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966B1 - 혼련기용 배관 연결구조체 - Google Patents

혼련기용 배관 연결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966B1
KR101155966B1 KR1020100134177A KR20100134177A KR101155966B1 KR 101155966 B1 KR101155966 B1 KR 101155966B1 KR 1020100134177 A KR1020100134177 A KR 1020100134177A KR 20100134177 A KR20100134177 A KR 20100134177A KR 101155966 B1 KR101155966 B1 KR 101155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kneader
lower body
connection pip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환
조덕기
Original Assignee
(주)흥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흥보테크 filed Critical (주)흥보테크
Priority to KR1020100134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2Feed mechanisms for feed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7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involving high-viscosity liquids, e.g. aspha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01F23/57Mixing high-viscosity liquids with sol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2035/98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2035/99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1Mixing of ingredients for cosmetic or perfume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Mixing paints or paint ingredients, e.g. pigments, dyes, colours, lacquers or enam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분리 가능한 배관들을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혼련기용 배관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혼련기 뚜껑과 배관 연결되는 상부 연결관을 가지며 혼련기 뚜껑의 개폐 동작에 따라 승강 동작되는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와 분리 및 연결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연결관과 대응되는 하부 연결관을 가지며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하강 동작시 상기 상부 연결관과 하부 연결관을 밀착시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의 연결 구조로 인해 혼련기 뚜껑의 개폐 동작과 연계되어 배관을 간편하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혼련기용 배관 연결구조체{CONNECTION STRUCTURE FOR PIPE OF HOMOGENIZING MIXER}
본 발명은 혼련기와 진공펌프를 연결하는 배관을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혼련기용 배관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균질 혼련기는 화장품 또는 도료등을 제조할 경우에 주로 사용되며, 물성이 서로 다른 원료물질과 혼합물질을 점성체에 섞어 균질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원료물질과 혼합물질은 액상체를 채용하거나, 액상체와 미세 분말을 혼합할 경우에도 사용한다.
이와같은 종래의 균질 혼련기는 대략 반구형통상의 용기부, 교반부, 그리고 교반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및 본체 프레임부로 구성된다.
용기부는 주로 원통형으로 구성된 용기로서, 그 처리목적에 따라 자켓에 의하여 가열 냉각시킬 수 있고 진공처리 또는 가압처리를 할 수 있다.
용기부의 조작방법에 따라 고정식, 교환식, 틸팅(Tilting)식으로 구분된다.
구동부는 모터 및 감속기 등으로 구성되고 하부에 교반부가 배치된다.
교반부는 고정자(Stator rod, SR)와 터빈샤프트(trurbine shaft)로 구성되고, 터빈샤프트(TS)에 연결되어 고속회전하는 날개(impeller)와 고정자(SR)에 고정되는 교반통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교반부는 구동부에 의하여 고속으로 회전되어 용기부의 용기내에 있는 액상체 또는 점성체와 분말체를 혼합하여 균질화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 분리 가능한 배관들을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혼련기용 배관 연결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혼련기 뚜껑과 배관 연결되는 상부 연결관을 가지며 상기 혼련기 뚜껑의 개폐 동작에 따라 승강 동작되는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와 분리 및 연결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연결관과 대응되는 하부 연결관을 가지며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하강 동작시 상기 상부 연결관과 하부 연결관을 밀착시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상부 몸체의 하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에 상기 상부 몸체의 결합부 형태와 대응되도록 홈 형태로 형성된 요홈부와,
상기 요홈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 일 부위를 탄성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하부 몸체가 제 1,2하부 몸체로 분리되고, 상기 제 1,2하부 몸체 사이에 스프링이 개재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1,2하부 몸체의 사이에 여유 공간부를 갖도록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 1,2하부 몸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재를 더 구비한다.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기밀 유지를 위한 씰링재를 더 구비한다.
상기 상부 연결관과 하부 연결관의 내부에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재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은 단순 구조로 구성되어 혼련기와 진공펌프를 연결하는 배관을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혼련기용 배관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의 연결 구조로 인해 혼련기 뚜껑의 개폐 동작과 연계되어 배관을 간편하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 내에 필터부재가 배치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혼련기용 배관 연결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하부 연결관에 필터부재가 채용된 다른 예를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관 연결구조체가 혼련기에 채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그런데, 혼련기 뚜껑은 실린더의 로드 동작에 따라 상,하 승강 동작되는 데, 혼련기 뚜껑과 연결된 배관이 진공펌프와 연결된 배관과의 접속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기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혼련기 뚜껑과 진공펌프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간단한 구성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터치 연결방식의 배관 연결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혼련기용 배관 연결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은 내부에 서로 특성이 다른 물질들이 투입되도록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승강동작으로 개폐 가능한 혼련기 뚜껑(20)을 갖는 용기(10)와, 혼련기 뚜껑(20)과 배관 연결되는 상부 연결관(310)을 가지며 혼련기 뚜껑(20)의 개폐 동작에 따라 승강 동작되는 상부 몸체(100)와, 상기 상부 몸체(100)와 분리 및 연결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연결관(310)과 대응되는 하부 연결관(320)을 가지며 진공펌프(미도시)와 연결되는 하부 몸체(200)와, 상기 상부 몸체(100)의 하강 동작시 상기 상부 연결관(310)과 하부 연결관(320)을 밀착시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하부 몸체(200)는 상부 몸체(100)의 하부와 밀착되는 제 1하부 몸체(210)와, 제 1하부 몸체(210)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하부 몸체(220)와, 제 1,2하부 몸체(210)(2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하부 몸체(210)에 탄성 지지력을 부여하는 스프링(400)으로 구성된다.
상부 몸체(100)는 하부 몸체(200)와의 결합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형태의 결합부(105)가 형성되고, 제 1하부 몸체(210)의 상부는 테이퍼진 상부 몸체(100)의 하부와 대응되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확장되는 홈 형태의 요홈부(205)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연결수단은 하부 몸체(200)가 제 1,2하부 몸체(210)(220)로 분리되고, 제 1,2하부 몸체(210)(220) 사이에 스프링(400)이 개재되도록 배치되어, 제 1,2하부 몸체(210)(220)의 사이에 여유 공간부(G)를 갖도록 배치된 것이다.
또한, 제 1,2하부 몸체(210)(220) 사이에는 스프링(400)을 지지하고, 여유 공간을 마감하기 위한 완충재(230)가 배치되어 있다.
상부 몸체(100)와 하부 몸체(200)의 사이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씰링재(120)가 배치되어 있다.
씰링재(120)는 O링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부 몸체(100)의 하부면 둘레에 형성된 끼움홈(125)에 끼움 결합되고 상부 몸체(100)와 제 1하부 몸체(210)의 사이의 틈새를 마감하도록 배치된다.
스프링(400)은 일단부가 제 1하부 몸체(210)의 하부를 지지하고, 타단부가 완충재(230)의 상측에 안착된 배치 구조를 갖는다.
상부 연결관(310)은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어 상부에 연결 배관(30)을 매개로 혼련기 뚜껑(20)과 배관 연결된다.
그리고, 상부 연결관(310)과 하부 연결관(320)의 내부에는 진공 흡입시 이물질이 진공펌프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터부재(500)가 배치된다.
필터부재(500)는 공지의 메쉬(mesh)형태로 구성되어 상부 연결관(310)의 내부에만 배치되거나, 하부 연결관(320)의 내부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상부 연결관(310)에 배치되는 필터부재(500)는 상부 연결관(310)의 내주면에 복수개로 형성된 걸림 돌기(312)에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하부 연결관(320)에 배치되는 필터부재(500)는 하부 연결관(3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받침턱(322)에 안착되는 지지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혼련기용 배관 연결구조체는, 상부 몸체(100)가 혼련기 뚜껑(20)과 일체로 승강 동작되므로, 혼련기 뚜껑(20)을 승강시키는 실린더의 로드 상승 동작시 혼련기 뚜껑(20)이 상승되고, 상부 몸체(100)가 하부 몸체(200)로부터 이격되도록 상승 동작된다.
이어서, 실린더 로드의 하강 동작시 혼련기 뚜껑(20)이 용기(10)의 상부에 안착됨과 동시에, 혼련기 뚜껑(20)과 일체로 배관 연결된 상부 몸체(100)가 하부 몸체(200)의 제 1하부 몸체(210)의 상부에 안착된다.
테이퍼지게 형성된 상부 몸체(100)의 결합부(105)가 제 1하부 몸체(210)의 상부에 형성된 요홈부(205)에 안착되면서 상,하부 연결관(320)이 밀착되고, 씰링재(120)가 밀착된 상,하부 연결관(320)의 외측을 마감하게 된다.
실린더의 하강 동작이 완료된 후에 혼련기 뚜껑(20)과 상부 몸체(100)의 자중에 의해 제 1하부 몸체(210)에 하강력이 전달되고, 이 하강력은 제 1하부 몸체(210)를 제 2하부 몸체(220)측으로 누르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 1하부 몸체(210)와 제 2하부 몸체(220) 사이의 여유 공간부(G)가 축소되면서 스프링(400)이 압축된다.
이때, 압축된 스프링(400)은 복원 탄성력으로 제 1하부 몸체(210)를 상부 몸체(100)측으로 밀어서 밀착시킴으로써, 상부 연결관(310)과 하부 연결관(320)이 밀착되도록 연결시키게 된다.
그후에 진공펌프와 연결된 하부 연결관(320)을 통해 용기(10) 내에 진공 부압을 형성시켜 흡입하는 진공 흡입 공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부 연결관(310) 또는 하부 연결관(320) 내에 배치된 필터부재(500)는 진공 흡입 공정시 용기(10)의 내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들에 함유된 이물질 등의 불순물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상부 몸체(100)와 하부 몸체(200)가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 또는 분리되는 연결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혼련기용 배관이 상,하부로 분리된 상태에서 간편하게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기 20 : 혼련기 뚜껑
100 : 상부 몸체 105 : 결합부
120 : 씰링재 200 : 하부 몸체
205 : 요홈부 210 : 제 1하부 몸체
220 : 제 2하부 몸체 230 : 완충재
310 : 상부 연결관 320 : 하부 연결관
400 : 스프링 500 : 필터부재
G : 여유 공간부

Claims (6)

  1. 혼련기 뚜껑과 배관 연결되는 상부 연결관을 가지며 상기 혼련기 뚜껑의 개폐 동작에 따라 승강 동작되는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와 분리 및 연결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연결관과 대응되는 하부 연결관을 가지며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하강 동작시 상기 상부 연결관과 하부 연결관을 밀착시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련기용 연결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상부 몸체의 하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에 상기 상부 몸체의 결합부 형태와 대응되도록 홈 형태로 형성된 요홈부와,
    상기 요홈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 일 부위를 탄성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련기용 배관 연결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하부 몸체가 제 1,2하부 몸체로 분리되고,
    상기 제 1,2하부 몸체 사이에 스프링이 개재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1,2하부 몸체의 사이에 여유 공간부를 갖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련기용 배관 연결구조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 1,2하부 몸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련기용 배관 연결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기밀 유지를 위한 씰링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련기용 배관 연결구조체.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관과 하부 연결관의 내부에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련기용 배관 연결구조체.
KR1020100134177A 2010-12-24 2010-12-24 혼련기용 배관 연결구조체 KR101155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177A KR101155966B1 (ko) 2010-12-24 2010-12-24 혼련기용 배관 연결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177A KR101155966B1 (ko) 2010-12-24 2010-12-24 혼련기용 배관 연결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5966B1 true KR101155966B1 (ko) 2012-06-18

Family

ID=46688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177A KR101155966B1 (ko) 2010-12-24 2010-12-24 혼련기용 배관 연결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9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9680A (ko) * 1997-12-15 1999-07-05 조병욱 균질혼련기
KR20000003316U (ko) * 1998-07-22 2000-02-15 김인식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20070066717A (ko) * 2005-12-22 2007-06-27 금성산기 주식회사 혼합 장치
KR200441167Y1 (ko) 2007-02-01 2008-07-30 이영춘 원터치 배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9680A (ko) * 1997-12-15 1999-07-05 조병욱 균질혼련기
KR20000003316U (ko) * 1998-07-22 2000-02-15 김인식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20070066717A (ko) * 2005-12-22 2007-06-27 금성산기 주식회사 혼합 장치
KR200441167Y1 (ko) 2007-02-01 2008-07-30 이영춘 원터치 배관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0787Y1 (ko) 균질혼련기
CN212328188U (zh) 一种搅拌机用减震支架
KR101155966B1 (ko) 혼련기용 배관 연결구조체
CN107351358B (zh) 一种真空螺杆挤出机
CN201488478U (zh) 多功能真空锥形混合干燥装置
CN105664768A (zh) 一种陶瓷制品用粉末原料搅拌装置
CN208526414U (zh) 一种化工设备搅拌器
CN208145857U (zh) 一种搅拌机
JPH07124941A (ja) 加圧型ニーダ
CN207237909U (zh) 复合配液设备以及配液系统
CN212236813U (zh) 一种污水处理用药剂投加装置
CN210206640U (zh) 一种刹车片生产用混料设备
CN206996637U (zh) 一种带超声的移液装置
CN201517507U (zh) 一种无菌型离心泵
CN209696888U (zh) 一种淀粉胶生产用淀粉反应釜
CN112675801A (zh) 一种化工反应釜
CN201513355U (zh) 一种无菌型自吸泵
CN207708950U (zh) 一种搅拌叶可更换的搅拌机
CN218774799U (zh) 一种脂肪酸均质反应罐
CN212092074U (zh) 一种高效混合机
CN210495411U (zh) 一种全密封可拆卸真空过滤器
CN108940169A (zh) 一种移动型立式化工原料反应釜
JP2004066039A (ja) 加圧型混練機
CN211374272U (zh) 一种真空搅土与制样一体化装置
CN213528507U (zh) 一种机械油污清洗剂生产用混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