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923B1 - 광 주사형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광 주사형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923B1
KR101155923B1 KR1020100071397A KR20100071397A KR101155923B1 KR 101155923 B1 KR101155923 B1 KR 101155923B1 KR 1020100071397 A KR1020100071397 A KR 1020100071397A KR 20100071397 A KR20100071397 A KR 20100071397A KR 101155923 B1 KR101155923 B1 KR 101155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guide
guide member
diffuse reflection
touc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9274A (ko
Inventor
도현철
최임수
김영선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1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923B1/ko
Priority to US13/048,686 priority patent/US20120019484A1/en
Priority to EP11250463.4A priority patent/EP2420920A3/en
Priority to CN2011101268555A priority patent/CN102346600A/zh
Publication of KR20120009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06F3/042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using sweeping light beams, e.g. using rotating or vibrating mirr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광 주사형 터치 패널은 광 주사부, 광 가이드부, 수광부, 및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광 주사부는 발광 소자와, 발광 소자에서 방출되는 레이저 빔을 회전 주사하는 주사 구동부를 포함한다. 광 가이드부는 레이저 빔을 제공받는 광 입사면과, 적어도 하나의 광 출사면을 포함한다. 광 가이드부는 투명한 도광 부재와, 도광 부재 중 광 입사면에 위치하는 확산 시트와, 도광 부재 중 광 입사면과 광 출사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 위치하는 반사 시트를 포함한다. 광 가이드부는 어느 하나의 반사 시트와 마주하는 도광 부재의 일면에 형성된 난반사 유도부를 포함한다. 난반사 유도부는 도광 부재의 일면에 형성된 오목한 홈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광 주사형 터치 패널 {LIGHT SCAN TYPE TOUCH PANEL}
본 발명은 광 주사형 터치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광 소자의 광 수신 효율을 높이기 위한 광 가이드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터치 패널은 표시 장치의 화면 위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특정 지점을 터치할 때 그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장치이다. 터치 패널이 터치 지점을 인식하는 방법에는 저항막을 이용하는 방식,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방식, 전파를 이용하는 방식, 및 광 차단을 이용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광 차단을 이용하는 방식 중 광 주사형 터치 패널이 있다. 광 주사형 터치 패널은 표시 장치 화면의 한쪽 단 외측에 발광 소자와 주사 구동부로 이루어진 광 주사부를 적어도 2개 배치하고, 표시 장치 화면의 나머지 단에 광 가이드부와 수광 소자를 배치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수광 소자는 신호 처리부와 연결된다.
광 주사부가 표시 장치의 화면 위에서 화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빛을 주사하면, 이 빛은 광 가이드부에 도달하고 광 가이드부는 수광 소자로 빛을 전달한다. 사용자가 장애물을 이용하여 화면의 특정 지점을 터치하면, 터치된 지점의 빛이 차단되므로 수광 소자와 신호 처리부는 일련의 연산 과정을 거쳐 장애물에 의해 생긴 암영역의 좌표를 산출하게 된다.
본 발명은 광 가이드부의 광 전달 효율을 높여 수광 소자의 광 수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 주사형 터치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해상도를 높이고, 좌표 왜곡을 억제하며, 신호 처리를 단순화하여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광 주사형 터치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형 터치 패널은 표시 장치 화면의 한쪽 단 외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광 주사부와, 표시 장치 화면의 나머지 단에 위치하는 복수의 광 가이드부와, 복수의 광 가이드부 각각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 위치하는 수광부를 포함한다. 광 가이드부는 광 입사면과 광 출사면을 포함하는 투명한 도광 부재와, 광 입사면에 위치하는 확산 시트와, 광 입사면과 광 출사면을 제외한 도광 부재의 나머지 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반사 시트와, 복수의 반사 시트 중 어느 하나의 반사 시트와 마주하는 도광 부재의 일면에 형성된 난반사 유도부를 포함한다.
난반사 유도부는 복수의 반사 시트 중 확산 시트와 마주하는 어느 한 반사 시트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난반사 유도부는 도광 부재에 형성된 오목한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난반사 유도부는 삼각 프리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난반사 유도부는 도광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수광부는 광 가이드부의 한쪽 단부에 위치하고, 난반사 유도부는 도광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불균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난반사 유도부는 수광부가 위치하는 도광 부재의 일측 단부로부터 반대측 단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조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수광부가 위치하지 않은 도광 부재의 반대측 단부에 반사 시트가 부착될 수 있다.
반사 시트는 확산 시트에 대해 경사각을 두고 배치되며, 수광부는 광 가이드부의 한쪽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난반사 유도부는 도광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거나, 수광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조밀한 간격으로 배치되거나, 도광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광 주사부는 멀티 터치 인식을 위해 3개로 구비될 수 있다. 3개의 광 주사부 각각은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에서 방출된 레이저 빔을 회전 주사하는 주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주사 구동부는 모터 및 모터에 설치된 다각형 미러를 포함할 수 있고, 3개의 주사 구동부는 시분할 방식으로 구동할 수 있다.
3개의 광 주사부는 발광 소자와 주사 구동부 사이에 위치하는 세 종류의 변조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수광부는 세 종류의 변조 필터에 대응하는 세 종류의 광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광 가이드부의 광 전달 효율을 높여 수광부의 광 수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해상도가 높고 좌표 인식 오류가 적은 고품질의 터치 패널을 구현할 수 있으며, 터치 패널의 부품 수를 줄여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형 터치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광 주사형 터치 패널 중 주사 구동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광 주사형 터치 패널 중 하나의 광 가이드부와 2개의 수광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광 가이드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멀티 터치 인식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광 주사형 터치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광 수신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형 터치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광 주사형 터치 패널 중 광 가이드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형 터치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에 도시한 광 주사형 터치 패널 중 광 가이드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형 터치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제1 실시예의 광 주사형 터치 패널(100)은 표시 장치에 장착되며, 광 주사부(101, 102, 103), 광 가이드부(201, 202, 203), 수광부(30), 및 신호 처리부(40)를 포함한다. 광 주사부(101, 102, 103)는 표시 장치 화면(A10)의 한쪽 단 외측에 위치하고, 표시 장치 화면(A10)의 나머지 단에 광 가이드부(201, 202, 203)가 위치한다.
도 1에서는 표시 장치 화면(A10)의 하단 외측에 광 주사부(101, 102, 103)가 위치하고, 표시 장치 화면(A10)의 상단과 좌우 측단에 3개의 광 가이드부(201, 202, 203)가 위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광 주사부(101, 102, 103)와 광 가이드부(201, 202, 203)의 위치는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 가능하다.
광 주사형 터치 패널(100)은 적어도 2개의 광 주사부를 포함하며, 멀티 터치 인식을 위해 3개의 광 주사부(101, 102, 10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 터치란 2개 이상의 장애물이 표시 장치 화면(A10)을 터치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3개의 광 주사부(101, 102, 103)는 표시 장치 화면(A10)의 한쪽 단 외측에 서로간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위치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광 주사형 터치 패널 중 주사 구동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각각의 광 주사부(101, 102, 103)는 발광 소자(11)와, 발광 소자(11)에서 방출되는 레이저 빔을 회전 주사하는 주사 구동부(12)를 포함한다.
발광 소자(11)는 비가시 영역의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레이저 발광 소자로 구성된다. 주사 구동부(12)는 모터(121)와, 모터(121)에 설치된 다각형 미러(122)로 구성될 수 있다. 주사 구동부(12)는 모터(121)의 작동에 의해 다각형 미러(122)를 회전시켜 발광 소자(11)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빔을 표시 장치의 화면과 평행하게 회전 주사한다.
이때, 주사 구동부(12)는 3개의 발광 소자(11)에서 방출된 레이저 빔이 시간 차이를 두고 광 가이드부(201, 202, 203)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해당 레이저 빔을 주사한다. 즉, 3개의 광 주사부(101, 102, 103)는 레이저 빔의 주사 시작 시점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시분할 방식으로 구동한다. 이러한 시분할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 처리부(40)가 3개 광 주사부(101, 102, 103)의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광 주사부(101, 102, 103)는 발광 소자(11)와 주사 구동부(12) 사이에 각기 다른 종류의 변조 필터(131, 132, 133)를 설치하여 3개의 발광 소자(11)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 빔을 각기 다른 주파수로 변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광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주사 구동부(12)를 생략하고 발광 소자(11)와 변조 필터(131, 132, 133)로 이루어진 광 주사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주사 구동부(12)의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압전 액츄에이터와 같은 다른 기계적 장치를 사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광 주사부(101, 102, 103)가 변조 필터(131, 132, 133)를 구비하는 경우 수광부(30)는 특정 파장의 레이저 빔을 통과시키는 3종류의 광 필터를 구비한다. 이러한 광 필터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부(40)가 3개 광 주사부(101, 102, 103)의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광 가이드부(201, 202, 203)는 광 주사부(101, 102, 103)가 설치되지 않은 표시 장치 화면(A10)의 나머지 단에 위치하여 발광 소자(11)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빔을 제공받는다. 그리고 각 광 가이드부(201, 202, 203)의 양측 단부에 수광부(30)가 위치한다. 광 가이드부(201, 202, 203)는 발광 소자(11)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빔을 수광부(3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광 주사형 터치 패널 중 하나의 광 가이드부와 2개의 수광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광 가이드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광 가이드부(201)는 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광 주사부(101, 102, 103)와 마주하여 레이저 빔(L/B)을 제공받는 광 입사면(21)과, 2개의 수광부(30)와 마주하여 광을 출사하는 광 출사면(22)을 포함한다. 수광부(30)는 수광 소자(31)와, 수광 소자(31)의 전방에 위치하는 집광 렌즈(32)로 구성될 수 있다.
광 가이드부(201)는 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투명한 도광 부재(23)와, 도광 부재(23) 중 광 입사면(21)에 위치하는 확산 시트(24)와, 도광 부재(23) 중 광 입사면(21)과 광 출사면(22)을 제외한 나머지 3면에 위치하는 반사 시트(25)를 포함한다. 도광 부재(23)는 투명한 아크릴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광 가이드부(201)는 어느 하나의 반사 시트(25)와 마주하는 도광 부재(23)의 일면에 형성된 난반사 유도부(26)를 포함한다. 난반사 유도부(26)는 도광 부재(23)의 일면에 형성된 오목한 홈으로서 예를 들어 삼각 프리즘 모양으로 형성된다.
난반사 유도부(26)는 도광 부재(23) 중 확산 시트(24)의 반대면, 즉 확산 시트(24)와 마주하는 어느 한 반사 시트(25)를 향해 배치되며, 서로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난반사 유도부(26)는 삼각 프리즘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모양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 주사부(101, 102, 103)에서 주사된 레이저 빔(L/B)은 광 가이드부(201)의 확산 시트(24)를 통해 도광 부재(23)의 내부로 입사하고, 도광 부재(23)의 3면에 위치하는 반사 시트(25)에 의해 광 출사면(22)까지 반복적인 광 반사가 이루어진다. 이로써 광 가이드부(201)는 제공받은 레이저 빔(L/B)을 광 출사면(22)을 통해 출사하며, 출사된 레이저 빔(L/B)은 집광 렌즈(32)를 거쳐 수광 소자(31)로 입사한다.
이때, 반사 시트(25)를 향한 도광 부재(23)의 일면에 프리즘 형태의 난반사 유도부(26)가 위치함에 따라, 도광 부재(23)와 반사 시트(25) 사이에 능동적인 난반사가 이루어져 광 입사면(21)으로부터 광 출사면(22)을 향한 광 전달 효율이 향상된다.
즉, 난반사 유도부가 없는 경우를 가정하면, 레이저 빔은 반사 시트에 의해 대부분 확산 시트 방향으로 반사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반사 시트(25)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 빔은 난반사 유도부(26)를 통과하면서 여러 방향으로 난반사되므로 광 출사면(22)으로 보다 많은 양의 레이저 빔이 출사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광 주사형 터치 패널(100)은 수광부(30)의 광 수신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터치 인식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과 도 4에 도시하지 않은 나머지 광 가이드부(202, 203) 또한 전술한 광 가이드부(201)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신호 처리부(40)는 수광부들(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사용자가 장애물을 이용하여 화면의 특정 지점을 터치하면, 터치된 지점의 빛이 차단되므로 수광부(30)가 이를 인식하고, 신호 처리부(40)가 일련의 연산 과정을 거쳐 장애물에 의해 생긴 암영역의 좌표를 산출한다.
도 5는 멀티 터치 인식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광 주사형 터치 패널의 평면도이고, 도 6은 광 수신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을 참고하면, 3개의 광 주사부(101, 102, 103)는 서로간 시간 차이를 두고 0°에서 180°에 이르는 회전 주사각으로 레이저 빔(L1, L2, L3)을 주사한다. 표시 장치 화면(A10)의 특정 위치에 2개의 장애물(B1, B2)이 존재하면, 3개의 광 주사부(101, 102, 103)에서 방출된 레이저 빔(L1, L2, L3)은 2개의 장애물(B1, B2)에 의해 차단되어 광 가이드부(201, 202, 203)로 입사하지 못하게 된다.
신호 처리부(40, 도 1 참조)는 장애물(B1, B2)에 의해 레이저 빔(L1, L2, L3)이 차단된 시간과, 광 주사부들(101, 102, 103)에 대한 장애물(B1, B2)의 각도를 계산하고, 삼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제1 장애물(B1)의 (x1, y1) 좌표와 제2 장애물(B2)의 (x2, y2)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도 5에서 첫 번째 광 주사부(101)와 두 번째 광 주사부(102) 및 세 번째 광 주사부(103)에 대한 제1 장애물(B1)의 각도를 각각 α1, β1, 및 γ1으로 표시하고, 첫 번째 광 주사부(101)와 두 번째 광 주사부(102) 및 세 번째 광 주사부(103)에 대한 제2 장애물(B2)의 각도를 각각 α2, β2, 및 γ2로 표시하였다. 신호 처리부(40)의 연산 과정은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형 터치 패널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광 주사형 터치 패널 중 광 가이드부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와 같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제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도 7과 도 8을 참고하면, 제2 실시예의 광 주사형 터치 패널(110)에서 난반사 유도부(261)는 도광 부재(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불균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광 가이드부(204, 205, 206)의 한쪽 단부에 수광부(30)가 위치한다. 난반사 유도부(261)는 수광부(30)가 위치하는 도광 부재(23)의 어느 일측 단부에서부터 반대측 단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서로간 간격이 좁아져 수광부(30)로부터 멀어질수록 조밀하게 배치된다.
난반사 유도부(261)의 간격이 좁아질수록 난반사 유도에 의한 광 가이드부(204)의 광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수광부(30)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광 가이드부(204, 205, 206)에 대해 하나의 수광부(30)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이때, 수광부(30)가 위치하지 않는 도광 부재(23)의 반대측 단부에는 반사 시트(25)가 부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형 터치 패널의 평면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에 도시한 광 주사형 터치 패널 중 광 가이드부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와 같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제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도 9와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고하면, 제3 실시예의 광 주사형 터치 패널(120)에서 반사 시트(251)는 확산 시트(24)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두고 배치되며, 광 가이드부(207, 208, 209)의 한쪽 단부에 수광부(30)가 위치한다.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반사 유도부(26)는 도광 부재(2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반사 유도부(261)는 수광부(30)로부터 멀어질수록 조밀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반사 유도부(262)는 도광 부재(2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간 간격 없이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광 부재(231)는 수광부(30)가 위치하는 어느 일측 단부에서부터 반대측 단부를 향해 그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그 결과 수광부(30)로부터 멀어질수록 확산 시트(24)와 반사 시트(251)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다. 3개의 광 가이드부(207, 208, 209)에서 확산 시트(24)는 표시 장치 화면(A10)의 세 변과 나란하게 위치하며, 확산 시트(24)와 마주하는 반사 시트(251)는 표시 장치 화면(A10)의 세 변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진다.
이와 같이 확산 시트(24)에 대해 반사 시트(251)가 경사지게 위치함에 따라 반사 시트(251)에서 반사되는 레이저 빔은 기본적으로 수광부(30)를 향한 한쪽 방향으로 치우치게 된다. 따라서 제3 실시예의 광 주사형 터치 패널(120)은 난반사 유도부(26, 261, 262)에 의한 광 전달 효율 향상과 더불어 경사진 반사 시트(251)로 인한 효과가 배가되어 광 가이드부(207, 208, 209)의 광 전달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110, 120: 터치패널 101, 102, 103: 광 주사부
11: 발광 소자 12: 주사 구동부
131, 132, 133: 변조 필터 201-209: 광 가이드부
21: 광 입사면 22: 광 출사면
23: 도광 부재 24: 확산 시트
26: 반사 시트 26, 261, 262: 난반사 유도부
30: 수광부 31: 수광 소자
32: 집광 렌즈 40: 신호 처리부

Claims (16)

  1. 표시 장치 화면의 한쪽 단 외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광 주사부;
    상기 표시 장치 화면의 나머지 단에 위치하는 복수의 광 가이드부; 및
    상기 복수의 광 가이드부 각각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 위치하는 수광부
    를 포함하며,
    상기 광 가이드부는,
    광 입사면과 광 출사면을 포함하는 투명한 도광 부재;
    상기 광 입사면에 위치하는 확산 시트;
    상기 광 입사면과 상기 광 출사면을 제외한 상기 도광 부재의 나머지 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반사 시트; 및
    상기 복수의 반사 시트 중 상기 확산 시트와 마주하는 어느 한 반사 시트를 향한 상기 도광 부재의 일면에 형성된 난반사 유도부
    를 포함하는 광 주사형 터치 패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반사 유도부는 상기 도광 부재에 형성된 오목한 홈으로 이루어지는 광 주사형 터치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난반사 유도부는 삼각 프리즘 모양으로 형성되는 광 주사형 터치 패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난반사 유도부는 상기 도광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광 주사형 터치 패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상기 광 가이드부의 한쪽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난반사 유도부는 상기 도광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불균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광 주사형 터치 패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난반사 유도부는 상기 수광부가 위치하는 상기 도광 부재의 일측 단부로부터 반대측 단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조밀하게 배치되는 광 주사형 터치 패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가 위치하지 않은 상기 도광 부재의 반대측 단부에 상기 반사 시트가 부착되는 광 주사형 터치 패널.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확산 시트에 대해 경사각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수광부는 상기 광 가이드부의 한쪽 단부에 위치하는 광 주사형 터치 패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난반사 유도부는 상기 도광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광 주사형 터치 패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난반사 유도부는 상기 수광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조밀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광 주사형 터치 패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난반사 유도부는 상기 도광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접하게 배치되는 광 주사형 터치 패널.
  13. 제1항, 제3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주사부는 멀티 터치 인식을 위해 3개로 구비되고,
    상기 3개의 광 주사부 각각은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에서 방출된 레이저 빔을 회전 주사하는 주사 구동부를 포함하는 광 주사형 터치 패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구동부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설치된 다각형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3개의 주사 구동부는 시분할 방식으로 구동하는 광 주사형 터치 패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광 주사부는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주사 구동부 사이에 위치하는 세 종류의 변조 필터를 포함하는 광 주사형 터치 패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상기 세 종류의 변조 필터에 대응하는 세 종류의 광 필터를 포함하는 광 주사형 터치 패널.
KR1020100071397A 2010-07-23 2010-07-23 광 주사형 터치 패널 KR101155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397A KR101155923B1 (ko) 2010-07-23 2010-07-23 광 주사형 터치 패널
US13/048,686 US20120019484A1 (en) 2010-07-23 2011-03-15 Light scan type touch panel
EP11250463.4A EP2420920A3 (en) 2010-07-23 2011-04-12 Light scan type touch panel
CN2011101268555A CN102346600A (zh) 2010-07-23 2011-05-17 光扫描型触摸面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397A KR101155923B1 (ko) 2010-07-23 2010-07-23 광 주사형 터치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274A KR20120009274A (ko) 2012-02-01
KR101155923B1 true KR101155923B1 (ko) 2012-06-20

Family

ID=44399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397A KR101155923B1 (ko) 2010-07-23 2010-07-23 광 주사형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019484A1 (ko)
EP (1) EP2420920A3 (ko)
KR (1) KR101155923B1 (ko)
CN (1) CN1023466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5447B (en) * 2013-02-13 2021-01-20 Light Blue Optics Ltd Touch sensing system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7658A (ja) * 2003-03-14 2003-11-28 Fujitsu Ltd 光走査型タッチパネル
JP2007293915A (ja) * 2007-07-30 2007-11-08 Fujitsu Ltd 光走査型タッチパネル
KR20090077771A (ko) * 2006-09-28 2009-07-15 루미오 인코포레이티드 광 터치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4543A (en) * 1979-11-13 1981-10-13 Command Control & Communications Corporation Optical system for developing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GB2268263A (en) * 1992-06-30 1994-01-05 Ibm Input device for a visual display unit
US5575549A (en) * 1994-08-12 1996-11-19 Enplas Corporatio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JP4033540B2 (ja) * 1998-02-18 2008-01-16 富士通株式会社 光走査型タッチパネル
JP3892650B2 (ja) * 2000-07-25 2007-03-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US7265748B2 (en) * 2003-12-11 2007-09-0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touch pad input
KR20070035130A (ko) * 2005-09-27 2007-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도광판과,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TW201001258A (en) * 2008-06-23 2010-01-01 Flatfrog Lab Ab Determining the location of one or more objects on a touch surface
TWI397847B (zh) * 2009-09-17 2013-06-01 Pixart Imaging Inc 光學觸控裝置及其光學觸控裝置的定位方法
TW201009671A (en) * 2008-08-21 2010-03-01 Tpk Touch Solutions Inc Optical semiconductor laser touch-control device
JP4906126B2 (ja) * 2008-11-18 2012-03-28 日東電工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TWM363032U (en) * 2009-02-25 2009-08-11 Pixart Imaging Inc Optical touch control module
WO2011033806A1 (ja) * 2009-09-15 2011-03-24 シャープ株式会社 位置検出システム、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7658A (ja) * 2003-03-14 2003-11-28 Fujitsu Ltd 光走査型タッチパネル
KR20090077771A (ko) * 2006-09-28 2009-07-15 루미오 인코포레이티드 광 터치 패널
JP2007293915A (ja) * 2007-07-30 2007-11-08 Fujitsu Ltd 光走査型タッ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20920A3 (en) 2014-02-26
US20120019484A1 (en) 2012-01-26
EP2420920A2 (en) 2012-02-22
KR20120009274A (ko) 2012-02-01
CN102346600A (zh)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3926B (zh) 光學接觸面板
JP4043128B2 (ja) 光走査型タッチパネル
US8395601B2 (en) Touch sensing system and display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RU2534366C2 (ru) Инфракрасная сенсорная панель, поддерживающая функцию мультитач
US20110115748A1 (en) Infrared Touch Screen
JP4208394B2 (ja) 座標入力装置
JP2013511100A (ja) タッチ入力を受け付ける装置及び方法
US9292133B2 (en) Spatial input device
KR101129430B1 (ko) 적외선 스캔 방식의 터치스크린 장치
CN209979851U (zh) 一种多线扫描激光雷达
KR101155923B1 (ko) 광 주사형 터치 패널
JP4097752B2 (ja) 光式入力装置
JP4033540B2 (ja) 光走査型タッチパネル
JP2024012418A (ja) 投受光装置及び測距装置
JP4531081B2 (ja) 光走査型タッチパネル
KR20120055956A (ko) 광섬유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장치
JP2013250817A (ja) 座標入力装置及び座標入力システム
JP5798419B2 (ja) 三次元座標検知装置
JP2007280433A (ja) 光走査型タッチパネル
KR101358781B1 (ko) 전반사 산란을 이용한 광학 터치스크린 장치
KR101221677B1 (ko) 적외선 터치스크린 장치
KR101157764B1 (ko) 원거리 제어가 가능한 적외선 터치스크린 장치
JP2006065595A (ja) 入力装置
JP2013250813A (ja) 座標入力装置、及び座標入力システム
JP2013250812A (ja) 座標入力装置、座標検出方法、及び座標入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