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802B1 -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802B1
KR101154802B1 KR1020080113717A KR20080113717A KR101154802B1 KR 101154802 B1 KR101154802 B1 KR 101154802B1 KR 1020080113717 A KR1020080113717 A KR 1020080113717A KR 20080113717 A KR20080113717 A KR 20080113717A KR 101154802 B1 KR101154802 B1 KR 101154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electrodes
electrode
disposed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4899A (ko
Inventor
김영훈
김창제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3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802B1/ko
Publication of KR20100054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Abstract

입력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입력장치는 센싱 영역 및 센싱 영역 주위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며, 센싱 영역에 터치 등의 신호를 센싱하기 위한 전극들이 배치되고, 전극들을 연결하는 연결배선들이 주변 영역에 배치된다. 이때, 연결배선들의 폭이 각각 조절되어, 각각의 연결배선의 저항이 실질적으로 같도록 형성되고, 노이즈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터치, 정전, 용량, 배선, 스크린

Description

입력장치{INPUT DEVICE}
실시예는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 시스템의 발달 및 대중화에 따라서, 입력이 간단한 터치스크린의 사용이 보편화 되었다.
터치스크린은 저항막방식, 정전용량방식, 광센서방식, 초음파방식, 전자기(electromagnetic)방식 및 벡터포스(vector force)방식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저항막방식은 두 개의 기판사이의 투명도전막이 접촉되어 동작하는 방식으로 현재까지 나온 터치스크린 방식 중에 가장 손쉽게 구현이 가능하고 성능이 뛰어나지만, 기계적 및 환경적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광센서방식은 광출력 소자와 광입력 소자사이의 광경로가 차단될 때 위치를 판별하는 방식으로 외광의 영향을 받는 단점과 외곽부에 회로부를 설치하므로 외곽 싸이즈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초음파방식 또는 표면 탄성파 방식(Surface Acoustic Wave) 역시 광센서방식과 비슷하게 음파발생 소자와 음파인식 소자 사이의 음파 경로가 차단될 때 위치를 판별하는 방식으로 공장의 소음 또는 노이즈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전자기방식은 페러데이 법칙의 자석과 기전력 발생 원리를 이용한 방식으로써, 각기 위치별로 단위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판단하여 좌표를 계산한다. 코일에 교류의 신호를 인가해야 하므로 특수 전용펜을 필요로 한다.
정전용량방식은 센서전극과 손가락 사이에 결합되는 정전용량변화에 따라 흐르는 미세한 전류를 감지하여 위치를 판별하는 방식으로 노이즈 신호에 취약한 단점이 있으나, 환경적 신뢰성에 강하고 터치 스크린 상부 보호층을 변경함에 따라 기계적 신뢰성도 자유롭게 바꿀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정전용량방식은 아날로그방식과 디지털방식으로 나뉘어 질 수 있다.
실시예는 연결배선들 사이의 저항 편차를 감소시켜,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하고, 연결배선들이 효율적으로 배치되는 입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는 센싱 영역 및 상기 센싱 영역의 주위에 형성되는 주변 영역이 정의되는 기판; 상기 센싱 영역에 배치되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전극과 나란히 배치되는 제 2 전극;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전극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배선; 및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전극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연결배선은 상기 제 1 전극으로부터 연장되며, 제 1 폭을 가지는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1 폭보다 더 좁은 제 2 폭을 가지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연결배선은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2 연장부와 나란히 배치되는 제 3 연장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는 센싱 영역 및 상기 센싱 영역의 주위에 형성되는 주변 영역이 정의되는 기판; 상기 센싱 영역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전극들; 및 상기 전극들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 개의 연결배선들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배선들의 각각의 저항은 서로 대응한다.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는 센싱 영역에 배치되며, 외부의 터치 등의 신호를 센싱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며, 제 1 전극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배선 및 제 2 전극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배선은 폭이 서로 다른 연장부들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연결배선 및 제 2 연결배선의 길이가 서로 다르더라도, 제 1 연결배선 및 제 2 연결배선을 각각 구성하는 연장부들의 폭을 조절하여, 제 1 연결배선 및 제 2 연결배선의 저항을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는 제 1 연결배선 및 제 2 연결배선의 저항이 같아져서,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보다 정확하게 외부의 터치 등의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제 1 연결배선 및 제 2 연결배선은 폭이 다른 연장부들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연장부들이 효율적으로 주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폭이 넓은 제 1 연장부는 따로 배치되고, 폭이 좁은 제 2 연장부 및 제 3 연장부는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제 1 연결배선 및 제 2 연결배선의 주변 영역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는 연결배선들을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주변 영역의 면적을 줄일 수 있고, 상대적으로 센싱 영역의 면적을 증가 시킬 수 있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패널, 부재, 층, 패드 또는 기판 등이 각 패널, 부재, 층, 패드 또는 기판 등의 "상(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상부기판의 하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하부기판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A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B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은 상부기판(100), 하부기판(200), 배리어기판(300), 제 1 접착부재(400), 제 2 접착부재(500) 및 연결기판(600)을 포함한다.
터치패널은 센싱 영역(SR) 및 상기 센싱 영역(SR)의 주위를 둘러싸는 주변 영역(DR)으로 정의된다.
상기 센싱 영역(SR)에 터치 등의 신호가 입력된다. 즉, 상기 센싱 영역(SR)에는 신호를 센싱하기 위한 전극 등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센싱 영역(SR)은 투명하며, 표시 장치 등에 의해서, 상기 센싱 영역(SR)을 통과하여,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DR)에는 터치 등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배선들 및 패드전극들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주변 영역(DR)에는 터치 등의 신호가 입력될 수 없다.
상기 상부기판(100)에는 상기 센싱 영역(SR) 및 상기 주변 영역(DR)이 정의된다. 상기 상부기판(100)은 제 1 투명기판(110), 상부전극(120)들, 상부배선(130)들 및 제 1 패드전극(140)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투명기판(110)은 투명하며, 절연체이다. 상기 제 1 투명기판(110)은 필름기판 또는 유리기판이다.
상기 상부전극(120)들은 상기 제 1 투명기판(110)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전극(120)들은 상기 센싱 영역(SR)에 배치된다. 상기 상부전극(120)들은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며, Y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상부전극(120)들은 투명하며, 도전체이다. 상기 상부전극(120)들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인듐 틴 옥사이드(induim tin oxide;ITO) 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uim zinc oxide;IZO)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상부전극(120)은 다수 개의 제 1 센싱전극(121)들 및 제 1 연결부(122)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센싱전극(121)들은 상기 Y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센싱전극(121)들은 마름모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 1 연결부(122)들은 상기 제 1 센싱전극(121)들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연결부(122)들은 상기 제 1 센싱전극(121)들을 연결한다. 상기 제 1 연결부(122)들 및 상기 제 1 센싱전극(121)들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투명기판(110)에 투명 도전층이 증착되고, 상기 투명 도전층이 패터닝되어, 상기 상부전극(120)들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전극(120)들은 상기 제 1 투명기판(110)에 접촉한다.
상기 상부배선(130)들은 상기 상부전극(120)들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상부배선(130)들은 상기 주변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상부배선(130)들은 각각 상기 상부전극(120)들 및 상기 제 1 패드전극(140)들을 연결한다.
상기 제 1 패드전극(140)들은 상기 상부배선(130)들을 통하여, 각각 상기 상부전극(120)들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패드전극(140)들은 상기 연결기판(600)에 연결된다.
상기 상부배선(130)들 및 상기 제 1 패드전극(140)들은 일체로 형성되며, 저항이 낮은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배선(130)들 및 상기 제 1 패드전극(140)들은 상기 상부전극(120)들에 비하여 매우 낮은 저항을 가진다.
상기 상부배선(130)들 및 상기 제 1 패드전극(140)들은 상기 주변 영역(DR)에 상기 제 1 투명기판(110) 아래에 접촉하여 배치된다. 상기 상부배선(130)들 및 상기 제 1 패드전극(140)들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구리, 알루미늄 및 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하부기판(200)은 상기 상부기판(100)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상기 하부기판(200)은 상기 상부기판(100)에 대향한다. 상기 하부기판(200)은 상기 상부기판(100)과 이격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기판(200)도 상기 센싱 영역(SR) 및 상기 주변 영역(DR)이 정의된다.
상기 하부기판(200)은 제 2 투명기판(210), 다수 개의 하부전극들(221...227), 하부배선들(231...237) 및 제 2 패드전극(240)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투명기판(210)은 상기 제 1 투명기판(110)에 대응하며, 유리 기판 또는 필름기판이다. 상기 제 2 투명기판(210)은 투명하며, 절연체이다.
상기 하부전극들(221...227)은 상기 센싱 영역(SR)에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상기 하부전극들(221...227)은 상기 상부전극(120)들과 교차한다. 상기 하부전극들(221...227)은 서로 이격되며, 나란히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전극들(221...227)은 배치되는 순서대로 제 1 내지 제 7 하부전극(221...227) 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더 많은 수의 하부전극들(221...227)이 상기 제 2 투명기판(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전극들(221...227)은 투명하며, 도전체이다. 상기 하부전극들(221...227)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인듐 틴 옥사이드 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하부전극들(221...227)은 상기 제 2 투명기판(210)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투명기판(210)과 접촉한다.
각각의 하부전극은 제 2 센싱전극(220a)들 및 제 2 연결부(220b)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센싱전극(220a)들은 상기 제 2 투명기판(210) 상에 상기 X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제 2 센싱전극(220a)들은 마름모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 2 연결부(220b)들은 각각 상기 제 2 센싱전극(220a)들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연결부(220b)들은 각각 상기 제 2 센싱전극(220a)들을 연결한다. 상기 제 2 센싱전극(220a)들 및 상기 제 2 연결부(220b)들은 서로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배선들(231...237)은 상기 주변 영역(DR)에 배치된다. 상기 하부배선들(231...237)은 각각 상기 하부전극들(221...227)에 연결되며, 각각의 상기 하부전극(220)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하부배선들(231...237)은 각각 상기 하부전극들(221...227) 및 상기 제 2 패드전극(240)들을 연결한다.
상기 하부배선들(231...237)은 상기 하부전극들(221...227)에 각각 대응한다. 즉, 상기 하부배선들(231...237)은 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7 하부배선(231...237)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제 7 하부배선(231...237)은 각각 상기 제 1 내지 제 7 하부전극(221...227)으로부터 연장된다.
이때, 상기 제 1, 제 3, 제 5 및 제 7 하부배선(231, 233, 235, 237)은 각각 상기 제 1, 제 3, 제 5 및 제 7 하부전극(221, 223, 225, 227)의 좌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2, 제 4 및 제 6 하부배선(232, 234, 236)은 상기 제 2, 제 4 및 제 6 하부전극(222, 224, 226)의 우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된다.
즉, 상기 하부배선들(231...237)은 각각 홀수 번째 하부전극들(221, 223, 225, 227)의 좌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짝수 번째 하부전극들(222, 224, 226)의 우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하부배선들(231...237)은 각각 홀수 번째 하부전극들(221, 223, 225, 227)의 우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짝수 번째 하부전극 들(222, 224, 226)의 좌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배선들(231...237)은 폭이 서로 다른 다수 개의 연장부들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하부배선(231)은 상기 제 1 하부전극(221)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연장부(231a), 상기 제 1 연장부(231a)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연장부(231b), 상기 제 2 연장부(231b)로부터 연장되는 제 3 연장부(231c) 및 상기 제 3 연장부(231c)로부터 연장되는 제 4 연장부(231d)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연장부(231a)의 폭(D1)이 가장 넓고, 상기 제 2 연장부(231b), 상기 제 3 연장부(231c) 및 상기 제 4 연장부(231d) 순으로 폭이 줄어든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내지 제 5 하부배선(232...235)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연장부들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3 하부배선(233)은 상기 제 3 하부전극(223)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5 연장부(233a), 상기 제 5 연장부(233a)로부터 연장되는 제 6 연장부(233b) 및 상기 제 6 연장부(233b)로부터 연장되는 제 7 연장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5 연장부(233a)의 폭(D4)이 가장 넓고, 상기 제 6 연장부(233b) 및 상기 제 7 연장부 순으로 폭이 줄어든다.
또한, 상기 제 5 연장부(233a)는 상기 제 2 연장부(231b)의 측방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5 연장부(233a)는 상기 제 2 연장부(231b)와 나란히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 5 연장부(233a)의 폭(D4)은 상기 제 2 연장부(231b)의 폭(D2)보다 작으며, 상기 제 1 연장부(231a)의 폭(D1)은 상기 제 2 연장부(231b)의 폭(D2) 및 상기 제 5 연장부(233a)(D4)의 폭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또한, 상기 제 2 패드전극(240)들에 직접 연결되는 연장부들의 폭은 상기 하부배선들(231...237)의 길이가 짧을수록 더 작아진다.(D5>D6>D7>D8)
즉, 상기 제 2 패드전극(240)들에 직접 연결되는 연장부들의 폭은 상기 제 1 내지 제 7 하부배선(231...237) 순으로 작아진다.
즉, 상기 제 2 패드전극(240)들에 직접 연결되는 연장부들 중에서, 상기 제 1 하부배선(231)에 포함되는 제 2 패드전극(240)에 직접 연결되는 연장부(231d)의 폭(D5)이 가장 크고, 상기 제 7 하부배선(237)에 포함되는 제 2 패드전극(240)에 직접 연결되는 연장부(237a)의 폭(D8)이 가장 작다.
상기 제 2 패드전극(240)들은 상기 하부배선들(231...237)을 통하여, 상기 하부전극들(221...227)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 2 패드전극(240)들은 상기 연결기판(600)에 접속된다.
상기 하부배선들(231...237) 및 상기 제 2 패드전극(240)들은 상기 제 2 투명기판(210) 상에 상기 주변 영역(DR)에 배치되며, 낮은 저항을 가진다.
즉, 상기 하부배선들(231...237) 및 상기 제 2 패드전극(240)들은 상기 하부전극들(221...227)에 비하여 매우 낮은 저항을 가진다. 상기 하부배선들(231...237) 및 상기 제 2 패드전극(240)들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구리, 알루미늄, 은 및 몰리브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배리어기판(300)은 상기 하부기판(200)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배리어기판(300)은 터치패널 아래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 등의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간섭을 차단한다. 즉, 상기 표시 패널 등의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기파 등을 차단한다.
상기 배리어기판(300)은 제 3 투명기판 및 차폐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 3 투명기판은 상기 제 2 투명기판(210)에 대향한다. 상기 제 3 투명기판은 상기 상부기판(100) 및 상기 하부기판(20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3 투명기판은 리지드하며, 상기 제 3 투명기판은 유리기판일 수 있다.
상기 차폐전극은 상기 제 3 투명기판 상의 전면에 형성된다. 상기 차폐전극은 투명하며, 도전체이다. 상기 차폐전극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인듐 틴 옥사이드 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 1 접착부재(400)는 상기 상부기판(100) 및 상기 하부기판(20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제 1 접착부재(400)는 투명하며 절연체이다. 상기 제 1 접착부재(400)는 상기 상부기판(100) 및 상기 하부기판(200)을 접착시킨다. 상기 제 1 접착부재(400)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광경화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 2 접착부재(500)는 상기 하부기판(200) 및 상기 배리어기판(30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제 2 접착부재(500)는 투명하며 절연체이다. 상기 제 2 접착부재(500)는 상기 하부기판(200) 및 상기 배리어기판(300)을 접착시킨다. 상기 제 2 접착부재(500)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광경화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연결기판(600)은 상기 상부기판(100), 상기 하부기판(200) 및 상기 배리어기판(300)에 연결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연결기판(600)은 상기 제 1 패드전극(140), 상기 제 2 패드전극(240) 및 상기 차폐전극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기판(600)은 제 1 연결기판(610), 제 2 연결기판(620) 및 제 3 연결기판(63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결기판(610)은 상기 상부기판(100) 및 상기 제 1 접착부재(4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 1 패드전극(140)에 접속된다.
상기 제 2 연결기판(620)은 상기 하부기판(200) 및 상기 제 1 접착부재(4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 2 패드전극(240)에 접속된다.
상기 제 3 연결기판(630)은 상기 배리어기판(300) 및 상기 제 2 접착부재(5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차폐전극에 접속된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상기 상부전극(120)들 및 상기 하부전극들(221...227)로부터 터치등의 신호를 센싱하는 구동부(70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700)는 상기 상부전극(120)들 및 상기 하부전극들(221...227)에 상기 연결기판(600)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교류전압을 인가한다. 이때, 상기 구동부(700)는 상기 상부전극(120)들의 일부 및 상기 하부전극들(221...227)의 일부에 손가락과 같은 도체가 배치될 때, 발생하는 커패시턴스를 센싱한다. 더 자세하게, 상기 구동부(700)는 상기 커패시턴스(capacitance)에 의한 용량 리액턴스를 측정하여, 손가락 등의 위치를 센싱한다.
상기 하부배선들(231...237)에 포함된 연장부들의 폭 및 상기 하부배선들(231...237)의 길이에 의해서, 상기 하부배선들(231...237)의 저항이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배선들(231...237)에 포함된 연장부들의 폭이 조절되어, 상기 하부배선(230)은 저항이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가 긴 하부배선들(231...237)은 폭이 넓은 연장부들을 포함하며, 길이가 짧은 하부배선들(231...237)은 폭이 좁은 연장부들을 포함하여, 상기 하부배선들(231...237)의 저항 편차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배선들(231...237)의 저항의 편차가 감소되고,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상기 하부배선들(231...237)의 저항차이에 의한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 영역(DR)에 폭이 좁은 연장부들은 상대적으로 많은 수가 나란히 배치되고, 폭이 넓은 연장부들은 상대적으로 적은 수가 나란히 배치된다. 예를 들어, 가장 폭이 넓은 제 1 연장부(231a)의 측방에는 다른 연장부들이 배치되지 않는 반면, 상기 제 1 연장부(231a)보다 더 폭이 작은 제 2 연장부(231b) 및 제 5 연장부(233a)는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하부배선들(231...237)은 상기 주변 영역(DR)에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배선들(231...237)은 상기 주변 영역(DR)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상기 주변 영역(DR)의 면적을 감소시키 고, 상기 센싱 영역(SR)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하부배선들(231...237) 사이의 저항편차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주변 영역(DR)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상부기판의 하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하부기판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A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B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Claims (10)

  1. 센싱 영역 및 상기 센싱 영역의 주위에 형성되는 주변 영역이 정의되는 기판;
    상기 센싱 영역에 배치되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전극과 나란히 배치되는 제 2 전극;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전극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배선; 및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전극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연결배선은
    상기 제 1 전극으로부터 연장되며, 제 1 폭을 가지는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1 폭보다 더 좁은 제 2 폭을 가지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연결배선은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2 연장부와 나란히 배치되는 제 3 연장부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연장부의 제 3 폭은 상기 제 2 폭보다 더 좁은 입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폭은 상기 제 2 폭 및 상기 제 3 폭의 합에 대응하는 입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배선은 상기 제 2 연장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2 폭보다 더 좁은 제 4 폭을 가지는 제 4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연결배선은 상기 제 3 연장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3 연장부의 제 3 폭보다 더 좁은 제 5 폭을 가지는 제 5 연장부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연장부 및 상기 제 5 연장부는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입력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배선의 끝 단에 연결되는 제 1 패드전극; 및
    상기 제 2 연결배선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 2 패드전극을 포함하는 입력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배선은 상기 제 1 패드전극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6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연결배선은 상기 제 2 패드전극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6 연장부보다 더 작은 폭을 가지는 제 7 연장부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배선의 저항은 상기 제 2 연결배선의 저항에 대응하는 입력장치.
  9. 센싱 영역 및 상기 센싱 영역의 주위에 형성되는 주변 영역이 정의되는 기판;
    상기 센싱 영역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전극들; 및
    상기 전극들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 개의 연결배선들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배선들의 각각의 저항은 서로 대응하고,
    상기 연결배선들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다수 개의 연장부들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입력장치.
  10. 삭제
KR1020080113717A 2008-11-15 2008-11-15 입력장치 KR101154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717A KR101154802B1 (ko) 2008-11-15 2008-11-15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717A KR101154802B1 (ko) 2008-11-15 2008-11-15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899A KR20100054899A (ko) 2010-05-26
KR101154802B1 true KR101154802B1 (ko) 2012-06-18

Family

ID=42279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717A KR101154802B1 (ko) 2008-11-15 2008-11-15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8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3647B2 (en) 2016-12-26 2022-02-08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7913B2 (en) 2009-02-02 2012-07-10 Apple Inc. Integrated touch screen
FR2949007B1 (fr) 2009-08-07 2012-06-08 Nanotec Solution Dispositif et procede d'interface de commande sensible a un mouvement d'un corps ou d'un objet et equipement de commande integrant ce dispositif.
CN101950216B (zh) * 2010-09-26 2012-12-12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的制造方法
KR101282469B1 (ko) 2011-06-01 2013-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FR2976688B1 (fr) 2011-06-16 2021-04-23 Nanotec Solution Dispositif et procede pour generer une alimentation electrique dans un systeme electronique avec un potentiel de reference variable.
FR2985049B1 (fr) 2011-12-22 2014-01-31 Nanotec Solution Dispositif de mesure capacitive a electrodes commutees pour interfaces tactiles et sans contact
KR101494703B1 (ko) * 2012-03-30 2015-02-25 삼한박막진공 주식회사 저항 보상 전극 패턴을 갖는 터치 패널
KR101446722B1 (ko) 2012-05-16 2014-10-07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885815B1 (ko) * 2012-05-25 2018-08-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싱 장치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CN104662501B (zh) 2012-09-27 2017-07-28 株式会社村田制作所 触摸面板
KR102085964B1 (ko) 2012-11-30 2020-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US9336723B2 (en) 2013-02-13 2016-05-10 Apple Inc. In-cell touch for LED
KR102078831B1 (ko) 2013-03-12 2020-04-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142855B1 (ko) * 2013-08-29 2020-08-31 미래나노텍(주) 터치스크린 패널용 배선 전극,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984443B1 (ko) 2013-12-13 2019-05-30 애플 인크. 자기-정전용량성 터치 센서를 위한 통합된 터치 및 디스플레이 아키텍처
KR102275892B1 (ko) * 2014-03-11 2021-07-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패널
KR101450248B1 (ko) * 2014-04-16 2014-10-15 에스맥 (주)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터치 스크린 패널
WO2015175013A1 (en) 2014-05-16 2015-11-19 Wrostix Technologies Llc Structure for integrated touch screen
WO2015178920A1 (en) 2014-05-22 2015-11-26 Onamp Research Llc Panel bootstrapping architectures for in-cell self-capacitance
CN107209602B (zh) 2015-02-02 2020-05-26 苹果公司 柔性自电容和互电容触摸感测系统架构
US20180024670A1 (en) * 2015-02-09 2018-01-25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panel
KR102377732B1 (ko) * 2015-05-06 2022-03-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9564485B (zh) 2016-07-29 2022-04-01 苹果公司 具有多电源域芯片配置的触摸传感器面板
KR102611382B1 (ko) * 2018-09-19 2023-1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 유닛과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100894A (ko) * 2019-02-18 2020-08-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US11662867B1 (en) 2020-05-30 2023-05-30 Apple Inc. Hover detection on a touch sensor panel
KR102153370B1 (ko) * 2020-06-04 2020-09-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332A (ko) * 2008-04-24 2009-10-28 한국터치스크린(주)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
KR20100130689A (ko) * 2009-06-04 2010-12-14 에이디반도체(주) 멀티터치 패널의 저항 편차보상 방법 및 좌표 보정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332A (ko) * 2008-04-24 2009-10-28 한국터치스크린(주)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
KR20100130689A (ko) * 2009-06-04 2010-12-14 에이디반도체(주) 멀티터치 패널의 저항 편차보상 방법 및 좌표 보정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3647B2 (en) 2016-12-26 2022-02-08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861123B2 (en) 2016-12-26 2024-01-02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899A (ko)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802B1 (ko) 입력장치
JP5684728B2 (ja) 入力装置
KR101055102B1 (ko) 입력장치
KR100978461B1 (ko) 고감도 디지탈방식의 정전용량터치패널장치
US9229591B2 (en) Touch panel
US9483145B2 (en) Touch pane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52042B1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터치스크린 장치
US20120212445A1 (en) Display With Rear Side Capacitive Touch Sensing
US10133399B2 (en)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160130056A (ko) 터치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JP7302965B2 (ja) タッチ・指紋複合センサ及びタッチ・指紋複合センサを含む電子装置
JP2015167007A (ja) タッチパネル
JP2015049888A (ja) タッチパネル
US20180107042A1 (en) Touch screen panel
KR101010344B1 (ko) 활성영역을 증대시킨 터치스크린 패널 모듈
KR101154712B1 (ko) 입력장치
JP6147469B2 (ja) タッチセンサ
US10185437B2 (en) Touch screen panel, interface circuit,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150043845A (ko) 터치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44568B1 (ko) 입력장치
KR101144437B1 (ko) 터치입력장치
KR101154753B1 (ko) 입력장치 및 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세트
KR20100054898A (ko) 터치입력장치
JP3183604U (ja) タッチパッド用信号伝送ケーブルのブリッジ構造
KR20110021313A (ko) 표시장치 및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8