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676B1 - Drx 모드에 있을 때 ue에서의 신규 셀 식별을 제어하는 적절한 트리거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Drx 모드에 있을 때 ue에서의 신규 셀 식별을 제어하는 적절한 트리거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676B1
KR101155676B1 KR1020107019891A KR20107019891A KR101155676B1 KR 101155676 B1 KR101155676 B1 KR 101155676B1 KR 1020107019891 A KR1020107019891 A KR 1020107019891A KR 20107019891 A KR20107019891 A KR 20107019891A KR 101155676 B1 KR101155676 B1 KR 101155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drx
parameter
delete delete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9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0201A (ko
Inventor
사라드 디팩 삼바와니
메멧 야뷰즈
로히트 카푸어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20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셀 식별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무선 장치에서의 수신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수신 사이클을 상기 무선 장치 내의 서브프레임 파라미터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미리 결정된 상기 비교의 시간 이내에 이후의 무선 셀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DRX 모드에 있을 때 UE에서의 신규 셀 식별을 제어하는 적절한 트리거 메커니즘{SUITABLE TRIGGER MECHANISM TO CONTROL NEW CELL IDENTIFICATION IN UE WHEN IN DRX MODE}
본 출원은 2080년 2월 4일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SUITABLE TRIGGER MECHANISM TO CONTROL NEW CELL IDENTIFICATION IN UE WHEN IN DRX MODE"인 미국 가특허출원 번호 제61/026,125호에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원에 통합된다.
다음의 기재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고, 보다 특정적으로는, 모바일 장치들에서의 전력 보존을 용이하게 하지만 적절한 셀 식별 성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셀 식별 시간들을 조정하는 파라미터들 및 프로토콜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리소스들(예, 대역폭, 송신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접속 시스템들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접속 시스템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접속(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시스템들, E-UTRA를 포함하는 3GPP 롱 텀 에볼루션(LTE) 시스템들,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통신 시스템은 전체 시스템 대역폭을 다수개(NF)의 서브캐리어들로 효과적으로 분할하며, 상기 서브캐리어들은 또한 주파수 서브-채널들, 톤(tone)들, 또는 주파수 빈(bin)들로 지칭될 수도 있다. OFDM 시스템에 대하여, 송신될 데이터(즉, 정보 비트들)은 먼저 코딩된 비트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특정 코딩 방식으로 코딩되고, 코딩된 비트들은 그 후 변조 심볼들로 맵핑되는 멀티-비트 심볼들로 더 그룹화된다. 각각의 변조 심볼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특정 변조 방식(예, M-PSK 또는 M-QAM)에 의해 정의되는 신호 무리(constellation)에서의 하나의 포인트에 대응한다. 각각의 주파수 서브캐리어의 대역폭에 의존할 수 있는 각각의 시간 간격에서, 변조 심볼은 NF 개의 주파수 서브캐리어 상에서 송신될 수 있다. 따라서, OFDM은 시스템 대역폭을 가로지르는 상이한 양들의 감쇄에 의해 특징지워지는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frequency selective fading)에 의해 유발되는 심볼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 ISI)과 대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다중-접속 통신 시스템들은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들 상에서의 송신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는 다수의 무선 단말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들로부터 단말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단말들로부터 기지국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이러한 통신 링크는 단일-입력-단일-출력, 다중-입력-단일-출력, 또는 다중-입력-다중-출력(MIMO) 시스템을 통해 확립될 수 있다.
MIMO 시스템은 데이터 송신을 위한 다수의(NT) 송신 안테나들 및 다수의(NR) 수신 안테나들을 이용한다. NT개의 송신 안테나 및 NR개의 수신 안테나에 의해 형성된 MIMO 채널은 공간 채널들이라고도 불리는 NS개의 독립 채널들로 분해될 수 있다(여기서, NS≤min{NT, NR}). 일반적으로, 각각의 NS개의 독립 채널들은 차원(dimension)에 대응한다. 다수의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에 의해 생성된 부가적인 차원들(dimensionalities)이 이용된다면, MIMO 시스템은 개선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예, 더 많은 처리량 및/또는 더 나은 신뢰성). MIMO 시스템은 또한 시분할 듀플렉스(TDD) 시스템 및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스템을 지원한다. TDD 시스템에서, 상호주의 원리가 역방향 링크 채널로부터의 순방향 링크 채널의 추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순방향 링크 송신 및 역방향 링크 송신은 동일한 주파수 영역상에 있다. 이는 다수의 안테나들이 액세스 포인트에서 이용가능할 때 액세스 포인트가 순방향 링크상에서 송신 빔-형성 이득을 추출할 수 있게 해준다.
무선통신 성능의 일 양상은 전력을 보존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스위치 오프(switch off)할 수 있는 무선 장치의 능력을 포함한다. 이러한 불활성 또는 상태의 기간은 불연속 수신 또는 DRX로 지칭된다. 이상적으로, 무선 장치는 충전들 사이의 긴 배터리 수명을 촉진하기 위하여 이러한 기간을 가능한 한 길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장치가 너무 긴 시간 동안 유휴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유지된다면, 장치 이동의 기간들 동안 영역 셀들로의 원하는 통신들을 놓칠 수 있다.
하기 설명은 청구된 내용의 일부 양상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간략화된 요약을 제공한다. 본 요약은 포괄적인 개요는 아니며, 핵심/중요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거나, 청구된 내용의 범위를 서술하고자 할 의도가 아니다. 그 유일한 목적은 후에 제시되는 보다 상세한 설명에 대한 도입부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일부 개념들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동의 기간들 동안 셀 검출을 용이하게 하고 전력 보존을 위한 합리적인 시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무선 수신기들에서 신규 셀 식별 시간들을 조정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제공된다. 불연속 수신(DRX) 성능은, 이웃하는 셀들을 식별하기 위하여 수신기가 갖는 시간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수신기에서 동적으로 조정된다. 다양한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이 조정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분석되고, 상기 파라미터들은 수신기에서의 다운링크 DRX 활성 기간들 및 DRX 사이클 시간들에 관련된다. 다른 파라미터는 신규하게 검출가능한 셀에 대한 식별자인 시스템 프레임 번호(system frame number; SFN)이다. 일반적으로, DRX 시간은 SFN이 원하는 시간 기간 내에(예, 미리 결정된 수의 서브프레임 기간들 내에) 디코딩될 수 있도록 조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DRX 스위칭 시간들을 조정함으로써, 신규 셀 검출이 향상되는 한편 ― 특히 더 빠른 이동 속도들 동안 ―, 전력은 수신기에서 여전히 보존될 수 있다.
전술한 그리고 관련된 목적들의 성취를 위하여, 소정의 예시적인 양상들이 다음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다. 이러한 양상들은, 그러나, 청구된 내용의 원리들이 사용될 수 있는 단지 몇 개의 다양한 방법들을 나타내며 청구된 내용은 모든 이러한 양상들 및 이들의 등가물들을 포함하고자 하려는 의도이다. 다른 이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도면들과 결합하여 고려될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수 있다.
도 1은 사용자 장비에서 신규 무선 셀들을 검출하고 전력을 완화하기 위하여 셀 아이덴티티(identity) 디코더 및 DRX 제어들을 채용하는 시스템의 하이 레벨 블록도이다.
도 2는 무선 셀 식별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셀 식별 파라미터 조정에 관한 다양한 환경 고려사항들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8은 셀 식별을 위한 예시적인 통신 장치를 도시한다.
도 9는 다중 접속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1은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들을 도시한다.
도 12는 셀 식별을 위한 예시적인 논리 모듈을 도시한다.
무선 장치들에서 전력 손실들을 완화하고 신규 무선 셀들의 효율적인 검출을 지원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제공된다. 일 양상에서, 셀 식별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무선 장치에서 수신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무선 장치에서 수신 사이클을 서브프레임 파라미터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비교의 미리 결정된 시간 내에 이후의 무선 셀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은 이동 속도(mobility speed) 또는 다른 환경 고려사항들(예, 노이즈, 네트워크 혼잡, 등)을 참작하도록 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00)은 사용자 장비에서 전력을 완화시키고 신규 무선 셀들을 검출하기 위하여 DRX 제어들을 갖는 셀 아이덴티티 디코더(102)를 채용한다. 시스템(100)은 무선 네트워크(110)를 통해 제2 장치(130)(또는 장치들)로 통신할 수 있는 엔티티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120)(또한 노드, 진보된 노드 B - eNB로도 지칭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장치(130)는 액세스 단말(단말, 사용자 장비, 이동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또는 모바일 장치라고도 지칭됨)일 수 있다. 기지국(120)은 다운링크(140; DL)를 통해 장치(130)와 통신하고 업링크(150; UL)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한다. 업링크 및 다운링크와 같은 이러한 지정은, 장치(130)가 다운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업링크 채널들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으므로 자의적이다. 비록 두 개의 컴포넌트들(120 및 130)이 도시되었지만, 둘 이상의 컴포넌트들이 네트워크(110)상에서 채용될 수 있고, 여기서 이러한 부가적인 컴포넌트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셀 식별을 위해 적응될 수도 있음이 인지되어야 한다. 진행 전에, 다양한 두문자들이 간략함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이 인지되어야 한다. 처음에 정의되지 않는다면, 두문자들은 명세서의 마지막에 정의된다.
시스템(100)은 이동 기간들 동안 셀 검출을 용이하게 하고 전력 보존을 위한 합리적인 시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장치들이 신규 셀 식별 시간들을 조정할 수 있게 해준다.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성능은 장치(130)가 이웃 셀들을 식별해야 하는 시간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장치에서 동적으로 조정된다. 다양한 네트워크 파라미터들(160)이 상기 조정들을 결정하기 위해 분석되고, 상기 파라미터들은 장치(130)에서의 다운링크 DRX 활성 기간들 및 DRX 사이클 시간들에 관련된다. 다른 파라미터(160) 신규하게 검출가능한 셀에 대한 식별자인 시스템 프레임 번호(system frame number; SFN)이다. 일반적으로, DRX 시간은 SFN이 원하는 시간 기간 내에(예, 미리 결정된 수의 서브프레임 기간들 내에) 디코딩될 수 있도록 조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DRX 스위칭 시간들을 조정함으로써, 신규 셀 검출이 향상되는 한편 ― 특히 더 빠른 이동 속도들 동안 ―, 전력은 수신기에서 여전히 보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110)를 통한 연속 패킷 접속(continuous packet connectivity; CPC)은 UE(130)가 전력 절감 목적들을 위한 불활성의 기간들 동안 자신의 수신기를 스위치 오프(DRX)할 수 있는 가능성을 도입한다. 한가지 스펙(specification)은 Tidentify intra 내에 모니터링된 세트에 속하는 신규 검출가능 셀(new detectable cell)의 SFN을 식별하고 디코딩할 수 있을 것을 요한다. 예를 들어, 상태 신호, 예를 들어, DL_DRX_Active = 1이면, 이동성 및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연속 패킷 접속 파라미터화들로 인해 Tidentify intra는 극단적으로는 6초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성능 및 전력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파라미터들은 이후에 기재되는 네트워크 연구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태 DL_DRX_Active = 1일 때, UE(130)는 UE DRX 사이클 < 10 서브프레임들일 때 800 밀리초(ms)(또는 다른 시간) 그리고 UE DRX 사이클 > 10 서브프레임들일 때 1.5초(s)의 셀 식별 시간 내에 신규 검출가능 셀의 SFN을 식별 및 디코딩한다. 다른 시간 범위들이 선택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예, 낮게는 200 ms까지, 높게는 4초까지). 대안으로, 디코딩 시간은 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여기서 UE는 현재 검출된 조건들 또는 다른 고려사항들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들을 조정한다(예, 모바일 장치에서의 정책 세팅들은, 예를 들면, 러시 아워 동안 이러한 시간 세팅들을 이용한다). 이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채용될 수 있는 다른 파라미터화들에 관한 다양한 뉘앙스들을 기술한다.
CELL_DCH 상태 동안, UE(130)는 모니터링중인 세트에서 식별된 인트라 주파수 셀들(intra frequency cells)을 측정하고 신규한 인트라 주파수 셀들을 탐색한다. 네트워크(110)가 UE(130)에게 검출된 세트 셀들을 리포트할 것을 요청하는 경우, UE는 또한 모니터링된 활성 세트 외부의 인트라 주파수 셀들을 탐색할 수도 있다. 활성 세트뿐만 아니라 모니터링된 세트에도 포함되지 않은 셀들은 일 스펙에 따라 검출된 세트에 속하는 것으로 UE(130)에 의해 식별된다. 압축 모드 패턴 시퀀스들이 활성화되면, 인트라 주파수 측정들은 활성 세트 셀/들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에 대해 동시에 송신 갭들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DL_DRX_Active = 1이고, UE가 DRX를 수행하고 있는 경우, 수신기가 활성일 때 활성 세트 셀/들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에 대하여 인트라 주파수 측정들이 수행될 수 있다.
DL_DRX_Active = 0인 경우, UE(130)는,
Figure 112010057852877-pct00001
내의 모니터링된 세트에 속하는 신규 검출가능 셀(new detectable cell)의 SFN을 식별하고 디코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리고 청구된 내용에 따라서, DL_DRX_Active = 1이고 UE DRX 사이클 < 10 서브프레임들인 경우, UE는 Tidentify intra = 800ms(또한, 시간 A로도 지칭됨) 내의 모니터링된 세트에 속하는 신규 검출가능 셀의 SFN을 식별하고 디코딩할 수 있다. DL_DRX_Active = 1이고 UE DRX 사이클 ≥ 10 서브프레임들인 경우, UE는 Tidentify intra = 1.5s(또한, 시간 B로도 지칭됨) 내의 모니터링된 세트에 속하는 신규 검출가능 셀의 SFN을 식별하고 디코딩할 수 있다. 다른 값들이 시간 A 및/또는 시간 B에 대해 구성되거나 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음의 경우 셀은 검출가능한 것으로 간주된다:
- (DL_DRX_Active = 0인 경우) CPICH Ec/Io > -20 dB, 또는 (DL_DRX_Active = l인 경우) CPICH Ec/Io ≥> -17 dB,
- 적어도 하나의 채널 탭에 대하여, (DL_DRX_Active = 0인 경우) SCH_Ec/Io > -20 dB, 또는 (DL_DRX_Active = l인 경우) SCH Ec/Io ≥> -17 dB이고, SCH Ec/Ior이 제1 동기화 코드 및 제2 동기화 코드 사이에서 분할될 때. L3 필터링이 사용될 때, 추가적인 지연이 예상될 수 있다.
충돌하는 경우에, 압축된 갭 시퀀스가 활성화될 때, UE는 SFN 디코딩을 우선순위 정하기(prioritize) 위하여 선택할 수 있다. UE는 CPICH Ec/Io > -20 dB, SCH_Ec/Io > -17 dB, 그리고 SCH Ec/Ior이 제1 동기화 코드 및 제2 동기화 코드 사이에서 분할될 때, Tidentify detected set = 30s 내에 모니터링된 세트에 속하지 않는 신규 검출가능 셀을 식별할 수 있다. L3 필터링이 사용될 때, 추가적인 지연이 예상될 수 있다.
UE가 IPDL 측정들을 지원하고 있을 때 그리고 1 슬롯의 길이를 갖는 유휴 기간들이 스케줄링될 때, UE 물리 계층은 신규 셀을 식별할 수 있고,
Figure 112010057852877-pct00002
내에 SFN-SFN 관측된 시간 차 타입 2 측정을 리포트할 수 있으며, 여기서 TMeasurement_Period Intra = 인트라 주파수 CPICH 측정들에 대한 측정 기간이고 TIPDL은 이하의 표 1에 주어지는 것처럼 UE 포지셔닝 OTDOA 이웃 셀 정보에서 주어지는 검색 윈도우 크기(Search Window Size)에 의존한다:
TIPDL
검색 윈도우 크기 TIPDL
+/- 40 칩 이하 4개의 연속된 IPDL 갭들이 발생하는 시간
+/- 80 칩 8개의 연속된 IPDL 갭들이 발생하는 시간
CELL_DCH 상태에서, 인트라 주파수 측정들에 대한 측정 기간은 예를 들어 200ms이다. 어떠한 송신 갭 패턴 시퀀스도 활성화되지 않고 DL_DRX_Active = 0일 때, UE는 모니터링된 세트 및/또는 활성 세트의 8개의 식별된-인트라-주파수 셀들에 대한 CPICH 측정들을 수행할 수 있고, UE 물리 계층은 200ms의 측정 기간을 갖는 더 높은 계층들에 대한 측정들을 리포트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신 갭 패턴 시퀀스가 활성화되고/활성화되거나 DL_DRX_Active = 1일 때, UE는 적어도 Ymeasurement intra개의 셀들에 대한 CPICH 측정들을 수행할 수 있는데, 여기서 Ymeasurement intra는 이후의 식에서 정의된다.
UE가 Ymeasurement intra를 초과하는 셀들을 식별한 경우, UE는 식별된 셀들의 측정들을 수행할 것이지만 UE 물리 계층으로부터 더 높은 계층들로의 셀들의 CPICH 측정들의 리포트는 감소될 수 있다.
Figure 112010057852877-pct00003
여기서, Xbasic measurement FDD = 8 (셀들), TMeasurement _ Period Intra = 200 ms이다. 이는 인트라 주파수 CPICH 측정들에 대한 측정 기간이다.
TIntra: 이는 임의의 선택된 타이밍을 갖는 측정 기간 동안, 인트라 주파수 측정들에 대해 이용가능한 시간이다. DL_DRX_Active = l이고, UE가 DRX를 수행하고 있다면, 인트라 주파수 측정들은, 수신기가 활성임이 보장될 때, 그리고 활성 세트 셀/들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에 대하여 동시에, 수행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DL_DRX_Active = 0이면, Tbasic _ identify _ FDD, intra = 800 ms, 또는 DL_DRX_Active = l이면, Tbasic _ identify _ FDD, intra = 300 ms이다. 이는 인트라 주파수 식에서 사용되는 시간 기간이며, 여기서 신규 FDD를 식별하기 위해 UE에 대해 허용되는 시간이 정의된다.
UE(130)는 검출된 세트에서, 적어도 1개의 검출된 인트라-주파수 셀에 대한 CPICH 측정들을 수행할 수 있고, UE 물리 계층은 예를 들어 10s의 측정 기간을 갖는 더 높은 계층들에 대한 측정들을 리포트할 수 있다.
시스템(100)은 액세스 단말 또는 모바일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SD 카드, 네트워크 카드, 무선 네트워크 카드, 컴퓨터(랩탑들, 데스크탑들, PDA들 포함), 모바일 폰들, 스마트 폰들, 또는 네트워크를 액세스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단말일 수 있음이 인지되어야 한다. 단말은 액세스 컴포넌트(비도시)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액세스한다. 일 예에서, 단말과 액세스 컴포넌트들 사이의 접속은 본질적으로 무선일 수 있고, 여기서 액세스 컴포넌트들은 기지국일 수 있고 모바일 장치는 무선 단말이다. 예를 들어, 단말과 기지국들은 임의의 적절한 무선 프로토콜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고, 상기 프로토콜은 시분할 다중 접속(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FLASH OFDM,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프로토콜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액세스 컴포넌트들은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ㅋ와 연관된 액세스 노드일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액세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라우터, 스위치, 등일 수 있다. 액세스 컴포넌트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과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 예를 들어,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액세스 컴포넌트는 셀룰러 타입 네트워크에서의 기지국(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고, 여기서 기지국들(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은 다수의 가입자들에 대한 무선 커버리지 영역들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기지국들(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은 하나 이상의 셀룰러 폰들 및/또는 다른 무선 단말들에 커버리지의 인접한 영역들을 제공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방법이 도시된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방법들(및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방법들)은 일련의 행위들로 도시되고 기재되지만, 일부 행위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기재된 것과는 다른 행위들과 동시에 및/또는 상이한 순서들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방법은 행위들의 순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방법이 상태도와 같은 상호관련된 일련의 상태들 또는 이벤트들로서 대안적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고 인식할 것이다. 또한, 모든 도시된 행위들이 청구된 내용에 따라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은 아니다.
210으로 진행하면, DRX 상태는 무선 장치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전술한 것처럼, 이러한 상태는 다운링크 채널상에서 모니터링될 수 있고 장치의 활성 상태를 표시한다. 220에서, DRX 사이클 파라미터는 주어진 수의 프레임들(예, 10 프레임들)과 비교된다. 230에서, DRX 사이클 파라미터가 주어진 임계값보다 작다면(예, 10 프레임들 미만), 프로세스는 240으로 진행한다. 240에서, SFN은 미리 결정된 시간 A 내에서 식별되고 디코딩된다. 전술한 것처럼, 시간 A에 대한 일 예시적인 시간은 800ms이다. 230에서, DRX 사이클 파라미터가 미리 결정된 수의 서브프레임들 이상이면, 프로세스는 250으로 진행한다. 250에서, SFN은 미리 결정된 시간 B 내에 식별되고 디코딩된다. 전술한 것처럼, 시간 B에 대한 일 예시적인 시간은 1.5s이다. 이러한 임계값들은 수동으로 또는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50에서 시간 B는 3s 또는 다른 값들로 조정될 수 있다. 다수의 상이한 임계값들이 설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스(200)는 다음의 식들에 의해 안내된다.
DL_DRX_Active = l이고(210에서) 장치 DRX 사이클 < 10 서브프레임들이면(230에서), 장치는 예를 들어 Tidentify intra = 800ms 내에 모니터링된 세트에 속하는 신규 검출가능 셀의 SFN을 식별하고 디코딩해야 한다. DL_DRX_Active = l이고(210에서) 장치 DRX 사이클 ≥ 10 서브프레임들이면(230에서), 장치는 예를 들어 Tidentify intra = 1.5s 내에 모니터링된 세트에 속하는 신규 검출가능 셀의 SFN을 식별하고 디코딩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들은 다양한 수단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술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프로세싱 유닛은 하나 이상의 ASIC들(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들(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들(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들(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디자인된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의 경우, 구현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 프로시저들, 기능들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3 - 도 7은 셀 식별 파라미터 조정에 관한 다양한 환경적 고려들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들이며 여기서 집합적으로 기재된다. DRX 능력을 갖는 UE들에 대한 신규 셀 식별 시간의 선택은 이동 환경들에서의 성능과 배터리 수명 사이에 흥미로운 절충을 이룬다. 일반적으로, DRX가 활성일 때, 전력 절감을 위한 약간의 추가적인 기회들을 허용하는 상이한 Tbasic _ identify(위에서 Tidentify intra로 지칭됨)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양상은 실제 식별 시간이 실제 수신기 거동 인자, 또는 일부 시그널링된 거동 인자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추가로 스케일링되지 않는 것이다. 이는 임의의 인터 주파수 측정 갭들에 대해 스케일링되어야 한다. 수행된 분야 연구들로부터, DRX가 활성일 때 적절한 Tbasic _ identify는 약간의 전력 절감 기회를 허용하지만 합리적인 이동 성능을 여전히 제공하도록 3 초 정도일 수 있다. 향상된 UE DRX을 위한 CPC-Sintra와 같은 임계값이 부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이점들은 추가로 이해되어야 하는데, 이는 적어도 서비스하는 활성 세트 셀들의 CPICH가 이들이 열화되지 않았음을 보장하기 위해 여전히 상당히 빈번하게 측정될 필요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7에 나타낸 다음의 데이터는 도 3의 300에서 도시된 것처럼 고정 및 이동 환경의 혼합을 나타낸다. 도 3의 300에서, 신규 셀의 검출로부터 활성 세트 업데이트까지 취해진 시간의 pdf 및 cdf가 측정 데이터로부터 도시된다(이벤트 1A 또는 이벤트 1C에 기인함). 도 4는 400에서 도 3과 유사한, 그러나 상이한 도시(영국, 런던)로부터의 통계를 도시한다. cdf들은 유사한 경향을 도시한다. 그러나, 두 개의 cdf들 사이에는 중간값(6초 대 25초)들뿐만 아니라 10 백분위수(percentile) 포인트 및 그 이하에서의 차이점을 인식해야 한다. 특히 다음을 관측하자:
● 셀의 검출로부터 활성 세트 업데이트(active set update; ASU)까지의 시간이 0.5s 및 1s 사이에 있고 12.5%와 같을 확률
● 셀의 검출로부터 ASU까지의 시간이 1s 및 1.5s 사이에 있을 확률.
또한, 도 5의 다이어그램 500 및 510에서, 검출로부터 ASU까지의 시간이 각각 <3s 및 <1.5s인 동안 ASU 이전의 활성 세트 크기의 분포가 도시된다.
도 5의 510에서, HS 모드에서의 HS 또는 VoIP를 통한 CS 음성과 같은 실시간 서비스가 배치될 수 있다. 신규 셀 식별로부터 셀이 활성 세트에 부가되는 시간 까지, 시간의 상당한 퍼센트(14%), 활성 세트 크기는 1과 같다. 이제 HS-모드에서, 일반적으로 DL 상에서의 어떠한 소프트 핸드오프도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활성 세트 크기가 1과 같을 때, 신규 셀이 시간 내에 검출되지 않는다면, 서비스 셀이 약해지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서비스 셀 변화에 대한 어떠한 범위도 존재하지 않는다.
도 6의 600 및 도 7의 710에서, 다음의 항목들이 도시된다:
● 검출로부터 활성 세트 업데이트까지의 시간 < 1.5초이고 및 활성 세트 크기 = 1인 동안 활성 세트 업데이트(ASU) 이전의 서비스 셀 Ec/No의 pdf/cdf.
● 검출로부터 활성 세트 업데이트까지의 시간 < 1.5초이고 및 활성 세트 크기 = 1인 동안 신규 셀이 활성 세트에 부가되기 이전의 신규 셀의 Ec/No의 pdf/cdf.
● 검출로부터 활성 세트 업데이트까지의 시간 < 1.5초이고 및 활성 세트 크기 = 1인 동안 활성 세트 업데이트(ASU) 이전의 서비스 셀 및 신규 셀(서비스/신규) 사이의 Ec/No에서의 차이의 pdf/cdf. ASET는 활성 세트 크기에 대한 두문자이다.
도 6 및 도 7로부터, 검출로부터 ASU까지의 시간 < 1.5s인 동안 활성 세트 업데이트의 시간에서 활성 세트 크기 = 1인 경우에 대하여 다음을 관측하자:
● 이웃 셀이 서비스 셀(0dB)과 필적할 10% 확률이 존재하고 이웃 셀이 서비스 셀의 3dB 이내에 존재할 20% 확률이 존재한다.
● ASU의 시간에서 신규 셀의 Ec/No > -15dB일 확률 = ~65%
이는 활성 세트 크기 = 1인 경우들에서, 추가적인 지연이 신규 셀 식별에서 허용되었다면, 링크는 신규 셀에 의해 유발되는 간섭을 받기 쉬울 수 있고, 이는 다시 HS 및 VoIP를 통한 CS와 같은 서비스들에서 높은 통화중 단절율(call drop rate)들에 이를 수 있음을 암시한다.
도 8은 예를 들어 무선 단말과 같은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는 통신 장치(800)를 도시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통신 장치(800)는 유선 네트워크 내에 존재할 수 있다. 통신 장치(800)는 무선 통신 단말 내에서 신호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할 수 있는 메모리(802)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통신 장치(800)는 메모리(802) 내의 명령들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된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804)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명령들은 통신 장치(800) 또는 관련된 통신 장치를 구성하는 것 또는 동작시키는 것에 관련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900)이 도시된다.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900)은 셀들(902, 904, 906)을 포함하는 다수의 셀들을 포함한다. 상기 양상에서, 시스템(900), 셀들(902, 904, 906)은 다중 섹터들을 포함하는 노드 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섹터들은, 각각의 안테나가 셀의 일부에 있는 UE들과의 통신을 담당하는 안테나들의 그룹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902)에서, 안테나 그룹들(912, 914, 및 916)은 각각 상이한 섹터에 대응할 수 있다. 셀(904)에서, 안테나 그룹들(918, 920, 및 922) 각각은 상이한 섹터에 대응한다. 셀(906)에서, 안테나 그룹들(924, 926, 및 928) 각각은 상이한 섹터에 대응한다. 셀들(902, 904, 및 906)은 각각의 셀들(902, 904, 또는 906)의 하나 이상의 섹터들과 통신할 수 있는 여러 무선 통신 장치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 또는 UE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들(930 및 932)은 노드 B(942)와 통신할 수 있고, UE들(934 및 936)은 노드 B(944)와 통신할 수 있고, UE들(938 및 940)은 노드 B(946)와 통신할 수 있다.
이제 도 10 을 참조하면, 일 양상에 따른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이 도시된다. 액세스 포인트(1000)(AP)는 다수의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하며, 하나의 그룹은 1004 및 1006을 포함하고, 다른 그룹은 1008 및 1100을 포함하고, 추가적인 그룹은 1012 및 1014를 포함한다. 도 10에는, 두 개의 안테나들만이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해 도시되어 있으나, 더 많거나 적은 안테나들이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해 이용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016)(AT)은 안테나들(1012 및 1014)과 통신하며, 안테나들(1012 및 1014)은 순방향 링크(1020)를 통해 정보를 액세스 단말(1016)로 송신하고 역방향 링크(1018)를 통해 정보를 액세스 단말(1016)로부터 수신한다. 액세스 단말(1022)은 안테나들(1006 및 1008)과 통신하며, 안테나들(1006 및 1008)은 순방향 링크(1026)를 통해 정보를 액세스 단말(1022)로 송신하고 역방향 링크(1024)를 통해 정보를 액세스 단말(1022)로부터 수신한다. FDD 시스템에서, 통신 링크들(1018, 1020, 1024 및 1026)은 통신을 위한 상이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1020)는 역방향 링크(1018)에 의해 사용되는 것과 상이한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다.
안테나들의 각각의 그룹 및/또는 이들이 통신하도록 지정되는 영역은 액세스 포인트의 섹터로 지칭된다. 안테나 그룹들은 액세스 포인트(1000)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들의 섹터에서 액세스 단말들과 통신하도록 지정된다. 순방향 링크들(1020 및 1026)을 통한 통신에서, 액세스 포인트(1000)의 송신 안테나들은 상이한 액세스 단말들(1016 및 1022)에 대한 순방향 링크들의 신호-대-잡음비를 개선하기 위하여 빔-형성(beam-forming)을 이용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의 커버리지를 통해 무작위로 분산된 액세스 단말들로 송신하기 위해 빔-형성을 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는, 모든 액세스 단말들로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액세스 포인트보다 이웃하는 셀들에 있는 액세스 단말들로 더 적은 간섭을 일으킨다. 액세스 포인트는 단말들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국일 수 있고 또한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또는 일부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은 또한 액세스 단말, 사용자 장비(UE), 무선 통신 장치, 단말, 액세스 단말, 또는 일부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MIMO 시스템(1100) 내의 송신기 시스템(1110)(액세스 포인트라고도 알려져 있음) 및 수신기 시스템(1150)(액세스 단말이라고도 알려져 있음)을 도시한다. 송신기 시스템(11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가 데이터 소스(1112)로부터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1114)로 제공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은 각각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TX 데이터 프로세서(1114)는 코드화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선택된 특정 코딩 방식에 기초하여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 코딩, 및 인터리빙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코드화된 데이터는 OFDM 기술들을 이용하여 파일럿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파일럿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처리되는 공지된 데이터 패턴이며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하여 수신기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드화된 데이터 및 멀티플렉싱된 파일럿은 그 후 변조 심볼들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변조 방식(예, BPSK, QPSK, M-PSK, 또는 M-QAM)에 기초하여 변조(즉, 심볼 맵핑)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1130)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모든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볼들은 그 후 TX MIMO 프로세서(1120)에 제공되고, 이는 (예, OFDM를 위해) 변조 심볼들을 추가로 처리할 수 있다. TX MIMO 프로세서(1120)는 그 후 N T 개의 변조 심볼 스트림을 N T 개의 송신기들(TMTR, 1122a 내지 1122t)로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TX MIMO 프로세서(1120)는 빔-형성 웨이트들을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볼들에 그리고 심볼을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로 적용한다.
각각의 송신기(1122)는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각의 심볼 스트림을 수신 및 처리하고, MIMO 채널을 통해 송신에 적합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추가로 컨디셔닝(가령, 증폭, 필터링 및 업컨버팅)한다. 송신기들(1122a 내지 1122t)로부터의 N T 개의 변조된 신호들은 그 후 각각 N T 개의 안테나들(1124a 내지 1124t)로부터 송신된다.
수신기 시스템(1150)에서, 송신되고 변조된 신호들이 NR 개의 안테나들(1152a 내지 1152r)에 의해 수신되고 각각의 안테나(1152)로부터의 수신된 신호는 각각의 수신기(RCVR)(1154a 내지 1154r)에 제공된다. 각각의 수신기(1154)는 각각의 수신된 신호를 컨디셔닝(가령, 필터링, 증폭 및 다운컨버팅)하고, 샘플들을 제공하기 위해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고, 대응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하여 샘플들을 더 처리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160)는 그 후 N T 개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특정 수신기 처리 기술에 기초하여 N R 개의 수신기들(1154)로부터의 N R 개의 수신된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하고 처리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160)는 그 후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회복하기 위하여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de-interleave), 및 디코딩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160)에 의한 프로세싱은 송신기 시스템(1110)에 있는 TX MIMO 프로세서(11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1114)에 의해 수행되는 것에 상보적이다.
프로세서(1170)는 어떤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후술할 것처럼) 이용할 것인지를 주기적으로 결정한다. 프로세서(1170)는 매트릭스 인덱스 부분과 랭크 값 부분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형성한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다양한 유형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그 후 TX 데이터 프로세서(1138)에 의해 처리되고, 상기 TX 데이터 프로세서(1138)는 또한 변조기(1180)에 의해 변조되고, 송신기(1154a 내지 1154r)에 의해 컨디셔닝되어, 송신기 시스템(1110)으로 다시 송신되는, 데이터 소스(1136)로부터의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도 수신한다.
송신기 시스템(1110)에서, 수신기 시스템(1150)으로부터의 변조된 신호들이 안테나들(1124)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들(1122)에 의해 컨디셔닝되고, 복조기(1140)에 의해 복조되고, RX 데이터 프로세서(1142)에 의해 처리되어 수신기 시스템(1150)에 의해 송신된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추출한다. 프로세서(1130)는 그 후 상기 추출된 메시지를 처리하여 어느 프리-코딩 매트릭스가 빔-형성 웨이트들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지를 결정한다.
이제 도 12를 참조하면, 무선 신호 처리에 관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시스템은 일련의 상호관련된 기능 블록들로서 표현되며, 상기 기능 블록들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표현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200)이 제공된다. 시스템(1200)은 DRX 제어로부터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논리 모듈(1202) 및 DRX 제어로부터의 DRX 사이클 파라미터를 다수의 서브프레임들과 비교하기 위한 논리 모듈(1204)을 포함한다. 시스템(1200)은 또한 DRX 제어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시스템 프레임 수를 디코딩하기 위한 논리 모듈(1206)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논리채널들은 제어 채널들 및 트래픽 채널들로 분류된다. 논리 제어 채널들은 방송 시스템 제어 정보를 위한 DL 채널인 방송 제어 채널(BCCH)을 포함한다. 페이징 제어 채널(PCCH)은 페이징 정보를 전송하는 DL 채널이다.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MCCH)은 멀티미디어 방송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스케줄링 및 하나 또는 다수의 MTCH들을 위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포인트-대-다중포인트 DL 채널이다. 일반적으로, RRC 접속을 설정한 후, 이 채널은 MBMS (주: 옛 MCCH + MSCH)를 수신하는 UE들에 의해서만 사용된다. 전용 제어 채널(DCCH)은 전용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RRC 접속을 갖는 UE들에 의해 이용되는 포인트-대-포인트 양방향 채널이다. 논리 트래픽 채널들은 사용자 정보의 전송을 위해 하나의 UE에 전용되는, 포인트-대-포인트 양방향 채널인 전용 트래픽 채널(DTCH)을 포함한다. 또한, 멀티캐스트 트래픽 채널(MTCH)은 트래픽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포인트-대-다중포인트 DL 채널이다.
트랜스포트 채널들(Transport Channels)은 DL 및 UL로 분류된다. DL 트랜스포트 채널들은 방송 채널(BCH), 다운링크 공유된 데이터 채널(DL-SDCH) 및 페이징 채널(PCH)을 포함하고, 상기 PCH 채널은 다른 제어/트래픽 채널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PHY 리소스들에 맵핑되고 전체 셀을 통해 방송되며, UE 전력 절약(DRX 사이클이 UE에 대한 네트워크에 의해 표시된다)의 지원을 위한 것이다. UL 트랜스포트 채널들은 랜덤 액세스 채널(RACH), 요청 채널(REQCH), 업링크 공유된 데이터 채널 (UL-SDCH) 및 다수의 PHY 채널들을 포함한다. PHY 채널들은 DL 채널들 및 UL 채널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DL PHY 채널들은 예를 들어 다음을 포함한다: 공통 파일럿 채널(Common Pilot Channel, CPICH), 동기화 채널(Synchronization Channel, SCH), 공통 제어 채널(Common Control Channel, CCCH), 공유된 DL 제어 채널(Shared DL Control Channel, SDCCH),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Multicast Control Channel, MCCH), 공유된 UL 할당 채널(Shared UL Assignment Channel, SUACH), 긍정확인응답 채널(Acknowledgement Channel, ACKCH), DL 물리 공유된 데이터 채널(DL Physical Shared Data Channel, DL-PSDCH), UL 전력 제어 채널(UL Power Control Channel, UPCCH), 페이징 표시자 채널(Paging Indicator Channel, PICH), 부하 표시자 채널(Load Indicator Channel, LICH).
UL PHY 채널들은 예를 들어 다음을 포함한다: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채널 품질 표시자 채널(Channel Quality Indicator Channel, CQICH), 확인 채널(Acknowledgement Channel, ACKCH), 안테나 서브셋 표시자 채널(Antenna Subset Indicator Channel, ASICH), 공유된 요청 채널(Shared Request Channel, SREQCH), UL 물리 공유된 데이터 채널(UL Physical Shared Data Channel, UL-PSDCH), 광대역 파일럿 채널(Broadband Pilot Channel, BPICH).
다른 용어들/컴포넌트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3G(3rd Generation), 3GG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ACLR(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ACPR(Adjacent channel power ratio), ACS(Adjacent channel selectivity), ADS(Advanced Design System),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A-MPR(Additional maximum power reduction), ARQ(Automatic repeat request),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BTS(Base transceiver station), CDD(Cyclic delay diversity), CCDF(Complementary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FI(Control format indicator), Co-MIMO(Cooperative MIMO), CP(Cyclic prefix), CPICH(Common pilot channel), CPRI (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CRC(Cyclic redundancy check), DCI(Downlink control indicator),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 spread OFDM), DL(Downlink; base station to subscriber transmission), DL-SCH(Downlink shared channel), D-PHY(500 Mbps physical layer),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DT (Development toolset), DVSA(Digital vector signal analysis), EDA(Electronic design automation), E-DCH(Enhanced dedicated channel), E-UTRAN(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MBMS(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eNB(Evolved Node B), EPC(Evolved packet core), EPRE(Energy per resource element),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E-UTRA(Evolved UTRA), E-UTRAN(Evolved UTRAN), EVM(Error vector magnitude), 및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또 다른 용어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FFT(Fast Fourier transform), FRC( Fixed reference channel), FSl(Frame structure type 1), FS2(Frame structure type 2),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DL(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HI(HARQ indicator),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FFT(Inverse FFT), IOT (Interoperability test), IP(Internet protocol), LO(Local oscillator), LTE (Long term evolution), MAC(Medium access control),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SFN(Multicast/broadcast over single-frequency network), MCH(Multicast channel),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SO(Multiple input single output),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MOP(Maximum output power), MPR(Maximum power reduction), MU-MIMO(Multiple user MIMO), NAS(Non-access stratum), OBSAI(Open base station architecture interface),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 PAR(Peak-to-average ratio),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P-CCPCH(Prim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H(Paging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HY (Physical layer),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MCH(Physical multicast channel),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P-SCH(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및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다른 용어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RACH(Random access channel), RAT(Radio access technology), RB(Resource block), RF(Radio frequency), RFDE(RF design environment), RLC(Radio link control), RMC(Reference measurement channel), RNC(Radio network controller), RRC(Radio resource control),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RS(Reference signal), RSCP(Received signal code power),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SAP(Service access point),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FBC(Space-frequency block coding), S-GW(Serving gateway), SIMO(Single input multiple output), SISO(Single input single output), SNR(Signal-to-noise ratio),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S-SCH(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U-MIMO(Single user MIMO), TDD(Time division duplex),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R(Technical report), TrCH(Transport channel), TS(Technical specification), TTA(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UCI(Uplink control indicator), UE(User equipment), UL(Uplink)(가입자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송신), UL-SCH(Uplink shared channel), UMB(Ultra-mobile broadband),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VSA(Vector signal analyzer),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한, 다양한 양상들이 단말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단말은 시스템,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장치, 원격국,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비로 지칭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PDA, 무선 연결 능력을 구비한 휴대용 장치, 단말 내부의 모듈, 호스트 장치 내부에 일체화되거나 이에 부착될 수 있는카드(예, PCMCIA 카드)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다른 처리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청구된 내용의 양상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들을 사용한 제조 물품으로 구현되어, 청구된 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을 구현하도록 컴퓨터 또는 컴퓨팅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도록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생산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제조 물품(article of manufacture)"은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장치,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괄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들(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 광학 디스크들(예를 들면, CD, DVD, …), 스마트 카드들, 및 플래시 메모리 장치들(예를 들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캐리어 파(carrier wave)는 음성 메일을 송신 및 수신하거나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데 사용되는 것과 같은 컴퓨터-판독가능 전자 데이터를 반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범위 또는 사상을 일탈하지 않고 이러한 구조에 많은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위에서 기재된 것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물론, 전술한 실시예들을 기재하는 목적을 위한 컴포넌트들 또는 방법들의 모든 도출가능한 조합을 기재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지만, 당업자라면 다양한 실시예들의 많은 추가적인 조합들 및 순열들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기재된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과 범위내에 드는 모든 이러한 변경(alteration)들, 수정(modification)들, 및 변화(variation)들을 포함하기 위한 의도이다. 또한, 용어 "포함한다(include)"가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한도에서, 이러한 용어는 "포함한다(comprising)"가 청구항에서 전이구로서 사용될 때 해석되는 것처럼 용어 "포함한다(comprising)"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일 것을 의도한다.

Claims (34)

  1. 셀 식별 방법으로서,
    무선 장치에서의 DRX (discontinuous reception; 불연속 수신) 상태가 활성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DRX 상태가 활성이면 DRX 사이클을 상기 무선 장치 내의 서브프레임 파라미터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결정된 시간 내에 후속의 무선 셀을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셀 식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은 상기 무선 장치의 이동 속도(mobility speed)들 또는 환경 고려사항들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조정되는,
    셀 식별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시스템 프레임 번호(system frame number; SFN) 파라미터의 검출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후속의 무선 셀을 식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셀 식별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RX는 다운링크(downlink; DL) 활성 상태와 연관되는,
    셀 식별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은 800 밀리초 내지 3초의 범위를 가지는 Tidentify intra 파라미터와 연관되는,
    셀 식별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DL_DRX_Active = 1이고 장치 DRX 사이클 < X 서브프레임들이면, 상기 장치가 Tidentify intra = 시간 A 임계값 내에 모니터링된 세트에 속하는 신규 검출가능 셀(new detectable cell)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SFN) 파라미터를 식별하고 디코딩하는 프로세스 ― 여기서, A 및 X는 양의 정수들임 ―
    를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셀 식별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DL_DRX_Active = 1이고 장치 DRX 사이클 ≥ X 서브프레임들이면, 상기 장치가 Tidentify intra = 시간 B 값 내에 모니터링된 세트에 속하는 신규 검출가능 셀(new detectable cell)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SFN) 파라미터를 식별하고 디코딩하는 프로세스 ― 여기서, B 및 X는 양의 정수들임 ―
    를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셀 식별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속도 파라미터, 검출로부터의 시간 파라미터, 업데이트 파라미터, 또는 노이즈 파라미터를 분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셀 식별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활성 세트 파라미터를 분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셀 식별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공통 파일럿 채널(Common pilot channel; CPICH) 파라미터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셀을 검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셀 식별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을 결정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코드를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셀 식별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는 DRX 사이클을 미리 결정된 수의 서브프레임들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 식별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DRX 상태가 활성이면 DRX 사이클 검사를 시작하기 위한 코드;
    DRX 사이클 파라미터가 임계값 미만이면 시간 값을 시간 A 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코드;
    DRX 사이클 파라미터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시간 값을 시간 B 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코드; 및
    신규 셀 검출 시퀀스를 안내(guide)하기 위하여 상기 시간 값을 사용하기 위한 코드
    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시간 A 값 및 상기 시간 B 값은 서로 다른 값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시퀀스는 시스템 프레임 번호 파라미터에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값은 사용자에 의해 동적으로 조정 또는 구성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4. 프로세서로서,
    DRX 사이클 파라미터를 처리하는 명령;
    상기 DRX 사이클 파라미터가 임계값 미만이면 시간 값을 시간 A 값으로 설정하는 명령;
    상기 DRX 사이클 파라미터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시간 값을 시간 B 값으로 설정하는 명령; 및
    시스템 프레임 번호 파라미터(SFN)로부터 트리거되는 신규 셀 검출 프로세스를 시작하기 위하여 상기 시간 값을 사용하는 명령
    을 실행하고, 여기서 상기 시간 A 값 및 상기 시간 B 값은 서로 다른 값인,
    프로세서.

KR1020107019891A 2008-02-04 2009-02-04 Drx 모드에 있을 때 ue에서의 신규 셀 식별을 제어하는 적절한 트리거 메커니즘 KR1011556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612508P 2008-02-04 2008-02-04
US61/026,125 2008-02-04
US12/364,880 2009-02-03
US12/364,880 US8121632B2 (en) 2008-02-04 2009-02-03 Suitable trigger mechanism to control new cell identification in UE when in DRX mode
PCT/US2009/033085 WO2009100136A2 (en) 2008-02-04 2009-02-04 Suitable trigger mechanism to control new cell identification in ue when in drx mod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995A Division KR101227467B1 (ko) 2008-02-04 2009-02-04 Drx 모드에 있을 때 ue에서의 신규 셀 식별을 제어하는 적절한 트리거 메커니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201A KR20100120201A (ko) 2010-11-12
KR101155676B1 true KR101155676B1 (ko) 2012-06-14

Family

ID=409393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995A KR101227467B1 (ko) 2008-02-04 2009-02-04 Drx 모드에 있을 때 ue에서의 신규 셀 식별을 제어하는 적절한 트리거 메커니즘
KR1020107019891A KR101155676B1 (ko) 2008-02-04 2009-02-04 Drx 모드에 있을 때 ue에서의 신규 셀 식별을 제어하는 적절한 트리거 메커니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995A KR101227467B1 (ko) 2008-02-04 2009-02-04 Drx 모드에 있을 때 ue에서의 신규 셀 식별을 제어하는 적절한 트리거 메커니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8121632B2 (ko)
EP (1) EP2250836B1 (ko)
JP (1) JP5048848B2 (ko)
KR (2) KR101227467B1 (ko)
CN (1) CN101940035B (ko)
AU (1) AU2009212468B2 (ko)
BR (1) BRPI0907769B1 (ko)
CA (1) CA2711797C (ko)
IL (1) IL206863A0 (ko)
MX (1) MX2010008160A (ko)
RU (1) RU2461993C2 (ko)
SG (1) SG188084A1 (ko)
TW (1) TWI376971B (ko)
UA (1) UA98997C2 (ko)
WO (1) WO200910013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072B1 (ko) * 2006-01-03 2012-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인터-프리퀀시 측정 지원 방법
EP2286616A2 (en) * 2008-04-25 2011-02-2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resele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US20090275368A1 (en) * 2008-05-01 2009-11-0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paging load in long term evolution
WO2010033857A1 (en) * 2008-09-19 2010-03-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tection time of semi-persistent scheduling activation/reconfiguration signaling
US8385241B2 (en) 2008-12-15 2013-02-26 Research In Motion Limited Semi-persistent scheduling and discontinuous reception alignment
KR20100083271A (ko) * 2009-01-13 2010-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방송 서비스 공유 방법 및 장치
US8295240B2 (en) * 2009-02-02 2012-10-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Discontinuous reception start offset coordinated with semi-persistent scheduling system and method
US9647810B2 (en) 2009-03-17 2017-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pping pilot signals in multi-stream transmissions
SG176816A1 (en) * 2009-06-22 2012-01-30 Panasonic Corp Communication terminal
EP2522192B1 (en) * 2010-01-08 2018-07-0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iscontinuous reception and/or discontinuous transmission for a multi-carrier/multi-cell operation
USRE49879E1 (en) * 2010-01-12 2024-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720334B1 (ko) * 2010-01-12 2017-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10199908A1 (en) * 2010-02-15 2011-08-18 Noki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easurement Gap Pattern for Carrier Aggregation
US9444577B1 (en) * 2010-04-05 2016-09-13 Marvell International Ltd. Calibration correction for implicit beamformer using an explicit beamforming technique in a wireless MIMO communication system
US9369962B2 (en) * 2010-05-17 2016-06-14 Qualcomm Incorporated Reducing idle mode power consumption for monitoring neighboring base stations
GB2484117A (en) * 2010-09-30 2012-04-04 Fujitsu Ltd Automated network coverage hole detection by systematically modifying a connection reestablishment timer (T311) in a number of UEs
US8675554B2 (en) 2010-11-08 2014-03-18 Intel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neighbor cell analysis during continuous packet connectivity mode
US8611240B2 (en) 2010-11-15 2013-12-17 Blackberry Limited Managing wireless communications
US8654691B2 (en) 2010-11-15 2014-02-18 Blackberry Limited Managing wireless communications
KR101496793B1 (ko) * 2010-11-15 2015-03-02 블랙베리 리미티드 무선 네트워크 전반에 걸친 통신 관리
TWI533629B (zh) * 2010-12-28 2016-05-1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非附於無線網路之觸發裝置
US9294994B2 (en) * 2011-02-11 2016-03-22 Blackberry Limited User equipment battery saving in a HETNET deployment with eICIC
TW201731266A (zh) 2011-05-10 2017-09-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獲德次胞元上鏈定時校準方法及裝置
WO2013062388A2 (ko) * 2011-10-27 2013-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CN104041142B (zh) 2012-01-13 2018-12-21 富士通株式会社 无线终端、无线通信系统、基站以及无线通信方法
US8989042B2 (en) * 2012-02-03 2015-03-24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and reporting diverse traffic information in cellular networks
JP5524291B2 (ja) * 2012-07-20 2014-06-18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局
US20140036794A1 (en) * 2012-08-03 2014-02-06 Ali T. Koc User equipment assistance information signaling in a wireless network
CN104105111B (zh) 2013-04-02 2017-11-2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激活时刻的计算方法及装置
US9986473B2 (en) * 2013-05-07 2018-05-29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panic state(s) under 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state in long term evolution
CN104348566B (zh) * 2013-07-25 2017-12-05 上海数字电视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分层单频网网络及其组网方法
KR102071372B1 (ko) * 2013-09-16 2020-0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포밍을 고려한 drx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4602344B (zh) 2013-10-30 2019-02-1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组通信信息通知方法及设备
US20150327322A1 (en) * 2014-05-08 2015-11-12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lignment procedures in dual-connectivity networks
WO2016045017A1 (zh) * 2014-09-24 2016-03-31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设备和非连续传输的方法
US11025446B2 (en) 2015-06-15 2021-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p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706629B1 (ko) * 2016-01-25 2017-02-16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Mimo-ofdm 송신기에 대한 파워 캘리브레이션 방법
CN105743591B (zh) * 2016-03-26 2019-05-14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rssi检测的控制方法,接入设备及终端设备
EP3565359A1 (en) * 2016-09-24 2019-11-06 Ofinno, LLC Power headroom reporting with two-stage uplink dci grants
CN110022577B (zh) * 2018-01-08 2022-09-13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蜂窝iot下行业务发送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197338B2 (en) * 2018-11-02 2021-12-07 Mediatek Inc. Power saving 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measurements in a wireless networ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1333A1 (de) * 1983-07-06 1985-01-16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Hochdruckentladungslampe mit einem senkrecht angeordneten Entladungsgefäs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241316C2 (ru) * 1998-10-15 2004-11-27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Режим переменного неактивного состояния для мобильных станций в сети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DE60208316T2 (de) 2001-10-10 2006-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won Zellsuchverfahren im diskontinuierlichen Empfangsbetrieb in einem mobilen Kommunikationssystem
US7133702B2 (en) * 2002-08-27 2006-11-07 Qualcomm Incorporated Idle mode cell reacquisition and reselection
US8094595B2 (en) 2005-08-26 2012-01-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 communications in wireless systems
KR100705040B1 (ko) * 2005-11-28 2007-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데이터 전송방법 및 그에 따른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0648067B1 (ko) 2005-12-10 2006-1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동기식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 방식에서 단말기의전력 절감 성능 개선을 위한 확장된 호출 지시자 기반의적응적 불연속 수신 방법
US8649365B2 (en) 2006-01-06 2014-02-11 Nokia Corporation Dedicated synchronization signal for OFDMA system
WO2007082934A1 (en) 2006-01-20 2007-07-26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Method for dynamically adapting the drx cycle length in a radio communications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1333A1 (de) * 1983-07-06 1985-01-16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Hochdruckentladungslampe mit einem senkrecht angeordneten Entladungsgefä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0136926A (ru) 2012-03-20
EP2250836A2 (en) 2010-11-17
JP5048848B2 (ja) 2012-10-17
AU2009212468A1 (en) 2009-08-13
UA98997C2 (ru) 2012-07-10
US8121632B2 (en) 2012-02-21
JP2011511586A (ja) 2011-04-07
TW200950554A (en) 2009-12-01
CA2711797A1 (en) 2009-08-13
TWI376971B (en) 2012-11-11
KR101227467B1 (ko) 2013-01-29
WO2009100136A2 (en) 2009-08-13
BRPI0907769B1 (pt) 2021-03-09
MX2010008160A (es) 2010-08-31
AU2009212468B2 (en) 2013-05-02
CN101940035A (zh) 2011-01-05
CN101940035B (zh) 2014-08-13
SG188084A1 (en) 2013-03-28
IL206863A0 (en) 2010-12-30
BRPI0907769A2 (pt) 2020-08-18
EP2250836B1 (en) 2018-03-21
US20090203376A1 (en) 2009-08-13
WO2009100136A3 (en) 2009-12-30
RU2461993C2 (ru) 2012-09-20
KR20110126756A (ko) 2011-11-23
CA2711797C (en) 2015-11-17
KR20100120201A (ko) 201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676B1 (ko) Drx 모드에 있을 때 ue에서의 신규 셀 식별을 제어하는 적절한 트리거 메커니즘
US85592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handover optimization
US8780790B2 (en) TD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1241281B1 (ko)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2409545B1 (en) Mobility in multi-carrier high speed packet access
US9113429B2 (en) Method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handover message being received by receiver
US86875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rambling for discrimination of semi persistent scheduling gr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