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591B1 - 태양광 집광기 - Google Patents

태양광 집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6591B1
KR101156591B1 KR1020100027454A KR20100027454A KR101156591B1 KR 101156591 B1 KR101156591 B1 KR 101156591B1 KR 1020100027454 A KR1020100027454 A KR 1020100027454A KR 20100027454 A KR20100027454 A KR 20100027454A KR 101156591 B1 KR101156591 B1 KR 101156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housing
solar
solar cell
pr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8130A (ko
Inventor
이영근
Original Assignee
태산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산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산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7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591B1/ko
Publication of KR20110108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4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01L31/0543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comprising light concentrating means of the refractive type, e.g. len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4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01L31/0547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comprising light concentrating means of the reflecting type, e.g. parabolic mirrors, concentrators us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집광기는 광의 경로를 확보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측면에 마련되는 태양전지와, 하우징의 상측에 위치하고, 입사하는 광이 태양전지로 유도되도록 광을 굴절시키는 하나 이상의 프리즘판과, 하우징의 하측에 위치하여 태양전지로 유도되지 않은 광이 태양전지로 유도되도록 광을 전반사시키는 반사판을 포함하여, 태양광 집광기의 부피 또는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태양전지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빛의 굴절 및 반사의 성질을 이용함으로써 집광기 내부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집광기{SUNRAY COLLECTOR}
본 발명은 태양광 집광기, 구체적으로 태양전지에 태양광이 효율적으로 집광되도록 하는 태양광 집광기에 관한 것이다.
화석 에너지의 지속적인 사용과 이에 따른 에너지원의 감소는 에너지원의 고갈에 대한 우려와 함께 에너지 가격, 예를 들어 유가의 상승으로 이어지며 전세계 인구의 생활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화석 에너지의 사용에 의한 대기오염의 문제와 이산화탄소의 배출에 따른 온실효과로 인한 지구 온난화 문제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을 야기시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선진국에서는 1997년 12월 교토의정서를 채택하여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인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강제적으로 규제하고자 하고 있으며, 에너지원의 다원화를 위하여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시도에서 고려되고 있는 새로운 에너지원으로는 태양에너지, 풍력 및 수력에너지와 같은 신재생에너지가 있으며, 이들을 활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기술개발 등의 노력들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각국의 노력으로, 전체 에너지의 비중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고, 그 가운데에서도 태양광 분야의 성장이 가장 빠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태양광 에너지는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환경오염에 대한 문제가 없으며, 무한한 에너지의 공급이 담보될 뿐만 아니라, 맑은 날 1시간 동안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광이 갖는 에너지가 전체 인류가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에 버금갈 정도로 풍부한 에너지원이다.
이러한 태양광 에너지의 활용이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태양전지와 관련된 원자재 공급 부족 현상은 향후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현재 단결정 실리콘 태양전지의 경우, 원자재 및 기판의 공급 부족 현상이 시작되었으며, 이에 따라 가파른 가격 상승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따라 원자재 공급 부족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기본 원자재인 폴리실리콘 공급을 늘이는 것 외에도, 기판 자체의 두께를 줄이거나 유리 기판 위에 실리콘 박막을 이용한 박막 태양전지의 개발 등의 시도가 있다. 최근에는 태양광을 집광함으로써, 필요한 태양전지 셀의 면적을 최소화 하면서,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법인 집광형 태양전지(CPV, Concentrating PhotoVoltaics)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집광형 태양전지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기본 원리에 있어서 기존의 태양전지와 동일하나, 광학시스템을 사용하여 태양광을 셀에 집속하는 장치를 부가적으로 사용한다. 태양광을 셀에 집속하는 집광 시스템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이슈는 집광률(concentration ratio)이다. 집광 시스템은 집광률에 따라서 x10배 이하의 저집광, x10~x100배의 중집광 그리고 x100~x1000배의 고집광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집광하는 광학 시스템에 따라서 반사형(reflective type)과 굴절형(refractive type)으로 나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형의 대표적인 경우는 포물면 거울(1)을 사용하는 경우이고, 굴절형의 대표적인 경우는 프레넬(Fresnel) 렌즈(2)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이 두 경우 모두 광학 시스템을 사용하여 태양광을 셀에 집광시키는 방식으로 전력 생산에 필요한 태양전지 셀의 양을 최소화하여 전력 생산 단가를 낮추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즉, 저렴한 메탈로 된 반사형 거울(1)이나 플라스틱으로 된 프레넬 렌즈(2)를 사용하여 고가의 태양전지 셀의 사용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굴절형 집광기는 태양광(S)이 렌즈(L)를 거쳐 태양전지(C)에 집광되도록 하고 있으나, 태양광(S) 수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렌즈(L)의 크기를 크게 하면, 렌즈(L)와 태양전지(C) 사이의 거리(H)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써, 집광기 자체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광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광 집광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태양광 집광기는, 광의 경로를 확보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측면에 마련되는 태양전지와, 하우징의 상측에 위치하고, 입사하는 광이 태양전지로 유도되도록 광을 굴절시키는 하나 이상의 프리즘판과, 하우징의 하측에 위치하여 태양전지로 유도되지 않은 광이 태양전지로 유도되도록 광을 전반사시키는 반사판을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의 측면은, 하우징의 상면에서 연장되되, 하우징의 하면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 1 경사부와, 하우징의 하면에서 연장되되, 하우징의 상면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 2 경사부와, 제 1 경사부의 끝단과 제 2 경사부의 끝단을 연결하는 중간부와, 중간부의 내측에 태양전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 경사부 및 제 2 경사부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1도 ~ 30도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경사부 및 제 2 경사부에는 반사판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중간부는 평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프리즘판은 2개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프리즘판 중 적어도 하나는 산이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할 수 있다.
또한, 프리즘판 상의 프리즘 산의 각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프리즘판 산의 각도는 50도 ~ 160도일 수 있다.
여기서, 프리즘판의 상측에는 보호판이 마련될 수 있으며, 하우징과 프리즘판의 사이에는 프리즘판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집광기는 집광기의 부피 또는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태양전지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빛의 굴절 및 반사의 성질을 이용함으로써 집광기 내부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반사형 집광기의 그림이고,
도 2는 종래의 굴절형 집광기의 그림이고,
도 3은 종래의 굴절형 집광기의 내부 원리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집광기의 내부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집광기의 내부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태양광 집광기의 일부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태양광 집광기의 일부 구성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집광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집광기(100)는 광의 경로를 확보하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의 측면에 마련되는 태양전지(10)와, 하우징(20)의 상측에 위치하고, 입사하는 광(S)이 태양전지(10)로 유도되도록 광(S)을 굴절시키는 하나 이상의 프리즘판(30)과, 하우징(20)의 하측에 위치하여 태양전지(10)로 유도되지 않은 광이 태양전지(10)로 유도되도록 광을 전반사시키는 반사판(60)을 포함한다.
태양전지(10)는 태양광의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전지이며, 화학전지와 대비되어 물리전지로 지칭되기도 한다. 태양전지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사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며, 구체적으로, 태양광에 의하여 내부에 전자와 정공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전하들이 P, N극으로 이동하면서 P극과 N극 사이에 전위차(광기전력)가 발생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러한 태양전지(10)는 하우징(20)의 측면에 마련되게 되며, 하우징(20)은 태양전지(10)로 유도되는 광의 경로를 확보한다. 하우징(20)의 내부는 빈 공간 또는 진공일 수 있으며, 또는 투명소재, 예를 들명 투명 플라스틱 또는 투명 유리 등으로 충진되어 있을 수 있다.
하우징(20)의 상측에는 프리즘판(30)이 위치하게 되며, 프리즘판(30)은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프리즘판(30)은 입사되는 광(S)을 태양전지(10)로 유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프리즘판(30)의 개수 및 프리즘판(30) 상의 프리즘 산의 각도에 따라 입사되는 광(S)의 굴절각이 달라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프리즘판(30)은 1개가 마련될 수도 있으며, 2개 이상 마련될 수도 있다. 프리즘판(30)은 그 개수가 증가되는 경우 입사되는 광(S)의 굴절률이 증가되게 되며, 이에 의하여 하우징(20)의 측면에 위치하는 태양전지(10)로 광이 효율적으로 유도될 수 있어, 태양광 집광기(100)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리즘판(30)의 굴절률이 향상되어 태양광 집광기(10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어, 부피 감소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프리즘판(30) 상의 프리즘 산이 상측을 향할 수도 있으며, 하측을 향할 수도 있다. 도 6에서는 프리즘판(30)의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집광기(100)에 마련되는 프리즘판(3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는 프리즘판(30)이 상측을 향하면서 1개 마련된 경우(a), 프리즘판(30)이 하측을 향하면서 1개 마련된 경우(b), 프리즘판(30)이 상측을 향하면서 2개 마련된 경우(c), 및 프리즘판(30)이 하측을 향하면서 2개 마련된 경우(d)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일 예로, 프리즘판(30)이 상측을 향하면서 2개 마련되는 경우(c)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도시하면 도 7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판(30)은 제 1 프리즘판(30a)과 제 2 프리즘판(3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프리즘판(30a)과 제 2 프리즘판(30b)에 있어서 프리즘 산의 각도(b, c)는 50도 이상 160도 이하일 수 있다. 프리즘 산의 각도가 50도 미만이 되면 프리즘의 제작이 곤란하거나 제작단가의 상승을 가져오게 되며, 160도를 초과하게 되면 프리즘에 의한 광의 굴절률이 감소하게 되어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태양전지(10)로의 광유도가 달성되지 못하게 되거나, 태양광 집광기의 수평방향 길이가 짧아져 태양광을 받아들이는 수광부의 면적이 줄어들 수 있는 바, 프리즘 산의 각도(b, c)는 50도 이상 160도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프리즘판(30a) 상의 프리즘 산의 각도(b)와 제 2 프리즘판(30b) 상의 프리즘 산의 각도(c)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 1 프리즘판(30a) 상의 프리즘 산의 각도(b)가 제 2 프리즘판(30b) 상의 프리즘 산의 각도(c)보다 큰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도(b)가 각도(c)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각도(b)와 각도(c)는 각각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도(b)가 68도인 경우 각도(c)가 70도이거나, 각도(b)가 82도인 경우 각도(c)가 51도 일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입사되는 광(S)이 태양전지(10)로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또한, 하우징(20)의 하측에는 반사판(60)이 구비되는데, 반사판(60)은 입사되어 프리즘판(30)을 거친 광 중에 태양전지로 유도되지 않은 광을 다시 태양전지(10)로 유도되도록 전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전반사"란 광이 굴절되어 하우징(20) 외부로 나가는 경우 없이, 전부 반사되는 것을 의미한다. 반사판(60)은 거울 또는 반사용 필름일 수 있으며, 거울의 경우에는 대략 1mm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반사용 필름의 경우에는 대략 0.1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프리즘판(30)의 상측에는 보호판(40)이 마련될 수 있다.
보호판(40)은 외부의 자극, 예를 들어 먼지, 강수, 또는 충격으로부터 태양광 집광기(100)를 보호할 수 있으며, 광(S)의 입사를 방해하지 않도록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과 프리즘판(30)의 사이에는 지지판(50)이 마련될 수 있다.
지지판(50)은 유리 또는 아크릴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의 프리즘판(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지지판(50)은 프리즘판(30)에서 자체 중력이나 외부의 자극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휨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되며, 소정의 휨강도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집광기(2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집광기(20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집광기(100)와 비교하였을 때 상이한 측면형상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집광기(200)의 일 단면에 대해서 설명하나, 도 5에 있어서 지면의 상방향에 수직인 단면으로 살펴보았을 때에도 태양광 집광기(200)의 측면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태양광 집광기(200)의 측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집광기(200)는 하우징(120)의 측면이 제 1 경사부(122), 제 2 경사부(124) 및 중간부(126)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경사부(122)는 하우징(120)의 상면에서 연장되되, 하우징(120)의 하면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제 2 경사부(124)는 하우징(120)의 하면에서 연장되되, 하우징(120)의 상면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중간부(126)은 제 1 경사부(122)와 제 2 경사부(124)의 끝단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중간부(126)의 내측의 일부 또는 전부에 태양전지(110)가 위치하게 되며, 입사되는 광(S)은 태양전지(110) 쪽으로 유도되게 된다. 이로써, 하우징(120)의 측면에 위치하는 태양전지(110)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집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비도 절감될 수 있다.
이 때, 제 1 경사부(122) 및 제 2 경사부(124)는 도 5의 수평방향에 대한 각도(a)가 1도 이상 30도 이하일 수 있다. 각도(a)가 1도 미만일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태양전지(110)의 절감정도가 미미하게 되며, 30도 초과일 경우에는 효율적인 광경로의 확보가 어려워지게 된다.
또한, 제 1 경사부(122) 및 제 2 경사부(124)에는 반사판(122r, 124r)이 마련될 수 있다. 반사판(122r, 124r)은 태양전지(110)로 유도되어야 하는 광 중에 제 1 경사부(122) 또는 제 2 경사부(124)로 입사하는 광이 다시 태양전지(110)로 유도될 수 있도록 광을 전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반사판(122r, 124r)은 거울 또는 반사용 필름일 수 있으며, 거울의 경우에는 대략 1mm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반사용 필름의 경우에는 대략 0.1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중간부(126)은 평면 형상을 가짐으로 인하여 태양전지(110)가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태양전지(110)가 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소정의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지 않은 참조번호 140, 150, 160은 각각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보호판(40), 지지판(50), 반사판(60)의 구성과 동등한 구성을 갖는다.
이상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태양광 반사판(100, 200)의 작용을 도 4 또는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사되는 광(S)은 프리즘판(30, 130)을 거치면서 굴절되게 된다. 이 때 프리즘판(30, 130)은 광이 태양전지(10, 110)에 직접 도달될 수 있도록 굴절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나, 일부 광들은 태양전지(10, 110)에 도달되지 못하고 하우징(20, 120)의 하측, 제 1 경사부(122) 또는 제 2 경사부(124)에 도달하게 된다.
이 때, 하우징(20, 120)의 하측, 제 1 경사부(122) 또는 제 2 경사부(124)에는 각각 반사판(60, 122r, 124r)이 마련되어 있어 광을 전반사시키게 되며, 이로써 광을 다시 태양전지(10, 110)로 유도하게 된다.
이로써, 태양전지(10, 110)에는 입사되는 광(S)이 유도되어 집광되게 되며, 이로써 집광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로 인하여 태양광 집광기(100, 200)의 두께는 최소화될 수 있으며, 태양광 집광기(100, 200)의 길이 대비 1/15 ~ 1/25의 두께만을 가질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어 태양광 집광기(100, 200)의 부피 내지 두께는 최소화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며,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 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명백하다.
10, 110: 태양전지
20, 120: 하우징
30, 130: 프리즘판
40, 140: 보호판
50, 150: 지지판
60, 160, 122r, 124r: 반사판
122: 제 1 경사부
124: 제 2 경사부
126: 중간부

Claims (11)

  1. 광의 경로를 확보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마련되는 태양전지와,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위치하고, 입사하는 광이 상기 태양전지로 유도되도록 상기 광을 굴절시키는 하나 이상의 프리즘판과,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태양전지로 유도되지 않은 광이 상기 태양전지로 유도되도록 상기 광을 전반사시키는 반사판과,
    상기 프리즘판의 상측에 마련되는 보호판을 포함하는
    태양광 집광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서 연장되되, 상기 하우징의 하면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 1 경사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서 연장되되,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 2 경사부와,
    상기 제 1 경사부의 끝단과 상기 제 2 경사부의 끝단을 연결하는 중간부와,
    상기 중간부의 내측에 상기 태양전지가 마련되는
    태양광 집광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부 및 상기 제 2 경사부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1도 ~ 30도의 각도를 가지는
    태양광 집광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부 및 상기 제 2 경사부에는 반사판이 마련되는
    태양광 집광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평면의 형상을 가지는
    태양광 집광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판은 2개 이상 마련되는
    태양광 집광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 있어서,
    상기 프리즘판 중 적어도 하나는 산이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하는
    태양광 집광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판 상의 프리즘 산의 각도는 상기 프리즘판마다 서로 상이한
    태양광 집광기.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판 산의 각도는 50도 ~ 160도인
    태양광 집광기.
  10. 삭제
  11.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프리즘판의 사이에는 상기 프리즘판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마련되는
    태양광 집광기.
KR1020100027454A 2010-03-26 2010-03-26 태양광 집광기 KR101156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454A KR101156591B1 (ko) 2010-03-26 2010-03-26 태양광 집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454A KR101156591B1 (ko) 2010-03-26 2010-03-26 태양광 집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130A KR20110108130A (ko) 2011-10-05
KR101156591B1 true KR101156591B1 (ko) 2012-06-20

Family

ID=45025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454A KR101156591B1 (ko) 2010-03-26 2010-03-26 태양광 집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5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0493A (ja) * 1998-05-22 1999-12-10 Toyota Motor Corp 太陽光集光装置
JP2007218540A (ja) 2006-02-17 2007-08-30 Nagaoka Univ Of Technology 太陽光集光器と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および太陽集熱器
KR20100080300A (ko) * 2008-12-30 2010-07-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광도파 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집광기, 이를 이용한 태양 전지 모듈 및 집열장치
US20110120527A1 (en) 2009-11-24 2011-05-2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olar energy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0493A (ja) * 1998-05-22 1999-12-10 Toyota Motor Corp 太陽光集光装置
JP2007218540A (ja) 2006-02-17 2007-08-30 Nagaoka Univ Of Technology 太陽光集光器と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および太陽集熱器
KR20100080300A (ko) * 2008-12-30 2010-07-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광도파 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집광기, 이를 이용한 태양 전지 모듈 및 집열장치
US20110120527A1 (en) 2009-11-24 2011-05-2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olar energ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130A (ko)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uque et al. Photovoltaic concentration at the onset of its commercial deployment
CN202930413U (zh) 太阳能模组装置
US20110192460A1 (en) Solar Power Generator
US9905718B2 (en) Low-cost thin-film concentrator solar cells
KR101265077B1 (ko) 집광형 태양 전지
CN2919535Y (zh) 一种反射式点聚光阵列太阳能光伏发电组件
KR101997761B1 (ko) 집광형 및 평판형 하이브리드 태양전지를 이용한 태양광 및 태양열 복합발전시스템 및 발전방법
KR101118443B1 (ko)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KR200390785Y1 (ko) 태양 전지 장치
KR101217540B1 (ko)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CN201876599U (zh) 一种槽式抛物面型太阳能聚光器
CN201478331U (zh) 菲涅尔透镜组成的太阳光能收集系统
KR101156591B1 (ko) 태양광 집광기
KR101620406B1 (ko) 태양전지셀이 수직으로 병렬 배치된 고효율 태양전지 모듈
CN201937509U (zh) 一种聚光光伏系统
CN104934493A (zh) 一种可利用环境光的光伏组件
JP4313841B1 (ja) 太陽レンズと太陽光利用装置
KR101554144B1 (ko) 집광형 태양광발전장치
KR101884790B1 (ko) 플렉서블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KR101205462B1 (ko) 양면 태양 전지를 이용한 빛 가이딩 방식의 집광형 모듈
KR101217247B1 (ko) 집광형 태양전지
CN103023381A (zh) 一种棱镜折光太阳能发电装置
KR101109044B1 (ko) 태양광 집광장치
KR20210059820A (ko) 리니어 프레넬 렌즈를 사용한 pv 태양광발전 모듈 및 장치
KR101968964B1 (ko) 평면 집광형 태양광 발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