정보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의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자동이체 동의를 신청하는 자가 본인임을 인증함과 동시에, 동의자 명의의 단말기를 통해서 자동이체 동의 신청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인증하는 본인 인증부(320);
    동의자 명의의 상기 단말기(100)를 통해서 전송된 상기 본인 인증된 개인 정보 및 계좌 정보를 가지고 금융기관 서버(500)에서 해당 계좌를 조회하는 계좌 조회부(330); 및
    해당 계좌의 예금주가 상기 본인 인증된 동의자와 일치한다면, 동의자가 동의자 명의의 단말기를 사용하여 자동이체 동의 신청을 한다고 간주하여, 자동이체 동의를 상기 금융기관 서버(500)에 신청하는 자동이체 동의 신청부(340);를 포함하고,
    이로써, 상기 중계 서버(300)는 동의자 단말기(100)의 명의자와, 동의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자동이체 동의를 신청하는 동의자와, 상기 자동이체의 대상 계좌의 예금주가 모두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자동이체 동의 신청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체 동의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300)는,
    가맹점 단말기(200)에게 고유의 식별자를 부여하고, 동의자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식별자를 전송받아 자동이체 동의의 대상인 가맹점을 특정시키는 가맹점 확인부(3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체 동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300)는,
    동의자 단말기(100)에서 동의자 단말기 정보를 입력받지 않아도 상기 중계 서버(300)에 접속함으로서 당해 동의자 단말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발신자 번호 표시(CID)부(3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체 동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의자 단말기(100)는,
    상기 자동이체 동의에 관한 정보 외에 자동이체 설정 정보를 상기 중계 서버(300)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체 동의 시스템.
  6. 삭제
  7.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자동이체를 동의하는 방법에 있어서,
    동의자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중계 서버(300)에 접속하고 식별자를 통해서 자동이체 동의 대상인 가맹점을 특정하는 가맹점 특정 단계(S100);
    동의자 단말기(100)로부터 자동이체 동의에 관한 정보로서 개인 정보, 동의자 단말기 정보, 계좌 정보를 중계 서버(300)로 전송하는 자동이체 동의 정보 입력 단계(S200);
    상기 동의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통신사 서버(400)와 연계하여 상기 동의자 단말기(100)의 동의자가 통신사 가입자 본인임을 확인하는 본인 인증 단계(S300); 및
    상기 본인 인증 단계(S300)를 통해서 본인임이 확인된 동의자의 개인 정보와 계좌 정보를 조합하여 금융기관 서버(500)에 계좌 조회 및 자동이체 동의 신청을 처리하고, 이러한 조회 및 처리 결과를 동의자 단말기(100) 및 가맹점 단말기(200)에 전달하는 자동이체 동의 신청 처리 단계(S400);를 포함하는 자동이체 동의 방법으로서,
    상기 본인 인증 단계(S300)는,
    동의자 단말기(100)로부터 동의자의 개인 정보 및 단말기 정보를 전송받고 이를 통신사 서버(400)로 전송하고(S310),
    통신사 서버(400)는 이미 가지고 있는 당해 통신 서비스의 가입자 정보를 동의자 명의의 상기 단말기(100)를 통해서 전송된 상기 개인 정보 및 상기 단말기 정보와 비교하고(S320),
    중계 서버(300)의 본인 인증부(320)는 상기 전송된 개인 정보 및 단말기 정보가 통신사 서버(400)의 가입자 정보와 동일하다면, 동의자가 동의자 명의의 단말기를 사용하여 자동이체 동의 신청을 한다고 간주하여, 상기 동의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자동이체 동의를 신청하는 자를 본인이라고 인증하고(S330),
    상기 중계 서버(300)는,
    동의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받은 정보로 동의자의 본인 여부를 인증함으로써 상기 동의자 단말기(100)가 자동이체 동의를 신청하는 동의자 명의의 단말기임을 인증하고,
    동의자 단말기(100)의 명의자와, 동의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자동이체 동의를 신청하는 동의자와, 상기 자동이체의 대상 계좌의 예금주가 모두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자동이체 동의 신청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체 동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특정 단계(S100)는,
    중계 서버(300)가 가맹점 단말기(200)에 해당 가맹점을 특정시킬 수 있는 고유의 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
    동의자 단말기(100)가 중계 서버(300)에 접속하고, 상기 식별자를 입력함으로써 중계 서버(300)는 상기 가맹점을 이후 자동이체동의의 대상으로 특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된 가맹점을 동의자 단말기(100)에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체 동의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이체 동의 정보 입력 단계(S200)는,
    상기 자동이체 동의에 관한 정보 외에 자동이체 설정 정보를 상기 중계 서버(300)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체 동의 방법.
  12. 삭제
KR1020110045775A 2011-05-16 2011-05-16 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자동이체 동의 신청 시스템 및 방법 KR101156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775A KR101156729B1 (ko) 2011-05-16 2011-05-16 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자동이체 동의 신청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775A KR101156729B1 (ko) 2011-05-16 2011-05-16 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자동이체 동의 신청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6729B1 true KR101156729B1 (ko) 2012-07-09

Family

ID=46715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775A KR101156729B1 (ko) 2011-05-16 2011-05-16 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자동이체 동의 신청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7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431B1 (ko) 2018-04-17 2019-08-05 주식회사 스마트솔루션 자동이체 등록 신청정보의 진위 검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431B1 (ko) 2018-04-17 2019-08-05 주식회사 스마트솔루션 자동이체 등록 신청정보의 진위 검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11383B (zh) 用于认证交易方的方法和系统
CN105678535A (zh) 支付方法与装置
KR102116587B1 (ko) 사이버 id를 이용하여 보안 트랜잭션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20296816A1 (en) Mobile billing method and system using ars
US10867326B2 (en) Reputation system and method
KR101210054B1 (ko) 비 대면 서비스 이용자 본인인증 지원시스템
JP2017535893A (ja) 支払い検証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KR20080009242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직불결제 서비스 시스템
KR20140089730A (ko) 제휴사 앱을 이용한 결제수단 등록 방법 및 시스템
KR101156729B1 (ko) 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자동이체 동의 신청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46831A (ko) 결제 중개 시스템 및 방법
WO2018209623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erforming verification of communications received from one or more computing devices
KR101772358B1 (ko) 결제수단 등록을 위한 타사 앱 자동 식별 방법
KR20150135171A (ko) 고객 전화번호 입력에 기초한 로그인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28993B1 (ko) 휴대폰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33727A (ko) 실명 기반의 가상계좌 운영 방법
KR20150063197A (ko)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
KR102198150B1 (ko) 발신자 확인 전화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02889A (ko) 온라인 상의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KR20090019278A (ko) 전자서비스를 위한 전화망 인증 시스템
KR20020041354A (ko) 회원전화번호인증식 인터넷 사이트 로그인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KR102048468B1 (ko) 법인명의 사용자의 본인확인 시스템 및 방법
RU92592U1 (ru) Система идентификации пользователя подвижной радиотелефонной связи на основе абонентского номера в сети подвижной радиотелефонной связи
WO2018209621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managing communications of one or more computing devices
KR101782284B1 (ko) 타사의 앱과 연계한 결제수단 등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