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126B1 - Work stand for welding jig - Google Patents

Work stand for welding ji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6126B1
KR101156126B1 KR1020100102663A KR20100102663A KR101156126B1 KR 101156126 B1 KR101156126 B1 KR 101156126B1 KR 1020100102663 A KR1020100102663 A KR 1020100102663A KR 20100102663 A KR20100102663 A KR 20100102663A KR 101156126 B1 KR101156126 B1 KR 101156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tie wire
welding jig
carriage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6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41072A (en
Inventor
백승학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2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126B1/en
Publication of KR20120041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0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1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05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guided by h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0Chains, hoop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2Wi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 지그용 작업대를 개시한다. 상기 타이 와이어(3)와 상기 타이 와이어(3)의 일단부에 끼워지는 슬리브(4)를 상호 용접하는데 사용되는 용접 지그(10)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용접 지그(10)가 장착되는 회전판(22)과, 상기 회전판(22)의 상부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용접 지그(10)의 하부 양측단부를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고정해제 블록(23)을 포함하는 지그 지지유닛(21); 상기 지그 지지유닛(21)을 축 지지부(31)를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측 지지부(32)와, 상기 상측 지지부(32)와 연결되고 상기 상측 지지부(32)를 작업장의 바닥면에 대해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프레임부(33)를 포함하는 캐리지(30); 및 상기 캐리지(30)에 설치되며, 상기 타이 와이어(3)와 상기 슬리브(4)의 상측 경계부분의 용접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타이 와이어(3)와 상기 슬리브(4)의 하측 경계부분의 용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타이 와이어(3)를 승강시킬 수 있게 하는 승강유닛(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슬리브와 상기 타이 와이어의 상측 경계부분 뿐만 아니라, 상기 슬리브와 상기 타이 와이어의 하측 경계부분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용접할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workbench for a welding jig. Removably fixing the welding jig 10 used to mutually weld the tie wire 3 and the sleeve 4 fitted to one end of the tie wire 3, the welding jig 10 is mounted. Jig support unit 21 including a rotating plate 22 and a fixing block 23 detachably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22 and fixing or releasing both lower ends of the welding jig 10. ); An upper support part 32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jig support unit 21 via the shaft support part 31, and the upper support part 32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 part 32 and the upper support part 32 on the floor of the workplace. Carriage 30 including a frame portion 33 for supporting a predetermined height relative to; And a welding of the lower boundary portion of the tie wire 3 and the sleeve 4 after the welding operation of the upper boundary portion of the tie wire 3 and the sleeve 4 is completed in the carriage 3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fting unit (40) for lifting the tie wire (3) to facilitat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convenient and rapid welding of the upper boundary of the sleeve and the tie wire, as well as the lower boundary of the sleeve and the tie wire.

Description

용접 지그용 작업대{Work stand for welding jig}Work table for welding jig {Work stand for welding jig}

본 발명은 용접 지그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빈 로터의 블레이드(blade)를 수 개의 단위로 묶는데 사용되는 타이 와이어와 이 타이 와이어의 일단부에 끼워지는 슬리브(sleeve)를 용접하는 데 사용되는 용접 지그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용접 지그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bench for welding jig, and more particularly to welding a tie wire used to bundle blades of a turbine rotor into several units and a sleeve fitted to one end of the tie wire. The welding jig used to relate to a workbench for detachably mounted welding jig.

일반적으로, 화력발전소의 보일러 또는 원자력 발전소의 원자로에는 터빈 로터가 제공되며, 상기 터빈 로터는 보일러 또는 원자로에서 발생되는 고온 고압의 증기의 열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터빈 로터는 하중이 큰 중량체로서 보통 1800RPM ~ 3600RPM으로 고속 회전한다.In general, a turbine rotor is provided in a boiler of a thermal power plant or a nuclear reactor of a nuclear power plant, and the turbine rotor serves to convert thermal energy of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steam generated in a boiler or reactor into kinetic energy. The turbine rotor is a heavy load body and rotates at a high speed, usually 1800 RPM to 3600 RPM.

도 1은 일반적인 터빈 로터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터빈 로터에 제공되는 수 개의 블레이드가 타이 와이어에 의해 그룹 형태로 묶인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부분확대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typical turbine rotor, and FIG. 2 is a schematic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everal blades provided in the turbine rotor are grouped by tie wires.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빈 로터(1)는 그 터빈 로터의 외주부를 따라 수백, 또는 수천 개의 블레이드(2)가 설치되고, 상기 블레이드들은 수 개의 단위로 타이 와이어(tie wire)(3)를 매개로 하여 고정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turbine rotor 1 is provided with hundreds or thousands of blades 2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urbine rotor, the blades being tie wires in several units. It is fixed via (3).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들(2)은 고온 고압의 증기의 열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타이 와이어(3)는 상기 터빈 로터(1)가 회전되기 시작하거나 정지될 때 발생되는 관성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들(2)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블레이드들(2)의 유동은 회전력의 손실, 진동, 소음 등의 주원인이 된다.Here, the blades 2 serves to convert the thermal energy of the steam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nto kinetic energy. The tie wire 3 serves to prevent the blades 2 from flowing by inertia generated when the turbine rotor 1 starts to rotate or stops. The flow of the blades 2 is the main cause of loss of rotational force, vibration, noise, and the like.

도 3은 타이 와이어와 상기 타이 와이어의 일단부에 끼워진 슬리브를 상호 용접할 때 사용되는 용접 지그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lding jig used when mutually welding a tie wire and a sleeve fitted to one end of the tie wire.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빈 로터(1)에 설치되는 블레이드들(2)에는 미리 타이 와이어(3)를 위한 체결공(2a)이 형성되고 상기 타이 와이어(3)의 일단부에 고정된 슬리브(4)는 용접 지그(10)의 보조를 통해 미리 용접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아직 슬리브가 용접되어 고정되지 않은 상기 타이 와이어(3)의 타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타이 와이어(3)를 상기 터빈 로터(1)의 각 그룹의 블레이드들(2)에 미리 형성된 체결공(2a)을 통해 끼운 후, 상기 타이 와이어(3)의 타단부에 또한 슬리브(4)를 끼워 용접하여 상기 그룹의 블레이드들(2)을 각각 고정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lades 2 installed in the turbine rotor 1 are provided with fastening holes 2a for the tie wires 3 in advance, and one end of the tie wires 3 is formed. The sleeve 4 secured to it is previously welded through the assistance of the welding jig 10. In this state, the operator advances the tie wire 3 to the blades 2 of each group of the turbine rotor 1 by using the other end of the tie wire 3 in which the sleeve has not yet been welded and fixed. After fitting through the formed fastening holes 2a, the other ends of the tie wires 3 are also welded by fitting the sleeves 4 to fix the blades 2 of the group, respectively.

다음은 상기 타이 와이어를 상기 터빈 로터의 블레이드들의 체결공에 끼우기에 앞서, 상기 타이 와이어의 일단부에 슬리브를 미리 용접할 때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용접 지그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in detail the welding jig used to assist in pre-welding the sleeve to one end of the tie wire before inserting the tie wire into the fastening hole of the blades of the turbine rotor.

상기 용접 지그(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11)의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12)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의 상,하측부에 각각 제공되는 상측 고정부(13)와, 하측 고정부(14)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3, the welding jig 10 has a base 11, a support plate 12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11, and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plate 12. It consists of an upper fixing part 13 and a lower fixing part 14 respectively provided.

여기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12)의 상,하측부의 각각의 일부분에는 나사공(1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12)의 상면부에는 타이 와이어(3)의 일단부에 끼워져 용접되는 슬리브(4)를 정렬시킬 수 있는 정렬 그루브(12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12)의 넓은 일측면부에는 상기 타이 와이어(3)를 그 타이 와이어의 길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시트 그루브(12c)가 형성되어 있다.Here, a screw hole 12a is formed i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plate 12.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2 is formed with an alignment groove 12b for aligning the sleeve 4 to be inserted and welded to one end of the tie wire 3, the wide of the support plate 12 In one side portion, a sheet groove 12c is formed to partially receive the tie wire 3 along the length of the tie wire.

상기 각각의 상측 및 하측 고정부(13,14)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2)에 고정되는 힌지축(15)과, 상기 힌지축(15)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타이 와이어(3)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대응 그루브(16a)가 형성된 고정블록(16)과, 상기 고정블록(16)의 자유단부측에 관통되게 끼워지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12)의 나사공(12a)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나비볼트(17)로 구성되어 있다.
Each of the upper and lower fixing parts 13 and 14 is hinged shaft 15 fixed to the support plate 12, and is rotatable about the hinge shaft 15 and partially rotates the tie wire 3. A fixing bolt 16 having a corresponding groove 16a to receive therein, and a butterfly bolt fitted through the free end side of the fixing block 16 and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screw hole 12a of the support plate 12. It consists of (17).

위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용접 지그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method of using the welding jig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먼저, 지지 플레이트(12)의 상,하측 고정부(13,14)의 고정블록(16)이 개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타이 와이어(3)를 상기 지지 플레이트(12)의 시트 그루브(12c)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차례대로 상기 상,하측 고정부(13,14)의 각 고정블록(16)을 폐쇄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블록(16)의 자유단부에 제공된 나비볼트(17)를 상기 지지 플레이트(12)의 나사공(12a)에 체결한다.First,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blocks 16 of the upper and lower fixing parts 13 and 14 of the support plate 12 are opened, the worker attaches the tie wire 3 to the seat groove 12c of the support plate 12. Place it in Subsequently, in a state in which each of the fixing blocks 16 of the upper and lower fixing parts 13 and 14 are rotated to the closed position, the butterfly bolt 17 provided at the free end of the fixing block 16 is supported. It is fastened to the screw hole 12a of the plate 12.

이러한 상태에서, 슬리브(4)의 하부 돌출부분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12)의 정렬 그루브(12b)와 정렬되도록 상기 슬리브(4)를 상기 타이 와이어(3)의 상단부에 끼운다. 그런 다음, 상기 슬리브(4)와 상기 타이 와이어(3)의 상측 및 하측의 경계부분을 각각 용접하면 된다.In this state, the sleeve 4 is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tie wire 3 so that the lower protrusion of the sleeve 4 is aligned with the alignment groove 12b of the support plate 12. Then, the upper and lower boundary portions of the sleeve 4 and the tie wire 3 may be welded, respectively.

위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접 지그(10)는 상기 타이 와이어(3)를 상기 지지 플레이트(12)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하고, 상기 슬리브(4)와 상기 타이 와이어(3)의 상측 경계부분을 상측 고정부(13)의 고정블록(16) 보다 높게 위치시켜 작업자가 상기 고정블록(16)에 의한 방해 없이 상기 상측 경계부분을 용이하게 용접할 수 있게 한다.
The welding jig 10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tie wire 3 to be detachably fixed to the support plate 12, and an upper boundary of the sleeve 4 and the tie wire 3. The portion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xing block 16 of the upper fixing portion 13 to enable the operator to easily weld the upper boundary without interference by the fixing block 16.

그러나, 상기 용접 지그(10)는 상기 슬리브(4)와 상기 타이 와이어(3)의 하측 경계부분이 상기 상측 고정부(13)의 고정블록(16)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슬리브(4)와 상기 타이 와이어(3)의 하측 경계부분을 용접할 때 큰 불편이 수반된다.However, the welding jig 10 has the sleeve 4 because the lower boundary of the sleeve 4 and the tie wire 3 is in contact with the fixing block 16 of the upper fixing part 13. And when welding the lower boundary portion of the tie wire (3) is accompanied by a great inconvenience.

즉 상기 하측 경계부분을 용접하기 위해, 작업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2)로부터 상기 상,하측 고정블록(16)을 다시 개방한 다음, 상기 타이 와이어(3)의 하단부와 상기 베이스(11) 사이에 별도의 높이 보강편(미도시)을 끼워 상기 하측 경계부분을 상기 고정블록(16)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띄운 후, 상기 상,하측 고정블록(16)을 다시 상기 지지 플레이트(12)측으로 폐쇄시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하측 경계부분을 용접하는 일련의 복잡한 작업을 수행해야 했다.That is, in order to weld the lower boundary part, the worker opens the upper and lower fixing blocks 16 again from the support plate 12, and then,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tie wire 3 and the base 11. Insert a separate height reinforcement piece (not shown) to raise the lower boundary portion to a certain height from the fixing block 16, and then fixed the upper and lower fixing blocks 16 by closing the support plate 12 again. It was necessary to carry out a series of complex operations in the state of welding the lower boundary.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용접 지그(10)는 지지 플레이트(12)가 베이스(11)에 대해 회전될 수 없는 구조이었기 때문에, 작업자는 작업 진척 정도에 따라 상기 용접 지그(10)를 강제로 회전시키거나 상기 용접 지그(12)의 주위를 돌면서 상기 슬리브(4)와 상기 타이 와이어(3)의 상측 및 하측의 경계부분을 용접하는 수고를 감수해야 했다.In addition, since the welding jig 1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 plate 12 cannot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ase 11, the operator may forcibly rotate the welding jig 10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work. It was necessary to take the trouble of welding the upper and lower boundary portions of the sleeve 4 and the tie wire 3 while turning around the welding jig 12.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용접 지그(10)는 비교적 무거운 중량체인 데다 자체 내에 이동수단이 제공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용접작업을 마친 후 해당 보관장소로 옮기거나 상기 보관장소에서 다시 작업장으로 이동시킬 때 매우 불편하였다.In addition, since the welding jig 1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a relatively heavy weight and no moving means is provided in itself, it is very inconvenient when the welding jig 10 is moved to the storage place after the welding work or moves from the storage place to the work place again. It was.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 와이어의 일단부에 슬리브가 끼워지는 구조에서 상기 슬리브와 상기 타이 와이어의 상,하측 경계부분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용접할 수 있게 하는 용접 지그용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venient upper and lower boundary portions of the sleeve and the tie wire in a structure in which the sleeve is fitted to one end of the tie wire. It is to provide a workbench for a welding jig that enables to weld quick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접작업을 마친 후 용접 지그를 해당 보관장소로 편리하게 옮길 수 있게 하고, 또한 그 반대로 상기 보관장소에서 작업장으로 용접 지그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용접 지그용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lding jig workbench capable of conveniently moving the welding jig to the corresponding storage place after the welding operation is completed, and vice versa. will b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타이 와이어와 상기 타이 와이어의 일단부에 끼워지는 슬리브를 상호 용접하는데 사용되는 용접 지그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용접 지그가 장착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상부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용접 지그의 하부 양측단부를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고정해제 블록을 포함하는 지그 지지유닛;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achably fix the welding jig used to mutually weld the tie wire and the sleeve fitted to one end of the tie wire, the rotating plate on which the welding jig is mounted, and A jig support unit detachably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and including a release block configured to fix or release both lower ends of the welding jig;

상기 지그 지지유닛을 축 지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측 지지부와, 상기 상측 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상측 지지부를 작업장의 바닥면에 대해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캐리지; 및A carriage including an upper support part rotatably supporting the jig support unit via a shaft support part, and a frame part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 part and supporting the upper support part at a predetermined height with respect to a floor of a workplace; And

상기 캐리지에 설치되며, 상기 타이 와이어와 상기 슬리브의 상측 경계부분의 용접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타이 와이어와 상기 슬리브의 하측 경계부분의 용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타이 와이어를 승강시킬 수 있게 하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용접 지그용 작업대를 제공한다.The lifting and lowering is provided on the carriage,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tie wire to facilitate the welding of the tie wire and the lower boundary of the sleeve after the welding operation of the upper boundary of the sleeve is completed. It provides a worktable for welding jig comprising a unit.

또한, 본 발명은 위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더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the follow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축 지지부는 상기 지그 지지유닛의 회전판의 저면에 구비되는 축과, 상기 캐리지의 상측 지지부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수용부와, 상기 축 수용부로부터 상기 축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축의 하단부에 제공되는 잠금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ft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 shaft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of the jig support unit,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of the carriage and the shaft receiving portion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shaft, and And a locking bolt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haft to prevent any deviation of the shaft from the shaft receiving por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해제 블록은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용접 지그의 하부 일측단부를 일정깊이로 수용하는 오목부를 가지며, 제1 조절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조절볼트를 통해 상기 용접 지그의 하부 일측단부를 고정하는 제1 고정블록과, 상기 회전판의 타측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제2 조절볼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조절볼트를 통해 상기 용접 지그의 하부 타측단부를 고정하는 제2 고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release block is detachably fixed to one side of the rotating plate and has a concave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lower one end of the welding jig to a predetermined depth, having a first adjustment bolt and the first 1 a first fixing block for fixing the lower one end of the welding jig through an adjustment bolt, and is detachably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plate and provided with a second adjustment bolt, and through the second adjustment bolt of the welding jig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fixing block for fixing the lower other en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그 지지유닛의 회전판은 상기 용접 지그에 장착되는 상기 타이 와이어의 하단부와 대응하는 부분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캐리지의 상측 지지부는 상기 제1 개구부와 대응하는 부분에 제2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보조 프레임과, 상기 보조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에 대해 스윙 회전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에 지지되고 상단부가 상기 캐리지의 제2 개구부 및 상기 회전판의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타이 와이어의 하단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plate of the jig support unit has a first opening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tie wire mounted on the welding jig, the upper support of the carriage and the first opening A second opening is formed in a corresponding portion, and the lifting unit includes an auxiliary frame fixed to the frame part, a footrest supported by the auxiliary frame and swinged with respect to the auxiliary frame, and supported by the footrest and having an upper end portion And an elevating member for elevating the lower end of the tie wire through the second opening of the carriage and the first opening of the rotating pl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캐리지의 프레임부의 일부분에 일체로 고정되는 하부 브래킷과, 상기 하부 브래킷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하방향으로 제1 슬롯을 갖는 경사컬럼으로 구성되고,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uxiliary frame is composed of a lower bracket which is integrally fixed to a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of the carriage, and an inclined column having a first slot in the vertical direction fixed to the lower bracket,

상기 발판은 상기 하부 브래킷에 피벗부를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내측에 상기 경사컬럼의 제1 슬롯과 교차되는 제2 슬롯이 형성된 스윙부와, 외측에 상기 스윙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캐리지의 상측 지지부의 제2 개구부 및 상기 회전판의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타이 와이어의 하단부를 승강시킬 수 있는 발판부로 구성되며,The scaffold is rotatably fixed to the lower bracket via a pivot portion, a swing portion having a second slot intersecting the first slot of the inclined column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swing portion on the outside and It is composed of a scaffolding portion capable of lifting the lower end of the tie wire through the second opening of the upper support of the carriage and the first opening of the rotating plate,

상기 승강부재는 하측에 상기 경사컬럼의 제1 슬롯 및 상기 발판의 제2 슬롯에 끼워지는 제1 지지핀 및 상측에 상기 경사컬럼의 제1 슬롯에 끼워지는 제2 지지핀를 매개로 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경사컬럼의 상단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캐리지의 상측 지지부의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타이 와이어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vating member is rotatable through a first support pin fitted into the first slot of the inclined column and a second slot of the scaffold on the lower side and a second support pin fitted into the first slot of the inclined column on the upper side, respectively. And a support piece integrally provided on an upper end of the inclined column and supporting a lower end of the tie wire through a second opening of an upper support of the carriag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접 지그용 작업대는 상기 발판의 발판부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했을 때 상기 승강부재가 원래위치로 용이하게 복귀될 수 있도록 하단부가 상기 보조 프레임의 하부 브래킷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상기 승강부재의 경사컬럼에 고정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ding jig working platform has a lower end portion of the lower bracket of the auxiliary frame so that the lifting member can be easily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caffolding portion of the scaffold is remov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pring member is fixed and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inclined column of the elevating memb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리지의 프레임부의 저부는 복수의 롤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bottom of the frame portion of the carriag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roller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리지의 프레임부는 핸들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rame portion of the carriag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andle fram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그 지지유닛의 회전판은 상기 회전판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용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jig suppor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otary handle detachably provided on the rotary plate.

본 발명은 용접 지그용 작업대를 제공하여, 상기 슬리브와 상기 타이 와이어의 상측 경계부분 뿐만 아니라, 상기 슬리브와 상기 타이 와이어의 하측 경계부분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용접할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orkbench for a welding jig, which enables convenient and rapid welding of the upper boundary of the sleeve and the tie wire, as well as the lower boundary of the sleeve and the tie wire.

또한 본 발명은 용접작업을 마친 후 용접 지그를 해당 보관장소로 편리하게 옮길 수 있게 하고, 또한 그 반대로 상기 보관장소에서 작업장으로 용접 지그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welding jig can be conveniently moved to the storage place after the welding operation, and vice versa, the welding jig can be conveniently moved from the storage place to the workshop.

도 1은 일반적인 터빈 로터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터빈 로터에 제공되는 수 개의 블레이드가 타이 와이어에 의해 그룹 형태로 묶인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부분확대도.
도 3은 타이 와이어와 상기 타이 와이어의 일단부에 끼워진 슬리브를 상호 용접할 때 사용되는 용접 지그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지그용 작업대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지그용 작업대의 승강유닛의 초기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지그용 작업대의 승강유닛의 작동을 각각 우측과 좌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지그용 작업대의 지그 지지유닛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지그용 작업대에 용접지그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typical turbine rotor.
2 is a schematic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everal blades provided to a turbine rotor are grouped by tie wires;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lding jig used when mutually welding a tie wire and a sleeve fitted to one end of the tie wire;
Figure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work table for welding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itial state of the lifting unit lifting platform for welding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viewed from the right and left, respectivel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unit lifting platform for welding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jig support unit of the worktable for welding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elding jig is mounted on the work table for welding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지그용 작업대의 각 실시예를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ach embodiment of the welding jig working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9.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지그용 작업대(20)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지그 지지유닛(21), 캐리지(30) 및 승강유닛(40)을 포함한다.The welding jig working tabl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jig supporting unit 21, a carriage 30, and a lifting unit 40 as shown in FIGS. 4 to 8.

여기서, 상기 지그 지지유닛(21)은 타이 와이어(3)와 상기 타이 와이어(3)의 일단부에 끼워지는 슬리브(4)를 상호 용접하는데 사용되는 용접 지그(10)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용접 지그(10)가 장착되는 회전판(22)과, 상기 회전판(22)의 상부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용접 지그(10)의 하부 양측단부를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고정해제 블록(23)을 포함한다.Here, the jig support unit 21 as detachably fixing the welding jig 10 used to mutually weld the tie wire (3) and the sleeve (4) fitted to one end of the tie wire (3). And a rotating plate 22 on which the welding jig 10 is mounted, and a detachable block 23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22 and fixing or releasing both lower ends of the welding jig 10. ).

상기 캐리지(30)는 상기 지그 지지유닛(21)을 축 지지부(31)를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측 지지부(32)와, 상기 상측 지지부(32)와 연결되고 상기 상측 지지부(32)를 작업장의 바닥면에 대해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프레임부(33)를 포함한다.The carriage 30 is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 part 32 and the upper support part 32 to rotatably support the jig support unit 21 via the shaft support part 31 and the upper support part 32. It includes a frame portion 33 for supporting a certain height relative to the floor surface of the workplace.

상기 승강유닛(40)은 상기 캐리지(30)에 설치되며, 상기 타이 와이어(3)와 상기 슬리브(4)의 상측 경계부분의 용접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타이 와이어(3)와 상기 슬리브(4)의 하측 경계부분의 용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타이 와이어(3)를 승강시킬 수 있게 한다.The lifting unit 40 is installed in the carriage 30, and after the welding operation of the upper boundary of the tie wire 3 and the sleeve 4 is completed, the tie wire 3 and the sleeve 4 It is possible to elevate the tie wire 3 to facilitate the welding of the lower boundary of the.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상기 지그 지지유닛(21)의 회전판(22)에 용접 지그(10)를 위치시킨 후 상기 지그 지지유닛(21)의 고정해제 블록(23)으로 상기 용접 지그(1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용접 지그(10)의 상단부에 타이 와이어(3)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타이 와이어(3)와 상기 슬리브(4)의 상측 경계부분을 따라 용접작업을 수행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상기 승강유닛(40)을 이용하여 상기 용접 지그(10)에 장착된 상기 타이 와이어(3)를 일정높이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타이 와이어(3)와 상기 슬리브(4)의 하측 경계부분을 따라 용접작업을 수행하면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9, the worker places the welding jig 10 on the rotating plate 22 of the jig supporting unit 21 and then releases the welding jig 10 to the release block 23 of the jig supporting unit 21. The welding jig 10 can be fixed. Then, the welding operation is performed along the upper boundary of the tie wire 3 and the sleeve 4 in a state in which the tie wire 3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welding jig 10. Subsequently, the worker raises the tie wire 3 mounted on the welding jig 10 to a predetermined height by using the lifting unit 40, so that the tie wire 3 and the sleeve 4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elding can be done along the lower boundary.

즉, 전술한 바와 같은 용접 지그용 작업대(20)는 상기 타이 와이어(3)와 상기 슬리브(4)의 상측 경계부분을 따라 용접작업을 수행한 후, 종래에 겪어야 했던 상기 용접 지그(10)의 자체 두 고정블록(16)의 해제 및 고정 작업과 별도의 높이 보강편의 개재 없이 상기 승강유닛(40)의 조작을 통해 상기 타이 와이어(3)를 상기 용접 지그(10)의 상단부로부터 일정높이로 상승시켜 상기 타이 와이어(3)와 상기 슬리브(4)의 하측 경계부분을 따라 용접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That is, the welding jig working table 20 as described above performs a welding operation along the upper boundary of the tie wire 3 and the sleeve 4, and then the welding jig 10 of the welding jig 10 which has been conventionally experienced. The tie wire 3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upper end of the welding jig 10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unit 40 without the release and fixing operation of the two fixing blocks 16 and the intervening height reinforcing pieces. The welding operation can be conveniently performed along the lower boundary of the tie wire 3 and the sleeve 4.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지그용 작업대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본구성에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로 더 한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welding jig work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in a form that is further limited to the following specific embodiments in the basic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일실시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 지지부(31)는 상기 지그 지지유닛(21)의 회전판(22)의 저면에 구비되는 축(미도시)과, 상기 캐리지(30)의 상측 지지부(32)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수용부(31a)와, 상기 축 수용부(31a)로부터 상기 축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축의 하단부에 제공되는 잠금볼트(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shaft support part 31 may include a shaft (not shown)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22 of the jig support unit 21 and the carriage 30. A shaft receiving portion 31a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32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shaft, and a locking bol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haft to prevent any detachment of the shaft from the shaft receiving portion 31a ( Not shown).

상기 축 지지부 구조는 비교적 간단하게 상기 지그 지지유닛(21)의 회전판(22)을 상기 캐리지(30)의 상측 지지부(32)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게 하고, 상기 축 수용부(31a)로부터 상기 회전판(22)의 축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The shaft support structure allows the rotary plate 22 of the jig support unit 21 to rotate relative to the upper support 32 of the carriage 30 relatively simply, and from the shaft receiving portion 31a to the rotary plate 2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andom departure of the axis of (22).

일실시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해제 블록(23)은 크게 제1 고정블록(24)과 제2 고정블록(25)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고정블록(24)은 상기 회전판(22)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용접 지그(10)의 하부 일측단부를 일정깊이로 수용하는 오목부(24a)를 가지며, 제1 조절볼트(24b)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조절볼트(24b)를 통해 상기 용접 지그(10)의 하부 일측단부를 고정한다. 상기 제2 고정블록(25)은 상기 회전판(22)의 타측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제2 조절볼트(25a)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조절볼트(25a)를 통해 상기 용접 지그(10)의 하부 타측단부를 고정한다.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8, the release block 23 may be provided in the form including a first fixed block 24 and a second fixed block 25 large. In this case, the first fixing block 24 has a recess 24a that is detachably fixed to one side of the rotating plate 22 and accommodates one lower end of the welding jig 10 at a predetermined depth. 1 is provided with a control bolt (24b) to secure the lower one end of the welding jig 10 through the first adjustment bolt (24b). The second fixing block 25 is detachably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plate 22 and has a second adjustment bolt 25a, and through the second adjustment bolt 25a of the welding jig 10 Secure the other end of the lower part.

상기 고정해제 블록구조는 상기 제1,2 고정블록(24,25) 및 제1,2 조절볼트(24b,25a)를 이용하여 비교적 간단하게 상기 용접 지그(10)를 상기 지그 지지유닛(21)의 회전판(22)에 장착 또는 그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한다.The fixing block structure is relatively simple using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locks 24 and 25 and the first and second adjustment bolts 24b and 25a to allow the welding jig 10 to be supported by the jig supporting unit 21. It can be mounted on or detached from the rotating plate 22 of the.

일실시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 지지유닛(21)의 회전판(22)은 상기 용접 지그(10)에 장착되는 상기 타이 와이어(3)의 하단부와 대응하는 부분에 제1 개구부(22a)가 형성되고, 상기 캐리지(30)의 상측 지지부(32)는 상기 제1 개구부(22a)와 대응하는 부분에 제2 개구부(32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유닛(40)은 상기 프레임부(33)에 고정되는 보조 프레임(34)과, 상기 보조 프레임(34)에 지지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34)에 대해 스윙 회전되는 발판(41)과, 상기 발판(41)에 지지되고 상단부가 상기 캐리지(30)의 제2 개구부(32a) 및 상기 회전판(22)의 제1 개구부(22a)를 통해 상기 타이 와이어(3)의 하단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42)를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rotary plate 22 of the jig supporting unit 21 may have a first portion corresponding to a lower end portion of the tie wire 3 mounted on the welding jig 10. The opening part 22a is formed, and the upper support part 32 of the carriage 30 is formed with the 2nd opening part 32a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said 1st opening part 22a. In addition, the lifting unit 40 is an auxiliary frame 34 which is fixed to the frame portion 33, the footrest 41 is supported on the auxiliary frame 34 and swinged relative to the auxiliary frame 34, An elevating member supported by the scaffold 41 and having an upper end for elevating the lower end of the tie wire 3 through the second opening 32a of the carriage 30 and the first opening 22a of the rotating plate 22. (42).

위와 같은 상기 회전판(22)의 제1 개구부(22a)-상기 캐리지(30)의 상측 지지부(32)의 제2 개구부(32a)-상기 승강유닛(40) 구조는 상기 발판(41)을 밟거나 그 답입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승강부재(42)의 상단부를 상기 캐리지(30)의 제2 개구부(32a)와 상기 회전판(22)의 제1 개구부(22a)를 통해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게 한다.The first opening 22a of the rotating plate 22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opening 32a of the upper support part 32 of the carriage 30, and the lifting unit 40 structure step on the footrest 41 or The depression state is released, so th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elevating member 42 can be easily lifted and lift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32a of the carriage 30 and the first opening 22a of the rotating plate 22.

일실시예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프레임(34)은 상기 캐리지(30)의 프레임부(33)의 일부분에 일체로 고정되는 하부 브래킷(34a)과, 상기 하부 브래킷(34a)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하방향으로 제1 슬롯(34bb)을 갖는 경사컬럼(34b)으로 구성된다. 상기 경사컬럼(34b)은 상기 하부 브래킷(34a)에 대해 수직한 형태, 상기 하부 브래킷(34a)에 대해 예각 또는 둔각인 형태 등 어느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5 to 7, the auxiliary frame 34 may include a lower bracket 34a fixed integrally to a portion of the frame part 33 of the carriage 3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frame 34. It is composed of an inclined column 34b fixed integrally to the bracket 34a and having a first slot 34bb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clined column 34b may have any shape such as a shape perpendicular to the lower bracket 34a and an acute or obtuse angle with respect to the lower bracket 34a.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41)은 상기 하부 브래킷(34a)에 피벗부(43)를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내측에 상기 경사컬럼(34b)의 제1 슬롯(34bb)과 교차되는 제2 슬롯(41aa)이 형성된 스윙부(41a)와, 외측에 상기 스윙부(41a)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캐리지(30)의 상측 지지부(32)의 제2 개구부(32a) 및 상기 회전판(22)의 제1 개구부(22a)를 통해 상기 타이 와이어(3)의 하단부를 승강시키는 발판부(41b)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5 to 7, the scaffold 41 is rotatably fixed to the lower bracket 34a via a pivot part 43, and the first of the inclined column 34b is located inside. A swing portion 41a having a second slot 41aa intersecting the slot 34bb, and a second opening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32 of the carriage 30 formed integrally with the swing portion 41a on the outside. It consists of the footrest part 41b which raises and lowers the lower end part of the tie wire 3 through the 32a and the 1st opening part 22a of the said rotation plate 22. As shown in FIG.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재(42)는 하측에 상기 경사컬럼(34b)의 제1 슬롯(34bb) 및 상기 발판(41)의 제2 슬롯(41aa)에 끼워지는 제1 지지핀(42a) 및 상측에 상기 경사컬럼(34b)의 제1 슬롯(34bb)에 끼워지는 제2 지지핀(42b)를 매개로 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42)는 상기 경사컬럼(34b)의 상단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캐리지(30)의 상측 지지부(32)의 제2 개구부(32a)를 통해 상기 타이 와이어(3)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편(42c)으로 구성된다.5 to 7, the elevating member 42 is fitted to the first slot 34bb of the inclined column 34b and the second slot 41aa of the scaffold 41 at the lower side. The first support pin 42a and the upper side thereof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second support pin 42b fitted into the first slot 34bb of the inclined column 34b. In addition, the elevating member 42 is integrally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column 34b and the lower end of the tie wire 3 through the second opening 32a of the upper support part 32 of the carriage 30. It consists of the support piece 42c which supports.

일실시예로, 도 4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접 지그용 작업대(20)는 상기 발판(41)의 발판부(41b)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했을 때 상기 승강부재(42)가 원래위치로 용이하게 복귀될 수 있도록 하단부가 상기 보조 프레임(34)의 하부 브래킷(34a)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상기 승강부재(42)의 경사컬럼(34b)에 고정되는 스프링부재(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부재(44)는 상기 하부 브래킷(34a)과 상기 승강부재(42) 간의 탄성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s 4 and 7, the welding jig work table 20 is the lifting member 42 when removing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ootrest portion 41b of the footrest 41 The spring member 44 having the lower end fixed to the lower bracket 34a of the auxiliary frame 34 and the upper end fixed to the inclined column 34b of the elevating member 42 so that it can be easily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It may further include. The spring member 44 is preferably made of a coil spring to facilitate the elastic connection between the lower bracket (34a) and the elevating member (42).

일실시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지(30)의 프레임부(33)의 저부는 복수의 롤러(33a)를 더 구비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캐리지의 복수 롤러 구조는 상기 용접 지그(10)가 장착된 용접 지그용 작업대(20)와 작업장의 바닥면 간의 마찰력을 줄여 상기 작업대의 이동을 편리하게 한다.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4, the bottom of the frame portion 33 of the carriage 30 may be provided in a form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rollers (33a). The multiple roller structure of the carriage reduces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welding jig work table 20 on which the welding jig 10 is mounte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shop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work table.

일실시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지(30)의 프레임부(33)는 핸들 프레임(33b)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캐리지의 핸들 프레임 구조는 상기 핸들 프레임(33b)을 이용하여 상기 용접 지그(10)가 장착된 용접 지그용 작업대(20)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4, the frame portion 33 of the carriage 30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further includes a handle frame (33b). The handle frame structure of the carriage makes it possible to conveniently move the worktable 20 for the welding jig to which the welding jig 10 is mounted using the handle frame 33b.

일실시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 지지유닛(21)의 회전판(22)은 상기 회전판(22)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용 손잡이(22b)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판의 회전용 손잡이 구조는 작업자가 용접작업을 할 때 상기 회전용 손잡이(22b)를 이용하여 상기 지그 지지유닛(21)이 장착된 회전판(22)을 편리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8, the rotating plate 22 of the jig support unit 21 is provided in a form further comprising a rotary handle 22b detachably provided on the rotating plate 22. Can be. The rotating handle structure of the rotating plate allows the worker to conveniently rotate the rotating plate 22 to which the jig support unit 21 is mounted by using the rotating handle 22b when the worker performs the welding operation.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용접 지그용 작업대의 작동을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4 to 9 the operation of the welding jig working tabl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도 4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30)의 상측 지지부(32)에 설치된 지그 지지유닛(21)의 회전판(22)에 용접 지그(10)를 장착한 상태에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상기 용접 지그(10)의 상단부에 타이 와이어(3)를 장착한 후 상기 용접 지그(10)의 두 고정블록(16)을 이용하여 상기 타이 와이어(3)를 상기 용접 지그(10)에 고정한다.First, as shown in FIG. 4 and FIG. 9, in the state in which the welding jig 10 is mounted on the rotating plate 22 of the jig support unit 21 installed on the upper support part 32 of the carriage 30, the prior art After mounting the tie wire (3) on the upper end of the welding jig 10 as shown in the welding jig 10 using the two fixing blocks 16 of the welding jig 10 to the welding jig 10 Secure in.

이어서, 상기 타이 와이어(3)의 상단부에 슬리브(4)를 끼워 상기 슬리브(4)의 하측 일부분을 상기 용접 지그(10)의 정렬 그루브(12b)에 정렬시킨다. 이때, 상기 타이 와이어(3)의 하단부는 상기 캐리지(30)의 상측 지지부(32)의 제2 개구부(32a) 및 상기 지그 지지유닛(21)의 회전판(22)의 제1 개구부(22a)를 통해 승강되는 승강부재(42)의 지지편(42c)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다. 또한 상기 타이 와이어(3)와 상기 슬리브(4)의 하측 경계부분은 상기 용접 지그(10)의 상측 고정블록(16)의 상면에 근접하게 위치된다.Subsequently, the sleeve 4 is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tie wire 3 to align the lower portion of the sleeve 4 with the alignment groove 12b of the welding jig 10. At this time,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tie wire 3 may open the second opening portion 32a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32 of the carriage 30 and the first opening portion 22a of the rotating plate 22 of the jig support unit 21. It is the state supported by the support piece 42c of the elevating member 42 which elevates through. In addition, the lower boundary of the tie wire 3 and the sleeve 4 is located clos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ixing block 16 of the welding jig 10.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타이 와이어(3)와 상기 슬리브(4)의 상측 경계부분을 따라 용접작업을 완료한 후, 상기 두 고정블록(16)의 나비볼트(17)를 약간 풀어 상기 용접 지그(10)의 지지 플레이트(12)와 상기 두 고정블록(16) 간의 밀착력을 완화시킨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41)의 발판부(41b)를 발로 밟는다.In this state, after the welding operation is completed along the upper boundary of the tie wire 3 and the sleeve 4, slightly loosen the butterfly bolt 17 of the two fixing blocks 16, the welding jig 10 After relaxing the adhesion between the support plate 12 and the two fixing blocks 16 of the), as shown in Figure 9 step on the footrest 41b of the footrest 41 with the feet.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41)의 스윙부(41a)가 보조 프레임(34)의 하부 브래킷(34a)과 상기 발판(41)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피벗부(43)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발판(41)의 스윙부(41a)는 보조 프레임(34)의 경사컬럼(34b)의 제1 슬롯(34bb) 및 상기 발판(41)의 제2 슬롯(41aa)을 통해 상기 승강부재(42)에 고정된 제1 지지핀(42a)를 밀어 올리게 된다.Then, as shown in Figure 6, the swing portion 41a of the footrest 41 pivot portion 43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lower bracket 34a of the auxiliary frame 34 and the footrest 41. It is rotated upwards about. At this time, the swing portion 41a of the footrest 41 is the elevating member through the first slot 34bb of the inclined column 34b of the auxiliary frame 34 and the second slot 41aa of the footrest 41. The first support pin 42a fixed to 42 is pushed up.

그러면, 상기 제1 지지핀(42a)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43)가 상승되어 상기 승강부재(42)의 상단부에 구비된 지지편(42c)이 상기 캐리지(30)의 상측 지지부(32)의 제2 개구부(32a) 및 상기 지그 지지유닛(21)의 회전판(22)의 제1 개구부(22a)를 통해 상기 타이 와이어(3)의 하단부를 상승시킨다.Then, the elevating member 43 is lifted by the first support pin 42a so that the support piece 42c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member 42 is formed on the upper support 32 of the carriage 30. The lower end of the tie wire 3 is rais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32a and the first opening 22a of the rotating plate 22 of the jig supporting unit 21.

그러면, 상기 타이 와이어(3)와 상기 슬리브(4)의 하측 경계부분이 상기 용접 지그(10)로부터 일정높이로 상승되게 된다. 그러면, 작업자는 상기 타이 와이어(3)가 상기 용접 지그(10)의 상단부로부터 일정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타이 와이어(3)와 상기 슬리브(4)의 하측 경계부분의 일부분에 용접작업을 수행한다.Then, the lower boundary of the tie wire 3 and the sleeve 4 is raised to a certain height from the welding jig 10. Then, the worker performs a welding operation on a part of the lower boundary of the tie wire 3 and the sleeve 4 while the tie wire 3 is raised to a certain height from the upper end of the welding jig 10. To perform.

그런 다음, 상기 용접 지그(10)의 두 고정블록(16)의 각 나비볼트(17)를 죄어 상기 타이 와이어(3)를 상기 용접 지그(10)에 안정되게 고정시킨 후, 상기 승강부재(42)의 지지편(42c)이 다시 원래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발판(41)의 발판부(41b)로부터 발을 뗀다.Then, each butterfly bolt 17 of the two fixing blocks 16 of the welding jig 10 is clamped to stably fix the tie wire 3 to the welding jig 10, and then the elevating member 42. The foot was removed from the footrest portion 41b of the footrest 41 so that the support piece 42c of the backrest) wa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이때, 상기 승강부재(42)의 지지편(42c)과 상기 발판(41)의 발판부(41b)는 상기 승강부재(42)의 자체하중과 상기 승강부재에 가해지는 하중의 합력, 또는 상기 합력에다 상기 보조 프레임(34)의 하부 브래킷(34a)과 상기 승강부재(42)의 경사컬럼(34b) 사이에 고정된 스프링부재(44)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원래위치로 용이하게 복귀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support piece 42c of the elevating member 42 and the scaffolding portion 41b of the scaffold 41 are the sum of the self load of the elevating member 42 and the load applied to the elevating member, or the coercive force. In addition, it can be easily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return force of the spring member 44 fixed between the lower bracket 34a of the auxiliary frame 34 and the inclined column 34b of the elevating member 42. do.

그러면, 상기 승강부재(42)의 지지편(42c)이 상기 회전판(22)의 아래로 이동되어 상기 회전판(22)과 상기 회전판(22)에 설치된 용접 지그(10)의 회전이 상기 캐리지(30)에 대해 자유롭게 된다.Then, the support piece 42c of the elevating member 42 is moved below the rotating plate 22 so that the rotation of the welding jig 10 provided on the rotating plate 22 and the rotating plate 22 causes the carriage 30 to move. Free)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회전판(22)의 회전용 손잡이(22b)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판(22)을 회전시켜 가면서, 상기 타이 와이어(3)와 상기 슬리브(4)의 하측 경계부분의 나머지 용접부위를 편리하게 용접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state, the worker rotates the rotary plate 22 by using the rotary knob 22b of the rotary plate 22, and welds the rest of the lower boundary of the tie wire 3 and the sleeve 4. The site can be welded convenientl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simple substitution, modification and alteration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3: 타이 와이어 4: 슬리브
10: 용접 지그 12: 지지 플레이트
12a: 나사공 12b: 정렬 그루브
12c: 시트 그루브 16: 고정블록
17: 나비볼트 20: 용접 지그용 작업대
21: 지그 지지유닛 22: 회전판
22a: 제1 개구부 22b: 회전용 손잡이
23: 고정해제 블록 24: 제1 고정블록
24a: 오목부 24b: 제1 조절볼트
25: 제2 고정블록 25a: 제2 조절볼트
30: 캐리지 31: 축 지지부
31a: 축 수용부 32: 상측 지지부
32a: 제2 개구부 33: 프레임부
33a: 롤러 33b: 핸들 프레임
34: 보조 프레임 34a: 하부 브래킷
34bb: 제1 슬롯 34b: 경사컬럼
40: 승강유닛 41: 발판
41aa: 제2 슬롯 41a: 스윙부
41b: 발판부 42: 승강부재
42a: 제1 지지핀 42b: 제2 지지핀
42c: 지지편 43: 피벗부
44: 스프링부재
3: tie wire 4: sleeve
10: welding jig 12: support plate
12a: threaded hole 12b: alignment groove
12c: seat groove 16: fixed block
17: Butterfly bolt 20: Work table for welding jig
21: jig support unit 22: rotating plate
22a: first opening 22b: knob for rotation
23: release block 24: first fixed block
24a: recess 24b: first adjusting bolt
25: second fixing block 25a: second adjusting bolt
30: carriage 31: shaft support
31a: shaft receiving portion 32: upper support portion
32a: second opening portion 33: frame portion
33a: roller 33b: handle frame
34: auxiliary frame 34a: lower bracket
34bb: first slot 34b: inclined column
40: lifting unit 41: scaffold
41aa: second slot 41a: swing portion
41b: footrest 42: elevating member
42a: first support pin 42b: second support pin
42c: support 43: pivot
44: spring member

Claims (9)

타이 와이어(3)와 상기 타이 와이어(3)의 일단부에 끼워지는 슬리브(4)를 상호 용접하는데 사용되는 용접 지그(10)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용접 지그(10)가 장착되는 회전판(22)과, 상기 회전판(22)의 상부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용접 지그(10)의 하부 양측단부를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고정해제 블록(23)을 포함하는 지그 지지유닛(21);
상기 지그 지지유닛(21)을 축 지지부(31)를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측 지지부(32)와, 상기 상측 지지부(32)와 연결되고 상기 상측 지지부(32)를 작업장의 바닥면에 대해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프레임부(33)를 포함하는 캐리지(30); 및
상기 캐리지(30)에 설치되며, 상기 타이 와이어(3)와 상기 슬리브(4)의 상측 경계부분의 용접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타이 와이어(3)와 상기 슬리브(4)의 하측 경계부분의 용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타이 와이어(3)를 승강시킬 수 있게 하는 승강유닛(40);
을 포함하는 용접 지그용 작업대.
Removably fixing the welding jig 10 used to mutually weld the tie wire 3 and the sleeve 4 fitted to one end of the tie wire 3, the welding jig 10 is mounted Jig support unit 21 including a rotating plate 22 and a release block 23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22 and fixing or releasing both lower ends of the welding jig 10. ;
An upper support part 32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jig support unit 21 via the shaft support part 31, and the upper support part 32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 part 32 and the upper support part 32 on the floor of the workplace. Carriage 30 including a frame portion 33 for supporting a predetermined height relative to; And
It is installed in the carriage 30, after welding of the upper boundary of the tie wire 3 and the sleeve 4 is completed, welding of the lower boundary of the tie wire 3 and the sleeve 4 is performed. An elevating unit 40 capable of elevating the tie wire 3 so as to facilitate it;
Work table for welding jig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 지지부(31)는 상기 지그 지지유닛(21)의 회전판(22)의 저면에 구비되는 축과, 상기 캐리지(30)의 상측 지지부(32)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수용부(31a)와, 상기 축 수용부(31a)로부터 상기 축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축의 하단부에 제공되는 잠금볼트로 구성된 것인 용접 지그용 작업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shaft support part 31 is provided on the shaft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22 of the jig support unit 2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part 32 of the carriage 30 to support the shaft rotatably. And a shaft receiving portion (31a) and a locking bolt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haft to prevent any deviation of the shaft from the shaft receiving portion (31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해제 블록(23)은 상기 회전판(22)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용접 지그(10)의 하부 일측단부를 일정깊이로 수용하는 오목부(24a)를 가지며, 제1 조절볼트(24b)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조절볼트(24b)를 통해 상기 용접 지그(10)의 하부 일측단부를 고정하는 제1 고정블록(24)과, 상기 회전판(22)의 타측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제2 조절볼트(25a)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조절볼트(25a)를 통해 상기 용접 지그(10)의 하부 타측단부를 고정하는 제2 고정블록(25)을 포함하는 것인 용접 지그용 작업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release block 23 is detachably fixed to one side of the rotating plate 22 and has a recess 24a for accommodating a lower end portion of the welding jig 10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includes a first adjustment bolt ( 24b) and a first fixing block 24 for fixing one end of the lower end of the welding jig 10 through the first adjustment bolt 24b, and is detachably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plate 22, A welding jig work table having a second adjusting bolt 25a and a second fixing block 25 for fixing the other end of the lower end of the welding jig 10 through the second adjusting bolt 25a.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지지유닛(21)의 회전판(22)은 상기 용접 지그(10)에 장착되는 상기 타이 와이어(3)의 하단부와 대응하는 부분에 제1 개구부(22a)가 형성되고, 상기 캐리지(30)의 상측 지지부(32)는 상기 제1 개구부(22a)와 대응하는 부분에 제2 개구부(32a)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유닛(40)은 상기 프레임부(33)에 고정되는 보조 프레임(34)과, 상기 보조 프레임(34)에 지지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34)에 대해 스윙 회전되는 발판(41)과, 상기 발판(41)에 지지되고 상단부가 상기 캐리지(30)의 제2 개구부(32a) 및 상기 회전판(22)의 제1 개구부(22a)를 통해 상기 타이 와이어(3)의 하단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42)를 포함하는 것인 용접 지그용 작업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ng plate 22 of the jig supporting unit 21 has a first opening 22a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tie wire 3 mounted on the welding jig 10, and the carriage 30. The upper support portion 32 of the second opening portion 32a is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portion 22a, and the lifting unit 40 is the auxiliary frame 34 fixed to the frame portion 33 And a footrest 41 supported by the auxiliary frame 34 and swingab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auxiliary frame 34, and a second opening 32a of the carriage 30 supported by the footrest 41 and having an upper end thereof. And an elevating member (42) for elevating the lower end of the tie wire (3) through the first opening (22a) of the rotating plate (2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34)은 상기 캐리지(30)의 프레임부(33)의 일부분에 일체로 고정되는 하부 브래킷(34a)과, 상기 하부 브래킷(34a)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하방향으로 제1 슬롯(34bb)을 갖는 경사컬럼(34b)으로 구성되고,
상기 발판(41)은 상기 하부 브래킷(34a)에 피벗부(43)를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내측에 상기 경사컬럼(34b)의 제1 슬롯(34bb)과 교차되는 제2 슬롯(41aa)이 형성된 스윙부(41a)와, 외측에 상기 스윙부(41a)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캐리지(30)의 상측 지지부(32)의 제2 개구부(32a) 및 상기 회전판(22)의 제1 개구부(22a)를 통해 상기 타이 와이어(3)의 하단부를 승강시키는 발판부(41b)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부재(42)는 하측에 상기 경사컬럼(34b)의 제1 슬롯(34bb) 및 상기 발판(41)의 제2 슬롯(41aa)에 끼워지는 제1 지지핀(42a) 및 상측에 상기 경사컬럼(34b)의 제1 슬롯(34bb)에 끼워지는 제2 지지핀(42b)를 매개로 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경사컬럼(34b)의 상단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캐리지(30)의 상측 지지부(32)의 제2 개구부(32a)를 통해 상기 타이 와이어(3)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편(42c)으로 구성된 것인 용접 지그용 작업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uxiliary frame 34 has a lower bracket 34a fixed integrally to a part of the frame part 33 of the carriage 30, and a first slot (1) fixedly fixed to the lower bracket 34a in an up and down direction. Consisting of an inclined column 34b having a 34bb),
The scaffold 41 is rotatably fixed to the lower bracket 34a via the pivot portion 43, and has a second slot intersecting the first slot 34bb of the inclined column 34b. The second opening 32a of the upper support part 32 of the carriage 30 and the rotating plate 22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wing part 41a on the outside of the swing part 41a formed with 41aa). 1 is composed of a footrest portion 41b for elevating the lower end of the tie wire 3 through the opening 22a,
The elevating member 42 has a first support pin 42a fitted to the first slot 34bb of the inclined column 34b and the second slot 41aa of the scaffold 41 and the inclined side thereof. It is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second support pin 42b fitted into the first slot 34bb of the column 34b, and is integrally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inclined column 34b and the carriage 30 The work jig for a welding jig consisting of a support piece (42c)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tie wire (3) through the second opening (32a) of the upper support (32) of th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41)의 발판부(41b)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했을 때 상기 승강부재(42)가 원래위치로 용이하게 복귀될 수 있도록 하단부가 상기 보조 프레임(34)의 하부 브래킷(34a)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상기 승강부재(42)의 경사컬럼(34b)에 고정되는 스프링부재(44)를 더 포함하는 것인 용접 지그용 작업대.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ootrest portion 41b of the footrest 41 is removed, the lower end portion is attached to the lower bracket 34a of the auxiliary frame 34 so that the lifting member 42 can be easily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Fixed jig and the upper end further comprises a spring member (44) is fixed to the inclined column (34b) of the elevating member (4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30)의 프레임부(33)의 저부는 복수의 롤러(33a)를 더 구비한 것인 용접 지그용 작업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bottom part of the frame part 33 of the said carriage 30 is further provided with the some roller 33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30)의 프레임부(33)는 핸들 프레임(33b)을 더 포함하는 것인 용접 지그용 작업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part 33 of the carriage 30 further comprises a handle frame 33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지지유닛(21)의 회전판(22)은 상기 회전판(22)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용 손잡이(22b)를 더 포함하는 것인 용접 지그용 작업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ry plate (22) of the jig support unit (21) further comprises a rotary handle (22b) detachably provided on the rotary plate (22).

KR1020100102663A 2010-10-20 2010-10-20 Work stand for welding jig KR1011561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663A KR101156126B1 (en) 2010-10-20 2010-10-20 Work stand for welding ji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663A KR101156126B1 (en) 2010-10-20 2010-10-20 Work stand for welding ji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072A KR20120041072A (en) 2012-04-30
KR101156126B1 true KR101156126B1 (en) 2012-06-20

Family

ID=46140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663A KR101156126B1 (en) 2010-10-20 2010-10-20 Work stand for welding ji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12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333B1 (en) 2020-11-09 2021-03-18 나이스레이저(주) Jig for Weld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9993U (en) 1980-05-17 1981-12-15
KR900005621Y1 (en) * 1987-06-25 1990-06-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Welding jig
KR20090038236A (en) * 2007-10-15 2009-04-20 고왕식 Welding jig of electrode cup and welder having it
JP2009255103A (en) 2008-04-14 2009-11-05 Muratani Kikai Seisakusho:Kk Laser beam welding method and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9993U (en) 1980-05-17 1981-12-15
KR900005621Y1 (en) * 1987-06-25 1990-06-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Welding jig
KR20090038236A (en) * 2007-10-15 2009-04-20 고왕식 Welding jig of electrode cup and welder having it
JP2009255103A (en) 2008-04-14 2009-11-05 Muratani Kikai Seisakusho:Kk Laser beam welding method an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072A (en) 2012-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51828A1 (en) Fan integral installing rotary hold-lifting mechanism
KR101156126B1 (en) Work stand for welding jig
CN211541002U (en) Assembly jig is used in processing of large-scale steel construction
JPH0333405A (en) Method of repairing machinery and equipment used for the same
CN202527880U (en) Tailor-welding tool for movable arm of excavating machine
CN210189586U (en) Tool clamp for industrial instrument
JP4284567B2 (en)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direction of traction force for rotor insertion / extraction of large generator
CN212568859U (en) Motor test rack
CN210476866U (en) Transmission repair workbench
CN210499334U (en) Shaft part machining positioning fixture
EP3715630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the service and exchange of a yaw bearing for a machine head of a wind turbine
CN209021527U (en) Tooling platform for pump case built-up welding
CN213616538U (en) Auxiliary device for maintenance of valve of power plant
JP2000094205A (en) Chamfering device
KR101109851B1 (en) Jig for welding of tie wires
KR102360324B1 (en) Apparatus for rotating turbine casing of steam turbine
CN214161214U (en) Rebar bending machine with safety protection capability
JPH0318149Y2 (en)
CN213196617U (en) Adjustable anchor clamps for machining
CN215316719U (en) 180-degree rotation self-balancing repair welding table
EP4051901B1 (en) A wind turbine apparatus
CN214304724U (en) Column type member connecting piece
CN219189991U (en) Screw compressor aircraft nose turning device
CN219254653U (en) Pipeline welding fixing clamp
CN212020563U (en) Fixture for manufacturing manipulator of industrial ro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