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429B1 - 강도와 항균성이 향상된 책꽂이 - Google Patents

강도와 항균성이 향상된 책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429B1
KR101155429B1 KR1020110109143A KR20110109143A KR101155429B1 KR 101155429 B1 KR101155429 B1 KR 101155429B1 KR 1020110109143 A KR1020110109143 A KR 1020110109143A KR 20110109143 A KR20110109143 A KR 20110109143A KR 101155429 B1 KR101155429 B1 KR 101155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ntimicrobial
powder
prepared
tal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진영
Original Assignee
(주)나라엔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라엔퍼스 filed Critical (주)나라엔퍼스
Priority to KR1020110109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4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wood or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47B96/206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with laminates comprising planar, continuous or separate layers

Landscapes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책을 수납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항균성 판재가 조립되어 형성되는 강도와 항균성이 향상된 책꽂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항균성 판재는 건조된 목분 60 ~ 70중량%, 열가소성 수지 20 ~ 30중량%, 탄소섬유 1 ~ 5중량%, 카올린 분말 2 ~ 3중량%, 첨가제 3 ~ 5중량%를 80 ~ 300℃에서 혼합하여 수득된 반죽을 준비하고, 준비된 상기 반죽을 압출시켜 제조되되, 상기 탄소섬유는 항균제, 토르말린, 활석, 나노 미립자 티타니아 광촉매의 분말을 혼합한 혼합물 0.01 ~ 15중량% 및 열경화성수지 분말 85 ~ 99.99중량%를 혼합하여 준비된 원료혼합물을 섬유상으로 제조하고, 제조된 상기 원료혼합물을 열경화시킨 후 비활성 분위기에서 탄화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비해 항균성이 우수하면서도 높은 강도를 갖는 책꽂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강도와 항균성이 향상된 책꽂이{book shelf having antibacterial function}
본 발명은 강도와 항균성이 향상된 책꽂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책꽂이를 구성하는 판재에 탄소섬유이 포함된 항균코팅물질을 첨가하거나 코팅함으로써, 강도가 우수하고, 항균성이 우수하면서도 장기간 항균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꽂이는 탁자 또는 책상면 상에 마련되어 다수의 도서나 잡지 등이 가지런히 배열되어 진열되도록 하고, 필요시에는 쉽게 꺼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책꽂이는 도서나 잡지 등의 서적들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간격을 두고서 마련되는 다수의 칸막이를 가지며, 칸막이가 수직되게 마련됨으로써 칸막이와 칸막이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서적을 꽂으면, 서적은 칸막이의 배열방향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면서 진열된다.
도 1에는 이러한 책꽂이의 일반적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책꽂이(100)는 바닥판(110)의 측부에 마련되는 측판(120)과, 바닥판(110)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직립설치되어 상면에 도서나 잡지 등이 장착되는 공간을 다수로 구획하는 칸막이(160) 및 측판(120)과 칸막이(160)들을 연결하여 이들이 안정적으로 직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판(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판(110)에는 책상이나 탁자 등의 설치면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상면에 도서나 잡지 등이 측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전후로 형성되는 가이드부(111)가 좌우로 간격을 두고서 배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 외, 측판(120)의 외측에는 장식판(130)이 별도로 부착되는 경우도 있다.
그 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형 책꽂이(책장)도 널리 사용되며, 이 외에 책을 수평방향에서 수납하는 형태의 책꽂이 등 다양한 형태의 책꽂이가 사용된다.
이러한, 책꽂이는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거나 사용자의 손이 많이 접촉되는 책이나 잡지 등이 놓여지는 것이므로 보건?위생상의 문제가 발생될 여지가 있다.
특히, 공공장소에 비치되는 책꽂이의 경우 익명성을 가진 많은 사람들에 의해 공용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보건 위생상의 문제는 일개인의 주의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니만큼, 그 보건?위생상의 안전성을 담보해 줄 수 있는 조치가 사회적인 측면에서 요망된다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책꽂이이라는 물품이 갖는 고유의 특성과,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라 공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의 증가 때문에, 좀 더 위생적이고 쾌적한 사용감을 줄 수 있는 책꽂이의 개발이 더욱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책꽂이를 구성하는 판재에 탄소섬유이 포함된 항균코팅물질을 첨가하거나 코팅함으로써, 강도가 우수하고, 항균성이 우수하면서도 장기간 항균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책을 수납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항균성 판재가 조립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항균성 판재는 건조된 목분 60 ~ 70중량%, 열가소성 수지 20 ~ 30중량%, 탄소섬유 1 ~ 5중량%, 카올린 분말 2 ~ 3중량%, 첨가제 3 ~ 5중량%를 80 ~ 300℃에서 혼합하여 수득된 반죽을 준비하고, 준비된 상기 반죽을 압출시켜 제조되되, 상기 탄소섬유는 항균제, 토르말린, 활석, 나노 미립자 티타니아 광촉매의 분말을 혼합한 혼합물 0.01 ~ 15중량% 및 열경화성수지 분말 85 ~ 99.99중량%를 혼합하여 준비된 원료혼합물을 섬유상으로 제조하고, 제조된 상기 원료혼합물을 열경화시킨 후 비활성 분위기에서 탄화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와 항균성이 향상된 책꽂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항균제와, 토르말린, 활석 및 나노 미립자 티타니아 광촉매는 중량비 1 : 0.1 ~ 1 : 0.1 ~ 1 : 0.1 ~ 1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나노 미립자 티타니아 광촉매는 10 ~ 1000nm의 평균입경을 갖는 다공성이고, 상기 활석은 5 ~ 100㎛의 평균입경을 갖는 다공성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책꽂이의 지속적인 항균성이 유지됨과 아울러 강도 향상에 의해 장기간 손상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책상용 책꽂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선반형 책꽂이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책꽂이의 제조방법은 항균제, 토르말린, 활석 및 나노 미립자 티타니아 광촉매의 분말을 혼합하되, 항균제 : 나노 미립자 티타니아 광촉매 : 토르말린 : 활석이 중량비로 1 : 0.1 ~ 1 : 0.1 ~ 1 : 0.1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한 혼합물 0.01 ~ 15중량% 및 열경화성수지 분말 85 ~ 99.99중량%를 혼합하여 원료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원료 혼합물을 섬유상으로 제조하고, 열경화시킨 후 비활성 분위기에서 탄화시켜 탄소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건조된 목분 60 ~ 70중량%, 열가소성 수지 20 ~ 30중량%, 탄소섬유 1 ~ 5중량%, 카올린 분말 2 ~ 3중량%, 첨가제 3 ~ 5중량%를 80 ~ 300℃에서 혼합하여 수득된 반죽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반죽을 압출시켜 프레임 부재를 성형하는 단계 및 프레임부재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항균제는 편백, 나한백, 유칼리 나무 껍질 분말이 주로 사용되고, 그 외에 은, 구리, 아연과 같은 항균활성을 갖는 금속 이온을 담지 시킨 무기금속항균제인 Aluminosilicate(Zeolite), CalciumPhosphate, ZirconiumPhosphate, SolubleGlas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나노 미립자 티타니아 광촉매는 10 ~ 1000nm의 평균입경을 갖는 다공성으로서 아나타제형(Anatase)의 결정상을 가지며, 약 3.9의 비중과,약 2.53의 굴절율, 약 5.7의 경도(Mohr's)를 갖는다. 상기 티타니아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에 의한 분석 결과, 티타니아 입자는 입자 내부에 나노 크기의 기공들이 다량 존재하고 있으며, 100℃ 이하로 가열처리한 티타니아 분말의 비이티-비표면적이 325㎡/g이고, 총 기공면적은 948.817㎡/g으로 중심 기공경(Volume)은 0.8㎚이였다. 그 전체 기공표면적은 948.817㎡/g이고, 전체 압입용적은 4.2449㎖/g이었으며, 중간기공직경(용적)(Median Pore Diameter(Volume))은 0.00088㎛ 이었다.
토르말린은 6각의 주상형 결정을 갖는 철, 마그네슘, 알칼리금속 등과 알루미늄의 복잡한 붕규산염으로 육방정계에 속하는 천연광물질이며, 지구상에 존재하는 광물 중에서 유일하게 0.06㎃의 전기를 발생하는 물질로서, 영구적인 전기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토르말린은 결정 구조 자체에 끊임없이 전기를 띠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음이온의 계면활성효과도 있고, 온도가 10℃ 높아지면 그 효과는 배가되고, 그리고 미세한 분말이어도 그 성질은 바뀌지 않음으로 인하여 분말 하나하나가 전기적 특성을 발휘함으로써 그 효과가 배가된다. 또한 토르말린은 대기 중의 수분과 접촉할 때 더욱 효과가 극대화되는데, 토르말린의 마이너스 전극에 축적된 전자는 수분과 접촉하는 순간에 방전되고, 수분은 수소이온과 수산이온으로 전기분해된다. 그리고 수소이온은 토르말린이 방출한 전자와 결합하여 수소원자가 되어 방출된다. 반면에 수산이온은 물분자와 결합하여 계면활성물질을 발생시키는데, 이것이 바로 본 발명에서 추구하는 음이온이 된다.
활석은 운모와 같은 결정구조를 가지는 단사정계에 속하는 암석으로 색깔은 백색, 은백색, 담녹색 등이 있으며 아트지를 가공할 때의 재료가 되거나 화장품, 보온용 내화재 등에 사용되는 재료이다. 활석은 원적외선 방사량이 많고 항균 기능이 있으며, 화학적인 중성으로 백색도가 높아 안료 발색이 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활석은 5 ~ 100㎛의 평균입경을 갖는 다공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과 실시예에 따라 개발 생산된 천연광물을 이용한 음이온 방출 페인트에 대한 보다 정밀한 음이온 측정을 위하여 시험방법 KICM-FIR-1042로 실시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음이온 발생율 1657ions/cc로 측정됨에 비추어 보아 매우 우수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11083412936-pat00001
활석은 이산화규소(SiO2) 성분이 73.45%, 산화알루미늄(Al2O3) 20.5%로서, 두 성분의 함량이 매우 높고, 주 구성광물은 엽활석(Pyrophylite, Al2Si4O10(OH)2), 석영(quartz, SiO2)의 두 가지 화합물의 혼합물로 나타난다. 활석의 원적외선 방사효과의 유무를 퓨리에변환-적외선분광분석법(FT-IR Spectrometer method)으로 흑체(black body) 대비 40℃에서의 복사를 측정한 결과, 원적외선 방사율(5 내지 20㎛)은 약 0.91이며, 방사에너지는 3.65*102W/㎡로 확인되었다.
상기한 구성과 실시예에 따라 개발 생산된 천연광물을 이용한 책꽂이에 대하여 시험방법 KICM-FIR-1042로 음이온 측정을 한 결과 하기 표 1과 같이, 음이온 발생율 1205ions/cc로 측정되어 일반적으로 책꽂이로 사용되는 목재에 비해 매우 우수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번째 혼합단계는 항균제, 토르말린, 활석 및 나노 미립자 티타니아 광촉매의 분말을 혼합하되, 항균제 : 나노 미립자 티타니아 광촉매 : 토르말린 : 활석이 중량비로 1 : 0.1 ~ 1 : 0.1 ~ 1 : 0.1 ~ 1의 천연광물의 분말을 탄소섬유의 제조과정에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치 않고도 탄소섬유에 고정시키며, 그에 의하여 천연광물들의 본연의 기능, 특히 항균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함에 있으며, 동시에 탄소섬유의 섬유 상 구조에 의해 프레임부재의 주성분들과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천연광물 등의 다량의 무기물을 포함하면서도 우수한 휨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특별히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혼합비들은 백분율과 같은 상대적인 비율이 아닌, 전체 조성에서의 함량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이 반복되는 실험을 통하여 최적의 조성을 얻기 위하여 결정된 것으로서, 그 상한이나 하한에 어떤 특별한 제한을 두고자 함이 아니며, 단지 본 발명을 실현하기에 최적의 비율로서 본 발명자들의 실험에 의하여 결정된 비율이다.
2차 혼합단계는 1차 혼합단계에서 수득되는 항균제 : 나노 미립자 티타니아 광촉매 : 토르말린 : 활석의 혼합물 0.01 ~ 15 중량% 및 열경화성수지 분말 85 ~ 99.99중량%를 혼합하여 원료혼합물을 준비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천연광물분말혼합물이 0.01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에는 천연광물의 함량이 너무 낮아져서 목적하는 항균 기능이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후속하는 섬유형성단계에서의 사절 등이 일어나거나 종국적으로 수득하고자 하는 탄소섬유의 물성, 특히 섬유로서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책꽂이의 물성향상을 희생하고서라도 항균 기능을 높이기 위하여는 천연광 물분말혼합물의 함량을 더 높일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열경화성수지분말은 탄소섬유의 탄소원으로서 탄화공정에 의하여 탄화되어 탄소섬유로 화하는 원료물질이다.
이러한 열경화성수지분말로 통상의 탄소화합물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기는 하나, 공정의 안정성과 수득된 탄소섬유에서의 불순물 함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것 중 소결 또는 탄화 동안에도 변형되지 않고 불순물 함량이 적게 나타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노볼락형 페놀수지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한 페놀수지이외에도 여러 종류의 열경화성수지들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한 열경화성수지는 상용화된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섬유형성단계는 원료 혼합물을 섬유상으로 제조하고, 열경화시킨 후 비활성 분위기에서 탄화시켜 탄소섬유를 제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한 원료혼합물의 섬유상으로의 제조는 통상의 섬유제조공정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서, 당업자에게는 극히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섬유상으로의 방사는 원료혼합물을 약 250℃ 정도의 방사온도에서 통상 1.0mm 정도의 구경의 노즐을 통하여 방사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탄소섬유 제조는 섬유상으로 형성된 원료혼합물을 열경화시킨 후, 비활성 분위기에서 탄화시켜 탄소섬유로 제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열경화단계에서는 300 내지 400℃의 온도범위에서 가열되어 열경화된다. 이는 소결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분말상태의 원료혼합물을 탄화시키기에 적절한 상태로 처리하는 단계이다.
열경화단계 이후 열경화된 원료혼합물은 탄화단계에서 900 내지 1,000℃의 온도범위 및 무산소조건 또는 비산화조건에서 가열되어 탄화된다. 이 탄화에 의하여 비로소 원료혼합물 중의 열경화성수지가 탄화된다.
상기에서의 온도범위 등은 모두 탄소섬유를 제조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탄소섬유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무산소조건 또는 비산화조건이라 함은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가열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탄소화합물로서의 열경화성수지분말을 탄소로 전환시킴에 있어 탄소화율을 높일 수 있도록 작용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무산소조건 또는 비산화조건은 바람직하게는 질소분위기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득된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책꽂이용 판재를 제조하는 것은 건조된 목분 60 ~ 70중량%, 열가소성 수지 20 ~ 30중량%, 탄소섬유 1 ~ 5중량%, 카올린 분말 2 ~ 3중량%, 첨가제 3 ~ 5중량%를 80 ~ 300℃에서 혼합하여 수득된 반죽을 준비하는 단계와 혼합된 반죽을 압출시켜 성형된 프레임부재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카올린 분말은 점성을 제공하여 코팅막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함유량이 10중량%를 초과할 경우 점성은 증가하나 강도나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7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강도와 내구성이 다소 증가하나 점성이 약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때, 에틸렌을 충격보강제로 첨가한다는 의미는 에틸렌 자체를 직접 투입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수지 형태로 가공해서 시판중인 이를 테면, CPE(염소화폴리에틸렌)와 같은 액상의 물질로부터 얻는다는 의미이다.
수득된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책꽂이용 판재를 제조하는 단계는 목분, 탄소섬유, 첨가제를 1차 혼합하는 단계와, 열가소성 수지와 충격보강제를 2차 혼합하는 단계, 1차 2차 공정을 거쳐 각각 교반물이 얻어지면, 이들을 혼합기에 넣고 약 20분간 교반하여 충분히 혼합하는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압출성형을 통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건조된 목분, 열가소성 수지, 첨가제 등의 성분 및 함량은 모두 프레임부재 제조업자들에게는 공지된 것으로서, 국내외 유수의 업자들에 의해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1
(1) 탄소섬유의 제조
항균제 : 나노 미립자 티타니아 광촉매 : 토르말린 : 활석이 중량비로 1 : 0.5: 0.5 : 0.5의 비율로 혼합하여 천연광물분말혼합물을 수득하고, 이 천연광물분말혼합물 1중량%와 99중량%의 페놀 레진과 혼합하되, 상기 페놀 레진은 아세톤에 용해시킨 노볼락형 페놀 레진을 사용하였다. 이를 1.0㎜인 노즐을 통하여 약 250℃에서 방사하여 섬유상으로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섬유상을 다시 350℃에서 2시간 동안 열경화시킨 후, 950℃에서 30분간 질소분위기 중에서 열처리하여 탄화시켜 페놀레진계 탄소섬유를 제조하였다. 이 페놀 레진계 탄소섬유는 탄화과정에서 일부 활성화 작용을 수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2) 책꽂이용 부재의 제조
건조된 목분 60중량%, 열가소성 수지 30중량%, 탄소섬유 2중량%, 카올린 분말 3중량%, 첨가제 5중량%를 200℃에서 혼합하고, 혼합된 반죽을 압출시켜 성형된 프레임부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건조된 목분 60중량%, 열가소성 수지 30중량%, 항균제 2중량%, 첨가제 8중량%를 200℃에서 혼합하고, 혼합된 반죽을 압출시켜 성형된 상판부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비교예와 실시예에 대하여 KS F 3200-2006 시험방법에 따라 상판부재의 휨강도를 실험한 결과가 표 2에 나타나 있으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의 휨강도(N/mm2)가 24.2인데 반해, 실시예는 38.5로 종래에 비해 매우 휨강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11083412936-pat00002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상판부재의 외면에 코팅되는 항균코팅물질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1) 항균제, 토르말린, 활석 및 나노 미립자 티타니아 광촉매의 분말을 혼합하되, 항균제 : 나노 미립자 티타니아 광촉매 : 토르말린 : 활석의 중량비가 1 : 0.1 ~ 1 : 0.1 ~ 1 : 0.1 ~ 1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2) 혼합물 0.01 ~ 15중량% 및 열경화성수지 분말 85 ~ 99.99중량%를 혼합하여 원료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3) 준비된 상기 원료혼합물을 열경화시킨 후 비활성 분위기에서 탄화시켜 탄소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4) 유기용매 45 ~60중량%, 수용성 아크릴계 에멀젼 폴리머 30 ~ 45중량%, 탄소섬유 1 ~ 5중량%, 카올린 분말 2 ~ 3 중량%, 첨가제 3~5중량%를 혼합하여 액상으로 제조되는 단계 및 제조된 액상 항균 코팅물질을 프레임 부재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항균제, 토르말린, 활석 및 나노 미립자 티타니아 광촉매의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및 원료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탄소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한 프레임부재의 단계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유기용매 45 ~60중량%, 수용성 아크릴계 에멀젼 폴리머 30 ~ 45중량%, 첨가제 5~10중량%들은 모두 코팅물질 제조업자들에게는 공지된 것으로서, 국내외 유수의 업자들에 의해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할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제조되는 항균코팅물질은 항균제 : 나노 미립자 티타니아 광촉매 : 토르말린 : 활석이 1 : 0.1 ~ 1 : 0.1 ~ 1 : 0.1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천연광물의 분말을 탄소섬유의 제조과정에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어 외력으로부터 프레임부재를 오랫동안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천연광물들의 본연의 기능, 특히 항균 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험결과, 본 발명의 액상 항균코팅물질을 프레임 부재에 도포하고, 2일 동안 건조시킨 후, 못으로 선을 그어본 결과 실시예의 경우에는 못에 의한 막 손상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비교예의 경우에는 막의 부분적인 손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의 경우에는 단단한 막질이 항균제나 광물분말 성분을 강력하게 유지하고 있어 시간이 장시간 경과한 경우에도 음이온이나 원적외선 발생량이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경질의 도막으로 인한 강도 유지와 항균 기능 유지 성능이 탁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10 : 바닥판 120 : 측판
130 : 장식판 160 : 칸막이
170 : 지지판

Claims (5)

  1. 책을 수납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항균성 판재가 조립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항균성 판재는
    건조된 목분 60 ~ 70중량%, 열가소성 수지 20 ~ 30중량%, 탄소섬유 1 ~ 5중량%, 카올린 분말 2 ~ 3중량%, 첨가제 3 ~ 5중량%를 80 ~ 300℃에서 혼합하여 수득된 반죽을 준비하고, 준비된 상기 반죽을 압출시켜 제조되되,
    상기 탄소섬유는
    항균제, 토르말린, 활석, 나노 미립자 티타니아 광촉매의 분말을 혼합한 혼합물 0.01 ~ 15중량% 및 열경화성수지 분말 85 ~ 99.99중량%를 혼합하여 준비된 원료혼합물을 섬유상으로 제조하고, 제조된 상기 원료혼합물을 열경화시킨 후 비활성 분위기에서 탄화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와 항균성이 향상된 책꽂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와, 토르말린, 활석 및 나노 미립자 티타니아 광촉매는 중량비 1 : 0.1 ~ 1 : 0.1 ~ 1 : 0.1 ~ 1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와 항균성이 향상된 책꽂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미립자 티타니아 광촉매는 10 ~ 1000nm의 평균입경을 갖는 다공성이고, 상기 활석은 5 ~ 100㎛의 평균입경을 갖는 다공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와 항균성이 향상된 책꽂이.
  4. 삭제
  5. 삭제
KR1020110109143A 2011-10-25 2011-10-25 강도와 항균성이 향상된 책꽂이 KR101155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143A KR101155429B1 (ko) 2011-10-25 2011-10-25 강도와 항균성이 향상된 책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143A KR101155429B1 (ko) 2011-10-25 2011-10-25 강도와 항균성이 향상된 책꽂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5429B1 true KR101155429B1 (ko) 2012-06-15

Family

ID=46607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143A KR101155429B1 (ko) 2011-10-25 2011-10-25 강도와 항균성이 향상된 책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4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02378A (zh) * 2017-04-10 2017-06-30 张勇 一种用于产生负氧离子的方法
KR101872160B1 (ko) * 2017-08-10 2018-06-27 박진호 주방가구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9729A (ja) 1997-04-07 1998-10-20 River Well:Kk 樹脂製抗菌容器その他の有機物収容用抗菌樹脂
KR200189535Y1 (ko) 2000-02-10 2000-07-15 정지한 가구용 패널
KR20010078131A (ko) * 2000-02-02 2001-08-20 추후제출 기능성 조성물, 기능성 수지조성물 및 기능성 성형물
KR101053469B1 (ko) 2010-11-29 2011-08-03 주식회사 코파스 항균기능을 구비한 책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9729A (ja) 1997-04-07 1998-10-20 River Well:Kk 樹脂製抗菌容器その他の有機物収容用抗菌樹脂
KR20010078131A (ko) * 2000-02-02 2001-08-20 추후제출 기능성 조성물, 기능성 수지조성물 및 기능성 성형물
KR200189535Y1 (ko) 2000-02-10 2000-07-15 정지한 가구용 패널
KR101053469B1 (ko) 2010-11-29 2011-08-03 주식회사 코파스 항균기능을 구비한 책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02378A (zh) * 2017-04-10 2017-06-30 张勇 一种用于产生负氧离子的方法
CN106902378B (zh) * 2017-04-10 2019-11-22 张勇 一种用于产生负氧离子的方法
KR101872160B1 (ko) * 2017-08-10 2018-06-27 박진호 주방가구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253B1 (ko) 친환경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Ebina et al. Flexible Transparent Clay Films with Heat‐Resistant and High Gas‐Barrier Properties
KR101969960B1 (ko) 친환경 머드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CN105143373A (zh) 涂布剂组合物及抗菌/抗病毒性构件
ES2598240T3 (es) Pigmentos inorgánicos tratados que tienen menor fotoactividad y propiedades antimicrobianas y su uso en suspensiones de papel
KR101052608B1 (ko) 실내 조습 및 탈취용 수성 도료
KR101155429B1 (ko) 강도와 항균성이 향상된 책꽂이
KR102075349B1 (ko) 친환경 섬유판의 제조방법
KR101224006B1 (ko) 의자 및 책상 부재용 다기능 합성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51757B1 (ko)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섬유 코팅용 조성물 및 섬유제품
KR101343940B1 (ko) 천연접착제, 상기 천연접착제를 포함하는 천연내장재 접착제, 천연페인트, 이러한 천연내장재 접착제 및 천연페인트를 이용한 유해물질 차단 시공방법
KR101323144B1 (ko) 신규의 초소수성 고분자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초소수 코팅용 조성물 및 초소수 코팅막
KR20190004927A (ko) 원적외선 방사 코팅제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6084918A (zh) 一种多功能环保涂料
KR101133531B1 (ko) 내구성과 항균성이 개선된 로커
KR101294350B1 (ko) 친환경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
KR101310776B1 (ko) 원적외선 세라믹 도료
JP2013216596A (ja) 抗菌剤、抗菌剤分散液、およびこれを用いた抗菌加工製品
KR101155428B1 (ko) 고강도 항균 책상
KR102031265B1 (ko) 원적외선 방사 코팅제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52586B1 (ko) 펄라이트를 사용한 친환경 실내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9156118A1 (ja) 抗菌用多孔質材料及びそれを含む抗菌加工製品、並びにそれを用いた抗菌方法
JP2012095699A (ja) 抗菌・消臭処理剤および抗菌・消臭処理物品
CN106263523B (zh) 一种木制多层胶合电热板及其制备方法
KR101233075B1 (ko) 시트 몰딩 컴파운드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시트 몰딩 컴파운드를 이용한 친환경 욕실 천장재의 설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